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범대학내 지식재산 교양 강좌 개설 및 운영 효과

        임윤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necessity of opening a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by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the college students. For the study, IP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cours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pplemented it with expert review. The developed course program was applied to 39 students for 15 week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ecture, the survey was performed. And analysis method for the concept change analysis and the keyword form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analysis, SPSS 24, UCINET and Netdraw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positively changed the value, necessity, and percep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to the students. Second, the students of the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responded that the lecture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should be increased. Third, through the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tudents formed basic concept about intellectual property centered on key word. The intellectual property lecture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is difficult to apply to all university situations, but it is expected to be referenced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lated lectures and to be derived in various forms. 이 연구는 사범대학내 지식재산 교양 강좌 개설 및 운영에 따른 수강생 인식변화와 지식재산 관련 교양 개념형성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사범대학내 지식재산 교양 강좌의 개설의 필요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색재산 교양 강좌를 개설하고, 문헌 연구를 통하여 강좌에 맞는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전문가의 내용 검토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보완하였다. 개발한 강좌의 프로그램은 39명의 수강생에게 15주차동안 적용하였다. 강좌 운영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식변화에 관한 설문조사와 지식재산 관련 교양 개념 형성 분석을 위해 핵심어(keyword) 조사 및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도구는 SPSS24과 UCINET & Netdraw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식재산 교양 강좌는 수강생들에게 지식재산에 대한 가치와 필요성,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둘째, 지식재산 교양 강좌의 수강생들은 지식재산 관련 강좌의 개설이 증대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지식재산 교양 강좌를 통하여 수강생들은 지식재산에 관한 기초적 개념을 핵심어 중심으로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개발 및 적용한 지식재산 교양 강좌 프로그램이 모든 대학교의 상황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나 관련 강좌의 개설과 운영에 참조되어 다양한 형태로 파생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초임 기술교사의 발명 교육 내용 지식 함양을 위한 연수 전략 개발

        임윤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ervice program strategies for promoting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s in invention education of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For this study, the preliminary study was performed on technology teachers training and invention education. The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s in invention were extracted for a survey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revised and validated by the technology and invention education exper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56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directly by researcher. 49 of 5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utilized for SPSS 21.0K. The reliability of survey is Cronbach's alpha value 0.891.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must be chosen as a core curriculum for the ‘how to make the Invention product ', ‘patents and Intellectual Property'. Second, direct method focused on practice and indirect one focused on teaching cases should actively utiliz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field and acquire the practical skills. Third, avoiding the bulk form of the training, and it is preferable to examine the ability of the participants in advance by training a group organized to operate the training . Fourth, after the integrated training even organized a difficult situation, it is desirable to allow supplementary education level must be made.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 기술 교사의 발명 교육 내용 지식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위한 효율적인 발명 연수 프로그램 개발 전략을 도출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기술교사교육 및 발명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기술 교사를 위한 발명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조사도구에 대하여 관련 전문가 3인에게 내용검토를 받아 수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기술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참여자 56명이었으며, 총 49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21.0K를 활용하였으며 통계에 사용된 유의수준은 5%(α=0.05)로 설정하였다.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알파 값이 .891로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기술 교사들을 위해 ‘발명품 제작’, ‘특허와 지식재산’에 대한 내용을핵심 교육내용으로 선정해야 한다. 둘째, 교육 현장의 어려움 해소를 위하여 ‘실제적 운영 방안’을 체득할 수 있도록 ‘실습위주의 직접 체험 방법’ 또는 ‘사례 중심의 간접 체험 방법’을 적극 활용해야한다. 셋째, 일괄적인 형태의 연수를 지양하고, 연수 참여자의 능력을 사전에 조사하여집단 편성을 통하여 연수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수준별 편성이 어려운 상황이라도 통합 연수 후 반드시 수준별 보충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발명교육요구 인식망 분석에 따른 발명교육 방향 탐색

