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연희 ( Yeon Hee Kim ),신인숙 ( In Sook Shin ),최성열 ( Sung Yeol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정교사로 임용되기 직전 교사로서의 역량을 강화하지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이 교육신념, 전문적 자질,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교사역량을 갖춘 유야교사가 되기 위한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문헌고찰,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전문가 의견 조사를 거쳐 프로그램의 목표 및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을 구성하였다. 예비유아교사 대상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구시내에 소재한 B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30명을 실험집단, 30명을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3회, 총 12회기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시기별 점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과 시기를 독립변인으로 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은 교육신념, 전문적 자질, 개인적 자질,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12회기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은 교사역할에 대한 자신감 및 구체적 기술을 다양한 활동과 반성적 과정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은 교육신념, 전문적 자질, 개인적 자질, 교사효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에게 필요한 현장적응 역량 강화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program`s effects on the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urpose,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assess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eaching beliefs, professional disposi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surveys on the perception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nd interviews of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o develop the purpose, the content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assess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e effects of the programs were investigated by carrying out an experLn1ental study. A total of 3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ssigned to the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3 sessions per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teaching beliefs was examined by Moon`s (1993) scale, the personal and the professional disposition by Ki`s (2008) scale, and the leaching efficacy by Kim`s (2000)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 pre-test, a post-test, and an afterward-test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means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mparative groups using a repeated measures ANDV 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compet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mposed of the teaching beliefs, the personal and the professional disposition, and the teaching efficacy. The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eveloped for 12 sessions to promote the teaching competence through reflective and hands-on activitie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teaching beliefs, personal and professional disposition and disposition and teaching efficacy improved by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by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o promote their practical knowledge applicable to their teaching profession.

      • 아시아 전통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동한,이윤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교육논총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using theasian traditional plays on the multicultural attitud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6th grade students from one classroom in “A” Elementary school in Hwaseong were selected as theexperimental group, and one classroom in “B” Elementary school as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of pretest appeare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group in multicultural attitudes. The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program using the asian traditional plays was done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stud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Asian traditional plays has been proven to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ttitud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is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ha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multiculturalattitude. 이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 전통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화성시 소재 A초등학교와 B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2014년 7월 3일부터 2014년 8월 6일까지창의적 체험활동과 체육 시간을 통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도 일반적인 교과수업을실시하였다. 다문화태도에 대한 사전조사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고,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법을 적용하여 i-STATistics1.0.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학생들의 생각과 행동의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분석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아시아 전통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다문화태도 5% 수준에서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하위 구성요소별로는 인지적 요소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정의적,행동적 요소에서는 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아시아 전통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다문화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행동 관찰과주제별 학습지를 분석한 결과, 아시아 전통놀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태도에 영향을 주어 전반적인 다문화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들의 다문화태도 함양을위해 수업에 적용할 전통놀이에 대한 연구 및 학교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의개발이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 KCI등재

