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실에서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성심,신혜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의 교육·보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통합교실 담임교사를 지원하기위하여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제시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긍정적인 또래놀이행동의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인천광역시 K유치원의 만 4세 발달지체유아 3명과 같은 통합교실에서 생활하는 3명의 일반또래유아이며, 6명의 소집단을 대상으로 3개월간 담임교사가 21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은 발달지체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사후평정에서 긍정적인 변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의 관찰결과에서도 중재기간동안 표적행동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발달지체유아의 또래놀이행동 사후평정에서도 긍정적인 변화의 경향성이 나타났다.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주제환상극 놀이 프로그램은 일반 교육 및 보육과정에서 발달지체유아의 개별적 요구를 지원하는구체적인 통합교육의 지원방안이 될 수 있으며, 교사에게 실질적 지원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군 간부의 군 인성상담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조성심,안정선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0 No.1

        본 연구는 군 간부를 대상으로 하는 인성상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추후 군 간부 대상 인성상담 교육프로그램의 연구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분석과 정보수집, 설계와 시범실행(pilot testing), 평가와 수정에 이르는 개입연구방법(intervention research)에 따라 2015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연구가 수행되었다. 교육프로그램 내용개발과 평가를 위해 4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는데, 이는 문헌고찰, 전문가 간담회, 설문조사, 내용분석이었다. 먼저, 문헌고찰과 전문가 간담회, 교육 요구조사를 통해 1차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2015년 시범실행 후 의견을 반영하여 교육프로그램이 보완되었다. 수정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는 2016년 6월부터 8월까지 총 3기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사후 검증결과, 교육프로그램은 상담자로서의 자기효능감을 향상하는 데에 효과가 있었고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개별목표 성취에 있어서도 사전사후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군 인성상담에 대한 전반적 이해도 및 상담가로서의 역량 향상, 병사관리 역할 수행에 있어서 높은 목표성취도로 나타났다(5점 만점에 4.1이상). 평가결과를 토대로 교육프로그램 모형 보급 필요성과 정착, 참여자의 직급과 역량 수준에 따른 차별화 전략 모색, 교육내용 활용을 위한 사후관리체계 마련, 군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 등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military personality counseling/education program for army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15 to april 2017 according to intervention research leading to analysis and information gathering, design, pilot testing, evaluation and revision.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program content, four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cluding literature reviews, expert meetings, questionnaires, and content analysis. First, the education program was supplemented by designing the first education program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roundtable meeting, and education needs investigation, and reflecting opinions after the pilot implementation in 2015. The effectiveness of the modified education program was evaluated from 109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hree education programs from June to August 2016.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 test show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 efficacy as a counselor, and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e achievement of individual goals in the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overall understanding of military personality counseling, improvement of counselor capacity, and achievement of goal achievement in soldier management role (4.1 out of 5).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uggestions for development such as establish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program model, finding differenti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competency level and position of participants, preparing post - management system to utilize contents of education, and policy alternatives for activating military personality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입대 전・후 대학생의 군 인식 및 이미지 차이와 대학생활의 관계

        조성심,황희숙 경인행정학회 2018 한국정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특히, 입대 전 대학생과 복학생을 대상으로 남학생이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평소 군 이미지와 군 인식이 어떠한 지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군 입대가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복학 후 복학생에게 대학생활 적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입대로 스트레스와 부담감을 경험하는 학생들이라는 기존연구에 대하여 신입생과 복학생의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대학생활과 군 복무에서 적응적 자세와 인식을 갖게 하기 위해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은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2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군 이미지 11개 항목에 대해서 군 입대 전과 입대 후 대학생의 군 인식 및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군은 엄격한 집단이다’라는 항목이 군 입대 전 대학생과 군 입대 후 대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군 인식 및 군 이미지 간 상관관계는 복무 전, 복무 후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군 인식 및 군 이미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군 복무 대학생의 군 인식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군 복무 후 대학생은 군 인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군복무 후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ilitary image and military perception of male college students, especially freshmen and returning students, on the obligation of national defense to perform military duties. An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life adap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ystematic approach to adaptive attitudes and perceptions in college life and military service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freshmen and reemployed students with the previous study of students experiencing stress and burden in military enlistment . The subjects were 210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1 items of military image were compared with military image and image of college students before and after military enlistment.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udents before enlistment and those after enlistment .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military recognition and military image was significant both before and after service. Third, the effects of military recognition and military image on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analyzed. On the other hand, after military service, college students showed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at military recogni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daptation of university life after military service is necessary.

