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인단속장비와 UTIS 기지국 통합 방안 연구

        홍경식,정준하,유성준 한국ITS학회 201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1 No.6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구축ㆍ운영 중에 있는 ITS 무선통신 인프라인 UTIS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으로 전국에 약 5,000여대가 설치되어 있는 무인단속장비와 UTIS 기지국을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UTIS는 25m 높이에 기지국이 설치되고 광통신망을 통해 센터와 통신하는 반면, 무인단속장비는 6.6m 높이에 설치되어 임대통신망을 통해 센터와 통신하는 등의 차이가 있다. 무인단속장비와 UTIS 기지국의 효율적인 통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현황분석을 통해 1,628개소의 통합설치 개소를 선정하였고, 현장시험을 통해서 6.6m의 높이에서도 UTIS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합에 적합한 통신망 및 시스템 구성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통합·설치 시 비용 절감효과를 분석하여 현장시스템 구축 비용이 UTIS 기지국 단독 설치 시에 비해 약 1/5 수준으로 절감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suggested the integration between automatic enforcement system and UTIS(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base station. UTIS base station and automatic enforcement system are different in the height of installation and the type of communication network. UTIS base station is 25 meter high and communicate with center system by optical network. Whereas automatic enforcement system is 6.6 meter high and communicate with center system by rental network.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the efficient method of integration, research was as in the following. We found that the number of integrated system was 1,628 through the present state of analysis and UTIS equipment was satisfied with the required specifications through field testing. Also we suggested the appropriat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system and analyzed that the cost of the integrated system installment is 1/5 lower than that of the legacy system installment.

      • 무선 멀티캐스팅에서 신뢰성을 위한 정보 교환 기법에 관한 연구

        임지영,정태명,Im, Ji-Yeong,Jeong, Tae-M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9 No.2

        무선 멀티캐스팅에서 이동 호스트가 같은 멀티캐스트 그룹 기지국으로 이동할 때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즉시 수신하기 위해서는 기지국들간에 데이터 전달에 대한 정보교환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기법들은 정보 교환시 소요되는 전달 시간과 오버헤드가 많아 비효율적이다. 또한 이동 호스트가 멀티캐스트에 참여하지 않는 기지국으로 이동할 때 전송지연을 피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지국이 주변 기지국들에게 데이터를 미리 전달하는 사전 전달 기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사전 전달 기법에서는 이동호스트들이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 이동할 경우 현재 기지국이 같은 주변 기지국들에게 같은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되어 중복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으로 새로운 정보교환 기법인 IES(Information Exchange Scheme)를 제안한다. 제안된 IES에서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하는 기지국들이 국부적인 정보교환을 함으로써 필요한 시간과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IES에서는 이동 호스트의 연속적인 이동을 위해 주변 기지국들이 사전 전달받은 데이터를 일정기간 삭제를 보류함으로써 중복된 데이터 전송을 피할수 있다. 비용 산출과 시뮬레이션에 의해 기존 기법들과의 성능을 비교함으로서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확인한다. In a wireless multicasting when a mobile host moves to the new bate station being in the same multicast group it needs to exchange information about data delivery between base stations to receive data from the new base station at once. However it is inefficient to use the existence schemes because it takes too much time to exchange information and many overheads. The next, a mobile host moving to the base station not being in the same multicast group, the old base station will pre-forward data to neighboring base stations to avoid transmission delay. However, if other mobile hosts move at short interval, the old base station may retransmit the same data to the same neighboring base st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d called Information Exchange Scheme (IES). In IES in the same multicast grope the base stations exchange information locally so it takes the minimum time and overheads to use IES. Also in IES the neighboring base stations delay to delete data for continuous moving of other MHs. We also present how our scheme is efficient by producing cost ad simulating.

