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마트워크 인식이 공공기관 조직원의 워라밸(WLB)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수임,강희경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8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은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조직의 업무 방식에 큰 변화를 주고 있으며, IT 기술 진보와 함께 스마트폰 보급 확산으로 사람과 공간, 공간과 사물간의 접근성이 유연해지면서 무선인터넷과 데이터 분석, 정보자료 공유, 문서결재·승인 등의 사무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사람들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환경이 다양해짐에 따라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한 생활이 점차적으로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스마트워크(smart work)는 일하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업무방식으로 경쟁이 심화되는 격변의 시대에 혁신적인 성과를 위한 매력적인 대안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와 근로기준법에 따른 주 52시간 근로제도, 특히 COVID-19로 인한 사회 현안문제의 해결방안과 일과 삶의 균형(WLB; Work Life Balance)과 관련하여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성과중심의 효율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똑똑하게 일하기’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주관한 2019년 스마트워크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오피스, 유연근무제, 모바일오피스, 재택근무, 스마트워크센터 순으로 스마트워크 이용률이 높았다. 이러한 스마트워크의 도입으로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이 증대되었고, 이는 직원의 관심이 일 중심에서 자신의 삶 쪽으로 옮겨가는 계기가 되었다. 직원들이 일과 삶의 균형을 느낄 때 조직몰입, 만족감 등은 제고되고 조직을 이탈하려는 이직 의도는 하락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Guest, 200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를 효과적으로 도입·정착하여 조직이 추구하는 실질인 성과를 내기 위해 어떠한 요소를 지원하고 검토해야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스마트워크 인식이 조직원의 워라밸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이 그 영향을 강화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스마트워크를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워라밸(WLB)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스마트워크 인식이 조직원의 워라밸(WLB)에 정(+)의 영향을 미칠 때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이 그 관계를 강화 또는 약화시키는지 여부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여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국내 공공기관 직원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미응답자와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380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크 인식은 워라밸의 하위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일-가족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은 일-가족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워크 인식이 조직원의 워라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때 조직지원인식은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상사지원인식은 이 둘의 관계를 강화하였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원의 일-가족균형, 일-여가균형, 일-성장균형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는 조직원이 지각하는 스마트워크는 워라밸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상사지원인식을 통해 그 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스마트워크에 대한 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았던 실증분석 방법을 통하여 스마트워크 제도 활용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증대 시킬 수 있는 변수를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에 비해 실제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스마트워크의 효과성 증대를 위해서는 관련 제도 제정 및 정비, 시스템 개발, 활용 및 기술 교육 등 지원도 중요하지만 특히 직원과 상사의 인식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조직문화 조성과 소통을 통해 직원들을 이해할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 하는 등의 상사의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극지 소양 평가 결과 분석 및 극지 교육에의 시사점

        정수임,최하늘,김민지,신동희 한국지구과학회 202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3 No.3

        이 연구는 전 지구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려는 인류 공동의 노력에 발맞추어 과학교육 측면에서 기후 변화를 설명하는 효과적 개념 체계로서 극지 소양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현재 고등학생들의 극지 소양 현황을양적 검사와 질적 면담을 통해 조사하고 시사점을 논의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2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29명으로 극지 소양 원리를 참조해 개발한 진위형 25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에 참여했고, 이들 중 13명이 면담에 참여했다. 연구 결과, 극지 소양 원리의 일부 영역에서 다소 미흡한 이해와 함께 개념적 공백이 나타났다. 극지의 지리적 특징에대한 지식이 견고하지 못하고, 빙권의 구성 요소와 주요 특성을 거의 알지 못했다. 이러한 개념의 결손으로 극지 변화와 전 지구적 기후 변화의 작동 기작을 잘 연결하지 못했다. 학교 교육과정에서 충족되지 못한 개념을 학교 밖 매체로부터 비판 없이 수용하면서 기후 변화의 기작을 다소 단조롭거나 왜곡되게 인식했다. 한편, 극지와 기후 변화에 대한모호한 이해와 함께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인지 전략으로 언어 정보, 비유, 시각적 관찰 등을 활용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기후 변화를 체계적,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 체계로서 극지 소양 교육을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이밖에도 타교과의 극지 소양 관련 지식의 일관성 검토, 기후 변화를 다루는 학교 밖매체 정보에 대한 비판적 기준 제공, 학생들의 오개념 점검 및 사고 전략 파악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 KCI등재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pigmented giant embryo rice (Oryza sativa L. cv. Keunnunjami)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정수임,이상철,이성준,강미영 한국영양학회 2018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12 No.5