        임윤진,정동훈,이동원,윤주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단계의 발명교육에서 학습자가 원하는 발명교육활동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요구하는 발명교육 활동 간의 연결망을 통하여 효과적인 초등단계의 발명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부산․경남․전북 지역의 초등학교 4, 5, 6학년 678명이며, 조사도구는 초등 단계의 발명교육 활동에 관한 문항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전문가 4인으로부터 내용 검토를 받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제시된 발명교육 활동내용 20개에 대하여 희망하는 교육활동 10개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제시된 내용외의 희망하는 발명교육활동을 개방형으로 적도록 하였다. 조사도구의 분석은 기술적 통계처리를 위하여 SPSS 23K와 EXCEL을 활용하였으며, 선택한 발명교육 활동 간의 의미 연결망 작성을 위하여 KrKwic(Kwords, KrTitle)과 UCINET 6.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결망의 이미지는 Netdraw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발명교육 경험은 교과목 수업 형태가 가장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이 원하는 발명교육 활동은 ‘발명품을 실제로 만들어 보기’와 ‘자연 속 발명 아이디어들’, ‘생활 속 발명품 찾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원하는 발명교육 활동의 의미연결망 중심 요소는 ‘발명품 실제로 만들어 보기’가 가장 중심에 위치하였으며, ‘발명 활동 평가하기’, ‘생활 속 발명품 찾기’ 그리고 ‘나도 특허를 낼 수 있을까’ 등이 높은 빈도와 연결밀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학년 및 발명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희망하는 발명교육 활동의 유형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향후 초등학교 단계의 발명교육에서 교과목을 통한 발명교육 활동에서 학생들이 원하는 교육활동을 반영하는 수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students want to do for invention educa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education and to find out what the most effective invention education should be by implementing invention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s.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678 students of 4th, 5th and 6th graders in areas of Busan, Gyeongnam, and Jeonbuk. The research tool which had been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a questionnaire about elementary inventional educational activities. Prior to being used, the questionnaire had been reviewed by four educational expert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20 options about invention educational activities, from which the participants were asked 10. In addition, open-ended questions were presented for the participants to write what they want to do for the activities. The program used to analyze the result for descriptive statistics were SPSS 23K and EXCEL. KrKwic(Kwords, KrTitle) and UCINET 6.0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 for semantic network. The semantic network image was developed through Netdraw.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high percentage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level were exposed to invention education through subject learning. Second, the highest ranked activities that the students wanted were ‘Making invented inventions’, ‘The Ideas of Nature in Nature’, and ‘Finding Your Life Inventions’. Third, the image from the semantic network shows ‘Making invented inventions’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with‘Evaluating the invention activity’,‘Finding Your Life Inventions’, and ‘Can I have a patent, too’. layering away from the center. These layers are strongly related to each other. Lastly, the students showed different interests in types of invention educational activities not based upon their gender, but based upon their grade levels and invention educational experiences. Thus, it is necessary to have invention educational activity class which is developed based on what students want in the elementary level.

      • KCI등재후보

        초등 발명영재와 일반 학생의 기술적 사고 성향 및 문제해결과정에서의 메타인지 활용에 관한 비교 연구

        임윤진,정정숙,남광현,윤주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발명영재의 특성을 기술적 사고 성향과 문제해결과정에서의 메타인지의 활용에 대하여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발명영재를 선발할 때, 학생들의 기술적 사고 성향과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날 발명영재성을 파악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기술적 사고 성향과 메타인지 활용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조사 도구를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초등발명영재학생 297명, 일반학생은 451명으로 총748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신뢰도는 기술적 사고 성향은 Cronbach’s α계수 .959이고, 문제해결과정에서 메타인지 활용은 Cronbach’s α계수 .961였다. 자료의 배부와 수집은 인편과 e-mail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2.0K를 활용하였다. 기술적 사고 성향과 문제해결과정에서의 메타인지 활용에 대한 비교는 조사도구를 통해 산출된 t-검증과 F-검증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전문가 3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발명영재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해 기술적 사고 성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 발명영재학생은 문제해결과정에서 메타인지를 일반학생에 비해 높게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기술적 사고 성향 점수가 높은 초등학생은 메타인지의 활용 점수가 높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gifted student and general students about the use of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utilization of meta-cognition on problem solving. And through this study, teachers can find properties to recommend student through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The target of this study,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use of literature study survey, remake survey tools through the examination of expert. The subject of this study,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297 invention talent students, and 451 general students, total 748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that was used in the study,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is a Cronbach’s a coefficient .959, in the course of solving problems the use of meta cognition was Cronbach’s a coefficient .961.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data was done through personal service and e-mail, the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22.0K.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n the course of solving problems the use of meta cognition were analyzed by survey tools t-verification and F-verification. The analysis result was modified and supplementation through the data analysis was reviewed by 3 exper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vention gifted elementary student can see the higher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than general students. Second, Invention gifted elementary student can see use more meta cognitions than general students through solving problems. Third, the high score of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student will be higher score of utilization of meta cognition.