      • KCI등재

        다기지국 환경에서 전자파 노출량

        조의현(Euy-Hyun Cho),박정규(Jeong-Kyu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기지국 설치 건물의 층별 전자파 강도가 인체에 유해한지, 그리고 예측 가능한지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산란체가 많은 기지국과 산란체가 적은 기지국을 선별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은 국제 규격과 국내 TTA 표준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기지국이 설치된 건물의 층별로 세가지 높이(1.1m,1. 5m,1.7m)를 기준으로 하여 각 높이에서 3개의 위치에서 전자파 강도의 실효값(rms)이 측정되었다. 9개의 위치에서 측정된 주파수별 실효값(rms)의 Max가 전자파 인체 보호 기준대비 최대 48.12%(옥상 측정값)로 주파수별로 인체보호 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산출된 주파수 별 노출지수 합도 최대 0.1445로 기준 1대비 최대 7배 이상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기지국별, 층별 조건에서는 868MHz, 2.14GHz의 전자파 강도 모두 P>0.005로 유의하였으며, R-Sq(조정)값이 50% 이상값을 보여서 회귀 방정식이 데이터의 정보를 충분히 흡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기지국 데이터 통합, 층별 데이터 통합 조건에서는 868MHz, 2.14GHz의 전자파 강도 모두 P>0.05 이지만, 868MHz 전자파 강도의 R-Sq(조정)값이 50%이하값(34.15%)을 보여서, 868MHz 전자파 강도는 기지국이 설치된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14GHz의 전자파 강도는 R-Sq(조정)값이 50% 이상(51.8%)를 보여서 2.14GHz의 전자파 강도의 회귀방정의 모형은 적합하였으며, 기지국이 설치된 건물의 주변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기지국 설치 건물의 층별 전자파 강도를 회귀 방정식으로 예측 할 수 있었다. The Study was carreid out to see whether the intensity of electromagnetic waves in each floor of a building where the sharing base station has been established is harmful to a human body, and to expect the intensity of the waves in the building. The investigate was performed on both of sharing base station either with many scatterers or without any of them. To satisfy the international standard and the domestic TTA standard, ms for each of the electromagnetic wave of every floor in the building with the station was measured from 3 location of 3 heights(1.1m,1.5m, and 1.7m). Max of the measured rsm from the each of the frequencies in the nine location was confirmed to be 48.12%(the rooftop measured value) at most, compared to the human body protection standard. The value was confirmed to satisfy the human body protection standard for each frequency. And the total value of the calculated exposure indexes for each frequency was determined to be more than 7 times lower at most, which was 0.1445, compared to the 1 standard. Since P value in both of 868MHz and 2.14GHz electromagnetic waves intensity for each base station and floor was less than 0.05, it was revealed to be meaningful, and since R-Sq(adj) value showed a value more than 50%, the regression equation was determined to fully absorb the data information. However, although the P value of both of 868MHz and 2.14GHz electromagnetic waves intensities under the integrating terms of the base station data and the floor data was showed to be less than 0,05, since R-Sq(adj) value of 868MHz electromagnetic waves intensity presented a value smaller than 50%(34.15%), it was determined that the 868MHz electromagnetic waves intensity is very much influenced by an environment with a base station. Because the electromagnetic waves intensity of 2.14GHz show R-Sq(adj) value bigger then 50%(51.8%), The regression equation model of 2.14GHz electromagnetic waves intensity was confirmed to be proper. It also turned out not to be e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near a building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intensity of electromagnetic waves for each floor of such building was expectable by the regression equation.

      • KCI등재

        이동통신 기지국의 환경 친화시스템 디자인 도출을 위한 선행 연구

        박진수 ( Jin Soo Park ),박억철 ( Eok Chul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이동통신 기지국은 전파를 보다 멀리, 그리고 정확하게 연결하는 물리적인 매체이다. 아울러 이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전파는 인류의 현대문명 발전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핵심요소 이며, 전파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과거 단순히 방송과 무선통신에 국한되었던 전파의 이용이 현재 무선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데이터 통신의 발전은 물론,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을 언제 어디서나 연결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활용됨으로써 미래 정보화 사회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파는 이동통신과 무선 인터넷의 확장성과 유용성을 위해 기지국 설치가 더욱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필요불가결한 상황으로 인한 무분별한 기지국설치의 오용을 방지하기위해 기지국 공용화를 법적으로 제정하게 되었다. 결국 이동통신 기지국은 이동통신의 가장 핵심적인 중계적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도시경관과 환경 친화에 저해하는 기능적인 기반시설로 자리 잡고 말았다. 이는 도시환경에서의 자연 친화적인 시설물로 구분되지 않고 단순한 전파의 전달매체로만 인식하여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도구로써의 심미성과 환경 친화성이 결여된 단순한 기능성에만 충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동통신 기지국 중 가장 시급한 문제점인 도시경관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도심의 건물에 설치된 기지국 형태를 연구하여 친환경적인 기지국의 디자인에 앞서 선행연구로써 종합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s a physical medium which can connect the wave farther and more completely. Moreover, the electric wav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not be avoid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human civilization. In the past, use of the electric wave was simply limited to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However, now it has moved towards the development of data communication and it is also the foundation of our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se electric waves are more effective the more coverage the towers have including wireless networks and mobile communication. For that reasons, some companies are responsible for the construction of new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However there are still some limitations in a society. In order to avoid unlimite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public need to keep an eye on how many new base stations are built. Fin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communication became a functional base facility which can affect our urban landscape and environment although it is the most important key model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ason is that it did not considerate for the eco-friendly facility and also just focused on the simply functions as a fundamental tool without the aesthetic poi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developing a back-up plan for more sustainabl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sign. I strongly believe that this research could be carried out now before the problems get worse. There is an urgent need to examine the problems already caused by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 교통수요 분석을 위한 통신자료 분석 맵 구축 알고리즘 개발

