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정철영,민무숙,방재현,주홍석,임효신,김보경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2

        This study has researched concept of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support policies synthetically in order to develop a policy for work family compatibility, to prepare institutional base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for professional soldiers, and to make a strategy to expand system. Vision of work-family compatibility policy of professional soldiers was chosen to "balanced life of work and family of professional soldiers". Purpose of the policy is (1) "to expand parenting and educational support for professional soldiers", (2) "to build family-friendly circumstance to build a healthy family of professional soldiers", (3) "to improve understanding of army members and family for professional soldiers'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4) "to vitalize support policies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3 sections of policy and the detailed plans has been made. The first section is "support for birth/parenting and the detailed plan consists of (1) to offer prior opportunity to enter day care center, (2) to build more day care centers in army, (3) emergency support in parenting service, (4) support for going see a obstetrician regularly. The second section is "family support" and the detailed plans are (1) offer mentoring for soldiers' children, (2) provide information for parenting and education, (3) consult soldiers' children, (4) offer family harmony program. The third section is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al support", and (1) support Return-to-Work program for users of Parental Leave, (2) offer a program to improve understanding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for Military Commanders, (3) to make good examples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and its promotion, (4) DB management and monitoring circumstance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of professional soldiers, (5) to create manual of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and its distribution, (6) to operate a support system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have been proposed. 이 연구는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일반적인 일-가정 양립의 개념 및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의 의의·지원정책 현황·지원요구 등을 분석하여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의 비전으로는「직업군인의 일과 가정의 조화로운 삶」으로 선정되었다. 정책방안의 목표로는 ①「직업군인의 자녀 양육 및 교육 지원 확대」, ②「직업군인의 건강한 가족 형성을 위한 가족친화 여건 조성」, ③「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군 구성원 및 군인가족의 인식 제고」, ④「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 정책 활성화」가 도출되었고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정책영역과 영역별 세부 추진방안이 도출되었다. 첫째 영역은 「출산/육아·보육 지원」이며, 세부 추진 방안으로 ① 보육시설 입소 우선권 제공, ② 군내 보육시설 운영 확대, ③ 긴급 보육서비스 지원, ④ 부인과 통원진료 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영역은 「가족 지원」이며, 세부 추진 방안으로 ① 군 자녀 멘토링 프로그램 제공, ② 자녀양육 및 교육정보 제공, ③ 군 자녀 상담제공, ④ 가족화합 프로그램 제공을 제시하였다. 셋째 영역은 「조직문화 및 환경지원」이며, ① 육아휴직자 복귀지원 프로그램 운영, ② 상급지휘관 일-가정 양립 인식 개선 프로그램 제공, ③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 발굴 및 홍보, ④ 직업군인의 일-가정 양립 현황 DB 관리 및 모니터링, ⑤ 일-가정 양립제도 사용 매뉴얼 개발 및 배포, ⑥ 일-가정 양립 지원 시스템 운영을 새로운 정책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직업군인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 군인가족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강석우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4 한국군사학논집 Vol.80 No.1

