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기독교사 인식

        이은실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8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교육의 기독교사들이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세계시민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해 어떤 교사 교육의 요구가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155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세계시민교육 실행 경험과 교사 교육 참여 의지, 교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를 보면 기독교사들은 세계시민교육이 기독교 대안학교에 필요하며 세계시민교육은 학생들의 세계시민성을 키우는 데 효과가 있고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세계시민교육의 내용 면에서는 기독교인의 정체성, 가치와 성품, 세계의 이슈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조망하는 것의 중요도를 높게 제시했다. 기독교사가 기대하는 기독교 세계시민교육은 기독교세계시민의 정체성 및 가치관 확립에서 시작하여 지역과 사회, 세계의 이슈를 기독교적 관점으로 인식하고 실천과 참여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기독교 세계시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제시된 교사 연수의 내용과 방법, 학교 리더의 세계시민교육에의 관심과 참여를 다루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ristian educators in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demands for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enhance thei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goal, data was collected from 155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The data encompass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ir experiences in implementing it,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eacher training, and the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of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reveal that Christian educators recognize the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y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effective in fostering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nd consider it helpful. In terms of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re was a strong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viewing Christian identity, values, character, and global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The desired form of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anticipated by Christian educators, starts with establishing the identity and values of Christian global citizens. This foundation extends to perceiving and engaging with local, societal, and global issues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leading to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participation. The conclusion addresses the urgent need for teacher training content and methodologies to activate Christia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nvironments.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chool lead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promo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공학윤리 교육의 확대에 따른 기독교 종합 대학의 과제