        BACKGROUND/OBJECTIVES Oxidative stress is a major cause of canc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 and non-germinated Keunnunjami rice, a blackish-purple pigmented cultivar with giant embryo, on selected human cancer cell lines and on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of mice fed with a high-fat diet. MATERIALS/METHODS: High fat-fed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either distilled water (HF) or extracts (0.25%, w/w) from brown (B), germinated brown (GB), Keunnunjami (K), and germinated Keunnunjami (GK) rice.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brown rice extract, Keunnunjami extract showed higher anticancer effect against cervical and gastric cell lines but lower anticancer activity on liver and colon cancer cells. Mice from the HF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ipid peroxidation and lower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igh-fat diet markedly decreased in B, GB, K, and GK groups as compared with the HF group. CONCLUSIONS: Germination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anticancer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Keunnunjami rice and extracts from germinated Keunnunjami rice may serve as a therapeutic agent against cervical and gastric cancers and oxidative damage.

      • KCI등재

        초⋅중학생 대상 극지 소양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정수임,신동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2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polar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new education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We developed modula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seven principles of polar literacy established by the Polar-ICE team. We divided them into two courses, one emphasizing science concepts and another emphasizing humanities and sociological issues. We then selected and structured detailed programs suitable for the two courses. These two courses were applied to 26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approximately 69 hours in a Saturday science class hosted by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26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wo groups completed the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polar literacy and a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program for polar literacy, respectively. The third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general science education unrelated to polar literacy. Before and after running the programs, all three groups responded to a polar literacy test and questionnaires that used vocabulary and presented scenes associated with polar regions. The test results were expressed using Wilcoxon signed ranks,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method, and improvements made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From a cognitive aspect, all three groups showed improvement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in the knowledge area;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greater degree of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contents or materials explicitly covered. From an affective aspect,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minor, but the group that focused on humanities and social issu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Regarding changes in polar imagery, the two experimental groups tended to diverge from monotonous images to more diverse ima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suggested method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olar literacy education programs, the importance of polar literacy as appropriate material for scientific thinking and earth system education, measures to improve attitudes related to the polar region, and the need to link to school curriculums. 이 연구는 초⋅중등 학생의 극지 소양 함양을 위해 개발된 극지소양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효과를 평가하고, 기후 변화 대응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olar-ICE 단체가 정립한 7가지 극지 소양 원리를 중심으로 개발한 모듈식 프로그램 중 과학개념을 강조한 프로그램과 인문학과 사회학적 쟁점을 강조한 프로그램 등 두 과정에 적합한 세부 프로그램을 선정해서 구조화했다. 이들두 가지 프로그램은 서울 소재 대학 과학교육과에서 주최한 토요 과학교실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 26명에게 약 69시간에 걸쳐 적용되었다. 26명의 학생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두 집단에게는 각각 극지 소양을 위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과 인문 사회학적 쟁점 교육 프로그램을실시했고, 나머지 한 집단은 극지 소양과 관련 없는 일반 과학 교육을적용하여 대조군이 되었다.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후에 세 집단의학생들은 모두 동일하게 극지 소양 검사와 극지에 대한 연상 단어와장면을 진술하는 설문에 응답했다. 검사 결과는 비모수검정 방법인Wilcoxon의 대응쌍 부호순위로 나타내어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향상도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지식 측면에서 프로그램 적용 후 향상이 나타났으나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향상의 정도가 더 컸으며, 명시적으로 다룬 내용이나 소재에서특히 분명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의적 측면에서 프로그램 전후의 차이는 그다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인문 사회학적 쟁점을다루었던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극지 심상의 변화는 실험 집단인 두 집단이 대조 집단에 비해 단조로운 이미지에서 좀 더 다양한 이미지로 분산되는 경향이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극지 소양 원리 과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위해 유의할 점, 과학적 사고를 함양하고 지구계 교육에 도움이 되는소재로 활용할 필요성, 극지에 대한 태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 기후위기 대응을 준비하는 학교 교육 과정과의 연계 등의 시사점을 제안했다.