        군인가족은 군 조직원은 아니지만, 군인의 직업적 특징으로 인해 교육, 의료, 복지의 사각지대인 전방에서 헌신하고 있다. 과거에는 헌신이 당연시되었지만 변화하는 사회환경에서 군인가족은 이를 당연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또한 여성과 남성의 전통적인 성 역할이 변화하여 남성의 육아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환경에서 군인가족은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마찰을 겪고 있다. 이러한 마찰은 양육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군인가족에 갈등을 만들 수 있으며, 가족 내 갈등은 직업군인의 군 복무의지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번 연구는 군인가족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직업군인의 일과 가정 양립제도는 어떠하며, 개선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법령과 행정규칙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법령과 행정규칙은 구성원이 아닌 군인가족을 배제하고 여군 위주의 육아 제도를 갖는다. 법령과 행정규칙에서 군인 남성은 육아의 주체가 아닌 생계부양자며, 육아의 주체를 군인가족 배우자로 산정하고 제도가 만들어져 남군을 육아에서 배제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는 기존의 성 역할 고정관념을 통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나, 제도화됨으로써 오히려 기존의 의식을 강화하는 효과를 낳는다. 이는 조직 내 성 평등 인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군인가족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구속력 있고 변경 가능한 법령에 대한 연구 통해 군인가족의 육아문제 해결에 실질적으로 접근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군인가족 문제는 단순히 개별 군인에 대한 복지 문제가 아니라 직업군인의 복무 의지, 그리고 조직 내 성 평등 인식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Military families are not military members, but they are devoted to the forward area, which is a blind spot for education, medical care, and welfare due to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soldiers. Dedication was taken for granted in the past, but military families do not take it for granted in a changing social environment. In addition, in an environment which men's participation in childcare is increasing due to the change in the traditional gender roles of women and men, military families are experiencing friction between reality and ideals. Such friction can increase parenting stress and create conflict in military families, and conflict within the family can lead to a decrease in professional soldiers' willingness to serve in the militar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system for work-life balance of professional soldiers and how to improve th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families. The System excludes military families, not members, and has a female-oriented childcare system. According to the law, military men are not the main body of childcare, but the main body of childcare is calculated as a military family spouse, and a system has been created to exclude the male soldier from childcare. These systems seem to have been created through existing gender role stereotypes, but the system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existing consciousness. This can worsen the perception of gender equality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families and approached the problem of raising children of military families through research on binding and changeable system.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military family issue is not just a welfare issue for individual soldiers, but also important in that it can improve the willingness of professional soldiers to serve and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in the organization.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군인가정 어머니를 위한 사이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구희정(교신저자) ( Hee-jeong Koo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군인가정 어머니들에게 사이버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부모교육 참여 전과 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 지 살펴봄으로써 군인가정을 위한 사이버 부모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군인가정에 최적화된 사이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의 기초를 마련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S 사이버대학교에서 제작하고 육군본부의 협조 하에 영유아를 양육하는 육군 군인가정에 온라인으로 실시한 ``군인가정 영유아발달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사전·사후 설문에 모두 응답한 어머니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일상적인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부모역할에 대한 스트레스 모두 감소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애정적 태도와 자율적 태도는 향상된 반면 거부적·통제적 태도는 감소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점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이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영유아를 둔 군인가정 어머니들의 양육부담을 더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사이버 부모교육의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yber-parent education for military families and also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yber-parent education program optimized for military families in the futur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in cyber-parent education on assisting preschoolers`` healthy growth/development. This study targeted 151 mothers who responded to both pre/post surveys after participating in the online ``Military Family``s Preschooler Development Support Program`` for military families with preschoolers, belonging to the army under the cooperation of the army headquarters and S Cyber University‘s producti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post tests data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first,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overall significantly decreased, including daily child parenting stress and stress about parent roles. Second, mothers`` parenting attitude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arks of affective attitude and autonomous attitude were increased while the mark of rejective controlling attitude was decreased. Lastly, the mark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uch results mean that the cyber-parent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parenting burden of mothers of military families with preschoolers.

      • KCI등재

        The mediating effect of permissible attitudes toward viol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of child abuse and child abuse perpetration among professional soldiers

        서정열(Seo Jeong Yeol),박선원(Park Sun Won),조춘범(Cho Choon Bu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8 No.-

