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의 직업교육을 위한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구축 및 활용방안

        김영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d using the differentiat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for vocational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Method: After analyzing components of present NCS that need improvement (e.g. unit of competency, level of competency, etc.) according to demand and specificit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NCS for the disabled were constructed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existing relevant studies. In addition, following the analysis of overall conditions and problems involving vocational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ies, advantage and significance of maintaining consistency between the analysis results and NCS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Results: Although NCS for the disabled attempted to make improvement on the contents and system of present NCS by reflecting relevant demands, they are fundamentally based on present NCS. NCS for the disabled were constructed in six steps, classified into three detailed steps including (1) groundwork step, (2) step considering consistency of competency unit with learning modules, and (3) step of designing career development pathways and qualification based on competency level. Suggested methods of utilizing NCS for the disabled were (1) preparation of groundwork for national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 preparation of framework for work-study system through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3) reinforcement of collaboration among institution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4) facilitation of restructuring competency of professionals, (5) designing of qualifications based on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6) increasing the use of present NCS. Conclusion: Functional implications of the two study topics (method of constructing and method of using NCS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직업교육을 위한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구축 및 활용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수요와 특수성에 따라 현행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보완하기 위해 보완 대상의 구성요소(예: 능력단위, 능력단위 수준 등)를 분석한 후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를 참조하여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관련 선행연구로부터 현행의 장애인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한 후 위의 분석 결과가 구축된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정합성을 유지할 경우 기대되는 이점과 의의를 활용방안으로 반영하였다. 연구결과: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과 관련된 제반 수요에 기반을 둠으로 인해 현행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내용 및 구성체계를 보완하고자 하였으나, 기본적으로 현행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을 두었다. 이런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총 6가지의 단계로 구축되었는데, 세부적으로는 (1) 기초 작업 단계, (2) 능력단위 보완 활용에 기반한 학습모듈과의 정합성 고려 단계, (3) 능력단위별 수준 설정에 기반한 경력개발경로 및 자격 설계 단계처럼 세 가지로 분류되어 구축되었다. 다음으로, 구축된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으로 (1) 국가적 수준의 장애인 직업교육과정 기반 마련, (2) 취업 연계 및 경력개발 기반의 일․학습 병행제 기틀 마련, (3) 장애인 직업교육훈련 유관기관 간 통합 협업체계 강화, (4) 전문인력의 역량 재구조화 촉구, (5) 과정지향적인 평가에 기반한 자격 설계, (6) 현행 일반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성 강화가 제시되었다. 논의: 두 가지의 연구 내용(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구축방안, 활용방안)이 기능적으로 시사하는 바를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 KCI등재

        숙박서비스분야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및 적용 소개

        김건휘 ( Geon Whee Kim ),하헌수 ( Heon Su Ha ),우이식 ( Yi Sik Wo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3

        국가직무능력표준(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산업현장의 근로자가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산업별·수준별로 국가수준에서 표준화한 것이다· 직무능력표준화는 교육과정과 자격시험의 표준화를 요구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실제로 교육과정과 자격시험을 표준화한다· 직무능력의 표준화과정을 통하여 교육과정과 자격심사 과정에 일정수준의 품질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고, 강사와 학생들이 노동강도를 줄이고 또 자격시험의 공정성을 기할 수 있어 학생들의 불만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산업계, 교육계, 훈련기관 및 자격증 검증기관 등 관련 종사자들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념과 연역, 그리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구성체제 및 개발 시스템 등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2013년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 시행해 (사)한국호텔전문경영인협회에서 개발하고 적용한 관광레저분야 중 숙박서비스 분야에서의 NCS 개발 내용을 정리하여 요약하였다· 특히 부대시설관리 분야의 첫 번째 능력단위인 식업료업장관리의 평생경력개발경로모형, 직무기술서, 훈련기준과 출제기준간의 연계성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호텔 및 관련 숙박업체의 이해관계자나 근로자, 교육기관 및 훈련 기관 관계자 및 학생, 또 자격심사 관련자들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또 수정 보완할 사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받아 차후 더욱 개선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in general related parties such as industry,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ying examination institutes to help to understand NCS clearly, and to introdu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CS in lodging service category. Especially through a detail description of first competency unit named as ``management of food & beverage store`` in the category of a management of subsidiary facilities, we emphasize on a connection among a path model of lifetime job history development, a job description, a training and qualifying examination criteria. NCS necessarily demands standards of class materials in educational institutes, and qualifying examination which help to sustain stable service quality in class level, competency of students, and evaluation in qualifying examination. We hope from this study that an application of NCS would be activated fully in hotel industry, educational institute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nstitutes and that diverse feedbacks from related parties would make a lead to a better updated version of NCS development in lodging service category soon.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연구 동향 분석