      • KCI등재

        군 간부 인성상담 교육프로그램 초기개발 평가 및 요구 질적 연구 - 참여자 관점을 중심으로 -

        조성심,안정선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1 No.1

        본 연구는 초기 개발된 군 간부 대상 인성상담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참여자 관점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기 개발된 인성상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군 간부들 중에서 총 12명을 대상으로 6명씩, 2회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교육 내용, 운영과정, 교육의 효과적 측면, 개선사항 및 차후 과정 개발 시 건의내용 등에 관한 평가 및 요구 의견을 청취하여 내용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프로그램은 군 간부 자신과 용사에 대한 이해 증진, 인성교육 및 상담 역량 향상 등에 효과가 있었음이 보고되었고, 참여자 관점에서 실습형 내용 확대 및 자발적 교육 신청 등 보다 효과적인 교육 운영방법들이 논의되었다. 최종적으로 개선방안을 토대로 후기개발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정리하고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실시, 교육환경 마련, 교육효과 유지를 위한 사후관리 필요성 등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itially developed personality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military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nt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To accomplish this,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2 persons, six of whom were involved in the personality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e listened to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on process, the effective aspects of the education, the improvements, the contents of the suggestions in the development of the next course and suggested the contents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report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military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themselves and soldiers, enhancing personality education and counseling capacity, and more effective methods of training management such as extension of practical type content and voluntary education application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nts. Finally,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plan such as continuous education program, prepar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ecessity of post management for maintenance of educational effects.

      • KCI등재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조성심,최승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areer search program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for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gram.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we went through planning, program design, execution, and evaluation stages based on the PIE model and systematic program model of Park(1995).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by experts, and we tested the efficacy of the program on the basi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other qualitative evaluations. The efficacy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tested utilizing 48 maladjusted students from S, Y middle school in Yongin city and J middle school in Sungnam c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 equal number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nd the first author directly ran the whole program for 3 months. After executing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of the initial program, w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rogram with feedback from the inquirer, observers and related experts and we executed the last of the program. We carried out Mann-Whitney U-test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gram utilizing the outcome measures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we assured that the developed career search program for the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was appropriat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scores of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etwee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and didn't participate in the developed career search progra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pinned that the ecological systematic perspective career search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ttitude changes toward school life for the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by helping them search and prepare their career more effectively.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프로그램 구안을 위하여 박인우(1995)의 체계적 프로그램 모형과 PIE모형에 기초하여 기획단계의 조사와 분석, 설계단계, 실행단계의 구안 및 적용, 평가단계를 거쳤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각 단계별 내용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내용타당성을 검증받았으며, 대상자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향상 및 질적 평가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용인시의 S, Y중학교와 성남시의 J중학교의 학교부적응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24명씩 무선배정 하였으며 3개월여에 걸쳐 연구자가 직접 실행하였다. 초기개발프로그램의 1, 2차 시행 후에 연구자와 관찰자 및 관련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 수정 보완하여 최종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실행하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맨-휘트니 U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개발절차와 과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과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중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면서 학교생활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 KCI등재