        이대성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3 No.-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EEE) in Korean universities, as a requirement of the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for Korea) which was founded in 1999. The purpose of this examination is to identify serious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EEE and to come up with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As the influence of ABEEK increased, more universities in Korea wanted to be considered for its accreditation. As a result, great number of EEE courses were created without enough preparation. Many problems were revealed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EEE. Most of EEE courses were developed in isolation, without any organic connection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courses. Particularly in Christian universities, when EEE courses are taught without a tight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goal of the institution, the founding principles of the universities can be neglected or challenged. Because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EEE in Korean universities, it is now necessary to redesign the EEE. In this paper, I survey the history of the introduction of EEE in Korea briefly. Then, I examine the theoretical debates about the necessity and definition of Engineering Ethics. The argument for the necessity of EEE, and the goal and content of EEE will be followed. Next, I will describe the problems and the limitations of the EEE. And I will conclude this paper with a proposal for the improvement of EEE in the context of the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The most important argum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limitations of the EEE so far: (1)Focused on the micro-level ethics, (2) No organic relationship with other general education courses, (3)Not aware of the ethical issues in the ABEEK system itself.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요구에 따라 2000년 이후 국내 대학에서 시행되는 공학윤리 교육의 배경과 실태 및 한계를 살펴봄으로 기독교 종합대학을 위한 기독교적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ABEEK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국내 대부분의 공과대학이 공학교육인증을 받으려 했고, 이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공학윤리 과목이 급하게 개설되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었다. 공학윤리 교육이 대학 전체의 일반 교양과목이나 교책과목과의 유기적인 연관 없이 시행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 결과 다른 과목과 내용이 중복되거나 입장이 상충되는 경우도 있어왔다. 이런 현상은 대학 전체로 볼 때 막대한 교육 기회의 상실로 받아들여진다. 특별히 기독교 종합대학의 경우 학교의 교육이념을 구현하는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학윤리 교육의 도입 배경을 살펴보고, 공학윤리의 필요성 및 정의에 관한 이론을 소개한 후,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내용을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공학윤리 교육의 한계와 개선방안을 소개한 후, 결론적으로 기독교종합대학에서 어떻게 공학윤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것인지에 대한 제안을 하려고 한다. 이 논문의 중요한 논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기존의 공학윤리 교육의 한계: (1)미시적 윤리에 집중되어 있었다. (2)대학 내의 교양과목이나 교책과목과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지 못했다. (3)공학교육인증제도 자체가 갖고 있는 윤리적인 문제점을 간과했다. 기독교 종합대학에서 공학윤리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제안: (1)공학윤리 교육은 기독교 대학 이념 교육과 밀접한 연관 속에서 시행돼야 한다. (2)기독교 종합대학 내의 신학부가 기독교적 교육 이념에 대해 다른 학제와 심도 있는 대화를 평소에 하는 것이 이와 유사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비하는 방안이다. (3)기독교적 윤리학은 인문학 일반이나 윤리학보다 더 효과적으로 공학교육인증제도의 문제점들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성인기독교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이은규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본 연구는 현대사회는 학습사회로, 변화와 적응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학습을 해야 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발 달을 위해 학습을 할 수 있는 활짝 열린 평생교육 시대에 성인기독교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지의 방향성에 대 한 글이다. 서론에서는 성인의 나이를 몇 살부터 몇 살까지로 규정할 것인가를 먼저 다루었다. 그리고 가정교육과 가정 사역이란 용어의 사용에 대한 언급을 했고, 특히 가정사역 프로그램들이 위기 프로그램들인 만큼 성경적 검 증 없이 너무 심리적 바탕을 두고 있다는 지적을 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해야 할 당위성에 대해 기술을 하면 서 성인을 초기성인, 중기성인, 그리고 후기성인으로 구분을 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첫째, ‘성인기독교교육의 역사’를 고찰하면서, ‘초기히브리교육시대’, ‘초대교회시대’, 그리 고 ‘종교개혁시대’ 등 세 번의 시기들이 성인교육이 왕성했던 시기로 볼 수 있었다. 그리고 현 시대가 네 번째 시기로, 성인기독교교육의 꽃을 피워야 하는 중요한 시기임을 제시했다. 둘째, ‘성인기독교교육의 필요성과 새로운 성인세계’를 살펴보면서 앞으로의 성인세계는 지속적으로 성인인구가 늘어날 수밖에 없고, 지식기반 사회로 ‘지식’이 과거의 자본, 노동, 그리고 토지보다도 더 중요한 사회이기 때문에 성인교육이 강조될 수밖에 없는 사회라는 것을 제시했다. 셋째, 성인기독교교육의 현실을 살펴보면서 대부분의 교회에 성인기독교교육 과정(Adult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놀라운 현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회는 교육과 사역이 분리되어서 성인교육은 교육과정 없이 인기 있는 프로그램들로 운영되고 있고 가정사 역도 성경적 검토 없이 교회성장에 맞추어져 운영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인교육 프로그램에 거의 가정사역 프로그램들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재확인했다. 한 교회 안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교육과 사 역이 분리되어 진행되고 있었다. 넷째, ‘성인기독교교육의 전망 및 나아갈 방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교회를 보는 시각이 아주 부정적인 시대를 맞았고 성인신자들이 교회를 등지고 있는 비관적인 상황을 맞고 있다고 비판적인 전망을 했다. 그러나 성인인구는 계속해서 늘어가는 상황에서 성인교육을 포기한다는 것은 한국교 회의 미래가 없기 때문에 성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독교적 삶과 봉사를 효과적으로 교육해야 한다는 제시와 함께 그들이 세상 속에서 빛과 소금으로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했 다. 그리고 교회는 교단 별로 혹은 교단들이 연합하여 성인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교회에서 성인들을 가르쳐야 한다는 제시를 했다. 결론적으로 한국교회의 성인교육은 비관적 전망과 도전적 전망이 함께 공존하는 상항 속에 있지만 성인기독 교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성인들로 하여금 기독교적 삶과 헌신의 삶을 살도록 가르쳐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 놓았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adult Christian education during a time when moder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a learning society - one in which people need to learn to change and adapt - and also in which lifelong education is open to everyone for continuous development. The introduction first establishes the age range of adulthood. It then speaks to the use of terminology such as family education and family ministry. In particular, this paper points out that due to the nature of family ministry as a crisis program, too much emphasis is put on psychology without Biblical confirmation. Furthermore, this paper elaborate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is study and categorizes adulthood into young adult, mid-adult, and mature adult. The main body first examines 'the history of adult Christian education' with the ‘early Hebrew education era', 'early Church era' and 'Reformation era' as the three major periods of adult education. The modern era is designated as the fourth era and is a critical time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to blossom. Secondly, the paper examines the need for adult Christian education in the new adult world. As the adult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in the new world and as knowledge becomes more important than capital, labor or land in today's knowledge-based society, the church will need to place greater emphasis on adult education in the future. Thirdly, when examining the reality of adult Christian education, it was surprisingly discovered that an Adult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does not exist in the majority of churches. Moreover, most churches separate education from ministry with adult education based mostly on popular programs without a formal adult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and family ministry likewise operated based on the growth of the church in the absence of Biblical confirmation. Despite the many programs offered, family ministry programs are virtually non-existent in adult education programs. It is undesirable that the church separate education and ministry programs for adults. Fourthly, with regard to 'the prospects and direction of adult Christian education', the paper sees the church continuing to face negative criticism from Korean society and the harsh reality that a greater number of adult believers will turn their backs on the church. However, giving up on adult education when the adult population continues to grow is tantamount to accepting that the Korean church has no future. Effective education for adults is critical to adults leading Christian lives and service and to reveal their Christian identities as the light and salt of the earth. The church, through individual or inter-denominational efforts, must develop an Adult Education Curriculum to teach adults in the church. In conclusion, adult education in the Korean church is faced with both disappointing and challenging prospects, but by developing an Adult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proposes that the church can teach adults how to lead Christian lives and service.