        임윤진,손다미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CS-related research trends, Keywords, the Keywords Networks and the extension of the Keywords using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and to seek for the development plans about NCS. For this, the study searched 345 the papers, with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r NCS as a key word, among master's theses, dissertations and scholarly journals that RISS provides, and selected a total of 345 papers. Annual frequency analysis of the selected papers was carried out,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68 key words which can be seen as key terms of the terms shown by the subject. The method of analysis were KrKwic software, UCINET6.0 and NetDraw.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CS-related research increased gradually after starting in 2002, and has been accomplishing a significant growth since 2014.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keyword network, 'NCS, development, curriculum, analysis, application, job, university, education,' etc. appeared as priority key words. Third, as a result of sub-cluster analysis of NCS-related research, it was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which could be seen as a research related to a specific strategy for realization of NCS's purpose, an exploratory research on improvement in core competency and exploration of college students' possibility related to employment using NCS, an operational research for junior college-centered curriculum and reorganization of the specialized subject, and an analysis of demand and perception of a high school-level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urth, the connection forming process among key words of domestic study results about NCS was expanding in the form of ‘job→job ability→NCS→education→process, curriculum →development, university→analysis, utilization→qualification, application, improvement→ plan, operation, industry→design→eval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 핵심어의 구명 및 핵심어간의 연결 속성, 그리고 핵심어간의 확장에대해 살펴보고 향후 NCS관련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지 가운데 국가직무능력표준 또는 NCS를 키워드로 하는 논문이며, 총 345편의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동향의 분석 방법으로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논문의 제목에 나타난 용어에서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빈도분석을 위하여 KrKwic을사용하였으며, 연결망 분석을 위하여 UCINET6.0, 연결망의 시각화를 위하여 NetDraw 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는 2002년부터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오다가 2014년 이후 큰 폭의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교육과정, 분석, 활용, 직무, 대학, 교육’ 등이 중점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의 하위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취지와 목적을 실현하기 구체적인 전략 등에 관한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직업기초능력 향상과대학생의 취업 관련 가능성에 탐색적 연구’, ‘전문대학 중심의 전문교과의 교육과정 및개편을 위한 실무적 연구’, ‘고등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요구 및 인식에 관한 분석’ 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관한 국내 연구물의 키워드간의 연결 형성과정은 ‘직무→직무능력→국가직무능력표준(NCS)→교육→과정, 교육과정→개발, 대학→ 분석, 활용→자격, 적용, 개선→방안, 운영, 산업→설계→평가’의 형태로 확장되고 있었다.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 대학교육 도입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백종면,박양근 한국취업진로학회 2012 취업진로연구 Vol.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에서 교육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epency Standard)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적용 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 저 문헌조사를 통해 NCS의 우리나라 도입 배경과 개념 그리고 개발 현황과 시범운영 결과를 파악하였 다. 그 다음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정책담당자 및 정부출연기관의 전문가, 대학 교수 등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도입 또는 활용하는데 있어서 의 제약요인을 파악하고 그 해소 방안을 도출하였다. 4년제 대학에서 NCS기반 교육과정의 개발·활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먼저, 학문의 지식 과 이론체계, 지식방법론 등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문 지향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현장의 실무 직무능력의 표준화를 통해 현장기술인력이나 중견기술인력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NCS기반 교육 과정은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는 그 적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두 번째 요인은 NCS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와 교육과정 개편이 불가피한데 이로 인한 전공 불일치 해소와 교수인력의 충원, 교재개발, 전공 관련 시설 및 설비 의 확보 등이 현실적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약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4년제 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이 기존 교 육과정이나 인증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며, 둘째, 4년 제 대학의 경우에는 전문대학 등 직업교육기관과는 달리 NCS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구조적, 의식적으로 어려우므로 지금처럼 소수의 과정을 NCS기반 교육과정으로 시범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며 보다 적극적인 유인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nd suggest the ways of applying it as a means of promoting the field-suitability of education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do thi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background, concepts and status of the NCS were identified together with the pilot operating results. Then the interviews of policy-makers, experts and professor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nstraints in utilizing the NCS and the ways to resolve them were derived as follows. Two constraints ar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views. One is the academic nature of universities which is oriented for academic knowledge, theoretical system, methodology and so on. The NCS-based curriculum, whose main purpose is to cultivate field-workforce and middle-level technicians, is considered inappropriate for the universities. The other one comes from a realistic reason that the introduction of NCS-based curriculum inevitably results in full-scale review of existing curriculum and financial burdens. To overcome these constraints, two way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the NCS-based curriculum needs to be applied from the viewpoint of complementing rather than replacing the existing curriculum or certification system. Second, unlike the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ollege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t is difficult to expect sincere concern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NCS-based curriculum. For this reason, the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s at the national level are required more than the pilot-development of NCS-base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NCS기반 국가기술자격 환경분야 실기시험 평가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이동훈,이라금,윤동열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8 직업과 자격 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ractical evaluation methods of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in the field of environment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measures to enhance the industrial feasibility and professionalism of qualifications. First of all, we analyze the NCS, detailed standard of presenting exam, previous research, experts opinion and experiences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pilot test assessment plan was prepared based on the criteria for the NCS, the elements of the NCS, and the current criteria for assessment of technical qualifications. We visited industrial sites to analyze the status of facilities and equipment, collect opinions from field experts. We conducted the pilot test assessments targeting environment related majors, and field experts appraised the feasibility of the result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current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assessment methods based on the current the NC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technology to review the knowledge, skills and qualification required for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industry. The link between the current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practical assessment methods and the NCS established in the environmental area was analysed. The proposal of national skill qualification methods reflecting knowledge, skills and expertise required in industrial sites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s. 본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기반으로 환경분야 국가기술자격의 실기시험 평가방법을 개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격의 산업 현장성 및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능력단위, 능력단위 요소와 현행 국가기술자격 출제기준과 평가방법을 비교․분석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국가기술자격 출제기준의 매칭을 기초해 모의평가 방안을 마련하였다. 산업현장을 방문하여 시설 및 장비 현황 등을 분석하고, 현장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환경 관련 전공자를 대상으로 모의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해 현장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중심으로 현행 국가기술자격 실기시험 평가방법을 분석하여 환경산업현장에서 직무수행 시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산업현장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소지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척도와 국가기술자격 평가방법과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연계된 환경 기술인력 육성을 위해 현행 국가기술자격 평가방법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현행 국가기술자격 실기시험 평가방법과 환경분야에서 기구축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연계 관계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이 반영된 국가기술자격 평가방법의 개선안이 현장성과 전문성이 확보된 환경기술 인력의 육성과 환경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직무능력표준(NCS)기반 기업활용패키지와 교육ㆍ훈련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조광주(Kwang-Joo J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5

