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회고와 전망

        양승훈 ( Paul S. Yang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8 통합연구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지난 40여년 가까이 지속된 한국에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개괄한다. 한국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군사정권 치하의 1970-1980년대에 젊은 지성인들이 기독교적 신앙과 실천의 이원론적 분리를 고민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 세계관 운동에서 선구적 역할을 한 단체를 든다면 1981년에 설립된 ‘기독교대학설립동역회’(이하 동역회)와 1984년에 설립된 ‘기독교학문연구회’(이하 기학연)를 들 수 있다. 원래 동역회(후에 기독학술교육동역회로 개명)(이하 동역회)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대학 설립을 목표로 시작되었고, 기학연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학문을 목표로 시작되었지만 두 단체 모두 초기 활동은 한국 교회와 사회에서 기독교 세계관의 연구와 확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들을 통해 한국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한국 교회와 사회에 천천히 확산되기 시작했다. 기독교 세계관 운동이 시작된 이후 가장 중요한 사건은 밴쿠버기독교 세계관대학원(VIEW)의 시작과 초기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두 축이었던 동역회와 기학연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네 시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DEW가 시작된 1981년 이전을 태동기로, 1981년부터 VIEW가 설립되던 1997년까지를 확산기로, 그리고 1997년부터 동역회와 기학연이 통합된 2009년 전까지를 제도화기, 두단체의 통합이 이루어진 2009년 이후를 성숙기로 나누어 살펴본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제도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VIEW의 사역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 In this study, we take a brief look at the historical overview of Christian worldview movement(CWM) in Korea since 1981. CWM in Korea was initiated by young Korean Christians who were struggling with dichotomic division between Christian belief and practice under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1970-1980s. In the initiating stage of CWM, there were 2 dominant organizations which lead the movement: Christian University Fellow-workers Association(later renamed as Disciples with Evangelical Worldview, DEW) founded in 1981 and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Studies(KSCS) founded in 1984. Originally DEW was started for founding a university with Christian worldview and KSCS for Christian scholarship. During the 1980s, however, the initial ministries of both organizations were focused on the int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Christian worldview. Through them, CWM spread and became a movement in Korean church and society. In the history of CWM in Korea, most significant events were the creation of Vancouver Institute for Evangelical Worldview(VIEW) in 1997 and the unification of DEW and KACS in 2009. In this paper we divide the CWM in Korea into 4 periods: Inception(before 1981 when DEW was started), Expansion(from 1981 to 1997 when VIEW was started), Institutionalization(from 1997 to 2009 when DEW and KACS were united), Maturity(after 2009). In particular, we try to give a special attention to VIEW ministry which played a dominant role for institutionalizing CWM.

      • 다음세대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원리

        유경상 ( Kyeong-sang Yue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0 통합연구 Vol.22 No.1

        기독교 세계관 교육이란 성경의 이야기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변함없는 해석과 판단과 행동의 지침이 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나님 영광, 이웃 사랑, 세상 돌봄의 창조목적에 부합하는 삶을 살도록 돕는 것이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목적이다. 본고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다음세대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교육이 가장 시급한 일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세대의 생각과 삶에 영향을 주는 교육 환경들인 학교, 미디어, 교회, 가정을 통해 그들이 기독교 세계관보다 다양한 비기독교 세계관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살펴본다. 또한 이러한 현실 속에서 다음세대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교육을 준비하기 위해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목표를 제시한다. 저자는 이러한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토대로 실제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함을 지적한다.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is to train the biblical narrative for guiding constant interpretation, judgment and action in all areas of lif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people live a life that meets the creation purpose of God’s glory, love of neighbors, and care for the world. For the purpose, this paper argues that the education of Christian worldview for the next generation is the most urgent task. To this end, the author examines how the next generation is influenced by various non-Christian worldviews than the Christian worldview in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schools, media, church, home, etc. Finally, the author points out that a practical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is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 21세기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방향과 기독교 세계관 교육

