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因德育敎材中的俸人及中國德育的分析

        한흥식,조금주,말미경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교사교육연구 Vol.50 No.1

        이글에서는 중국 도덕교육 교재에 나타난 위인들을 통해 중국도덕교육의 기본 노선과 방법을 분석하였다. 중국 도덕교육의 긍정적 성과와 더불어 주요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개선 가능한 방법에 대한 몇 가지 건설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중등교육에서의 도덕 교육은 初中(중학교), 高中(고등학교) 두 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필자는 먼저 중학교 교자내용을 통합적으로 정리, 분석하고 교재에 나타난 위인들을 소개하면서 그 사례와 내용이 학생들의 심리적 특징과 부합하는 지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교재 중에는 위인들의 사례가 희소하였는데 그것은 고등학생들의 심리발전단계, 사유 발전적 특징과 직접적요로 관련이 있다. 교재를 분석하면서 팔자는 중 국 도덕교육의 효율성을 저하사키는 원인으로, 공리주의적 태도, 평가의 단일화, 교재내용의 부적절성 등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중국도덕교육의 발전을 위해서, 도덕교육 체제의 개혁, 교사의 자질제 꾀 교육철학의 변화, 교육방법개선 둥을 제안하였다. 本文拭圖種對中國德育敎材中出現的偉人的素理中,分析中國德育敎育的基本思路和方法。 倂以此力位出發点,在肯定中國德育敎育的成果的同時,指出了中國德育敎育存在的主要問題,倂分析了原因,最后嘗試拭若力中國德育敎育發展探尋一條可行的道路,提出建役性的想法。中國中學德育敎育分爲初中和高中二個防段。筆者首先結合初中敎材相夫的內容,介紹了敎材中的出現的偉人, 指出這些偉人以及事例的選定, 符合初中學生的心理特点; 而在高中敎材中, 偉人的事例出現了的敎少, 這是和高中生心理和思維發展的特点直接相關的。在分析敎材的基出上,筆者進一步指出中國德育敎育存在的問題是效率的低下, 種德育敎育的功利性, 評价標准的單一化及敎材內容的不穩定性三方方面分析了原因。最后, 種德育敎育體制改革, 新的德育敎材體系的購建, 敎育水平的提高, 敎育關念的轉變, 敎育手段的改善等方面提出了筆者關于中國德育敎育發展的一些想法。

      • KCI등재

        한국어 듣기 교재에 대한 텍스트기호학적 분석

        백승주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1 No.-

        In contrast to other classes where learners can check their learning content when they need it, it is difficult in listening classes. The only time learners can check the ‘listening content’ is while performing listening activities. Due to these limitations, the composition of listening textbooks is more difficult than in other textbooks. The listening textbook’s text is the only clue learners can rely on for understanding listening content, whereas for instructors, it is the only tool that can provide learners with input and output opportun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se restrictions are overcome in Korean listening subject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ext-semiotic analysis. To this end, the two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ext-semiotic analysis was performed following two procedures. The first analysis procedure is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 participants and the acceptance pattern of text.’ This analysis includes ‘classroom situation analysis,’ ‘class situation analysis,’ and ‘teacher and learner situation analysis.’ The second analysis procedure is ‘text structure analysis,’ which includes ‘separate partial text from the full text and superficial communication function analysis,’ ‘Analysis of the usage patterns and relationships of language signs and visual signs,’ and ‘interpretation of partial text function and teaching learn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class stag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wo textbooks were based on the same teaching method and listening model,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various points. In the case of textbook A, one listening content was designed to be taught and learned through 10 partial texts, whereas in the case of textbook B, two listening contents were composed of five partial tex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terns of coherence and cohesion between the partial texts of textbook A and textbook B appeared differently. Textbook A provides learners with abundant input and output opportunities. However, in the case of textbook B, it was found that coherence and cohesion were weak, and thus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input and output is insufficient. 필요할 때 교수학습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다른 과목과는 달리 듣기 수업은 교수학습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듣기 내용’은 듣기 활동을 수행할 때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제약 때문에 듣기 교재의 구성은 다른 교재에 비해 더 까다롭다. 듣기 교재텍스트는 학습자에게는 의존할 수 있는 유일한 단서이고, 교수자에게 입력과 출력 기회를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듣기 과목 교재에서 이런 제약을어떤 방식으로 극복하고 있는지를 텍스트기호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과, 하향식 듣기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두 교재를 비교 분석하였다. 텍스트기호학적 분석은 크게 두 가지 절차를 따라 수행되었다. 첫 번째 분석 절차는 ‘의사소통 참여자 및 텍스트의 수용 양상’ 분석이다. 이 분석에는 ‘교실 상황 분석’, ‘수업 상황 분석’, ‘교사 및 학습자 상황 분석’이 포함된다. 두 번째 분석 절차는 ‘텍스트 구조 분석’으로이 절차 안에는 ‘부분텍스트 판정 및 표면적 의사소통 기능 분석’, ‘언어기호 및 시각기호의 사용 양상 및 관계 파악’, ‘수업 단계에 따른 부분텍스트의 기능 및 교수 학습 의의 분석’이 포함된다. 분석 결과 두 교재가 같은 교수법과 듣기 모형에 기반하고 있지만, 여러가지 지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교재의 경우 하나의 듣기 내용을부분 텍스트 10개를 통해 교수 학습하도록 설계되어 있었지만, B 교재의 경우 두 개의 듣기 내용을 5개의 부분 텍스트로 구성하고 있었다. A 교재와 B교재의 부분 텍스트들 간의응집성과 응결성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교재는 부분 텍스트들이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 긴밀하게 결속되어 있어, 학습자에게 풍부한 입력과출력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B교재의 경우는 응집성과 응결성이 약하고, 따라서입력과 출력의 기회 제공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영재교육 교재 적합도 및 교육내용 분석