        본 연구는 M사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기업활용 컨설팅 결과와 관련 NCS의 능력단위, 수준, 내용을 직무분석을 통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이 M사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리 및 교육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M사의 생산팀과 경영지원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직무 맵핑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사에서 도출한 대부분의 직무분석은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연계될 수 있다. 일부 직무는 기업의 규모와 조직의 재정립을 통해 도입할 예정이며, NCS의 능력단위가 보다 세분화되어 있어 이를 활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M사의 직무 수준과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한 수준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업의 규모와 요구되는 숙련수준이 아직 미비하기 때문에 향후 조직의 재정립을 통해 NCS 기업활용패키지를 근간으로 도입 활용할 예정이다. 셋째, M사의 직무 내용보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내용이 보다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기업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리 및 직원들의 교육·훈련의 목적으로 활용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기업의 직무향상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제시하는 기업활용패키지가 직원들의 선발과 직무향상 및 교육·훈련을 위한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o develop, manage and train human resources of M company by analysing NCS competence unit, level, and content. Some representatives of production team and management team in M company were given job mapping and were interviewed for this purpose. The conclu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job analysis derived from the data of the M company can be linked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Some other jobs are expected to be introduced by redefining the size of enterprises and its organizations, Indeed, competence unit of NCS is quitely subdivided so that M company does not seem to have difficulty in utilizing it. Second, in respect of job level,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M company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t can be explained that M company might be insufficient in the size and competency level. Thus M company is required to redefine its organization and introduce NCS-based company application package. Thir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have included more extensive contents than those of M company so that those can be useful to develop, manage and train human resources of M company. In conclusion, company application packages for improving job task in future company can be expected to applied usefully to select and train their employees in order to improve their job competence.