        유경상 ( Kyeong-sang Yue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8 통합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세대를 세우는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오늘날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이성의 절대성을 표방하는 모더니즘의 사변화를 극복하는 동시에 절대적인 모든 것을 상대화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에 맞서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의 계시를 절대적 진리의 기준으로 다시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성경적 기준으로 살아가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기독교 세계관운동의 새로운 방향은 지성을 넘어 전인격의 문제로, 합리적 논쟁을 넘어 영적 싸움으로, 이론을 넘어 실천의 문제로, 명제적 체계를 넘어 이야기로, 개인적 차원을 넘어 공동체적 차원으로, 성인에서 다음세대로 확장되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토대로 하는 기독교 세계관 교육은 지성뿐만 아니라 감성과 의지를 포함한 전인적 차원의 교육, 성령충만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삶의 실천을 지향하는 교육, 이야기로 전달하는 교육, 공동체와 연계되는 교육, 다음세대의 눈높이와 필요에 부합하는 교육일 뿐만 아니라 그들을 교육하는 성인들을 먼저 준비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육적 함의를 반영하는 기독교 세계관 교육은 그리스도인들, 특히 다음세대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말씀대로 생각하고 살아가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direction of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for helping christian live a life in accord with biblical worldview. There are new six direction for christian worldview movement to resist worldview as secularism and relativism that christians are confronted with. First, the meaning of worldvie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 concept but also as a heart. Second, competition of worldview should be recognized not only as a argument but also as spiritual warfare. Third, worldvie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a theory but also as a practice. Forth, worldvie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a proposition but also as a story. Fifth, worldview should be not only as a personal story but also a communal story. Sixth, worldview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adult but also next generation.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following six direction will help christian, especially next generation, live in accord with God's word in their everyday life.

      • 샬롬의 교육: 공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

        강영택 ( Young Taek Kang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0 통합연구 Vol.22 No.1

        본 논문은 공적 영역에서 교육을 이해하고 실천하는데 유용한 기독교적 관점 혹은 준거틀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기존의 기독교적 관점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을 분리적 관점, 피상적 통합 관점, 내면적 통합 관점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어 기존의 관점들이 갖는 한계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교육을 향한 기독교적 논의들이 기독교 세계 테두리 내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고 공적 영역에서는 활발하지가 않았음을 지적한다. 교육에 대한 새로운 기독교적 접근으로 소개하는 ‘샬롬의 교육’은 우리사회의 주류적 교육관에 대한 대안적 관점으로 제시될 수 있다. ‘샬롬의 교육’이라는 개념은 기독교학교 같은 기독교영역의 울타리를 넘어서 공교육에서도 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위한 유용한 준거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샬롬의 교육은 신앙과 교육이 내적 통합을 이루고 있는 좋은 사례이다. 샬롬의 교육은 정의를 위한 교육, 기쁨을 향유하는 교육, 애통을 가르치는 교육으로 새롭게 개념을 규정할 수 있다. 이처럼 기독교적 개념을 일상적 혹은 교육적인 용어로 표현함으로 샬롬의 교육은 종교적인 색채를 표면에 드러내지 않으면서 기독교적 관점으로 우리시대 교육의 문제점에 좋은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Christian perspectives or frameworks that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education in the public domain. First, the existing Christian perspectives were divided into separate perspective, superficial integration perspective, and internal integration perspective. Then the author tries to present a new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erspectives, pointing out that until now Christian discussions about education have been predominantly within the borders of the Christian world and not active in the public domain. ‘Education for Shalom’, introduced as a new Christian approach to education by Nicholas Wolterstorff, can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view of mainstream education in our society. I think the concept of ‘Education for Shalom’ can be a useful reference frame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Christian realm such as Christian schools. ‘Education for Shalom’ is a good example of the inner integration of faith and education, as discussed earlier. It can define a new concept. as education for justice, education of delightfulness, and education of lament. By expressing the Christian concept in everyday or educational terms, education for Shalom will be able to offer a good alternative to the problems of education in our time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without revealing religious colors.

      • 의료 현장에서의 기독교적 세계관: 이원론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정용환 ( Yong Hwan Chung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8 통합연구 Vol.20 No.2

        세계관은 말 그대로 세계를 보는 관점이므로 이러한 세계관을 통해 사람들은 세상을 보고 생각하며, 이해하고, 그리고 행동하게 된다. 의료 체계에 지배적인 세계관과 이분법적인 이원론을 살펴봄으로써 의료 현장에서 나타난 이원론적인 현상과 원인을 이해하며 반성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적 세계관이 필요하다. 기독교적 세계관은 이원론으로 분리된 영역을 통합하기 때문이다. 의료의 모든 영역에서 세속적 인본주의가 아닌 성경적 세계관으로 바라봐야 한다. 성경적 세계관은 창조, 타락, 구속의 틀로 본다. 의료의 영역이 하나님께 있으며, 인간은 절대적인 존엄성을 지니며, 기독의료인은 의료 현장에서 선지자, 제사장, 왕 같은 역할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동체가 필요하며, 성령님의 인도하심이 필요하다. A worldview is literally a perspective to see a world. We see the world, think, understand, and act through this worldview. The author examines the dominant worldviews that rule over present medical field and tries to understand and reflect on dualistic phenomena and causes in medical field. It is for us to have a Christian worldview to overcome secular worldview and dualism. To unite the separated fields we must have a Christian worldview in medical field. Christian worldview has a frame of Creation, Fall, Redemption. The author tries to present medical practice on this frame. In Christian worldview, medical practice belongs to God and human being has an absolute dignity, so Christian doctors should live as prophets, priests, kings in the medical field. For this it requires the community and needs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 켈트 기독교 영성과 창조세계의 회복