        양태연,이정훈,박인호,김일,한기순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3 과학영재교육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교육청 산하 영재교육기관(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 등)에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영재교육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영재교재로서 적합한지, 그리고 우수교재와 비우수교재로선정된 교재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영재교육 교재는 총 10개 기관 779개의 주제였으며, 과목은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5개 과목이었다. 영재교육교재로서의 적합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가 틀을 제작하여 전체 779개의 주제에 대한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각 기관별 영재교재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문호(2008)가 개발한 영재프로그램 지면 평가틀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영재교재의 분석 및 적합도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우수교재와 비우수교재의 선정기준 및 적합도분석에 대하여 총 3번의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대학교수, 영재교육(석, 박사)을 전공하고있는 현직 중등교사(수학/과학담당), 그리고 영재교육기관의 영재교육 전공 연구원 등 총 12명이 분석에 참여하였다. 교재 분석 및 적합도 평가에서의 채점자간 신뢰도는 .88 .92 로 보고되었다. 기관별 교재가 영재교재로서적합한지를 분석한 결과 전체 779개의 주제 중 53.9%는 적절하다고 평가되었고, 28.1%는 부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779개의 주제 중 매우 적절하다고 평가된 주제는 18%이었다. 영재교재의 적합도는 지역간, 영재교육기관별, 과목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영재교재로서 적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교재와 비우수교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과학의 사회적 책임 및 과학자의 임무와 리더십’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used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s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ies and educational districts offic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eatures of excellent and non-excellent teaching materials for gifted students. The gifted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included 779 themes at 10 institutes in two metropolitan areas. The 영재교육 교재 적합도 및 교육내용 분석 13 subjects include 5 academic domains such as mathematic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Jung(2008)’s frame was revised and used for the analysis. Twelve experts in the gifted education area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and inter-rater reliability was .88- .92. Among the 779 themes analyzed in study, 53.9% was evaluated as the proper ones and 28.1% was considered unsuitable as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Only 18% out of the 779 themes was evaluated to be very desirable as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The appropriateness of gifted teaching materials significantly differed by region, gifted education institute, and subject areas. Overall,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aching material for the gifted was indicated to be low. Finally, the analysis of the features of proper and non-proper teaching material for the gifted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evaluation areas except one which was the ‘social responsibility in science and scientists’ task and leadership.’ Implications of the study was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KRITERIENKATALOG-PROTOTYP ZUR LEHRWERKANALYSE SOWIE-AUSWAHL