      • KCI등재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김동연,김진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3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3년도 10월까지 국내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관련하여 개발 발표된 석․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를 포함하여 정부연구기관 및 정보서비스기관에서 검색 수집한 총 265편의 연구물들을 중심으로 연구 실태와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분석 대상과 분석 절차에 의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진들과 함께 1, 2차 검토․수정 및 개선․보완 단계를 거쳐 개발한 분석 준거(틀)에 따라 연구 기관, 연구 형태, 직무 분야, 연구자 구성, 연구 방법,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분석 항목별 기술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기관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한국노동연구원, 교육부, 대한상공회의소 등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형태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석사학위 논문 수에 비해 박사학위 논문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그 다음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농업교육학회, 대한건축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외 나머지 학회는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셋째, 직무 분야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이러닝콘텐츠개발 직무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고등교육, 기업교육, 경력지도, 유통관리, 출판기획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외 나머지 학회는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자 구성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단독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공동 연구의 경우 연구원 수가 2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3인과 4인 이상의 연구원 수는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개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문헌 연구, 내용 연구, 양적 연구, 실험 연구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 대상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기업체(대․중소기업)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 고등학교(직업교육기관), 기타(혼합) 순으로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tatus and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hich were released in Korea from 2001 to October 2013; they are a total of 265 pieces of research data including master’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 academic journals, and data researched and collected from institutions of government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s, types, occupational fields, composition of researchers, methods, and target of studi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framework) developed through first and second review, improvement, and complement with NCS researchers, in line with analysis target and procedure. Seco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statistics program by the analysis ite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institution,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Korea Labor Institut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Second,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type, the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master’s thesis, followed by The Korea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gricultural Education Associ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nd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All other societies were at a similar level, representing the lowest proportion. Third,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occupational field, e-learning content development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higher education, corporate training, career guidance, distribution management, and publishing planning. All other academic societies were at a similar level, representing the lowest proportion. Fourth,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composition of researchers, independent studies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As for joint studies, those with 2 researchers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It was followed by studies with 3 researchers, and those with 4 or more researchers, which were at a similar level representing the lowest proportion. Fifth,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method, development research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content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Sixth,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target, corporations (large ones, small and medium-sized ones)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2-year colleges, 4-year-universities, high schools(vocational schools), and others(mixed).

      • KCI등재

        직무능력향상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과목운영 사례 : 세무직무의「원천징수능력단위」를 중심으로