        김동호,이해선,정승연,송태진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최근 빅데이터 분석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의료, 관광 등 각종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분석이 시도되고 있다. 빅데이터로 기존 통계로 밝히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교통 분야에서도 이런 측면에서 빅데이터를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데이터는 바로 ‘통신자료’이다. 통신자료는 휴대폰 이용자가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더라도 단말기를 소지하면 기지국으로 해당 단말기의 신호가 수신되면서 기록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이동 행태 분석에 가장 필요한 실시간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교통 분야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그동안 추정을 통해서만 알 수 있었던 인구 전체에 대한 데이터가 집계되어 있어 불특정 다수의 수요를 파악해야 하는 교통 분야에는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일 통신자료가 교통 분석의 기반 데이터로 활용된다면, 기존 설문조사에 투입되는 막대한 인력과 예산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통신자료를 교통 분야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틀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통신자료를 교통 분석 목적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현재 통신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통신자료는 기지국의 특성상 변동성이 커 분석 영역을 고정시키기 어렵고 이동 행태를 분석하는 데도 적합하지 않다. 기존에는 이러한 한계를 인정하고 이동 패턴을 분석하는 데 포인트 정보인 기지국 좌표 정보만을 활용하였지만, 이러한 방식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경우 통행자의 이동 행태를 왜곡할 가능성이 높다. 기지국의 수신범위가 둘 이상의 행정구역을 포함할 때 기지국 좌표 정보는 포인트 정보로 하나의 행정구역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 KT에서 제공한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위치 변동 특징과 지역별 기지국 영향권 규모 특징을 분석한 후 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교통 분석 목적에 맞게 이동 행태 분석이 용이하도록 사회 경제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해당 방법의 타당성은 전국 단위로 해당 방법을 적용하여 기지국과 행정구역의 매칭률과 이동 패턴 분석 가능성을 검토하여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매칭률은 100%로 나타났으며, 이동 패턴화가 가능한 규모로 형성되어 실제 교통 수요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제시한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기존 방식의 오차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분석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초 연구로서 교통시설의 위치 등 이동 패턴 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요인들이 반영되지 않은 만큼 향후 정확성을 높이는 작업이 요구된다.

      • KCI등재

        밀리미터파 대역에서의 드론형 기지국 성능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링 연구

        정민우(Min-Woo Jeo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9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5

        군 병력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정보공유의 수단으로서 높은 망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드론형 기지국이 최적의 플랫폼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넓은 대역폭을 활용 가능한 밀리미터파 주파수대역은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적합하지만 shadowing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자유롭게 고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드론형 기지국의 특성을 활용하면 LoS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취약점을 상쇄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요소가 반영된 드론형 기지국의 성능분석을 위한 모델링을 수행함으로써, 차후 군 통신망으로써 활용가능성이 기대되는 드론형 기지국의 성능평가에 대한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drone-type base station will be an optimal platform as a way of information sharing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military force due to their high network flexibility. It is expec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one-type base station which would freely adjust the altitude can be used to offset the propagation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llimeter-wave frequency band by securing the stable Line of Sight. In this paper, we proposed a framework for evaluation drone-type base station that can be utilized as a future military communication network by performing modeling for performance analysis that can reflect various factors

      • KCI등재

        DTV 전환에 따른 DTV 송신기와 LTE 기지국간 공존에 관한 연구

        심용섭,이일규,홍선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2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1

