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김수은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2 No.-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ccumulated results and to seek new directions of research on Korean spoke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and in order to do that, reviewed 19 Korean dissertations and 56 articles, either published in scientific journals or presented at conferences. This study analyzed these 75 articles by year, extracted common themes in the research, and established the following questions that embrace the key words of spoken language research: What is spoken language (grammar)?; What aspects of spoken language can be analyzed?; How can spoken language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 can spoken language be evaluated? Based on these four issues, the concerns and views of research on spoke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presented. Research on spoken language education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making actual developments in the 2000’s, and has showed a significant upward trend since 2009, which is in alignment with the recent tren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emphasizes communication and practicality. This study was able to draw certain implications while examining the research trend. First, elaboration on the function of spoken language in communication and the acceptance range is needed. Second, although research on aspects of learners’ usage of spoken language and application of spoken corpus has actively been conducted, the themes and range of the analysis were limited; and therefore, further studies with more various and specifie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hird, the purpose of spoke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clarified and specific goals and contents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 by learners and by levels. Finally, research on Korean spoken language evaluation has been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areas; as a result, specific principles, tools, and standards of evaluation should be prepared.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축적된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교육) 연구의 성과를 점검하고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 18편과 학술 저널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 55편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이 73편의 연구를 연도별로 분석하고, 연구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 주제를 추출하여 구어 연구의 키워드를 포괄할 수 있는 ‘한국어 구어(문법)의 특성은 무엇인가’, ‘무엇을 대상으로 구어를 분석할 것인가?’, ‘한국어교육에서 구어를 어떻게 교육할 수 있는가’, ‘구어는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의 질문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네 쟁점을 통해 한국어교육에서의 구어 교육 연구가 어떤 관심사와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정리했다. 한국어교육에서 구어 교육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 본격적인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2009년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최근 의사소통과 실제성을 강조하는 한국어교육의 시류와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연구 동향을 파악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의사소통에서의 구어의 역할과 수용 범위에 대해 상세화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구어 사용 양상과 구어 말뭉치 활용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나, 분석의 주제와 범위가 제한적이었으므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구어 교육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구체적인 학습자별, 수준별 목표와 내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구어 평가는 다른 영역에 비해 연구가 미진했으므로, 평가의 원리와 도구, 기준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비구어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에 대한 범위연구

        최진희,김유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literature in both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on the communi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 Using the scoping study method as one type of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72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study design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research themes. Result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while students with severe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nd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ook part in the majority of studies, there is international research that studied students with visual/hearing and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most studies employed single-case research designs and a small number of studies using qualitative research designs or mixed-method designs. Third, targeted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1) characteristics of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2) factors influencing communi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3) communication interven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구어 중도중복장애 학생 의사소통 관련한 국내외 논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비구어 중도중복장애 학생 의사소통 지도 관련한 향후 연구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의 한 방법인 범위연구(scoping study)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범위연구 방법의 절차에 따라 비구어 중도중복장애 학생 의사소통과 관련된 선행연구 총 72편을 선정하고, 선정된 논문들을 연구 참여자, 연구방법, 자료수집 방법,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국내외 모두 중도자폐성장애와 중도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시·청각중복장애 대상 연구는 국외에서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전체 연구 중 단일대상설계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질적연구와 혼합연구를 적용한 연구도 있었다. 셋째, 지금까지 이루어진 비구어 중도중복장애 학생 의사소통 관련 연구들을 하위주제별로 나누어 보면 (1) 비구어 중도중복장애 학생 의사소통 특성, (2)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의사소통 중재 및 특성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중재연구 중에서는 AAC와 현경중심언어중재를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결론: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비구어 및 무발화 학생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 2009~2019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김아영,성소영,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9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6