        KWAN Yeong-Sook(권영숙)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4

        외국어교육현장에서 교재가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크다. Quetz (1976)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교재가 외국어 교수 및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수업영향요인들과 비교해 볼 때 82%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권 나라들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수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언어 교수와 학습활동들이 교재에 의해 조정되기 때문이다. 외국어 교수 및 학습의 성공여부가 어떠한 교재를 사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에 교수 자는 학습자의 특성과 언어능력에 맞는 교재를 고르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이러한 현실적 문제에 직면하여 교재들의 장점과 단점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적합한 교재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재분석틀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교재분석틀이 교수자가 학습자들을 위한 적합한 교재를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 하에, 기존 교재분석의 이론연구 및 교재분석 틀에 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개방형 교재분석틀-프로토 타입을 설계하고자 한다. 개방형 교재분석틀-프로토 타입 설계하기 위해 첫 번째로 외국어교육에서의 교재의 기능 및 교재제작에 영향요인들 그리고 교재의 역사에 대해 살펴 보고, 두 번째로는 교재분석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한국의 교육 전통 및 교육학적 컨셉을 근거로 하는 교재평가 및 선별을 위한 개방형 교재분석틀-프로토 타입을 설계 제안하고자 한다. 향후 연구는 본 분석틀내의 카타로그들을 보완 수정하여 더욱 구체화하고 심화 발전시켜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Course books and teaching materials have numerous functions and play a decisive role in a foreign language class for enriching the class not only didactically but also methodologically. According to an empirical survey conducted by Quetz (1976), the impact of a course book including teaching materials on foreig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s higher than other factors, namely 82%. This phenomenon is no exception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becaus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foreign language classes are regulated by course books. Teachers make an effort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a course book, as success and failure of a foreign language class profoundly depends on what kind of teaching material is used in a class. Inappropriate material for students with uninteresting topics, texts and exercises that are too easy or too difficult, lead to the result that the students lose their interes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will be more successful, when teachers educate the students with a proper a course book or teaching materials. The question is, how teachers can make the right decision in regard to the quality of a course book or teaching materials, while comparing the merits and demerits. The analysis in this paper is supposed to support teachers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course book for the students by establishing a prototype of an open criteria catalogue for teaching materials based on previous theoretical analyses of course book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frames of course book analyses. The following are the two important considerations of this article: To create a prototype of a criteria catalogue for course books, it is first necessary to determine the function of the course book and evaluate its history, and second to establish an open-type analysis, found in preceding course book analyses. Further research requires the correction of the analysis frame of the catalogue, concretization of details and progressive developments, which underlie the pedagogical tradition and the educational concept of Korea.

      • KCI등재

        현장연구 전체 과정에서의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 활용방법 교육을 위한 실행연구

        이용숙 ( Yong Sook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1

        이 연구에서는 현장연구 전체의 각 단계에서 연구자가 재개발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교재로 만들고, 이 교재를 활용하여 〈 현장연구실습 〉1, 2,3 수업의 수강생과 〈 마케팅 에스노그라피 과정 〉(사회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에게 연구방법을 가르쳤다. 또한 수강생들의 연구과정에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실제로 적용하도록 지도하면서 시행착오를 찾아 교육방법과 교재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실행연구(actionresearch)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연구계획 단계, 자료수집 단계, 잠정적 목차 만들기와 수집된 자료의 코딩 단계, 추가적인 주요 연구주제 찾기 단계, 그리고 보고서 작성 단계에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2014년 1년간의 예비연구 단계에서는 교재 초안을 개발하여 현장연구 수업의 자료수집 및 분석 단계에서만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발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교재의 1차 수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단계인 2015년의 수업에서는 현장연구의 전체 과정에서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적용해보도록 하면서 교재를 계속 수정하여 완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시행착오도 있었는데, 한 번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재의 설명 제시가 불충분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수강생들은 교재에서 연구방법을 단계별로 세분해서 구체적으로 소개해 줄수록, 그리고 실제 적용사례를 다양하게 제공할수록 이해도가 높아졌다. 또한 수업 중 실습과 피드백을 통해서 분석과정 전체를 한 번 경험해보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했다. 수업 중 실습 직후에 본인의 연구에 빨리 적용하도록 해야 연구에서의 실제 사용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참여관찰과 면담 자료 분석 결과 학부 학생들이 분류체계분석과 성분분석을 비교적 쉽게 배워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인류학을 사전에 배운 적이 없는 사회교육과정 참가자들도 이 분석방법을 배워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rough the approach of action ethnography, this study developed educational methods to educate students how to apply taxonomy and componential analysis for the entire process of field research. The entire process of field research includes the phases of research design, data collection, construction of an outline of a research report, coding, finding additional important topics and writing a research report. For this purpose, educational material was preliminarily developed and used for a year during the pilot stage of the study in field research method class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in a continuing education course. Using this educational material, the researcher offered lectures and provided practice and feedback sessions during class and through an Internet forum for these classes. Each student conducted a required data collection using taxonomy and componential analysis which they learned through the class and practice sessions. Students also conducted two field research projects, first as a whole class team and second as a small research team or as individual researchers. During this stage,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and feedback from students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lthough the classes were rather successful, the researcher found several points to be improv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students. During the main research phase, the improved educational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a year in the same classes and the teaching methods, including the use of educational material, has been refined continuously based on the result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As a result, a set which includes nearly 100 pages of PPT lecture slides and training materials for practice was developed.