        임은석 ( Eun Seok Lim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1 통합연구 Vol.23 No.1

        본 논문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환경오염 문제에 대응하는 올바른 기독교적 자세를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상이 변하고 있다. 사회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대처하는 기업의 변화가 확실한 증거다. 주요 기업들은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을 앞세우며 가치변화를 주도한다. 이들은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핵심적인 두 가지 주제를 ‘생태계 파괴’와 ‘사회 양극화 현상’로 상정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책임을 다한다. 그렇다면 기독교는 어떠한가? 세상의 유일한 소망을 자처하는 그리스도인의 자세는 어떠한가? 언제쯤 기독교는 생태계 파괴의 주범이라는 오명을 벗어날 수 있을까? 여전히 무관심함으로 생태계 문제에 대응하는 기독교는 결코 세상의 소망이 될 수 없다. 본 논문은 환경문제에 취약한 기독교의 세계관적 변화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잊혀 진 변방의 전통인 ‘켈트 기독교’를 연구함으로 기성교회의 약점을 분석하고, 생태계 친화적 기독교로 발돋움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켈트인의 세계관에 복음의 씨앗이 심겨져 탄생한 ‘켈트 기독교’는 창조세계를 향한 생태친화적 비전에 풍성한 보고가 될 것이다. 낯선 전통인 ‘켈트 기독교’를 접함으로 우리의 경직된 세계관이 흔들이고 새롭게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proper Christian attitude towards environmental crisis and to cope it with Christian stewardship. The world is changing. The change of companies, which responds most sensitively to changes of society, is concrete evidence. Major companies lead value change by putting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management ahead. It is assumed that “ecosystem destruction” and “social polarization,” as two key topics that threaten the sustainability of human-beings, and we must take responsibility to overcome this. If so, what about Christianity’s response to this? What is the attitude of Christians who claim that Christianity is the only hope of the world? When will Christianity be able to escape from the stigma that Christianity is the main culprit in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Christianity, which still responds to ecological crisis with indifference, can never be the true hope of the world. It calls us to change the worldview of Christianity, which is weak to environmental problems. Finally, this paper analyzes the weaknesses of traditional (established) churches by studying Celtic Christianity, a forgotten tradition of the Christian history.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cosystem-friendly Christianity. Celtic Christianity, born of the seeds of the Gospel sown in the Celtic world view, will be a bountiful report of God’s ecologically friendly vision for the world of creation. I hopes that otherworldliness of present Christian worldview will be shaken and renewed in a proper way by encountering the unfamiliar tradition of Celtic Christianity.

      • 기독교 세계관적 관점에서 살펴 본 한국 교육의 문제와 기독교 대안 교육 모색

        고영삼 ( Youngsam Go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0 통합연구 Vol.2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기독교세계관의 관점으로 한국 교육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현재의 공교육 상황에서 기독교적인 교육을 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현장의 피교육자인 학생들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기독교세계관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입시 위주, 주입식, 결과 중심 교육으로 특징지어 질 수 있는 현재 한국의 공교육이 학생들에게 끼치는 영향을 짚어보았으며, 아울러 그런 교육의 결과로 발생하는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한국 공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여러 종류의 기독교 대안학교들을 유형별로 소개하고 기독교 대안학교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과 함께 한계성들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다 많은 학생들이 기독교적인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공교육 내에서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 보았다. 특히 인천광역시 교육청의 대안교육지원센터의 예를 소개하고 교회들이 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위한 대안교육지원센터의 위탁교육센터가 되어 공교육에 참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Korean education and to seek alternative ways for a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perspective in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situation. To this end, first, a Christian worldview perspective on how to view students was presented. Next, impacts of public educ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entrance exam oriented, infusion-type, and outcome-centered education were examined and also the problems of maladapted students to such education in the public schools were described. Then, various type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hich have started to resolve the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were introduced and the limitations of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with their own problems were pointed out. Finally, in order to help more students can get benefits from Christian education, we tried to find some ways to provide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within public education. In particular, an example of Alternative Education Support Center in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as introduced and it is proposed that local churches should participate in the public education with a Christian worldview perspective by becoming consigned education centers in the system of Alternative Education Support Center.