        박태승 한국상업교육학회 2017 상업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교육부의 NCS학습모듈에 따라 세무직무 중 ‘원천징수 능력단위’를 수도권의 I전문대학 세무회계학과 교육현장에서 수업을 운영하고 그 결과물을 티칭 포트폴리오로 제시하여 향후 관련 교육개선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의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항목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으며, 이 사례를 통해 교육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계획단계에서의 교과목명세서와 강의계획서는 NCS능력단위요소와 수행준거를 대부분 포함하여 작성하였으나, 능력단위요소 중 중요도나 활용빈도가 낮은 ‘비거주자 국내원천소득’과 ‘사업소득 연말정산’을 교육범위에서 제외하였다. 교과목체계도는 유용한 교육운영 계획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아 추가하였다. 둘째,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은 학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산출물로서 교과목명세서, 강의계획서, 주차별 수업자료, 평가계획서(사전 진단평가 포함), 학생별 직무능력평가서, 향상교육과 재평가결과표, 교육품질개선보고서(CQI)로 구성하고 그 밖에 직무능력향상교육을 위한 보충적인 산출물을 추가하였다. 셋째, 직무능력성취도 평가시 NCS수행준거별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나, 수행준거기준의 양이 많아, 능력단위요소 수준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직무능력결과평가(중간, 기말)외에 5회의 수행평가를 실시하였으나, 과제가 많을수록 평가와 피드백, 성적정리에 과다한 시간이 소모되어 수행평가의 횟수를 적정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수행평가전 실무 세무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현장적응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넷째, 중간직무능력평가 이후 성취도 70%미만자를 대상으로 향상교육과 재평가를 실시하였으나, 재평가 대상자가 다른 학생에게 알려지는 경우 재평가 대상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재평가대상자 선정, 시행시기와 방법을 신중히 설계하여야 한다. 다섯째, 수업중간 평가(만족도 조사)결과는 당초 예상보다 낮았다. 주관식 설문조사 결과는 강의수준과 강의방법 개선에 도움을 주었다. 학교차원에서 시행하는 최종 강의평가 외에 수업 중간평가는 자율적인 교수법 개선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세무직무」의 「원천징수 능력단위」를 반영하여 NCS에 따른 교과목을 도출한 후 대상 교과목의 실제 교육과정 운영결과를 티칭 포트폴리오로 제시한 최초의 사례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사례가 전문대학 세무분야의 NCS 기반 교과목운영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NCS가 지향하는 품질 있는 직무능력 교육을 통해 능력중심의 사회를 구현함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NCS Learning Modul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Withholding Taxes Competency Unit' is taught at a ‘Tax Accounting Department of I junior college’ education fiel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ult is presented as a teaching portfolio.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NCS-based competency teaching. To this end, I constructed a portfolio based on the items generally requi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Curriculum Guidelines’, and sought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NCS-based teaching through this c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urse specification and the lecture plan at the stage of teaching planning consisted mostly of NCS competency unit elements and performance criteria. However, 'non-resident domestic source income' and 'business income year -end settlement' units we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eaching in terms of low importance and utilization. The ‘Contents Map’ can be used as a useful teaching planning tool. Second, the composition of the teaching portfolio is a basic and common outcome, 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colleges, the course specification, the lecture plan, the weekly teaching materials, the evaluation plan (including the prognosis evaluation), students' evaluation, improvement teaching and reevaluation sheet,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report(CQI) and supplementary outcomes for improving workplace competency. Third,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NCS performance criteria in the evaluation of job performance, but I evaluated students at a competency unit element level. In addition to evaluating competency outcomes (intermediate and final), five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conducted. However, the more tasks, the more time is spent in evaluation, feedback, and evaluation, and the number of performance evaluations needs to be adjusted appropriately. I used the practical taxation 메ㅔapplication program before performance evaluation to improve students' adaptation to the field. Fourth, after the evaluation of the intermediate competency, the improvement teaching and the reevaluation were carried out to the students less than 70% score. However, if the reevaluation target is known to other students, it may negatively affect the reevaluation target. The selection and the timing and method of reevaluation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Fifth, the interim evaluation (student satisfaction survey) results were lower than originally expect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helped to improve the teaching level and lecture method. In addition to the final lecture evaluation conducted at the college level, the interim evaluation of class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autonomous teaching metho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case study on the result of actual teaching of specific subject after deriving curriculum according to NCS by reflecting the ‘withholding taxes competency unit’ of ‘tax job’. I hope that this cas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a competence-oriented society through the practical use of NCS-based competency teaching which is useful for the teaching of NCS- based curriculum in the tax department of colleges.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금융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김인엽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up some problems in the current Financial curriculum of business information high school and to reflect the improvements in the financial reference and textbook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after examining the current curriculum by introducing NCS. This study reviews vocational competence in NCS and then compares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also researches whether the factors for NCS ar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by comparing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study. ways to improve education financial curriculum of business information high school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ncial textbook and reference book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department of insura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new curriculum. Third. the developing work of NCS learning module should be reorganized on new curriculum. Fourth. the revision of the contents in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nnounced publicly by the Education Ministry. In conclusion. the factors of NCS in financial field are not reflected in the financial education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erefore prompt public announcement should be made on the revision of the financial curriculum by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n the new financial textbook and insurance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최근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의 금융 교육과정을 검토함으로써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현장 직무 능력 적합성을 제고하도록 교육과정을 개정 및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분류 체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금융 분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새 교육과정의 국가직무능력표준 반영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상업정보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금융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NCS기반한 금융분야의 직무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금융관련 교과목을 편제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상 기준학과에 보험관련 학과를 제시하고 ‘보험일반’과 ‘보험실무’ 등 관련 교과도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의 개발은 반드시 교육과정과 연계성을 고려해야 하고 교육현장의 요구사항이나 학교 여건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과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경우 통합공시 및 연계공시를 통해 산업체요구와 교육현장의 통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상업정보계열의 금융 교육과정의 경우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한 직무능력이 반영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어 교육과정의 수정 공시가 필요하며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한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NCS기반 채용시스템 사례 연구 : 한국산업인력공단의 NCS기반 채용을 중심으로