        본 논문은 DTV 전환으로 발생하는 여유 대역의 활용 방안으로 LTE 기지국용 주파수의 할당에 관한 논문이다. 확보 가능한 여유 대역 중에서 DTV 채널 51과 인접하여 LTE 기지국용 주파수 할당을 계획할 때 DTV와 LTE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보호 대역을 산출하였다. LTE 기지국에 의한 DTV 수신기의 간섭 영향과 DTV 송신기에 의한 LTE 기지국의 간섭 영향을 분석하여 LTE 기지국 보호를 위한 보호 대역 5.5 MHz, DTV 수신기 보호 2 MHz의 보호 대역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frequency allocation of LTE Base Station(BS) in the spare band which is generated by DTV transition. In the case of frequency allocation of LTE BS in adjacent band with DTV channel 51 among the spare band, the guard bands that requires for no interference between LTE and DTV system were calculated. As a result, 5.5 MHz of guard band for LTE BS and 2 MHz of guard band for DTV receiver were suggested based on interference analysis between LTE BS and DTV BS, respectively.

      • KCI등재

        이동 기지국을 기반으로한 전술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적 부분 주파수 재사용 기법에 관한 연구

        김성진,이영주,이남용 한국IT정책경영학회 2017 한국IT정책경영학회 논문지 Vol.9 No.2

        기존 부분 주파수 재사용 기법은 모든 기지국이 고정되어 있는 다중 셀 환경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 기지국을 고려한다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동 기지국간의 셀 내부의 간섭은 동적으로 변하며 전술환경에서는 핸드오프도 없으며, 항상 기지국과 연결되는 것을 만족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동 기지국이 전술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최소의 송신전력으로 이동 기지국내의 모든 이동 노드의 요구 데이터 속도를 만족시키는 동적 부분 주파수 재사용 기법제안과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여 내부 셀에서의 간섭이 심한 환경에서 제안된 기법이 요구 데이터 속도를 만족함을 보여준다.

      • Recovery Mechanism for Base Station Failure in Wireless ATM Networks

        임지영,정태명,Im, Ji-Yeong,Jeong, Tae-Myeong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8 No.2

        이동 호스트에서 기지국으로의 데이터 전송 시 예상치 못한 기지국 전체 고장은 필연적으로 버퍼에 있는 데이터의 손실을 초래하고 적절한 손실 보상이 필요하다. 기지국의 고장시의 회복을 위한 기존의 기법들은 오버헤드가 많고 단순히 무선 링크 장애만을 고려하므로 기지 국 전체 고장에는 적합하지 않다. 유무선망 전체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한 End to End 전송 방식도 비효율적으로 이동 호스트가 보상할 데이터 량을 알기 위해 필요한 기지국 버 퍼의 정확한 손실 정도를 알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안된 기법들의 문제점을 분 석하고 무선 ATM망에서 기지국 고장 시에 효율적으로 손실 보상을 하도록 하는 기법으로 CPS(Checkpoint Scheme)을 제안한다. CPS는 기지국이 버퍼의 출력 정보를 통보하여 고장 시에 이동 호스트가 seamless한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기법들과 시뮬레이션 및 비교 분석을 통하여 CPS의 효율을 증명한다.

      • KCI등재

        자연공조를 활용한 무선기지국 Energy절감 제어시스템

        류구환,권창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0

        정보통신 산업 발전에 따라 통신장치의 크기는 소형화 되고 발열량이 많이 발생하는 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선기지국에는 무선장비의 발열량이 많이 발생하여 에너지가 계속 많이 소모되고 있고 그로 인하여 무선기지국의 장애가 발생 할 우려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무선기지국내 에너지를 절감하고 기지국운영을 위하여 본 연구를 분석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발열량 및 전기료를 많이 발생하는 기지국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기지국 25개를 선정하여 2주간 데이터를 확보 하였다.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27℃로 유지 하였으며 , 제어시스템을 설치하여 2주간 똑 같이 설치하여 date를 분석 확보 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 시험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계측기는 전산전력계, 디지털온도계, 분진측정 등이 활용하였다. date분석을 위해 Control Sysetm 설치 전 date와 설치 후 date 분석을 위해 25개 무선기지국대상으로 연구 시험 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has been reduced to a system tha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Therefore, sin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wireless equipment is large in the wireless base station, the energy consumption is continuously consumed and the failure of the wireless base station may occu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udy was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we performed base station with a lot of calorific value and electric charge. We selected 25 base stations and obtained data for two weeks. To ensure reliability, the room temperature was kept constant at 27 ℃, and the control system was installed and equiped for two weeks to obtain the date analysis. In order to calculate the test results in the study method, the instrument was used with a computer, a digital thermometer, and dust measurement. For the date analysis, we conducted a research study on 25 wireless basestations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Control Syset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