      • 생명의료윤리학의 흐름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김민철 ( Min Chul Kim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18 통합연구 Vol.20 No.2

        생명의료윤리의 뿌리를 추적해 가보면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 이래로 의료윤리에는 두가지 관점의 흐름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하나는 덕을 추구하는 목적론적 윤리이고 다른 하나는 생명의 신성함을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존중하는 의무론적 윤리이다. 후자는 히포크라테스 선서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선서는 기독교를 만나면서 이론과 실제 임상에서 더 강화되었다. 이 선서가 20세기 초반에 의료윤리 분야에 심대한 이슈들이 일어날 때까지는 의료윤리를 주도하는 관점이었다. 이차세계대전과 함께 그 후 급격하게 발전한 의술은 예상하지 못했던 질문들과 논쟁을 촉발하였다. 가장 충격적인 변화는 분자생물학 기반의 유전공학의 발전이 었는데 이것은 기업들의 개입으로 더욱 심화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비종교적 의료윤리학자들은 의료윤리의 어떤 이슈에든지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원리를 설정하기를 원했고, 그 결과 다음 4가지 원칙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 악행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그리고 정의의 원칙이다. 불행히도 이 원칙들을 생명의 료윤리의 보편 원칙으로 받아들이면서 히포크라테스-기독교 전통은 유기되었다. 본 논문은 목적론적 원칙주의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고, 히포크라테스-기독교 전통을 생명의료윤리의 이슈들을 판단하는 원리로 복귀시켜야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하나님이 인류에게 주신 언약에 기반을 둔 램지(Paul Ramsey)의 의무론적 생명의료 윤리와 거스타프슨(James Gustafson)의 하나님 중심의 생명의료윤리를 살펴볼 것이다. 생명윤리의 무게중심이 히포크라테스-기독교 전통으로 다시 향하여 갈 때 의료는 하나님 노릇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섬기게 될 것이다. The root of biomedical ethics can be traced back to the ancient Greek era. Since then, two major streams of perspectives in medical ethics have persisted to this day. One is teleological ethics in pursuit of virtues; the other is deontological ethics which seeks the sanctity of life above all else. The latter is well known as the Hippocratic oath. As the oath was handed down it was reenforced by Christianity, both in theory and practice. It became a dominant perspective in medical ethics until the early part of the 20th century which raised serious issues in the field of medical ethics. World War II, followed by rapid advances in medical technologies, brought forth unexpected questions and serious debates. The most striking changes occurred in the area of molecular genetics boosted by entrepreneurial intervention. Under the situation, as non-religious medical ethicists sought to set principles universally applicable to any issue in biomedical ethics, 4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emerged: Respect for Autonomy, Nonmaleficence, Beneficence, and Justice. By adopting these as the universal principles in biomedical ethics, the tradition of Hippocratic-Christian oath was abandoned. This review critically evaluates the teleological principlism, and emphasizes that the Hippocratic-Christian tradition should be restored as the guiding principle over the issues in biomedical ethics. For this purpose, this review highlights the deontological biomedical ethics by Paul Ramsey based on the covenant God has given to humans, as well as God-centered biomedical ethics by James Gustafson. As the pendulum swings back toward the tradition of Hippocratic-Christian oath, the role of medicine can be restored - serving God, rather than playing God.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

        신국원(Kuk Won Shin)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1994 통합연구 Vol.7 No.2