      • 샬롬의 교육: 공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

        강영택 ( Young Taek Kang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0 통합연구 Vol.22 No.1

        본 논문은 공적 영역에서 교육을 이해하고 실천하는데 유용한 기독교적 관점 혹은 준거틀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기존의 기독교적 관점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을 분리적 관점, 피상적 통합 관점, 내면적 통합 관점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어 기존의 관점들이 갖는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교육을 향한 기독교적 논의들이 기독교 세계 테두리 내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고 공적 영역에서는 활발하지가 않았음을 지적한다. 교육에 대한 새로운 기독교적 접근으로 소개하는 ‘샬롬의 교육’은 우리사회의 주류적 교육관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 제시될 수 있다. ‘샬롬의 교육’이라는 개념은 기독교학교 같은 기독교영역의 울타리를 넘어서 공교육에서도 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위한 유용한 준거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샬롬의 교육은 신앙과 교육이 내적 통합을 이루고 있는 좋은 사례이다. 샬롬의 교육은 정의를 위한 교육, 기쁨을 향유하는 교육, 애통을 가르치는 교육으로 새롭게 개념을 규정할 수 있다. 이처럼 기독교적 개념을 일상적 혹은 교육적인 용어로 표현함으로 샬롬의 교육은 종교적인 색채를 표면에 드러내지 않으면서 기독교적 관점으로 우리시대 교육의 문제점에 좋은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Christian perspectives or frameworks that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education in the public domain. First, the existing Christian perspectives were divided into separate perspective, superficial integration perspective, and internal integration perspective. Then the author tries to present a new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erspectives, pointing out that until now Christian discussions about education have been predominantly within the borders of the Christian world and not active in the public domain. ‘Education for Shalom’, introduced as a new Christian approach to education by Nicholas Wolterstorff, can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view of mainstream education in our society. I think the concept of ‘Education for Shalom’ can be a useful reference frame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Christian realm such as Christian schools. ‘Education for Shalom’ is a good example of the inner integration of faith and education, as discussed earlier. It can define a new concept. as education for justice, education of delightfulness, and education of lament. By expressing the Christian concept in everyday or educational terms, education for Shalom will be able to offer a good alternative to the problems of education in our time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without revealing religious colors.

