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년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교과 기술영역 1학년 교과서 내적 체체의 비교 분석

        손다미,최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stud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echnology part in 2007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 book for 7th graders. To set the standard of the comparative study, related records were referred and then the standard was investigated and verifi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rganization of the textbooks, all the textbooks present introduction, the connection between changing society and the subject, the features and necessity of the subject, the constructions of the textbooks, and expectations of the writers. The number of units of the books are all different; all the big units were 2, middle units were from 5 to 6, and small units were from 11 to 22o. The contents are generally the same; development of technology, future society and invention of technology. The number of the pages is alloted more on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future society than future society. Second, regarding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the proportion of objectives of lessons is by the order of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knowledge, function, interest and attitude and each objective has average 20 statement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are generally similar except the way they present them, titles, and some additional special learning materials. The average number of experiments are 3.5 and especially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technology, invention technology and many units contains a number of activities. Supplement and advanced activities are all different for each publisher and the average number is 50.7. The way they summarize and assess the result of learning is of a variety of forms and methods.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중학교 1학년 12종 기술·가정 교과서의 기술 영역을 대상으로 교과서 간 내적 체제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내적 체제 분석 준거를 개발하기 위해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내적 체제 준거를 탐색하여 이를 타당화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조직에서 서문은 12종 모두 제시되었고, 변화하는 사회와 기술·가정 교과의 연계성, 기술·가정 교과의 특성 및 필요성과 교과서의 구성, 지은이의 바램 등을 나타내고 있다. 단원 수를 보면 대단원의 수는 모두 2개, 중단원의 수는 5~6개, 소단원의 경우 11~22개까지 출판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내용 요소는 영역을 기술의 발달과 미래사회, 기술의 발명으로 구분 짓고 있으며 내용 요소는 대동소이하다. 페이지 수는 전체적으로 기술의 발달과 미래사회의 단원이 기술의 발명 단원에 비해 교과서 내에서 더 많은 페이지 수를 배정받고 있다. 둘째, 내용 구성에서 학습목표 수의 비율은 문제해결력, 지식, 기능, 흥미·태도 순이고 평균적으로 20개의 진술을 하고 있다. 내용 구성 체제를 살펴보면 제시 형식이나 명칭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일 뿐 공통적인 구성을 취하며 각 출판사마다 특징적인 학습 자료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실험실습활동의 평균 개수는 3.5개이며 전통 기술의 이해 단원과 발명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많은 실험·실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보충심화활동은 출판사별로 각기 다른 방식으로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있으며 평균 50.7개의 보충심화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리 및 평가의 분석 결과는 출판사별로 특색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학습 형태와 방법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KCI등재

        고교 융합인재교육 효과성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고등학생의 STEAM교과 인식 연결망 분석

        손다미,최유현,임윤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2

        This study is to explore a method for enhancing effectiveness of STEAM, and attempted to seek an improvement method of STEAM through recognition of science(S), technology(T), engineering(E), arts(A) and mathematics(M)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D region and the analysis of its network. For this, a keyword network through the degree and Degree Centrality of key words by each subject was derived, and based on this, an improvement method was suggested.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ical recognition key words about STEAM subject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recognized as terms such as subject name, core subject, major activity, career exploration, people involved, feeling, etc. Seco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uper key words by each subject, there were many common key words of engineering, technology, science. Accordingly, as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blending activities should be further enhanced. as a form of a core subject and a major activity. Third, as for art subjects, music,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ere highly relevant to each other, and their major activities were about creative acts. Accordingly, using arts subjects as a form of a blending between music,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an be more effective rather than a method of forcibly connecting them with the subjects of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Fourth, through historical figures, the subjects of mathematics, science and arts can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this, unearthing and providing the stories about various blending-type characters are required. 이 연구는 융합인재교육을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D지역의 고등학생들이 과학(S), 기술(T), 공학(E), 예술(A), 수학(M) 각 교과에 대해 인식과 그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융합인재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교과별 키워드의 빈도수 및 연결정도 중심 구조 분석을 통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융합인재교육 교과에 대한 대표적 인식 키워드들은 과목명, 핵심소재, 주요활동, 진로탐색, 관련인물, 느낌 등의 용어로 인식되었다. 둘째, 교과별 상위 키워드를 비교분석한 결과, 공학, 기술, 과학 교과의 공통 키워드가 다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기술-공학 교과의 경우 핵심소재 및 주요 활동의 형태로 융합 활동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예술교과는 음악, 미술, 체육교과간의 연계가 크며, 주요 활동은 창조적 행위에 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교과를 과학기술공학군과 강제적으로 연결하는 방안보다는 음악-미술-체육간의 융합 등의 형태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넷째, 역사적 주요 인물을 통하여 수학, 과학, 예술 과목 등이 서로 연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융합형 인물의 이야기 발굴과 보급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손다미,노진아,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기술교육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기술교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발간된 228편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첫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매년 2회의발행을 통해 일정량의 논문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 둘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경우 기술교육 논문이 공업교육이나 기타교육 관련 논문에 비해 주를 이루고 있으며,기술교과교육학 연구는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공학과 같은 일부 영역에 편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술교과내용학 연구에서도 제조기술과 통신기술에 치우친 연구를 하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한국 기술교육의 연구는 특정 영역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술교육연구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연구, 문헌고찰/내용분석, 개발연구를 선호하고 있고, 사례연구는 거의 드물었다. 넷째, 연구자는 단독에 비해 공동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대학교에 소속을두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228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central part i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When it comes to the result from the conclusion, firstly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has steadily published a sort of the article twice a year. Secondly,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articles of Technology Education are published more than the other kind of the article such as vocational industrial education and the rest of education In the research of The Pedagogy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 Curriculum, Educational Technology. Also in the research of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Manufacturing Technology,Communications Technology. As we can see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has studied around of specific area. Third, the research methods which are used for the study of Technology Education are Survey Study , Literature investigation,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research but Case Study has been used rarely. Fourth, most of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y co-research which especially belongs to the university more than one researcher.