        사립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현실과 과제

        김미남(Mi-Na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과 교육 Vol.16 No.4

        국내 사립 박물관들은 소중한 유물과 그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 교육적으로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 몇 대규모 사립 박물관을 제외한 대부분의 사립박물관은 심각한 운영난으로 힘든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고 사립박물관이 우리 사회문화에 지속적으로 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립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내실화의 방법을 집중적으로 탐구해 보고자 한다. 사립 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운영의 문제가 시급함에도 불구, 지금까지 박물관 활성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과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는 국공립박물관과 대학교 부설 박물관 등 외부 지원이 안정적인 박물관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사립박물관 중에서도 안정적으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사례를 대상으로 한 연구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박물관 인가를 받아 관람객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무엇인가 고민하고 여러 시도를 하고 있는 강릉 동양자수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작은 지역 사립박물관이 교육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떤 관점의 변화를 갖게 되었으며, 그 결과 교육프로그램에 어떤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는 지,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 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으로는 ″왜 박물관 교육이 중요한가?″ 그리고 ″어떤 박물관 교육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관점 정립을 위해 꼭 필요한 개념으로 ″관람자 중심 박물관(Visitor Centered Museum)의 교육목적″과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강릉 동양자수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의 의미와 기능들을 분석해 볼 것이다. Although private museums have made great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it used to be underestimated and there has been lack of support from Korean government. Therefore, many Korean private museums are at a serious critical moment caused by difficulties of museum management. Currently, preparing better museum education program can be a significant issue for private museums because it can help them to play their original role effectively and solve their financial problems for management. However, most research o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useum education was conducted targeting National Museum or a few private museums which do not suffer from financial issues. Therefore, thes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ere not helpful for small size private museums to improve their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one small private museum which was newly registered as a museum, the Museum of Oriental Embroider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figure out how this small museum had improved their education program for visitors successfully.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is case, first, discourse on the concept of visitor-centered museum and constructivism was reviewed and then the case of the Museum of Oriental Embroidery was investigat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officials of the Museum of Oriental embroidery was conducted and additional data collection from various sources was also attemp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ficials of that museum has a very traditional perspective on museum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object-based museum. Therefore, in order to prepare new format of museum education program, it needed to change this perspective from obased-based one to visitor-based one. The purpose of the previous education program was to transfer knowledge about displayed objects from museum person such as a museum docent to visitor. In the new museum education program, the purpose of museum education was to make visitors experience in museum more meaningful for individuals. That was to help visitors connect what they experienced before and what they knew to the objects displayed in museum. However, in order to make more positive changes, government's interests in and supports to private museums are still strongly required.

      • KCI등재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 미국 대학 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은하,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3