      • KCI등재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경교육과 실제성의 원리

        이정관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교회가 않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 중 하나인 사회에 대하여 영향력을 잃어가고 젊은이들이 교회를 떠나는 현상들을 바라보면서 여기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오늘날 한국교회와 기독교교육은 위기를 맞고 있다. 오늘 한국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는 기독교 중심 진리로부터 이탈과 함께 기독교의 독자성과 배타성의 상실은 기독교교육의 문제이기도 하다. 교육 현장에서 많은 젊은이들이 교회를 떠나는 큰 이유 중의 하나가 기독교에 대한 관심이 없어서가 아니라 신앙교육의 부재와 교회가 그들에게 접근하는 교육의 방법이 잘못되었기 때문이다. 즉, 오늘의 한국교회 모습은 신학이 뒷받침 되는 기독교교육의 본질적인 원리는 퇴색하고 대신에 교육활동의 부차적인 요소와 문화적 코드에 더 중요시하여 치중하는 경향이다. 그렇다고 모든 교회가 그렇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교회들이 말씀중심에 서서 세상이 빛이 되고자 몸부림을 치고 있다. 이 시점에서 기독교교육은 교육현장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과 함께 올바른 변화로 이끌어야 할 책임이 요구 된다. 기독교교육을 통해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한국교회가 실제성의 원리를 원천으로 하는 교육과정으로서의 과제를 가지고 있다면 분명히 연구되어야 할 학문적 과제중의 하나임에는 틀림이 없다.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경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그 의미를 더욱 부각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독교교육은 위기에 처해있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육에 대한 시대적인 요청과 상황의 변화를 수용하면서 기독교교육에 올바른 방법론적인 실제적 이론을 형성하고 방향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먼저 영향력을 잃어가는 현대 교회의 문제점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로 오늘의 기독교교육과 교육과정이 기독교적 삶을 위한 교회교육 교육과정으로서 성경교육을 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한국교회가 처해 있는 현실을 바라보면서 성경이 표준이 되는 실제성의 원리를 원천으로 하는 성경교육에 대하여 논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e of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church is facing and offer suggestions on the issue of the church losing influence in the trend of young people leaving the church. The church and protestant Christianity is facing peril in Korea. The critical problems facing the Korean church today are in its declining congregation and its departure from the exclusivity of Christian truth. These problems are also at the center of current Christian education. Many young people are leaving the church. One of the major reasons this is happening is not because of a lack of interest in Christianity but the deficiencies in Christian education and the inappropriate methodologies for this education. The Korean church has lost its focus on Christian education theory and have replaced it with programs that are trying simply to cater to the current societal culture of young people. It is within this confusion of Christian identity that the Korean church currently finds itself with the need to develop a new paradigm of Christian education that stays true to Christian teachings while also reaching out to the needs of young people. What to teach through Christian education in the church is of paramount importance. There is no question as to the importance of researching educational method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theological curriculum. The church must provide proper biblic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biblical education and its meaning must be strengthened and highlighted. This education must help strengthen both the church and its members. Alternatives must be suggested as to how this education can be offer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new practical educational methodologies that embrace both Christian education principles and the cultural needs of young people. For the aim of this study, an initial examination will be performed on the problems that the Korean church is facing that has caused it to lose influence. Following this examination, this study will look into what role the church and its curriculum must play in its education geared toward helping its members lead a more Christian life. Finally, there will be a discussion on the return to a bible-centered education in the face of the decline in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헤르만 바빙크의 생애와 그의 교육 및 교육학에 대한 기초적 논의

        조성국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5 기독교교육논총 Vol.42 No.-

        Herman Bavinck’s ideas on education and pedagogy as formed in his later studies have not been well known to Korean church leaders and educator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his contributions to Netherlands Reformed schools as well as his introduction and discussion within many theological studies. This thesis, as a basic step to the fundamental study of his educational thought, comprises a short biography, identifies his concepts of education and pedagogy, and discusses his contributions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Herman Bavinck made efforts to find a Reformed theological methodology that satisfied the needs of both traditional orthodoxy and modern scholarship, while the other contemporary liberal theologians or evangelicals chose one or the other. The two goals in his theology are also applied to studies on education. His Christian Reformed ideas on education contributed to both Reformed pedagogy and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schools. His historical contributions in Christian educ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avinck recognized pedagogy and psychology as independent sciences from a Christian view of scholarship, not limiting his interest only to theology, or reducing othersciences to theology. He deduced the foundational significance of pedagogy from the nature of humanity, s cholarship and community. (2) Bavinck did not limit the contents of Christian education to faith, but included also humanity, society, scholarship, nature and culture. He did not limit Christian educational fields to church, but positively discussed both nurture at home and education at school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ields of Christian education. (3) Bavinck explained the uniqueness of Christian educ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modern educational theories on the basic principles of world views. He demanded positive scientific studies for the Reformed pedagogy and schooling, since there was no neutral pedagogy and schooling free from world views. He convincingly argued the excellence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and pedagogy built on the Christian world view. 한국 개혁신학 교육과 연구에서 네덜란드 신학자 바빙크는 잘 알려져 있으나 바빙크의 후기 연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교육 및 교육학에 대한 사상은 제대로 알려지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은 바빙크의 기독교교육 사상 탐색의 기초 단계 작업으로서, 그의 생애, 교육 및 교육학에 대한 개념들을 규명하고 기독교교육 역사에서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헤르만 바빙크는 자유주의 신학과 배타적인 복음주의 신학의 극단이 아니라 신학의 학문 작업에서 정통성과 학문성을 동시에 구현해낸 학자이다. 이 두 요소는 개혁신학의 범위를 넘어 개혁 교육학의 확립과 기독교 학교운동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했다. 교육과 교육학의 기초적 논의에서 보여준 그의 기독교교육에 대한 역사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빙크는신학의 학문적 정체성에만 관심과 학문적 의미를 한정하거나, 다른 모든 것을 신학에 환원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적 학문관에 기초하여 교육학과 심리학도 독립적인 학문으로 보았다. 특히 교육학의 학문적 중요성과 독특성을 인간과 학문과 공동체의 본질로부터 규명하는 적극적 과제를 수행하였다. 둘째, 기독교교육의 내용을 신앙에 그리고 교육의 장을교회에 한정하지 않고, 교육 내용에 있어 인간과 사회와 학문과 자연과 문화를 그리고 장에서 가정 교육과 학교 교육을 적극적으로 논의함으로써 기독교교육학이 수행해야 할 정당한 과제의 범위를 제대로 규명하였다. 셋째, 기독교교육의 독특성은 기독교 세계관에 있다는 것과 교육 이론들의 차이는 세계관에서 온다는 것을 제대로 간파하였고, 그 맥락에서중립적 교육이란 불가능하므로 기독교 공동체는 기독교 학교 및 기독교 교육학을 정립해야 한다는 이론적 작업의 정당성과 필연성을 명료하게 드러내었다. 그는 참교육이라는 관점에서 기독교 학교와 기독교교육학이 지닌 탁월성에 대한 확신을 기독교 공동체에 제공하였다.