        본 연구는 비구어 및 무발화 단계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의사소통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1년 간 발간된 국내의 학위 및 학술지 논문 중 비구어, 무발화 의사소통 단계에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선정하여 일반적인 연구 동향, 연구 유형을 분석하고, 실험연구인 경우는 구체적인 연구 대상, 중재환경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동향은 중재논문이 주를 이루었고 연구 유형에서 연구 대상의 경우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기타장애의 순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실험 연구의 독립변인은 보완대체의사소통과 관련된 것이 가장 많았으며, 종속변인은 대부분 의사소통 기능이나 수단으로 설정되었다. 연구방법은 주로 단일대상 연구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비구어 및 무발화 장애학생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 2000년 이후의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강혜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3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research trend on communicati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in the noverbal stage, and use nonsymbolic communication methods. To that end, the study selected the academic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3 which had focused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onverbal, nonspeaking, and unphonetic language stage. The study scrutinized the topics and types of researches, and in case of experimental studies, dissected specific individual study subjects, intervention environ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when studi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was the most popularly discussed topic, and the most popular type of research was an experimental study. Among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studies, children with autism was the most popular subject followed by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erebral palsy. Recent trend showed the attempts to assess nonsymbolic communication and, attempts to connect communication and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discussed future direction of researches based on these outcome. 본 연구는 비상징적 의사소통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비구어 및 무발화 단계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의사소통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13년 간 발간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비구어, 무발화, 비음성적 언어단계에 있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선정하여 일반적인 연구 주제, 연구 유형을 분석하고, 실험연구인 경우는 구체적인 연구 대상, 중재환경과 중재전략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주제는 보완대체의사소통과 관련된 것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 유형은 실험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비구어, 무발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 대상은 자폐성장애, 지적장애학생, 뇌성마비장애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비상징적 의사소통단계의 진단과 의사소통을 국어교과와 연계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국어 자동 번역 시스템 현황과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

        신경미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6 No.-

        본고에서는 현재의 자동 번역 시스템을 중국어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지금의 자동 번역시스템들은 인간처럼 해당 언어를 이해하고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닌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적으로 산출해 주는 것이다. 이로 인해 중국어의 경우 여러 가지 자체만의 특징을가지고 있어 자동 번역 시스템에서 해결할 수 없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앞으로 중국어 연구도 자동 번역 시스템의 설계와 구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금보다 더욱세밀화, 체계화 및 데이터화 되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현재 제4차 산업과 관련한 연구와 개발에 있어서 이ㆍ공계열 분야의 연구는 매우 활발하고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순수 학문과 관련된 인문학 분야는 크게 기여하지 못 하고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의 중국어 연구도 이전과 같이 완전한 순수 언어학 분야와관련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 번역 시스템과 같은 인공지능 기기의 연구 및개발에 일차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만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이러한 연구에 기여했던 전산언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또 다른 순수 언어학 이론에 근거한 중국어 연구를 진행하되, 지금보다 더욱 인공지능 사업에 기여할 수 있는 과제들을 몇가지 제시해 보았다. 이러한 과제들은 다시 세분화 하여 새로운 주제를 선정하거나 다양한 다른 연구 방법을 간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들은 향후 개인연구뿐만 아니라 공동연구 과제로도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explains the Machine Translation System(MTS) in relation to the Chinese language. We already know the MTS does not show a result based on understanding about the language, but it merely shows the result based on the entered data. Furthermore, Chinese has many unique characteristics that can not be solved by the MTS. Hence, many errors occur in the MTS. Thus, in the future, Chinese studies should be more detailed and systemized in order to design an MTS for Chinese. Until now, the studies on linguistics, except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have not contributed greatly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Therefore, this paper explains that other Chinese studies as well as computational linguistics need to be changed to facilitat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some of the related projects in the hope that these projects will be conducted as a joint research project in the future. Through this paper, it is hoped that not only Chinese linguists but other linguists will also be able to conduct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 복잡성 발달에 대한 종적 연구