        This study is a literature and program review study on post-secondary education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wo types of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nclude peer-reviewed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09, on the post-secondary education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currently implemented throughout colleges in the USA. 32 articles and 23 different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determined criteria for the review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post-secondary education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5 distinct themes; the overview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programs, post-secondary education related laws, the transition into the post-secondary education, the supports provided in post-secondary settings, and other post-secondary education related issues. The models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3 different models including substantially separate model, mixed program model, and inclusive and individual support model. The operation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was analyzed with 6 aspects including settings, staffs, funding, referral and practice for enrollment, program components and program evaluation. An overview of 23 different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was summarized. Issue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constitute logistical issues, inclusion in college classes, job training issues, lack of interagency collaboration, lack of follow-up and documentation and other issues. Finally, some suggestions for the advancement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of th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s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의 중등이후(post-secondary)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문헌 연구로서 중등이후 교육 관련 연구논문(2000-2009년)과 미국 대학 내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자료는 2가지로 논문과 실제 프로그램이었는데 각기 선정기준에 의거하여 미국의 중등이후 교육 관련 논문 총 32편과 전국 대학 내의 23가지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이 선정되었다. 중등이후 교육 논문의 연구주제는 크게 5가지: 중등이후 교육의 개관과 프로그램, 중등이후 교육과 관련한 법률, 중등이후 교육으로의 전환, 중등이후 교육의 다양한 지원, 기타 중등이후 교육과 관련한 쟁점으로 분류되었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개관은 프로그램 유형, 운영, 프로그램의 실례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 유형은 실질적 분리모델, 혼합 프로그램 모델, 통합적 및 개별적 지원 모델로 나눌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은 환경, 스텝, 재정, 입학의뢰 및 입학의 실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및 프로그램의 평가라는 6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대학 내 프로그램 실례는 장소, 대상, 기금, 스템,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으로 요약되었다.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한 쟁점은 프로그램 실행관련 문제, 대학 수업에 통합되는 문제, 직업훈련 관련 쟁점, 기관간 협력의 결여, 프로그램의 사후지도 및 문서화 결여 및 기타쟁점으로 지적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국내의 지적장애인 및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중도장애인을 위한 중등이후 교육의 개념정립, 정책 수립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실시의 필요성이 높은 현 시점에 시의적으로 유용한 기초 자료를 처음으로 제공하는 의의를 가지며 우리나라 중도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의 활성화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중학생 대상 극지 소양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정수임,신동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2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polar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new educa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We developed modula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seven principles of polar literacy established by the Polar-ICE team. We divided them into two courses, one emphasizing science concepts and another emphasizing humanities and sociological issues. We then selected and structured detailed programs suitable for the two courses. These two courses were applied to 26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approximately 69 hours in a Saturday science class hosted by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26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wo groups completed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polar literacy and a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program for polar literacy, respectively. The third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general science education unrelated to polar literacy. Before and after running the programs, all three groups responded to a polar literacy test and questionnaires that used vocabulary and presented scenes associated with polar regions. The test results were expressed using Wilcoxon signed ranks,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method, and improvements made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From a cognitive aspect, all three groups showed improvement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in the knowledge area;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greater degree of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contents or materials explicitly covered. From an affective aspect,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minor, but the group that focused on humanities and social issu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Regarding changes in polar imagery, the two experimental groups tended to diverge from monotonous images to more diverse ima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suggested method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olar literacy education programs, the importance of polar literacy as appropriate material for scientific thinking and earth system education, measures to improve attitudes related to the polar region, and the need to link to school curriculums. 이 연구는 초⋅중등 학생의 극지 소양 함양을 위해 개발된 극지소양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효과를 평가하고, 기후 변화 대응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olar-ICE 단체가 정립한 7가지 극지 소양 원리를 중심으로 개발한 모듈식 프로그램 중 과학개념을 강조한 프로그램과 인문학과 사회학적 쟁점을 강조한 프로그램 등 두 과정에 적합한 세부 프로그램을 선정해서 구조화했다. 이들두 가지 프로그램은 서울 소재 대학 과학교육과에서 주최한 토요 과학교실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 26명에게 약 69시간에 걸쳐 적용되었다. 26명의 학생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에게는 각각 극지 소양을 위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과 인문 사회학적 쟁점 교육 프로그램을실시했고, 나머지 한 집단은 극지 소양과 관련 없는 일반 과학 교육을적용하여 대조군이 되었다.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후에 세 집단의학생들은 모두 동일하게 극지 소양 검사와 극지에 대한 연상 단어와장면을 진술하는 설문에 응답했다. 검사 결과는 비모수검정 방법인Wilcoxon의 대응쌍 부호순위로 나타내어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향상도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지식 측면에서 프로그램 적용 후 향상이 나타났으나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향상의 정도가 더 컸으며, 명시적으로 다룬 내용이나 소재에서특히 분명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의적 측면에서 프로그램 전후의 차이는 그다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인문 사회학적 쟁점을다루었던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극지 심상의 변화는 실험 집단인 두 집단이 대조 집단에 비해 단조로운 이미지에서 좀 더 다양한 이미지로 분산되는 경향이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극지 소양 원리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위해 유의할 점, 과학적 사고를 함양하고 지구계 교육에 도움이 되는소재로 활용할 필요성, 극지에 대한 태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 기후위기 대응을 준비하는 학교 교육 과정과의 연계 등의 시사점을 제안했다.