      • KCI등재

        '일상적 창의성'(everyday creativity)의 기독교교육적 함의에 대한 고찰

        류삼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8 No.-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veryday creativity’ as a theory of contemporary creativity studies. For this purpose, by reviewing literature and past studies on creativity, the study reveals that ‘everyday creativity’ is a representative term of theories based on the universality and everydayness of creativity–regarding creativity as native to all human beings and maintaining that people need to unfold their creativity in every aspect of their lives. Then, by integrating main theories of several preceding and following scholars who have similar perspectives on creativity to Richards’ ‘everyday creativity’ into the term ‘everyday creativity,’ the study describes some important features of ‘everyday creativity’ as follows: First, ‘everyday creativity’ proposes that creativity is revealed in diverse forms and levels by all humans, not just by special and privileged persons. Second, it focuses on individual potential and lives in terms of the recognition and embodiment of creativity. Third, it values the creative process more than the creative product. Fourth, it regards creativity as an ability closely related to all aspects of life, and particularly with regards to the ordinary lives of people. Fifth, ‘everyday creativity’ assumes that humans are able to grow and develop their lives better through their creativity. Sixth, it claims that creativity can improve all humans’ health and well-being. Seventh, it assumes the connection between creativity and problem finding as well as problem solving. Subsequently, based on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everyday creativity’ discussed previously, the study defines some essential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as follows: First,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consider each participant as a diverse individual. Second, it must acknowledge the development and actualization of creative potential within participants as an important task. Third, it needs to make creativity a persistent theme within lifelong education, not just for childhood education. Fourth,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expand its perspective and scope regarding creativity. Fifth, it needs to value the act of seeking meaning and beauty within the small things of everyday life. Sixth, it should regard creativity as one of the energies for practicing the participants’ faith.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some important themes necessarily discussed by the following studies for incorporating concepts and features of ‘everyday creativity’ into Christian education in the future, maintaining the necessity of the ‘critical correlational method’ between the psychological theories of ‘everyday creativity’ and Christian education. The first theme is a theological or Christian educational discourse on the publicity of creativ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Christian, theological, or religious elements and features in the concept of creativity Third, future studies need to establish Christian education’s own perspectives and theories about the meaning of creativity education, the educability of creativity, and educational methods for creativity education. Finally, the following studies require scrutinizing concrete situations where Christian education occurs, including situations unique to Korea, and finding practical ways to connect ‘everyday creativity’ with specific contexts. 본 연구는 현대 창의성 연구의 한 입장인 ‘일상적 창의성’의 개념과 특징이 기독교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문헌들을 고찰하여, 창의성 연구에 있어서 창의성의 보편성 ― 창의성을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성으로 보는 ― 과 창의성의 일상성 ― 인간의 모든 생활의 영역에서 창의성이 발휘될 필요가 있다는 ― 을 주창하는 입장이 있으며, 이러한 입장을 대표하는 용어가 ‘일상적 창의성’임을 밝힌다. 그리고 리차즈를 비롯하여 그의 이전과 이후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주창되고 보완되어온 유사한 입장을 ‘일상적 창의성’이란 이름으로 종합하여 ‘일상적 창의성’의 주요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첫째, ‘일상적 창의성’은 창의성을 특별한 사람의 전유물이 아닌 모든 인간에게서 다양한 형태와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둘째, 창의성의 식별 및 발현에 있어서 개인의 잠재력과 삶에 초점을 맞춘다. 셋째, 창의성과 관련하여 결과보다는 과정에 주목한다. 넷째, 창의성을 삶의 모든 면과 연관된, 특히 평범한 일상생활과 연관된 것으로 본다. 다섯째, 창의성의 향유를 통해 인간이 더 성숙하고 삶이 더 발전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 여섯째, 창의성이 인간의 건강과 안녕에 기여한다고 본다. 일곱째, 창의성을 문제의 해결만이 아닌 문제의 발견과도 관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어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일상적 창의성’의 개념과 특징을 바탕으로 기독교교육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기독교교육은 모든 교육참여자를 각각의 개인으로 존중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참여자의 창의적 잠재력의 계발과 실현은 기독교교육의 중요 과제 중 하나이다. 셋째, 창의성은 아동기만이 아닌 인간의 전생애를 통해 교육되어야 한다. 넷째, 기독교교육은 창의성과 관련된 관점 및 연구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삶의 소소한 부분에서도 그 의미와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것은 중요하다. 여섯째, 창의성을 신앙적 앎의 실천을 위한 원동력 중 하나로 삼아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일상적 창의성’ 이론과 기독교교육학 사이의 ‘비판적 상관관계적’ 연구의 필요성을 전제하면서 앞으로 기독교교육이 ‘일상적 창의성’을 활용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후속 연구의 주제 몇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창의성의 공공성 측면에 대한 신학적 혹은 기독교교육적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창의성의 개념과 관련된 기독교적, 신학적 혹은 종교적 요소에 대한 성찰이 필수적이다. 셋째, 창의성 교육의 의미와, 교육가능성, 그리고 교육방법에 있어서 기독교교육만의 독자적 입장과 이론의 정립이 중요하다. 넷째, 기독교교육의 구체적 현장, 특히 한국의 고유한 상황에 대한 고려를 통한 ‘일상적 창의성’의 실제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정신분석학적 기독교 신앙교육 연구