        김효은,심지연,이선영,최유진 이중언어학회 2022 이중언어학 Vol.86 No.-

        This study analyzed syntactic complexity development in learners in the initial step of learning Korean longitudinally and examined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syntactic complexity development. Syntactic complexity is a language’s structural complexity, and it can be investigated by converting the degree of complexity in the connection of sentences, phrases, or clauses into values. To analyze syntactic complexity development in learners’ spoken language longitudinally, the research team used ‘Korean learners’ longitudinal spoken language corpus’ consisting of 85,620 phrases and 11,640 sentences from eight beginner-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free conversation utterances collected through seven sessions for five months. Also, analysis was done by setting analysis units of spoken language syntactic complexity as words, phrases, clauses (coordinate & subordinate clauses), and AS-uni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s their learning proceeded, their syntactic complexity increased in general, but temporarily, the development was either delayed or set back, too. Also, in sentential extension, the use of subordinate clause had more influence on the learner’s development of syntactic complexity than coordinate clause; however, individual difference existed in syntactic complexity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found implications about education for connective endings and the necessity to conduct research on personal variables regarding syntactic complexity development and follow-up research on syntactic complexity of Korean learner’s spoken language.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d the point that AS-units can be used as a analysis unit to determine syntactic complexity of learner’s spoken language.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 있는 학습자들의 구어 자료를 종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통사 복잡성 발달의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통사 복잡성은 언어의 구조적 복잡성이며, 문장, 절, 구 등의 연결이 복잡한 정도를 수치화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구어 통사 복잡성 발달을 종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5개월간 7회에 걸쳐 수집한 초급 한국어 학습자 8명의 자유 대화 발화 85,620어절, 11,640문장으로 구성된 ‘한국어 학습자 종적 구어 말뭉치’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구어 말뭉치의 단어, 어절, 절(대등절, 종속절), AS-unit을 학습자 구어 통사 복잡성의 분석 단위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이 진행될수록 학습자의 전반적인 통사 복잡성이 증가하였으나, 일시적으로 발달이 지연되거나 후퇴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문장 확장에서 대등절보다 종속절에 의한 통사 복잡성발달이 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통사 복잡성 발달에 개인차가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연결어미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알 수 있었고, 통사 복잡성 발달의 개인적 변인에 대한 연구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통사 복잡성을 판단하는 단위로 AS-unit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日本語中間言語のノダの特性に関する研究

        梁乃允(양내윤) 한국일본어학회 2018 日本語學硏究 Vol.0 No.56

        본고는 중간언어를 목표언어에 도달하기 위해 끊임없이 독자적인 체계를 구축해 가는, 발전적이며 동적인 존재라고 규정하고, 일본어 중간언어에 나타나는 noda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학습자들의 noda 사용 실태에 대한 기술을 통해 ‘일본어 학습자들은 정중체의 대화(구어체 대화)에서 정중체를 만드는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유창하게 말하기 위해 noda를 사용한다’는 가설을 세우고, 본 가설을 검증하는 가설검증형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학습자는 문어체보다 구어체에서, 구어체에서도 보통체보다 정중체에서 noda를 월등히 많이 사용한다. (2) noda의 조기(早期) 사용 및 다용(多用), noda와 종조사와의 공기(共起) 관계, 동사술어문과의 친화성 등 학습자의 ‘정중체 대화’ 에서 확인된 noda 사용상의 특징이, ‘정중체의 작문’ 및 ‘보통체의 대화’ 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3) 학습자들은 일본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수단으로서 noda를 사용하여 문말표현 처리의 간소화 및 자동화를 도모한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일본어 학습자들은 정중체의 대화([+oral])에서 정중체([+formal])를 만드는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유창하게 ([+fluent]) 말하기 위해 noda를 사용한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에 학습자들은 일본어 문말표현의 복잡한 절차를 간략화하면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서 noda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유창성을 드러내면서 일본어다움을 추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defines an interlanguage as a dynamic entity that builds an independent system to reach a target language, and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oda in the Japanese interlanguage. This study describes Japanese language learners` use of noda by formulating the hypothesis that Japanese language learners use noda in their keigo, or honorific speech, to speak fluently while alleviating the burden of forming polite language, and tests this hypothe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age of noda in the Japanese interlanguage are more prominent in the colloquial (oral) style than the literary style and in the polite (and formal) form than the normal (plain) form. (2) The characteristics of noda, such as its early and frequent use, co-occurrence with final particles, and affinity with verbal predicates, which were found in polite conversations, were not observed in writings in the polite form or conversations in the normal form. (3) Learners appear to use noda as a means to exercise a fluent command of Japanese, aiming to simplify and automate sentence-ending expressions. Through such considerations, this study was able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Japanese learners use noda to attenuate the burden of using the polite and formal form in polite conversations (and oral language) while speaking fluently. Therefore, learners appear to use noda as a means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capability by streamlining the complex procedures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and then pursue natural use of the Japanese language while demonstrating their fluency.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의문사 발달 연구