        한국군사회복지 연구경향에 관한 분석과 과제

        조성심,장정순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군사회복지학 Vol.9 No.2

        본 연구는 군사회복지 연구 관련 문헌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 군사회복지연구경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추후 필요한 군사회복지의 연구방향을모색하고 그 과제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5년에 이르기까지 군사회복지를 주제로 설정한 국내 석·박사학위 논문과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총 185편을 대상으로 연구경향에 관한 기술적 분석 및 내용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일반적 사항으로 시기별 연구현황은 2006년 이후부터 군사회복지연구가 다수 진행되었고, 문헌 출처별 연구현황은 학술지 논문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한국군사회복지학에서의 게재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대상은 병사와 직업군인관련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문헌연구도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학위논문과 학술지 모두 양적연구가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넷째, 연구주제는 미시적 접근이 다소 많은비율을 차지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를 하위주제별로 분석하였으며, 제언을 통해 군사회복지학의 연구방향과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n the Republic of Korea military social welfare by analyzing the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opics of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o look for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tasks that may need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the technic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a total of 185 articles published in a national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domestic journals, set up under the theme of military social welfare from 2005 to 2015.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a number of social welfare researches were conducted since 2006 by the time and journal article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and the most common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military social welfare. by the sources of literature. Second, research subjects were mostly soldiers and professional solciers and literature research also showed a relatively high rate. Third, quantitative research of dissertations and journals bothshowed a high percentage in research methods. Fourth, the microscopic approach took a rather large percentage in .in research topics. Finally, we analyzed the research topic into sub-topics and offered suggestions for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of military social welfare.

      • KCI등재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인권실태와 개선방안

        조성심,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6 학교사회복지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exploratory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in Korea, and to provide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e provision of these right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school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and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s (FGI) to collect more detailed comment on the level of human rights,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that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are actually experiencing.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the level of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conditions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were poor. And In particular the results show that all personnel employed in the form of temporary workers give a variety of challenges in the area of human rights. Specifically, as well as insecurity for a job and discrimination between employees within the school and relative deprivation were found to be experiencing such as verbal abuse or assault, sexual harassment, emotional abuse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some improvement policy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인권 실태를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을 조사하였으며,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인권보장 수준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보다 상세한 의견을 수합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원이 비정규직이라는 고용형태가 다양한 인권 영역에서 어려움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고용 불안정과 학교 내 직원 간 차별, 상대적인 박탈감 등을 비롯하여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에 대한 폭언이나 폭행, 성희롱, 정서적 학대 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인권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조성심,주석진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cological systematic perspective career search program for the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 verified the efficacy of the developed program targeting 48 maladjusted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s in Yongin city and Sungnam city. We assigned 8 students from the each schools without selection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cological systematic perspective career search program were more effective to improve throughou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And in the low area, experimental group achieved improvements in the planning objectives, planning, problem-solving and planning for the future too.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cological systematic perspective career search program were more effective to improve all over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n the low area,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chieved improvements in the independence, work attitude and planning quality. Therefore, the developed ecological systematic perspective career search program for the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was verified as effective to improv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the maladjus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These results bolsters the evidence that the ecological systematic perspective career search program can give substantive aids to maladjusted students with their career search and preparation.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용인시와 성남시에 소재한 3개 중학교의 부적응학생 48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8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준비결정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영역인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 미래계획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도 전체와 하위영역인 독립성, 일에 대한 태도, 계획성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보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교에서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학교부적응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멘토링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 대상의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성심,주석진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3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3 No.-

        본 연구는 저소득 다문화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생태체계적 관점의 진로탐색멘토링 프로그램이 이들의 진로성숙도 및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동두천시와 양주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저소득 다 문화가정 아동 32명으로 각각 16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생태체계적 관점의 진로탐색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 전체와 하위영역인 계획성, 자기이해, 독립심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체계적 관점의 진로탐색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 학교생활부적응 전체와 하위영역인 교사에 대한 부적응, 친구에 대한 부적응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이외에도 양적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활용한 질적자료 분석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 다문화가정의 아동을 대상으로 생태체계적 관점의 진로탐색멘토링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이들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데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있어서도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