        김선아(Sun Ah,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0 No.-

        본 연구는 학제적 연구 방법을 통해 개인의 삶, 특별히 어린 시절에 겪어야 하는 삶의 어려움(difficulté)에 집중하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과 기독교 신앙교육의 만남과 대화를 시도함으로써 모든 그리스도인들, 특별히 우리의 미래 세대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가 초청하시는 진정한 신앙의 삶, 즉 진정한 욕망과 만나는 모험의 삶에 응답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돌토는 예수님의 행적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해석에 기초하여 개인이 자신의 내면에 있는 진정한 무의식적 욕망을 깨닫고, 그것을 실현시켜 나가는 삶이 곧 ‘욕망의 삶’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돌토의 ‘욕망의 삶’ 관점을 기독교 신앙교육에 적용하여 모든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진정한 욕망의 도상에서 끊임없이 모험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즉,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독교 신앙교육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더 이상 자존심이나 자기애적 이익을 날마다 충족시키려는 삶에 매몰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사랑 안에서 하나님을 만나고자 희망하는 욕망의 길에 접어들 수 있게 돕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제안한다. 필자는 이를 위해 ‘통합성과 전체성을 이룬 존재의 집 형성’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 ‘기쁨과 사랑의 소통’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 욕망의 진실을 추구하는 삶으로서의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자가 제시한 기독교 신앙교육의 방향이 실천되기 위해서는, 부모와 예비부모, 그리고 예비교사들과 교사들을 교육할 수 있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통찰에 기초한 기독교 신앙교육 교재가 전문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욕망의 삶’을 지향하는 정신분석학적 기독교 신앙교육의 연령별 교육 과정의 이론과 실제를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help all Christians, especially our next generations to respond to Jesus Christ’s invitation for ‘the life of faith’, i.e. ‘the life of adventure’ for encountering ‘the authentic des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lls for the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psychoanalysis. Dolto had made an emphasis on ‘the life of desire’ to realize and fulfil ‘the authentic desire’ in individual’s inner side.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Dolto’s perspectives of ‘the life of desire’ to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all Christia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should help all Christians to live the adventurous life constantly.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of the directions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are given to all Christians, especially our next generations, to live adventurously and vividly on the road of ‘the desire’.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help to save the trapped generations so that they could be freed. In this study, the directions of Christian education for faith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constructing the house of being with integration and wholeness’. Second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communicating of joy and love’. Thirdly, as the Christian faith education for ‘the life pursuing the truth of desire’. For the praxis of this study, two proposals are given. First, the professional text books based on the Dolto’s psychoanalytical perspectives should be developed to educate the parents and pre–parents, teachers and pre– teachers. Second, systematic and professional follow–up study is needed to develop the age–specific curriculum of Christian faith education. This kind of the age–specific curriculum helps to clarify and certify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psychoanalytical Christian faith education.