      • KCI등재

        열수지 자료 해석에서 드러난 중학생의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에 대한 이해

        정수임,유은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6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middle school students could understand global warming and the greenhouse effect, and explain them in terms of global radiative equilibrium. From July 13 to July 24 in 2021, 118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ho completed a class module on ‘atmosphere and weather’, participated in an online assessment consisting of multiple-choice and written answers on radiative equilibrium, the greenhouse effect, and global warming; 97 complete responses were obtained. After analysis, it was found that over half the students (61.9%) correctly described the meaning of radiative equilibrium; however, their explanations frequently contained prior knowledge or specific examples outside of the presented data.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92.8%) knew that the greenhouse effect occurs within Earth’s atmosphere, but many (32.0%) thought of the greenhouse effect as a state in which the radiative equilibrium is broken. Less than half the students (47.4%) answered correctly that radiative equilibrium occurs on both Earth and the Moon. Most of the students (69.1%) understood that atmospheric re-radiation is the cause of the greenhouse effect, but few (39.2%) answered correctly that the amount of surface radiation emitted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absorbed by the Earth’s surface. In addition, about half the students (49.5%) had a goo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in greenhouse gases and the absorption of atmospheric gases, and the resulting reradiation to the surface. However, when asked about greenhouse gases increases, their thoughts on surface emissions were very diverse; 14.4% said they increased, 9.3% said there was no change, 7.2% said they decreased, and 18.6% gave no response. Radiation equilibrium, the greenhouse effect, and global warming are a large semantic network connected by the balance and interaction of the Earth system. This can thus serve as a conceptual system for students to understand, apply, and interpret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Therefore, with the current climate change crisis facing mankind, sophisticated program development and classroom experiences should be provided to encourage students to think scientifically and establish scientific concepts based on accurate understanding, with follow-up studie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를 이해하고, 이를 지구 복사 평형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지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기권과 날씨’ 대단원 수업을 완료한 중학교 3학년 11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에 대한 선택형 및 서답형으로 구성된 학생 이해 온라인 평가를 2021년 7월 13 일부터 7월 24일까지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97명의 학생 응답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과반수(61.9%)가 넘는 학생들이 복사 평형의 의미를 옳게 기술하였으나 제시된 자료와 무관하게 사전 지식이나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학생들(92.8%)은 대기가 있는 지구에서 온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온실 효과를복사 평형이 깨진 상태로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으며(32.0%), 달과 지구 모두 복사 평형이 일어난다고 응답한 학생(47.4%)은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온실 효과의 원인으로 대기의 재복사를 찾아낸 학생은 다수(69.1%)였으나, 지구로 입사한 태양 복사량보다 방출한 지표 복사량이 더 크다고 응답한 학생은 소수(39.2%)에 불과하였다. 또한 절반 정도의학생들(49.5%)이 온실 기체의 증가와 대기 흡수, 이로 인한 지표로의 재복사의 관계를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온실 기체가 증가할 때, 지표 방출에 대해서는 증가(14.4%), 일정(9.3%), 감소(7.2%), 무응답(18.6%)으로 의견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복사 평형,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는 지구계의 균형과 상호작용이라는 빅 아이디어로 연결된 커다란하나의 의미망이므로 학생들이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를 이해하고 적용하고 해석하는 개념 체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인류에 닥친 기후 변화 위기와 관련해 학생들이 정확한 이해에 근거하여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과학적 개념을 정립할 수 있도록, 정교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경험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점검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 되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초·중·고등학생들의 극지에 대한 인식

        정수임,최하늘,김민지,신동희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6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set the direction of polar literacy education and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olar resear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polar region was examined in terms of current status of polar information, impression regarding polar regions, and awareness of related issues. The study included 975 students from nin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o responded to 16 questions, including close-ended and open-ended items. Th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had more experiences regarding the polar region on audiovisual media, but relatively limited learning experiences in school education. The impression they had of the polar region was confined to the monotonous image of a polar bear in crisis, following the melting of the glacier due to global warming. The students formed powerful images by combining scenes they saw in audiovisual media with emotions. In terms of recognizing problems in the polar region, the students were generally interested in creatures, natural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but their interests varied depending on their school level and their own career path. The students highly valued the scientist's status as agents to address the problems facing the region, and gave priority to global citizenship values rather than practical standard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 introducing and systematizing content focusing on the polar region in the school curriculum, providing a differentiated learning experienc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scientists and educators, establishing polar literacy based on concepts that are relevant to various subjects, earth system-centered learning approach, setting the direction for follow-up studies and the need for science education that incorporates diverse values. 이 연구는 극지 연구의 중요성을 확산하고자, 극지 소양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초·중·고등학생들의 극지 인식을 극지 정보 획득 현황, 극지에 대한 인상, 극지 문제 인식 측면에서 조사했다. 초·중·고 9개교 학생 975명이 선택형과 서답형이 포함된 16문항에 대한 설문 조사에 참여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시청각 매체를 중심으로 한 극지 경험이 많았고, 학교 교육에서 극지에 대한 학습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극지에대한 인상은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위기에 처한 북극곰과 같은 이미지가 대부분이었다. 학생들은 시청각 매체에서 본 장면을 정서와 결합하면서 이미지를 형성했다. 극지 문제 인식 측면에서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생물과 자연 환경, 기후 변화에 관심이 많았지만, 학교급 및 진로 희망에 따라 관심 분야가 달랐다. 학생들은 극지 문제를 해결하는주체로서 과학자의 위상을 높게 평가했으며, 극지 문제에 대해 실용적 가치보다는 세계 시민적 가치를 우선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에서 극지 내용 수용 및 체계화, 극지 과학자와 교육자의 협력에 의한 차별화된 학습 경험 마련, 여러 교과에 생성력 있는 빅아이디어 중심의 극지 소양 설정, 지구계 중심의 학습 접근법, 후속 연구의방향 설정, 다양한 가치를 수용하는 과학 교육의 필요성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극지 소양