      • KCI등재

        ‘교직실무’ 교재내용 분석 및 교재 집필 방향

        권충훈(Choong-Hoon Kwon),조흥순(Heung-Soon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최근 국가의 교원자격검정령이 수정되었다. 교직실무 교과목은 교직소양 영역에서 신설되어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필수로 이수하도록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실무 교과목의 주요 교재들의 교재내용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교직실무 교재의 집필 방향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기초하여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최근 교직교과목의 변화와 일반적인 교재내용 선정 원리를 확인한다. 둘째, 교직실무 교재들의 저자 및 내용체계를 분석하여 경향을 파악한다. 셋째, 교직실무 교재 집필의 방향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출판 발간된 15종의 교직실무 관련 교재들을 분석하였다. 교재분석은 저자 수, 저자의 현(전)직 소속, 장 주제의 체계 등을 정리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직실무 교과목의 교재 집필의 방향으로서 국가의 관련 고시 기준의 수정 및 정비, 교육현장의 요구분석 작업 선행, 교직실무 교과목의 정체성 확보, 교육학계와 교육현장 전문가 공동 집필 등을 제안하고 있다. Recently, the criterion of teachers’ qualification has been changed in Korea. ‘Teaching Practice’ was included new subject in the teaching training system since 20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So the study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First, it is to identify the changes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he principles of collection on textbook materials. Second, it is to review the trends of the authors’ character and the textbook contents on ‘Teaching practice’. Finally, it is to proposal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llected 15 textbook published in Korea from 2009 to 2011.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earchers to present the authors’ number, authors’ position, the system of chapter topics on the textbook. Based on these finding, the proposition of the textbook writing were present as follows: First, to change the criterion of national documents. Second, to collect the needs on the school fields widely. Third, to grasp the unique identity of subject that is isolated from the previous subjects, Fourth, it is to promote the joint writing form which is include professors and experts in the school field.

      • KCI등재

        한국․중국․태국에서 출판된 초급 한국어 교재 삽화 분석 연구

        까녹건 딴야락,최향옥 한국국어교육학회 2018 새국어교육 Vol.0 No.11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llustrations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China, and Thailand over the past three years (2015-2017) fo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nd to find the error of illustrations. The analysis process is described as follow. First, according to developing a framework for analysis, a definition and a characteristic of illustration in the textbook were identified. Later on, the types of illustrations, presentation techniques, and expressive functions of Korean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riteria in the framework. Finally, the errors of illustrations were identified as well as the complete illustrations. After that, the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illustrations in Korean textbooks to be effective. This study is a study on Korean textbooks, and it is worthwhile to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be helpful for language education that based on this research, And would like to continue the study of Korean textbooks both at our country and abroad, so that can actively develop Korean textbooks with more effective illustrations. 본 연구는 근 3년(2015-2017년) 한국, 중국, 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삽화를 분석하여 3국에서 출판된 초급 교재 삽화가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고 오류 삽화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삽화를 추출하여 교재 삽화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언어교재 삽화의 정의와 특징을 알아보고 교재 선정 기준에 따라 교재를 선정한다. 다음 삽화 분석 틀을 세우고 그 분석 틀에 따라 한국어 교재의 삽화 유형, 삽화의 표현기법, 표현기능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음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삽화 기능 분석 기준에 따라 오류 삽화를 분석 분석하고 효과적 삽화를 추출하여 한국어 교재 개발에서 삽화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삽화에 관한 연구로, 언어교육에 도움이 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한 것에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내외에서 한국어 교재의 삽화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더욱 효과적인 삽화가 포함된 한국어 교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면 좋겠다.