      • KCI등재

        아동의 창의성 개발에 관한 연구

        송미림(Song, Mi R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점토교육의 프로그램의 기능이 창의성 개발과 관련 감성개발과 상상력 발달 즉 창의성의 크기와 깊이를 키울 수 있는 새로운 점토작업 프로그램으로서의 논리적 기반을 제시하고자 함이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이며 점토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물리적 상관관계의 결론 도출을 위하여 아동교육의 정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점토 프로그램의 기능을 다양한 학문적 시점으로 고찰 분석함을 연구 방법으로 진행 한다 아동기는 6세 부터 12세 까지의 시기를 말하며 이 시기에는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생활과 교류를 통해 사회 영향을 받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시기는 아동기의 성향과 상호작용의 패턴이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사회적이고 정서적으로 접근하여 감각적이고 직접적인 체험 활동들을 통해 아동의 창의 사고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시켜야 하는 시기이다 창의성을 바탕으로한 아동교육 프로그램의 가치에 대한 서양의 교육사상에는 고대 플라톤의 놀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신 수양에 중요하다라는 기록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동의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놀이는 인간의 본성이며 아동에게 자연스러운 놀이를 통해 아동의 본성에 따라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는 기록을 찾을수 있다 개인의 자아를 표현하는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의 효과는 즉 창의성 교육의 효과는 개인적인 정적인 프로그램보다는 여러 사람과 함께 할 수 있으며 아동이 느낄수 있는 오감등의 신체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치를 지닌 프로그램이 그 효과가 크다고 정의 할 수 있다 창의성 개발을 위한 점토교육 프로그램의 기능은 크게 1. 자아 중심의 활동 2. 재료 용구의 중심의 활동 3. 감상중심의 활동 4. 문제 해결 중심의 활동 5. 생활식기 작업의 중심의 활동6. 가치 이해 중심의 활동으로 분류된다 점토 교육 프로그램은 1.점토를 통한 촉각과 다양한 조형작업을 통해 감각과 감성을 함께 개발시킬 수 있으며 2.창의성의 가장 큰 장점인 발상의 전환을 사고 할 수 있는 상상력과 인지 개발 능력을 키우고 3.재료가 결과물로 바뀌는 집중력을 요구하는 작업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심미성을 확대할 수 있는 사고를 훈련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아동들의 표현에서 중요한 점은 기존의 익숙한 훈련된 틀 속에 있는 표현의 배제이며 아동의 표현은 자발적이라는 것이 매우 중요한 교육 프로그램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시점의 학문적 이론을 고찰한 결과 점토를 중심으로 한 창의성 개발 교육 프로그램은 흙이라는 재료를 결과물로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반복 훈련이라는 무거운 코드의 학습이 아니라 인간의 삶의 질의 바탕인 잠재적으로 쌓여가는 인지력 발달에 가장 큰 에너지 크기를 키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라는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log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la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sensibility, the development of the imagin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working programs for children. Childhood is a period between the ages of six to 12 years old when people begin to be affected by social interactions with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life. This is a time when patterns of childhood tendencies and interactions are formed, so a social and emotional approach is required to develop a programme of childhood window thinking through sensory and direct experience activities. Western educational ideas on the value of creative children’s education programs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ancient Plato’s plays are important for the child’s mental development, and Aristotle stress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play in promoting the child’s mental development. The effects of education on creativity based on the ability to express one’s self, namely the effects of creative education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aterials, can be shared with multiple peop rather than individual static programs, and so can be felt by children with five senses. Clay education program is used to develop sense of sense and fulfillment through touch work through clay, and 2. What matters in a child’s expression is the benefits of a highly educational program, which is that it excludes expression from the familiar, trained framework and makes it voluntary. This paper examined the scientific theory at various points in time. The creative development program based on clay is not based on the intensive learning code, but o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most intensive materials called soil.