        이유경,정미경,박아름,김지예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7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문사 습득과 발달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의 종적 구어 말뭉치를 구축하여 의문사 12개에 대한 용례 1,394개를 확보하고 의문사별로 사용 빈도, 출현 시기, 오류 양상,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문사 사용 빈도는 ‘무엇(뭐)’, ‘어떻게’, ‘왜’, ‘무슨’, ‘어디’, ‘어떤’, ‘언제’, ‘몇’, ‘어떻-’, ‘얼마’, ‘누구’, ‘어느’ 순이었으며, 이 중에서 ‘무엇’은 학습과 동시에 자주, 정확하게 사용되었다. ‘어떻게’ 역시 학습 초기부터 높은 사용 빈도, 정확도를 보였으나 한국어 표현에 대한 정형화된 의문문이 많았다. ‘어떻-’, ‘얼마’, ‘누구’, ‘어느’는 사용 빈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정확도 역시 상대적으로 낮아 의문사들 간의 학습과 사용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의문사의 출현 시기와 교재 제시 시기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 초기부터 교재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된 의문사는 학습과 동시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의문사의 경우 낮은 출현 빈도, 낮은 정확도를 보이다가 고급에서 사용 빈도와 정확도가 높아졌다. 셋째, 학습자의 대치 오류 중에서는 ‘무엇’, ‘무슨’, ‘어디’가 많았으며, 누락 및 형태 오류로는 ‘어떻게’, ‘왜’, ‘어떤’의 사용 오류가 많이 발생하였다. ‘어떻게’, ‘왜’의 경우 절을 구성하는 ‘-지’의 결합 오류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는 의문사 중에서도 특히 ‘어느’, ‘어떤’, ‘무슨’의 의미를 정확하게 변별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재의 의문사 제시 상황으로 유추해 볼 때 의문사를 목표 어휘로서 명시적인 제시설명이나 비교 설명의 기회가 부족하여 의문사 간의 의미 차이나 사용 방법에 대해 충분히 인식할 수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학습자의 의문사 사용에서 정확도의 변화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언어 습득은 U자형 패턴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의문사에 따라 U자형 패턴뿐만 아니라 습득 유지, 지속적 상승, 습득 후퇴의 여러 패턴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의문사 습득과 발달의 양상을 학습자의 종적 구어 말뭉치를 통해 면밀하게 살펴본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습득 연구 -대화 기반 종적 구어 말뭉치 분석을 바탕으로-