      • KCI등재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분석과 과제

        이소영(Lee So-young),한성일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1

          본고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고 교재의 문제점을 토대로 효율적인 교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결혼을 계기로 한국에 오게 된 여성이 증가하고 이들의 자녀가 생기면서 한국 사회의 적응과 이들 자녀의 교육과 관련된 문제가 대두하게 되었다. 다문화 가정이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한국어 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면서 이들을 위한 교육과 교재에 대해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국가차원에서도 이들을 위한 초급, 중급 교재를 출간하게 되었다. 2장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요구를 조사한 연구 논문을 토대로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인적 사항, 한국어 학습 경험, 한국어 학습의 동기, 한국어 학습 장소와 시간을 종합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언어 영역과 희망하는 학습 내용을 요약하면서 기존의 학습자의 요구 분석의 공통점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재의 교수요목, 대화, 문법, 읽기, 쓰기, 어휘 영역 등에서 나타난 교재의 특징과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4장에서는 본 교재의 문제점을 근거로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 보완해야 할 교재의 과제를 언급하였다. 5장에서는 여성 결혼이민자에게 적합한 좋은 교재가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경험 많은 교사의 지속적인 재교육도 추가되어야 함을 언급했다. 그리고 국가 차원에서도 도시, 농촌의 여성 결혼이민자 모두가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textbooks for female immigrants who marry Korean men(shortly "female immigrants") and to show the efficient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These days the number of women who come to Korea as a result of marriage is increasing. Also the problems of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re increasing. To adapt to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learn Korean. Consequently, some scholars interested in have recently become the role of Korean language for such women. The Korean textbooks (beginner level, intermediate level) for them were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Chapter 2, the demands of the learners are summarized through the theses previously studied. The demands of the learners are made up of individual matters and the experiences and the motive, the places, the time of learning Korean, etc. In the Chapter 3, the contents of Korean textbooks for female immigrants are analyzed in terms of conversation, grammar, reading, writing, vocabulary. Special features and problems of the textbooks are described. Chapter 4 treats tasks that must be designed for effici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5 concludes by saying that the proper textbooks for female immigrants have to be develop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textbooks can be classified by language domains, learners levels or individual matters. First of all, government support is essential for helping female immigrants adapt to Korean society.

      • KCI등재

        대학 초급독일어 강좌와 교재분석 - 비대면 수업에서의 국내 교재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양시내,국지연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22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51 No.-

        외국어 교육에 있어 교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재는 교수자와 학습자를 매개하여 둘 간의 지적 격차를 메워줄 뿐만 아니라, 교재에 반영된 외국어교육에 대한 가치관과 고유한 교수 방법론은 강좌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목표집단의 학습 목표에 부합하는 적절한 교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강의 준비단계에서 교재분석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교재와 교재분석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나아가 이러한 인식의 바탕 위에서 시중에유통되고 있는, 국내에서 출간된 대학 초급독일어 교재의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엄밀한 의미에서의 교재분석 과정은 텍스트 층위에서의 분석에 머무르지 않고, 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의 검증까지 포괄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텍스트 층위에서의 교재 비교, 분석에 이어 코로나 상황에서 이뤄진 초급독일어의온라인 수업 경험, 즉 실시간 온라인 강의와 녹화 강의라는 두 가지 상황에서의교재 활용 사례를 검증 단계로 설정하여 국내 출간교재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작업의 최종적인 목표는 한국의 대학 상황과 한국 학습집단의 특수한 사정에 부합하면서도, 다원화되는 외국어 수업 양상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재확인하는 것이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재 분석 –장르 지식 분석을 중심으로–

        문효빙,최은경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7

        This study focused on genre knowledge as one of the measures to improve the academics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for foreign students. Genre knowledge is the ability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a gen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with readers in a specific situation and write accordingly (Hyland, 2004:4). This study analyzes writing academic textbooks, focusing on genre knowledge,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writing a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This study analyzed the recently published academic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for foreign students, focusing on genre knowledge, after setting the analysis criteria,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textbook analysis criteria were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Kwon Tae-hyeon’s (2021) Korean writing textbook analysis criteria. The degree of presentation for each textbook analysis criterion was confirmed, and the genre knowledge of the textbook was reflected. How identified and analyzed proposition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was are structured.Based on analysis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genre knowledge analysis were present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practicality of genre knowledge analysis could not be verified by applying the results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genre knowledge was as one of the measures improve the writing a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at the analysis criteria and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research or the utilization of textbooks.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장르 지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장르 지식은 특정 상황에서 독자와 의사소통 목적에 따른 장르의 특성을 알고 이에 맞게 글을 쓰는 능력이다(Hyland, 2004:4). 본 연구는 장르 지식을 중심으로 학문 목적 글쓰기 교재를 분석하여 유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검토를 토대로 분석 기준을 정한 후 최근 출간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재를 장르 지식을 분석하였다. 교재분석 기준은 권태현(2021)의 한국어 쓰기 교재 분석 기준을 참고하여 보완하였다. 교재 분석 기준별 제시 정도를 확인하고 교재의 장르 지식을 반영하였다. 명제의 지식과 절차의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학생 글쓰기 교재에서의 장르 지식 분석의 의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장르 지식 분석의 실제성을 검증하지 못했지만, 유학생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장르 지식을 활용했다는 것과 분석 기준 및 결과가 교재 연구나 활용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