      • KCI등재

        초등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조영기(Young-Gi Cho),김석우(Suk-woo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예비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예비프로그램 실시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수정ㆍ보완하여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모형인 Kowalski 모형의 각 단계에 따라 개발하고, 요구조사는 인터뷰와 질문지를 통해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부모교육 목표는 올바른 교육관 형성으로 구체화 되었으며 내용선정 및 조직 단계는 성인교육의 특성이 반영되며, 성인 학습자의 심리적 원칙과 내용의 논리적 원칙을 바탕으로 계열성과 통합성을 유지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에서는 관리자, 프로그램 운영자, 강사, 참여 학부모간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고 프로그램 평가는 참관록과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결과 초등학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참여 학부모의 양육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훈육행동에서는 평균값의 상승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학부모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arent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and to show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to plan the pilot program, apply it, and revise it through the reflective thoughts.<BR>  The researcher used th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for need assessment, the test of rearing attitude, the test of disciplinary behavior, and the survey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BR>  First, in the planning stage, parent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Kowalski model to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public elementary school organization. Need assessment was performed two dimensionally using survey and interview. The aim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need to be discussed in regard to parents, school, and teachers. Especially, in regard to parents, the aim of parent education should be the shaping of sound educational viewpoints. I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stage, program designers must tr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education. The overall sequence and integr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kept based on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of adult learners and logical principles of contents.<BR>  Secon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school administrators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and the drop out rates in the process could be lowered by encouraging active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tors and instructors and program managers. The instructors, as experts of specific subjects, must have much practical experience and sympathize with parents. The program managers manage the participators, reflect the need of parent in each stage. The instruction need to be differently organized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instructors. Parents need to pay a part of the cost to ensure the selection and responsibility.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was shown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s in rearing attitude and pick-ups in disciplinary behavior of participating parents.<B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atisfaction degree, over 90% participators contented entirely levels of instructors, instruction contents, instruction methods, and how to manage program.

      • KCI등재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 구축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상수(Lee, Sangsoo),김은정(Kim, E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중심으로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기존 인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검토에 기초하여 12차시 분량의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 형성을 위한 인성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1차 타당화를 위해 인성교육 전문가, 프로그램 개발 전문가, 현장 교육 전문가 12명으로부터 전문가 검토를 받고 수정을 하였다. 2차 타당화를 위해 2개 중학교 1학년 총 4개 학급 124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공동체 의식, 배려적 사고능력, 따뜻한 교육공동체 역량의 3가지 역량을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3가지 모든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게 나타났다. 질적 자료들에 따르면 학생들은 경쟁중심의 현 학교에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없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실제 자기 자신에 대한 새로운 발견, 학급이 가진 강점에 대한 새로운 발견, 친구들의 감정에 대한 새로운 발견, 공동체에 기여한 후 갖는 기쁨 등 새로운 경험들을 함으로써 학급을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로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반응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새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추후 보다 많은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들은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과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개인을 육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많은 사회적 문제의 예방과 극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o verify validity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build a community of caring and respect,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developed the 12 hour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build a community of caring and respec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review of existing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make the first validation, the experts who are 12 persons of humanity education specialist, program development specialist, and field education specialist reviewed the program and revised. In order to make the second validation, the study implemented the programs for 124 students of 4 classes in 2 junior high school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measuring and comparing before and after data of the sense of community, caring ability, and warm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e and collected qualitative data from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three competencies. According to qualitative data, students thought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ould not be effective in the current competition-oriented school, but they found new discoveries about themselves, new discoveries about the strengths of the class, new discoveries about the feelings of friends, and new experiences, such as the joy of having contributed, have helped to recognize the class as a community of caring and respec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validity of newly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More futur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will help to prevent and overcome many social problems and train individuals who can contribute to the community.

      • KCI등재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고영화(Ko, Young-Hwa)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3

        대학평생교육이 평생교육의 중요한 학문적 영역으로 심도있게 다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의 명확한 분석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제를 적용하여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조사를 실시한 후,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제에 따른 분류를 실시함으로써 대학특성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대학평생교육의 특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조사, 분류, 분석이라는 세 가지 단계를 거쳤다. 조사는 임의표집으로 선정된 총 138개 대학에서 프로그램 요소와 대학특성변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류는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표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은 대학특성변인과 프로그램 개설정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범주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평생교육은 직업능력교육 프로그램과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 개설정 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의 특성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이 대학 특성변인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대학은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되었고, 그 특성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이상의 결과를 통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가 평생교육기관의 특성을 구명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It is an important to suggesting the academic discussion about the analysis of the kind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about opening orientation degree of them in order to dealing deeply wit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as a academic domain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ing orientation degree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an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opening program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by investigating and classifying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Korean lifelong education program. Research methods include investigatio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vestigation was random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lected 138 universities by variable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program factors. Classification was implemented by applying Korean lifelong learning program classification scheme. Analysis applied the selected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Categorical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of program about classification result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som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had most high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toward Vocat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and Schooling Complementary Education program.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ird, it was tested that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influenced by variable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Fourth, universities were divided into 4 clusters according to open setting ori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some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Fifth, based on above findings, it was identified that lifelong learning program classification can play an important function of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중학교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