      • KCI등재

        발명교육활동 관찰 및 분석 도구 개발

        임윤진,손영은,이동원,조한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bservation and analysis instrument for invention educational activities for monitoring and improv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inventions. For this study, a draft of observation and analysis instrument was developed through review of literatures. It was validated through opinion gathering from 10 experts of invention educational expert opinion convergence based on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of Fehring (1987).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ame of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invention education activity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of observation object, observation phase and observation contents. Second, the instrument for observing and analyzing invention education activities are composed of analysts, observation subjects, observation class contents, teacher observation and analysis, student observation and analysi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ask observation and analysis. Third, the developed tools were designed to describe opinions and general opinions about individual observation factors besides the 5 - point Likert scal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educational activities will be improved in addition to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monitoring of future invention education activities. 이 연구는 학교 및 발명교육센터 등에서 이루어지는 발명교육활동의 분석과 질적 제고를 위한 관찰 및 분석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관찰 및 분석 도구의 초안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발명교육현장 전문가와 발명교육연구 전문가 10인으로부터 의견 수렴을 통해 타당화 하였다. 전문가 의견수렴은 Fehring(1987)의 내용타당도 지수(CVI)를 근거로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활동의 관찰 및 분석의 틀은 관찰대상, 관찰단계 그리고 관찰내용의 3차원으로 구성된다. 둘째, 발명교육활동 관찰 및 분석의 도구는 분석자, 관찰 대상, 관찰 수업 내용, 교사 관찰 및 분석, 학생 관찰 및 분석, 교육환경과 과제 관찰 및 분석으로 구성된다. 셋째, 개발된 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 외에 개별 관찰요소에 대한 의견 및 종합 의견을 기술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발명교육활동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질적인 평가 외에 교육활동 개선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중요도와 곤란도 인식 분석을 통한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임윤진,최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명 아이디어의 시각화 교육 능력 함양을 위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지도의 중요도와 곤란도를 조사 및 분석하여 시각화 교육에 관한 전문성 신장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관련 문헌조사,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 C대학과 K대학의 발명교사교육센터 직무연수에 참여한 교사 142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계수 .875였다. 자료의 배부와 수집은 인편과 e-mail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2.0K를 활용하였다. 발명 직무연수 방안의 탐색은 조사도구를 통해 산출된 중요도와 곤란도를 바탕으로 제안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전문가 3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의 곤란도는 보통이상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중요도와 곤란도 분석을 통하여 발명 아이디어 시각화 교육을 위해 가장 시급한 연수 프로그램은 ‘발명 아이디어 구상’과 ‘제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way enhancing the profession of invention idea visualization for teacher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142 teachers participated i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at C Univ. and K educational Univ.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2 researchers and reviewed by 3 experts.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was Cronbach’s α coefficient .875.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direct delivery and by an e-mail, collected data were applied in the analysis. Analysis of the data by utilizing SPSS 22.0K. To find how to enhance the profession of educating the invention idea visualization, the importance and difficulty analysis matrix was used. The results through the data analysis was reviewed by 3 exper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recognized that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invention ideas’ visualization. Second,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Invention education program recognized that the invention ideas’ visualization educating difficulty level is usually above. Third, the most urgent programs for educating of invention ideas’s visualization were 'visualize invention ideas' and 'drawing'.

      • KCI등재

        기술⋅가정과 생활자립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자료 개발 및 적용

        임윤진,김은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perception of ways to align instruction with evalu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independent living competencies, and to provide examples of alignment in practice.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data from a Delphi study (10 experts) and a survey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n=422). The results of survey indicated that experts and teachers perceived the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to be most appropriate for project learning-project assessment, followed by project learning-portfolio assessment, problem solving learning-portfolio assessment, and problem solving learning-project assessment, in order.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model of 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and a teaching-learing plan were presented, based on ‘Development task of life cycle and Life plan’ unit. This was considered to be a proper method of instructional alignmen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independent living competence’ with project-learning/project-assessment. The model focuses on consistency between instruction and evaluation, unity in methods, and the availablility of feedbacks of assessment for the improvement of independent living competencie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assessment alignment. Diverse methods of instruction-evaluation alignment is expected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활자립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안에대한 가정교과 전문가와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고, 이 결과에 따라 교수학습-평가 설계안을 구상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사례를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교과 전문가 10명의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와가정과교사 422명의 설문조사에서 생활자립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식으로 프로젝트 학습-프로젝트 평가, 프로젝트 학습-포트폴리오 평가, 문제해결학습-포트폴리오 평가, 문제해결학습-프로젝트 평가 순으로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생활자립역량 함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생애주기별 발달 과업과 생애 설계’ 단원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학습-프로젝트 평가 방법을 연계하여 교수학습-평가 과정 예시안 개발 및 적용한 수업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위한 교수학습-평가 활동의 일관성, 방법의 통일성, 평가의 환류성에 초점을 둔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교과역량별 교수학습-평가 연계 방안에 대한 다양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