      • KCI등재

        과학관 이동전시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방안

        최유현,손다미,임윤진,이옥복,조재주,이은상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reative scientific activity programs through travelling exhibit of science museums. This study is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survey research, intensive meetings of developers and professional association that review the validity of those studies. The results are:first, teacher and students recognized that Science museum exhibitions are useful to study and are expecting the effects of experiences through creative scientific activities. second, there are many demands of the local exhibition and museum exhibits and travelling exhibits. third, teacher and students prefer active and complex operating experiences to watching the exhibits. fourth, an creative scientific experience program was developed and are consisted of 4 sectors- free study activity, group activity, volunteer activity and educational activity. fifth, for teacher or student to use a program effectively, guidance book constitutions are suggested. This study that examines how to expand creative scientific activities through supporting travelling exhibit projects of national science museums. This study also provides a variety of activities that are not done through school education to students, and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science and technological 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 이동전시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와 타당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관 이동전시의 수요자인 교사와 학생은 과학관 이동전시가 교육적으로 유용하고, 이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에 큰 기대를 갖고 있었다. 둘째, 과학관 접근이 어려운 지역의 이동전시의 수요가 크고, 직접조작과 복잡한 작동 등의 작동형 체험을 선호하였다. 셋째, 설문을 바탕으로 과학관 이동전시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연구하였다. 넷째, 과학관 이동전시를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유형에는 자유탐구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교육이벤트가 있다. 다섯째, 과학관 이동전시를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사용, 학생용 가이드북의 체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과학관 이동 전시를 활용한 창의적 과학체험활동 프로그램은 과학문화확산 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된 과학체험활동을 통하여 학교교육에서 얻지 못한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연구 동향 분석

        임윤진,손다미 대한공업교육학회 201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CS-related research trends, Keywords, the Keywords Networks and the extension of the Keywords using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and to seek for the development plans about NCS. For this, the study searched 345 the papers, with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r NCS as a key word, among master's theses, dissertations and scholarly journals that RISS provides, and selected a total of 345 papers. Annual frequency analysis of the selected papers was carried out,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68 key words which can be seen as key terms of the terms shown by the subject. The method of analysis were KrKwic software, UCINET6.0 and NetDraw.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CS-related research increased gradually after starting in 2002, and has been accomplishing a significant growth since 2014.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keyword network, 'NCS, development, curriculum, analysis, application, job, university, education,' etc. appeared as priority key words. Third, as a result of sub-cluster analysis of NCS-related research, it was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which could be seen as a research related to a specific strategy for realization of NCS's purpose, an exploratory research on improvement in core competency and exploration of college students' possibility related to employment using NCS, an operational research for junior college-centered curriculum and reorganization of the specialized subject, and an analysis of demand and perception of a high school-level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urth, the connection forming process among key words of domestic study results about NCS was expanding in the form of ‘job→job ability→NCS→education→process, curriculum →development, university→analysis, utilization→qualification, application, improvement→ plan, operation, industry→design→eval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연구 핵심어의 구명 및 핵심어간의 연결 속성, 그리고 핵심어간의 확장에대해 살펴보고 향후 NCS관련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지 가운데 국가직무능력표준 또는 NCS를 키워드로 하는 논문이며, 총 345편의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동향의 분석 방법으로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논문의 제목에 나타난 용어에서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빈도분석을 위하여 KrKwic을사용하였으며, 연결망 분석을 위하여 UCINET6.0, 연결망의 시각화를 위하여 NetDraw 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는 2002년부터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증가되어 오다가 2014년 이후 큰 폭의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교육과정, 분석, 활용, 직무, 대학, 교육’ 등이 중점키워드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관련 연구의 하위 군집분석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취지와 목적을 실현하기 구체적인 전략 등에 관한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직업기초능력 향상과대학생의 취업 관련 가능성에 탐색적 연구’, ‘전문대학 중심의 전문교과의 교육과정 및개편을 위한 실무적 연구’, ‘고등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요구 및 인식에 관한 분석’ 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관한 국내 연구물의 키워드간의 연결 형성과정은 ‘직무→직무능력→국가직무능력표준(NCS)→교육→과정, 교육과정→개발, 대학→ 분석, 활용→자격, 적용, 개선→방안, 운영, 산업→설계→평가’의 형태로 확장되고 있었다.