        이 글의 목적은 서양 철학의 최근 동향을 간략히 서술하고 그것이 기독교적 학문 연구와 관련될 수 있는 점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이 주제를 다섯 가지로 나누어 생각하고자 한다. 첫째로 서양철학이 어떻게 현재의 상황, 즉 소위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의 상황에 이르렀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둘째로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 내용을 소개함으로서 그것을 정의하고자 할 것이다. 셋째로 철학의 이러한 동향이 기독교 학문 연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하여 논할 것이다. 넷째로 기독교 학자가 실제로 이러한 상황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의 한 실례로서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의 해석학을 살펴볼 것이다. 끝으로 이 논고는 개혁주의 노선에 서 있는 북미의 기독교 사상가들이 철학의 이러한 동향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철학의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은 20세기의 서구 문화의 일반적 분위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포스트모더니즘은 데이빗 클렘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일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지성인들 사이에 팽배한 근대주의적 이상에 대한 환멸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불만과 위기감은 금세기 후반에 들어 과학에 대한 신뢰 상실과 환경문제에 봉착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20세기 초반부터 일부에서 일어난 문명의 위기의식이나 과학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이 최근 들어 마침내 17세기 이후 4세기 이상 지속해온 근대(近代)의 종말에 대한 종합적이고 본격적인 논의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을 규정하기란 그리 쉽지 않다. 그것은 이 동향이 아직도 하나의 통일된 체계를 이루기보다는 여러가지 주장들이 논쟁을 벌이며 전개되는 단계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을 넓게 보려면 적어도 근대 철학에 대한 극단적 비판인 데리다의 해체주의뿐 아니라 수정주의적 계몽사상가인 하버마스의 비판이론, 그리고 가장 온건한 대안이라 볼 수 있는 철학적 해석학을 주장하는 가다머 등의 삼대 조류는 물론 그 외에도 여러 학자들이 상이한 주장들을 모두 고려해야만 한다. 물론 포스트모더니즘의 여러 유파들에 어떤 공통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포스트모더니즘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반형이상학적 자세라고 할 수 있다. 서양 철학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형이상학은 결국 복잡한 실재(實在)를 이해하기 쉽고 다루기 쉽게 이론적으로 체계화 하려는 노력이었다. 형이상학은 근대에 들어와 과학의 영향으로 지나치게 객관주의적이 되고 말았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이 점을 비판한다. 그러나 이 비판은 객관주의적 진리관의 몰락이 가져오는 상대주의의 위협을 어떻게 극복하느냐 하는 또 하나의 어려운 부담을 지워준다. 결국 포스트모더니즘의 논쟁은 객관주의와 주관주의의 양극적 위험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있다. 이와 연관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의 또 다른 과제는 주체를 중심으로 삼는 근대 철학의 사고방식을 비판, 극복하는 것이다. 이들은 또한 근대 철학의 이론 중심적인 추상성에 반발하여 실천적·윤리적 요소들에 관심을 기울이고, 나아가서는 문화, 사회, 정치적인 양상들을 철학의 본질적인 분야로 다루고 있다. 끝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일견 반계몽주의적이며 반인본주의적 성향을 가진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기독 학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는 분명하다. 그것은 우리들에게 세상의 문화와 그것의 정신에 맞서 도 전하고 복음의 진리를 드러내야 할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은 근대의 게몽주의 붕괴 후유증으로 비관적·허무주의적 상대주의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에 그것을 비판적으로 주시하는 것은 중요하다. 가다머의 철학적인 해석학은 일상 언어를 통한 이해가 가진 존재론적 구조를 분석함을 통하여 객관주의와 상대주의를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진리관을 주창하고, 아울러 그 철학을 기반으로 책임과 공동체적 정신을 기조로 한 문화, 사회관을 펼친다. 또 북미의 일단의 기독철학자들의 움직임 역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논의에 의미있는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상황은 그리스도를 대적하여 높아진 모든 것을 주의 진리 앞에 굴복시켜야 할 사명을 가진 기독 학자들에게 커다란 도전과 기회를 제공한다.

      • 주일학교 공과 분석에 따른 교회 내 환경교육 실태 조사

        박희선 ( Heesun Park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1 통합연구 Vol.23 No.1

        인류는 자연 파괴와 각종 환경오염으로 인한 급격한 기후변화와 천재지변, 질병 등으로 고통 받으면서 지속가능한 지구 환경 유지를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사회 각 층에서는 환경 보존을 위한 자구책을 마련하며 생활 속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게 되었다. 2020년 시도별 교육감들은 학교 내 환경교육 강화를 선포하고 환경부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을 파악하고 차기 교육과정에 환경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교회에서는 기독 학생들을 위한 기독교적 관점의 환경교육에 관심을 두지 못하고 학교 교육에 기독교 환경교육을 맡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목적은 교회 내에서 주일학교 학생들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환경교육의 필수적인 요소들이 균형 있게 포함된 기독교 환경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 현재 교단별 초등학교 공과를 선정하였으며 분석틀은 현국가수준 교육과정을 분석한 2020년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이선경 외 6명)을 활용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교단별 주일학교 공과교재에 환경교육 요소들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으며 균형 있는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교단별 공과교재에 나타난 환경교육의 내용과 활동은 무엇인가? 이며 마지막으로 교회학교 공과교재 분석을 통해 교회학교 환경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찾고자한다. Th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al districts in Korea declared the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government identifie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tudents in national level cours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next revision of curriculum.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church is not interested in Christia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tudents and entrusts Christian environmental education to public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Christian students in the Korean church and to provide a direction for Christian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includes the essential elem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 balanced metho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author selected elementary Sunday school material of some denominations and analyzed them by the frame used in the “2020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 analysis frame (Lee, Sun-kyung and 6 others), which analyzed the current national-level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to what extent are the elem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reflected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Sunday school denominationally, and is there a balanced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Sunday school materials denominationally? Last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Sunday schools, I would like to find out what implications are given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 Sunda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