        손배원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5 경영컨설팅연구 Vol.15 No.4

        지난 ‘15년 7월말 정부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청년 고용절벽 해소 종합대책’에 따르면, ‘15년 6월 기준으로 청년실업률(15~29세)은 10.2%(통계청 2015.7), 청년고용률은 41.4%로 나타나 향후 3~4년간 청년 고용절벽이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저성장기조, 노동시장 개혁지연, 현장수요와 괴리된 교육문제 등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한국사회에서 누적되어 온 다양하고 복잡한 원인 때문이기도 하나, 가장 근본적인 원인 중의 하나는 기업들이 현장에서 실제 원하는 직무역량(Job competency)과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직무역량 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른바 ’Job-Mismatch’ 현상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Job-Mismatch’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좋은 대안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즉,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산업현장을 기반으로 설계·개발되기 때문에, 현재 고용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Job-Mismatch’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현 정부는 올해 들어 사원채용 시, NCS를 기반으로 직원을 선발하는 방안을 공공기관부터 확대·추진하기로 하여, 그 어느 때보다도 NC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뿐만 아니라 취업준비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집단의 관심대상이 되고 있는 NCS의 개념 및 현황 등을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 인적자원관리에 NCS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채용사례를 통하여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펙초월 능력중심의 채용이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NCS를 한국산업인력공단 채용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첫째 해당 조직은 NCS기반 채용에 따라 직무적합성, 조직적합성이 높은 인재를 선발할 수 있었다. 둘째, 학력과 학점을 전혀 보지 않고 직무수행능력 중심으로 평가하는 채용시스템은 취업준비생들에게 균등한 취업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채용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었다. 셋째, 직무와 무관한 무조건적 스펙쌓기는 실제 취업시 도움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되어 NCS를 활용한 채용시스템의 도입은 향후 스펙쌓기와 관련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시켜주었다. 따라서 향후 NCS를 활용한 인적자원관리가 비단 채용뿐만 아니라 인적자원관리활동 전반에 걸쳐 확대 운영되어진다면, 기업체 측면에서는 적정 인재(right person) 채용에 따른 기업효과성 증가, 개인적 측면에서는 불필요한 스펙쌓기에 소요되는 비용을 보다 생산적인 자기개발활동 등에 사용함으로써 개인의 경력개발 강화, 그리고 국가·사회적 측면에서는 Job-Mismatch로 유발되는 각종 사회적 비용 절감 및 이로 인한 양질의 고용실현 등과 같은 선순환적 효과들이 점차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s riding a wave of renewed public interest in case of high youth unemployment rates in South Korea. The reason why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NCS is that NCS is the best tool for person-job fit as well as person-organization fit. These day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we face in employment market in South Korea is just high youth unemployment rates as noted. It is said that the reason is due to so called job-mismatch. Job-mismatch usually occur when the job that the company need is different from the job that job seeker need. And because of this mismatch, youth unemployment rates is growing increasingly. So in an effort to solv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labor and employment started new policy for paving the way to a society emphasizing individual competency rather than academic background and for expanding job opportunities for youths. That is the introduction of NCS in Personnel Management. NCS is to standardization of capabilities(knowledge, skill, attitudes) required to perform jobs effectively in the workplace in national level. So NCS is the best tool for increasing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Based on this concept, HRDKorea changed the recruitment and selection system to NCS-based system. It included that recruitment by NCS, making application by NCS, test by NCS, selection by NCS, and so on. After that, it is reported that NCS-based recruitment and Selection system improved the person-job fit and person-organization fit. And it is confirmed that NCS is also the best tool to lead a society emphasizing individual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