        In this study, the impact of professional Korean soldiers’ early child abuse experiences on their likelihood to perpetrate child abuse and permissible attitudes toward child abuse as a mediator of this relationship were examined. Furthermore, welfare interventions within the military environment in Korea were explored. Data from 301 married professional soldiers who had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years were analyzed. Results revealed that 39.2% of the soldiers who had been victims of child abuse were likely to be perpetrators of child abuse; this is higher than previous findings (25.1%). The soldiers’ prior experience of being a victim of parental abuse had a direct impact on whether they became perpetrators of child abuse.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s and perpetration of child abuse is mediated by permissible attitudes toward child abuse. Thus,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should be implemented to prevent child abuse in professional soldiers’ families.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군인의 성장기 가정폭력 학대경험이 자녀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성장기에 부모로부터의 가정폭력 학대경험이 결혼 후 자녀폭력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있어서 폭력허용도의 매개경로를 파악하여 자녀폭력 가해에 대한 군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비확률 표집방법의 판단표집방법을 토대로 직업군인을 조사대상으로 2014년 육군 2개 부대, 해군 1개 부대, 공군 1개 부대를 방문하여 자기기입식방법으로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기혼 직업군인 30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부의 자녀폭력 가해의 경우 신체폭력률이 39.2%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직업군인의 성장기 가정폭력 학대경험과 자녀폭력 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장기 가정폭력 학대경험이 폭력허용도를 거쳐 자녀폭력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군인의 가정 내 자녀학대 피해와 자녀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군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직업군인의 성장기 가정폭력노출경험과 배우자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

        김재엽(Jae Yop Kim),서동현(Dong Hyun Seo),김동현(Dong Hyeon Kim)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군인의 성장기 가정폭력노출경험과 배우자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직업군인의 배우자폭력 가해 예방 및 개입을 위한 단초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직업군인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장기근속 중인 결혼한 남성 321명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SPSS 2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모델 4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군인의 67.0%가 성장기 가정폭력에 노출된 경험이 있었으며, 중복피해 집단이 43.9%로 가장 많았다. 둘째, 지난 1년간 배우자폭력을 한 적이 있는 직업군인은 27.7%였으며 성장기 가정폭력노출경험은 배우자폭력 가해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음주는 직업군인의 성장기 가정폭력노출경험과 배우자폭력 가해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군인의 배우자폭력 가해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the perpetration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 drinking among military personnel. Over approximately four months starting in February 2018,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military personnel. The final analysis included 321 married individual. A pat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y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intensified the perpetration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gainst their wives. Furthermore, problem drink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perpet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to prevent intimate partner violence among military personnel.

      • KCI등재

        군인가정 자녀의 우울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가족건강성과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주석진,조성심,김근아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군인가정 자녀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과 탄력성의 매개효과의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군부대 밀집 거주지역 중 충청남도 계룡시 소재 초등학교 2곳과 자운대에 위치한 대전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1곳의 4~6학년 총 1,14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가정 자녀의 우울, 가족건강성, 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은 양호한 수준이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우울,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서 모든 변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군인가정 자녀의 우울, 가족건강성 및 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우울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건강성과 탄력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인가정 자녀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과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우울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가족건강성과 탄력성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군인가정 자녀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하기 위한 실천방안과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iness of family and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pression of military family children and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ese purposes, 1,145 students of grade 4 - 6 from 3 elementary schools were analyzed who lived in Kyeryong city and in Daejeon city, military family concentrated residential area. The analyses resulted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of military family children, healthiness of family and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were good level.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some cases in depression, healthiness of family and school adjustment and all of the variable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grade. Second, i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f military family children to adapt to school life, depression of the children resulted in the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healthiness of family and resilience resulted in the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Third, as reviewing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iness of family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pression of military family children and their school adjustment resulted in that depression has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appeared to be affecting to their school adjustment mediating healthiness of family and resilie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some action plans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 to promote school adjustment for military family children.