      • 선교지 기독교 대학의 코어 커리큘럼 작성

        심재승 ( Jay Sh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7 No.-

        본 논문은 개혁주의의 시각 (본 논문의 언어로 “선교할 수 있는 대학 교육”)에서 형성하는 선교지 기독교 대학을 위한 core-curriculum의 정의, 내용, 사용, 그리고 그것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대두되는 이슈들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또한 PAUA (범아시아-아프리카 대학협의회) 회원대학에 세 개의 과목을 실현하기 위한 계획과 로드맵을 제공한다. 개혁주의의 삶의 체계 안에서 신앙과 교육/지식은 동일한 그리스도의 주권 아래에서 동일한 원리로 작용하는 두 개의 다른 기능이다. 따라서 신앙의 원리는 교육과 지식의 내용과 방향과 목적을 규정한다. 이러한 교육의 내용이 기독교 대학에 실천되는 기초가core-curriculum이다. 기독교 core-curriculum은 기독교 교육을 실현함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출발점이다. 기독교 core-curriculum은 세상에서 학문과 사고하기 위한 시각을 양육하고 (기독교적인 세계관과 해석할 수 있는 능력), 현대 삶에 필수적인 지식 분야를 연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학습능력), 하나님의 세상에서 구속된 그의 형상으로 소통하고 창조적으로 살 수 있는 삶의 능력을 배양함 (기독교적인 삶의 태도)에 목적을 둔다. 기독교 core-curriculum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루어야 할 이슈들이 있다. 첫째로, 분명하게 정선된 대학의 정체성과 설립목적을 선교지의 상황에 적합하게 반영하여 core-curriculum을 형성하여야 한다. 대학 교육은 다양하고 복잡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데, 그것을 작성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지도자들은 교과과정과 교육에 관련된 여러 문제들과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서 기독교적으로 구체화할만하게 분명하게 정리된 정체성과 교육의 목표가 필요하다. 둘째로, 기독교 core-curriculum의 내용과 목적은 성경과목이나 신학과목을 가르침으로 또는 채플을 교육에 포함함으로 대체할 수 없는, 그 자체로 전문적인 기독교 학문 분야이다. 그러므로 대학의 지도부는 전체 커리큘럼 안에서 core-curriculum이 가지는 위치와 기능뿐 아니라 그것이 다른 과목들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올바로 인식하는 인문적인 시각을 가져야 한다. 기독교 세계관과 신앙의 스타일에 따라 이러한 관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로, 세상과 삶을 기독교적으로 해석하는 인문적인 시각의 양육과 직업에 관련된 실용적인 지식을 다루는 교육 사이의 관계를 올바로 형성하여야 한다. 기독교 대학은 교육을 직업훈련으로 이해하는 오래 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도전은 선교지 환경에서 더욱 심각할 것이다. 그 둘 사이의 올바른 관계는 창조세계의 모든 것을 화목하시는 그리스도의 구속을 기초로 정립된다. 이러한 관계 인식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세상을 섬기는 책임의식을 가지게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 core-curriculum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이러한 이슈들의 실현여부는 각 대학 지도부가 가지는 기독교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과 그것을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에 달려있다. PAUA에서는 이러한 내용과 목적으로 고안된 기독교 core-curriculum을 선교지 대학에 실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과목을 작성한다: (1) Biblical Foundations, (2) Introduction to Christian Philosophy, (3) Faith and Science. 처음 두 과목은 현재 저자가 미국의 개혁주의 기독교 대학인 Dordt College에서 강의하고 있는 core-curriculum이다. 이 두 과목의 대략의 내용을 본 논문에 포함하였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선교지의 교육 상황에 적합하게 작성한다. 올바른 교육을 실천하기 위하여는 양질의 교재와 함께 건전한 기독교 지식과 자질을 갖춘 교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독교 core-curriculum을 원하는 바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들은 그러한 과목을 작성하기 적합한전문 인력과 담당교수들을 양성하여야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establishing Christian core-curriculum from a Reformed point of view (the paper also uses the term “college education that enables mission”) for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mission fields. The paper explores definition, content, and uses of core-curriculum, and relevant issues that must be deal with for the formation of it in the situation of the mission field. It also provides a plan and roadmap for the formation of three core-curriculum for PAUA member institutions. Faith and education/knowledge are two different tasks. From a Reformed view of life-system, however, they are considered to be structured and functioning under the same principle that is governed by Christ`s sovereignty in the world. The principle of faith governs the content, direction, and purpose of education and knowledge. The foundational step of applying this Christian education is formation of core-curriculum. Christian core-curriculum purposes to cultivate Christian perspective of thinking and performing scholarship in the world (ability to shape Christian worldview and interpret things of the world); to introduce research methods with which students examine and learn about essential parts of life and world (academic ability); and to nurture in the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and live creatively as redeemed image of God in His world (Christian attitude for life). There are significant issues vis-a-vis establishing core-curriculum in the mission fields. First, core-curriculum is to be established upon a clearly articulated identity of college that is accommodated to the situation of the mission fields. College education provides a diverse and complicated curriculum. Leaders face many problems and challenges regarding forming curriculum and educating students. It is essential for the leaders to clearly understand the identity of the college and purpose of education in order to properly handle them. Second, Christian core-curriculum in its unique nature and content is a specialized curriculum that cannot be replaced or complemented by courses on the Bible or theology or addition of chapel. The college leadership needs to understand not only the distinctive place and task of core-curriculum within the whole college education but also how the core-curriculum relates to other parts of education. For the whole curriculum may be differently structured depending on the kind of Christian worldview and style of faith the leadership occupies. Third, it is essential to critic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al education of interpreting world and life on the one hand and practical education for living on the other. Christian colleges face the long-standing challenge of understanding education as vocational training. This challenge may be more aggressive in the mission fields. The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found in the biblical redemption in which Christ reconciles all things of creation.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demands Christians to be stewardly responsible for the world. Lastly, whether all the issues regarding formation of Christian core-curriculum actually lead to fruition depends on the width and depth of the leadership`s understanding of Christian education and its commitment to its realization. PAUA is committed to applying above-mentioned principle of Christian education by producing three courses of core-curriculum: (1) Biblical Foundations, (2) Introduction to Christian Philosophy, (3) Faith and Science. The first two courses are part of the core-curriculum that the author teaches at Dordt College, a Reformed Christian college in the US. This paper includes a rough draft of the two courses. PAUA will attempt to accommodate the material to the Christian colleges in the mission fields. Along with well-designed material good education requires well-equipped instructors. Faculty enrichment program must accompany the project of developing core-curriculum.