      • KCI등재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이병욱,박기문,손다미,이경표,이윤조,이규녀,이상현,한덕원,이종기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invention education to cultivate future talented individuals capable of inventing, by grasping present conditions of school invention education and its culture. For this, it performed a survey related to recognition on and management condition of invention education targeting invention teachers, designed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invention education including ideas regarding improvements of typical and new invention education businesses, and verified their valid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94.1% of the respondents wrote that invention education is ‘important’, and for the entering period, 74.1% and 16.4% of them put that elementary school and preschool age are proper, respectively. Therefore, extension of invention education businesses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choolers are needed, and basic researches on education goals and systems of the formal education courses for each school level are also necessary. Second, validities of the primary goals of invention education for each school level turned out to be more than 4.20 in average, which is valid. Thus, for the primary goals of invention education for each school level, ‘invention affinity enhancement through plays’ was set for preschool age, ‘recognition on invention concepts’ for elementary school, ‘understanding invention techniques’ for middle school, ‘application of invention techniques’ for high school, and ‘creating intellectual property’ for college. Third, validities of visions and goals of the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suggested by this study turned out to be 4.00 in average. In addition, those of three main assignments and eleven detailed assignments of promoted ones all turned out to be over 4.00 in average, which verifies that all of them are valid.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발명교육과 발명교육 문화 실태를 파악하여 미래형 발명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발명교육의 중장기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발명교사를 대상으로 발명교육의 인식과 운영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발명교육 사업의 개선 및 신규 사업 아이디어 등을 포함한 발명교육의 중장기 발전 방안을 구안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은 응답자의 94.1%가 ‘중요하다’ 이상으로 응답하였고, 입문시기는 74.1%가 초등학교를, 16.4%가 초등학교 입학 이전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발명교육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며, 학교급별 정규 교육과정에 교육목표와 교육체계 등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급별 발명교육의 중점 목표에 대한 타당도는 평균 4.20이상으로 나타나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급별 발명교육의 중점 목표는 초등학교 입학 이전은 ‘놀이를 통한 발명 친화력 증대’, 초등학교는 ‘발명 개념 인식’, 중학교는 ‘발명 기법 이해’, 고등학교는 ‘발명 기법 적용’, 대학교의 ‘지식재산 창출’로 설정하였다셋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중장기 발전 방안의 비전 및 목표에 대한 타당도는 평균 4.00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진 과제의 3개 대과제와 11개 세부 과제 모두에서 평균 4.00이상으로 나타나, 전 과제가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 KCI등재