      • KCI등재

        육군 '군인 부부' 여군의 일과 가정 양립에 관한 연구

        조선웅(Sunwoong Cho)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5 한국군사학논집 Vol.71 No.3

        본 논문은 여군 12명과 남군 4명에 대해 심층 면접한 결과를 토대로 육군 기혼 여군의 일과 가정 양립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부분의 기혼 여군이 배우자로서 남군을 택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구 대상을 부부군인으로 한정하였다. 부부군인의 가장 큰 특징은 부부 양쪽 모두가 근무지 이동을 한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 안정된 가정생활에 많은 방해를 받고 있었다. 면접한 대부분의 여군은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남성 배우자를 비롯한 가족의 절대적인 지원을 받고 있었다. 여군의 직업적 어려움을 잘 이해하고 있는 남군은 가사 및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편이었다. 도움을 주는 대상, 도움을 받는 정도는 제각각이었지만, 대부분의 여군이 가족의 도움 없이 군 복무를 계속해나갈 수 없다는 점은 공통적이었다. 또한 여군은 모성보호제도와 부부군인 관련 규정을 적절히 활용하여 일과 가정의 양립을 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성보호제도와 부부군인 관련 규정을 사용하는 것이 부대 및 동료들에게 미안한 행위이며, 이로 인해 진급에 불이익을 받을까 걱정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발견한 점 중 하나는 여군 내에서 세대 간 갈등의 조짐이 보인다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적으로 해결하는 육아에 대해 군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 둘째, 업무 중심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군 문화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여군 내 하위 집단 간 갈등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군 인력에 대한 성별통계 작성 심화 및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미 있는 몇 가지 발견에도 불구하고 일과 가정 양립에 있어 남군에 대한 접근이 부족하고, 다양한 부부유형 중부부군인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사회학적 관심이 소외된 군, 특히 여군에 대해 조명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is formulated from interviews of married females in the Army and research about thei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was carried out. Majority of female military members interviewed were found to receive utmost support from their male spouse and family to achieve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Even though most of these women take advantage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nd certain military couple regulations, but such actions are frowned upon by the base and coworkers, and they often fear that it act as a disadvantage from receiving promotions. The following are the proposals based on results of the research conducted. First, mothers in military desperately need infant care support from the military. Second, serious discussion about work-centered and male-centered military culture is urgent.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기혼 직업군인의 자기통제력, 직장-가정 갈등, 조직침묵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세림,박완주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5 No.2

        본 연구는 기혼 직업군인의 자기통제력, 직장-가정 갈등, 조직침묵의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한민국 육군 부대에서 복무한지 1년을 경과하고 2021년 기준 기혼인 직업군인 164명이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배태성과 자기통제력 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직무배태성과 직장-가정 갈등, 조직침묵 간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직장이 가정에 갈등을 미치는 경우, 체념적 침묵, 가정이 직장에 갈등을 미치는 경우, 자녀수 1명, 분거형태의 가족인 경우, 연장복무 형태 순으로 영향을 미쳤고 해당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0.2%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추후 기혼 직업군인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기 위한 군 정책 마련에 학문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와 원장이 인식한 군 어린이집 및 군인가정 양육의 특성

        박영아(Park, Young-Ah),조미현(Cho, Mi-Hyun),이지혜(Lee, Ji-Hy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3

        본 연구는 군 어린이집과 군인가정 양육의 특성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P시에 소재한 군 어린이집의 원장 4명과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어린이집의 특성으로서 보육교사와 원장은 군의 다양한 운영지원에 대해 만족하고 있으나 군 관리 체계와의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인가정의 특성으로 아버지는 대체로 가정적이고 자녀에게 관심이 많으며 부모참여활동에 적극적인데 비해, 어머니는 양육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가 많으며 어린이집과의 의사소통이 아버지보다 부정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 영유아는 전반적인 발달에는 일반 가정의 자녀와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놀이행동에 군인 부모의 직업적 특성이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군 어린이집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군 보육체계의 강점을 강화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on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child-care centers and parenting of military famil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directors and 4 teachers working at the military child-care centers in P city,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child-care centers, teachers and directors are satisfied with the various operational supports of the military, but they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the military management system. Second, as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of military families, the fathers are generally homely, have a lot of interest in their children, and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care center programs. However, the mothers tend to feel the burden and stress of parenting and have negative communication styles with the child-care centers are negative. In addition, the children do not differ from the general children in overall development, but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parents were reflected in the play behavior.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military child-care centers an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