        이승연 ( Lee Seung-yeon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5 No.-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중간언어에서 부사격 조사가 습득되는 순서를 파악하고, 구체적인 습득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급으로 제한하였으며 총 8명의 초급 학습자로부터 자유대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5개월동안 주기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총 85,620어절의 구어 발화를 확보하였으며, 부사격 조사의 사용 유형을 나누고 주석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사격 조사는 ‘에, 에서, 하고, 보다 > (으)로 > 에게, 께, 랑 > 한테 > 에게서, 와/과 >처럼’ 순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학습 기간이 지나면서 각 부사격 조사의 의미가 분화, 확장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학습 초기에는 규칙성과 정확도가 높았던 조사들이 학습 기간이 경과하면서 오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중간언어의 조사 사용의 규칙이 복잡해지면서 학습자가 다양한 방식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현상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부사격 조사 중에는 어휘와 함께 정형 표현처럼 습득된 후 통사적 생성을 하게 되는 부류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조사들은 학습 단계에서 문형으로 제시될 때 습득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교재와 교사 말이 학습자의 문법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교재 및 수업안을 개발할 때도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order in which adverbial particles are acquired in the interlanguag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aims to illustrate the specific aspect of the acquisition.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beginner’s level learners, and from a total of 8 learners, we have accumulated free conversation data. With periodic interviews for 5 months, we collected 85,620 words of spoken data, categorized adverbial particles according to their usage type, and analyzed these particles through annotation. It was revealed that adverbial particles develop in the order of ‘ey, eyse, hako, pota > (u)lo > eykey, kkey, lang > hanthey > eykeyse, wa/kwa > chelem’. As learning progresses, the meaning of each adverbial particles was found to be differentiated and expanded. Meanwhile, as learning progresses, learners seemed to misuse some particles which they rather accurately used at early stag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ata, it has been revealed that particular adverbial particles are first acquired by formulaic expression and later develop syntactic 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providing these particles in grammar patterns will positively affect the process of its acquisition. Furthermore, it has been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be cautious about the effects that textbooks and teacher talks in teaching can cause in the learners’ grammar development process.

      • KCI등재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관형절 발달에 대한 종적 연구

        이선영(Lee, Sunyoung),최은지(Choi, Eunji)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관형절 사용의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어 학습 초기에 학습자들이 어떻게 관계관형절을 습득해 나가는지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5개월 동안 7회에 걸쳐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자유 대화를 녹음하고, 이를 말뭉치로 구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85,620어절, 11,604문장 중에서 관계관형절을 만드는 데에 사용된 전성어미 사례는 287건이었다. 관계관형절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한 지 3개월의 후반부가 될 때 관계관형절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관계관형절의 빈도와 비율이 높아지고, 발화자 수가 확대되었다. 또한 관계관형절의 어절 수가 늘어나며, 관계관형절의 용언 유형도 다양해졌다. 다음으로 관계관형절의 정확도는 전반적으로는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지만, 학습자별로 편차가 있었고 정확도의 증가 추세가 안정적이라고 보기 어려웠다. 한편 학습자들이 산출한 오류를 분석한 결과 초반에는 통사적 오류의 비중이 높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형태적 오류의 비중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관계관형절 내 명사구의 기능을 분석한 결과, ‘주격>목적격≑부사격’의 순으로 나타나 명사구위계가설을 지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relative adnominal clauses by beginner-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observes how learners acquire the relative adnominal clause in the early day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o this end, this study recorded the free conversation of beginner-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7 times in 5 months and established it as corpus. 85,620 clauses and 11,604 sentences in total are collected, among them 287 cases of transformative suffix are used to create relative adnominal clau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 pattern of relative adnominal clause, the relative adnominal clause started to appear in a full scale at the end of 3 months since learners started to learn Korean, and the frequency and the ratio of relative adnominal clause ha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speaker expanded over time. In addition, the increasing number of relative adnominal clause has brought the diversity in predicate type of relative adnominal clause. Next, the accuracy of relative adnominal clause showed the trend of overall high, but there exist the deviations depending on the learners, and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e trend of accuracy increase is stable.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rrors of learners, the ratio of syntax error was hight in the early period but the ratio of type error has increased over time.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unction of noun phrase in relative adnominal clause, the result was derived in the order of ‘the subjective case> the objective case ≑ adverbial case’, supporting the noun phrase hierarchy hypo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