      • KCI등재

        해외 한국계 기독교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케냐 희망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임고운,김정효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local teachers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curricula that aim at the educational mission. This study also explores what factors affect a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participation with the curricula. This study chose a primary school in Kenya, one of the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and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personal interviews, and by observing the participants’ teach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ristian backgrounds and Christian faith were affecting the separated understanding of academics and faith in the curriculum. Secondly, the fact that most of the teachers remained in a ‘Heteronomous and Compromising participation level’ meant that they had no shared understanding with the missionaries on the school curriculum. However, one teacher’s ‘Autonomous participation’ shows that teachers could be a ‘Missional partner’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hristian curriculum. Thirdly, individual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limit teachers’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in a Christian curriculum. School environment factors, which are characterized by an operator-centered communication system and operator’s administrative interest, did not play a role in mediating the limitations of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education missional support for local teachers in Korean Christian schools are discussed and explored.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를 통한 한국의 해외교육선교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해외 한국계 기독교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하여 교육학 특히, 기독교교육적인 평가를 통해 교육선교의 효과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한국계 기독교학교의 현지인 교사들이 학교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참여하며 왜 그러한 양상을 보이는지 관련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 의해 설립된 케냐의 한 초등학교를 선택하였으며, 현지인 교사들의 교육과정 참여를 하나의 사례로 보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주로 반 구조화된 개별 심층 면담과 교사들의 수업 및 다양한 교육과정 참여의 모습에 대한 관찰과 문서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케냐 현지인 교사들의 기독교 문화 배경과 신앙의 영향으로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신앙과 학문의 이원화된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대다수의 교사들은 ‘타율적 참여’와 ‘타협적 참여’에 정체되어 있었는데, 이는 교사들이 선교사와 공유된 교육과정 이해를 가지지 못한 채로 교육과정 실행에 참여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한 명의 교사가 ‘자율적 참여’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인 것은 교사들이 기독교적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선교의 동역자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교사를 둘러싼 개인 요인과 사회문화 요인이 교사들의 이원화된 교육과정 이해와 참여의 특성을 갖게 하였으며, 운영자 중심의 의사결정체제와 행정가 중심의 운영자 역할이라는 학교환경 요인 역시 이 한계를 중재하고 극복하는 데 미흡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독교학교를 통한 효과적인 해외교육선교를 위해서 현지인 교사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지원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