        기술교과 교원을 위한 '기술과 발명' 온라인 콘텐츠 프로그램 개발

        최유현,김용익,손다미,이상봉,이진우,이주호,김동하,강경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oster teachers to be competent in efficiency, easiness and expertise of invention education in technology curriculum by developing programs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of 'technology and invention' unit.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technology and invention education, and made an investigation into invention education and technology curriculum related to educational course revised in 2007, thereby developing online contents program by utilizing a written request of invention education from teachers. As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is study, such methods as conference, study of documentary records, developing team meeting, concentrated work and review on feasibility by specialist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30 module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extraction and analysis on contents of technology and invention by analyzing actual status and trend of invention and education in terms of technology curriculum. Second, the contents and educational goal by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analysis of an educational request from teachers in charge of technology education, and they are composed of 3 main fields and 8 sub-fields. Third, teaching materials were developed, considering educational environment of constructivism after analyzing actual status of contents on invention education targeting teachers, and online contents were made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tutoring suitable for technology curriculum will be provided through online contents on lecture of invention education and it will help teachers in charge of technology to enhance capacity, attitude and knowledge on invention, thereby contributing to contextual approach of practice in technology and invention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과 발명’ 단원의 교수․학습과 관련된 총체적, 맥락적이며 통합적인 접근으로 환경 요인, 전략요인, 실천요인의 세 가지 차원에서 기술 교사의 ‘기술과 발명’ 교수-학습에 필요한 기술과 발명교육 내용 요소의 추출, 교수-학습 전략화,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교육과 발명교육의 내․외적 환경을 분석하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관련 기술교과와 발명교육을 조사하였으며, 교사들의 발명교육 요구도를 활용하여 온라인 콘텐츠 프로그램 개발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 고찰, 개발진 회의 및 집중작업, 관련 전문가 타당성 검토 및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과 교육에서의 발명 교육동향과 현황을 분석하고. 기술과 발명의 내용 요소의 추출과 분석을 통해 30개의 모듈 주제를 선정하였다. 둘째, 기술과 교원의 발명 교육 지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 분석을 통해 주제별 교육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총 3개의 대영역과 8개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교사 대상 발명 교육 콘텐츠 현황을 분석하고, 구성주의적 교육환경을 고려하여 교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기술교원의 발명교육강의 콘텐츠 지원을 통해 기술교과에 적합한 튜터링이 제공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기술교원은 발명지식, 능력, 태도를 함양하고, 기술교육과 발명교육 실천의 맥락적인 접근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코퍼스를 활용한 언론에 비친 과학관 의제 분석

        임윤진(Lim, Yun Jin),손다미(Son, Da Mi),최유현(Choi, Yu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과학관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노력을 찾기 위하여 언론 매체를 통해 생산된 과학관 관련 의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주요 신문사 4곳이 제공하는 과학관에 대한 코퍼스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웹기반 코퍼스 분석도구인 CAT-T21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과학관 의제의 주요 공기어, 공기어의 연도별 변화 및 공기어 간의 연결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부터 2013년까지의 과학관의 주요 의제는 ‘국립과학관의 건립’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필요한 전시물, 체험활동, 프로그램 등이 관련 의제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관의 공통의제는 체험, 해양, 박물관, 전시, 시설, 어린이, 등으로 ‘교육+박물관’이라는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관에서 떠오르는 의제는 ‘지역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국립중앙과학관 외에 다양한 지역 과학관들이 관련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넷째, 과학관의 대상은 어린이와 청소년에 한정되어 있었다. 향후 과학관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 agenda of science museums, which is produced by media, in order to find out science museums" efforts to serve their roles and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To this end, it used the corpus regarding science museums, which have been provided by four major newspaper offices from 2000 to 2013, in Korea. The corpus was analyzed by using CAT-T21, a web-based corpus analysis tool, suggesting key co-occurrence words, annual changes in them and a network among them. Som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agenda from 2000 to 2013 appears to be "Establishment of National Science Museum". Some related agendas include exhibits, experience activities and programs. Second, the common agenda of science museums includes experience, the ocean, museums, exhibitions, facilities and children, which properly reflect characteristics of "education+museum". Third, the agenda inspired from science museums reflects "locality": various local science museums other than the National Science Museum reflect cultural characteristics at each location. Fourth, spectators of science museums have been limi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dicating that various programs for adults should be provided from now on, in science museums.

      • KCI등재

        발명영재 요인의 타당화

        최유현,반재천,강경균,이경화,임윤진,김동하,손다미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4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발명영재의 실질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발명영재 요인을 구체화하고 타당화 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외 영재교육 및 발명영재교육에 대한 문헌고찰과 분석, 전문가 협의회, 팀 기반 전문가 회의(TBEC; Team Based Expert Consensus),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발명영재 요인으로 4개 영역, 9개 요인, 41개의 요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발명영재 영역, 요인, 요소의 내용타당도를 수량화하기 위해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 CVR)을 산출하였다. 또한 선정된 발명영재의 요인에서 일반학생과 발명영재 학생간 점수 차이 비교를 통해 측정 구인의 타당도 증거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factors on gifted invention student, and to obtain the validity evidence of the factors. We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gifted, analysed the researches on the foreign gifted education and invention gifted education, and had expert council meetings to extract conceptual factors on gifted invention student. The invention gifted factors extracted were divided into invention gifted areas, sub-factors, and elements by Team Based Expert Consensus(TBEC) and validity of the factors extracted are examined by 40 experts. We provided the content validity ratio by the experts. As the conceptual factors of the invention gifted, there were 4 areas, 9 factors, and 41 elements. Finally, we surveyed the questionnaire on invention gifted areas, factors, and elements to the students in regular schools and the gifted invention students who had already selected. It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invention gifted areas, factors, and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