        손주영,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eaturing the 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hereafter, PAT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prevent school violence by Home Economics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process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based on ADDIE were conducted. The validity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twice by Home Economics education experts(36 experts for the first group and 10 experts for the second group)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modified according to the comments from the evaluators.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Home Economics classes consisted of 5 topics such as changing perception on school violence, enhancing self-esteem, relating with others, practicing consideration and sharing, and strengthening the will of preventing school violence. Twenty-four units were developed with 7 practical problems(What should I do to make friends to help with each other?, What should I do to establish positive self-concept?, What should I do to communicate to build good relationship?, What should I do to solve the conflicts peacefully?, What should I do to practice consideration and sharing in food consumption?, and What should I do to practice consideration and sharing in clothing?) in 5 topic areas. Teaching-learning plans included four steps such as problem perception, practical reasoning, action, and evaluation that comprise PATM to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Every step of the teaching-learning plan consisted of questions for practical reasoning and activity assignments. Materials for students and teachers were developed. Materials for students comprised 80 pieces in total including student activity, reading, movie, and clips to make students enhance understanding and interest. Materials for teachers comprised 35 pieces in total such as rationales, newspaper articles, and movies that make teachers that lesson teaching loads and were helpful for teachers. The PATM was incorporated into developing the program and a Likert-scale was used to assess usefulness, applicability, appropriateness, fidelity, substantiality, and validity of this program. This program gained more than 4.00 on a 1-5 Likert scale. This result indicated that program is expected to be effective and useful to school violence pre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육을 통해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천적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중학생 대상의 학교폭력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을 토대로 재구성하여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과정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교폭력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핵심 구성요소, 구성 원리, 목표 및 실제 프로그램의 적용 방법 등을 파악하고, 프로그램 적용 모형으로 Laster의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Practical Action Teaching Model)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위한 개발 방향 및 구성 개요를 설정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보호요인과 가정교과 내용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요소를 선정하고, 국내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분석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설계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전체 프로그램의 목적 및 영역별 목표, 영역별 실천적 문제와 학습목표를 진술하고 주요 활동 내용을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실천적 행동 수업모형을 적용한 주제별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 교사용 참고자료 및 프로그램 타당도 검증을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가정과교육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타당도 검사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개발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인식변화, 자아존중감 향상, 타인과 관계 맺기, 배려와 나눔의 실천, 폭력예방 실천의지 다지기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이 5개 영역 당 1∼2개씩 총 7개의 실천적 문제(서로 돕고 배려하는 친구관계 형성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원만한 관계를 형성하는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배려와 나눔의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배려와 나눔의 의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나누어 총 24차시로 개발되었다. 실천적 문제에 따라 문제인식, 실천적 추론, 행동, 평가의 4단계를 거치는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각 단계마다 추론을 위한 질문을 제시하였고 실천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습 자료는 학생용 자료와 교사용 참고자료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실천적 추론활동 과정에서 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된 학생용 자료는 활동지, 읽기, 동영상, 그림 자료 등으로 총 80편이 개발되었다. 교사용 참고자료는 관련 이론 및 신문자료, 동영상 자료 등으로 총 35편이 개발되었다.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한 학교폭력 예방 가정과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현장교육의 유용성, 현장에서의 실행가능성, 학습내용과 자료의 적합성 및 충실성,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의 내용타당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 4.36점 이상의 긍정적인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볼 때 본 프로그램은 학교현장에서 학교폭력 예방 교육에 효과적이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