        정수임,최하늘,김민지,신동희 한국지구과학회 202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to reflect polar literacy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The perception about the polar regions, teaching experience, and polar-related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ere investigated.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rom schools from 10 major cities and surrounding regions,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the polar region, current teaching status, polar knowledge, and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polar region and climate chang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eachers’ polar information efficacy was low, they positively evaluated the status of educators in resolving polar and climate change problems, and prioritized global citizenship values over practical purposes. The experience of teaching polar region and climate change issues at schools varied across subjects and non-subjects, but showed a passive aspect in teaching development, such as wanting to be provided with consolidated learning materials. On the cognitive aspect, teachers revealed an ambiguous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and processes by which polar change and climate influence each other. On the affective aspect, most teachers showed strong beliefs and attitudes for polar-related issues beyond the school level, but their behavior choices were relatively lower.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as recommendations: providing opportunities and materials to promote polar knowledge, discovering educational materials in various contexts to form values and attitudes,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from polar research materials, identifying misconceptions about polar knowledge among students and teachers, strengthe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olar literacy, and cultivating positive attitudes and values toward polar issues. 이 연구는 극지 소양 교육을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육과정을현장에서 구현하는 교사들이 지닌 극지 인식과 교수 경험, 극지 관련 인지적·정의적 특성을 조사했다. 대도시 및 중소도시 10개교의 초·중·고등학교 교사 56명을 대상으로 극지 관련 인식, 교수 현황, 극지 지식, 극지와 기후 변화에 대한 신념 및 태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교사들은 극지 정보에 대한 효능감은 낮은 편이나, 극지와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있어 교육자의 위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계 시민적 가치를 실용적 목적보다 우선했다. 학교에서 극지와 기후 변화 문제를 교수한 경험은 교과와 비교과에 걸쳐 다양했지만, 완성된 형태의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받기 원하는 등 교수 개발에 있어 수동적인 면모를 보였다. 인지적 측면에서 교사들은 극지 변화와 기후가 영향을주고받는 작동 원리와 과정에 대해 다소 모호한 이해를 드러냈다. 정의적 측면에서 대부분 교사들은 학교급을 초월해서극지 관련 문제에 대한 신념과 태도에서 높은 경향이 나타났지만, 행동 선택은 근소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극지 소양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회 및 자료 제공, 가치 및 태도 형성을 위한 다양한 맥락의 교육 소재 발굴, 극지연구 자료를 활용한 교육 자료 개발, 학생과 교사를 포함한 극지 지식에 대한 오개념 파악, 초등 교사의 극지 소양 강화, 정의적 태도와 가치관 함양 등의 시사점을 제안했다.

      • KCI등재

        상호금융의 메타이윤효율의 측정과 분해: 신협과 수협의 생산기능접근을 중심으로

        정수임,강상목 한국생산성학회 2023 生産性論集 Vol.37 No.6

        최근 금융시장은 핀테크(Fintech)의 확산과 IT를 기반으로 한 비금융업자의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기존 은행 산업에 영향을 줌으로써 금융 산업에 기회를 주는 반면 동시에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높은 금리와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상호금융권 연체율이 상승되어 부실사태에 따른 뱅크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처럼 어려운 환경속에서 신협이 지역금융으로서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속 가능 성장을 하기 위한 방안 모색이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협의 지역조합 611개와 수협의 회원조합 77개를 대상으로 2012년부터 2021년 까지 10년간 신용사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생산함수와 이윤함수를 적용하여 메타기술효율과 메타이윤효율을 측정하고 이윤효율을 4개의 요소로 분해함으로써 이윤기술격차를 주도하는 세부 요소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이론적 모델의 관점에서 모수적 쌍곡선 거리함수를 이용하여 기술효율, 메타기술효율을 측정하여 기술격차를 도출하고, 이윤효율과 메타이윤효율을 각각 측정하여 이윤을 네 가지 요소로 정의하고 분해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상이하다. 실증결과에 의하면 첫째, 메타기술효율은 수협이 메타프런티어를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협과 수협의 조합 간 효율의 큰 차이로 메타이윤효율의 평균은 ‘0’에 가깝게 나타났고, 수협이 메타프런티어를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타이윤효율 분해 결과 신협은 기술전환(TT: technology transformation)의 개선이 필요하고, 수협은 할당전환(AT: allocation transformation)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결과에 기초할 때, 어려운 금융환경에서 신협과 수협은 타 금융과의 경쟁에서 지속성장 하기 위해서 서민금융의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상품으로 서민금융 본래 목적인 지역밀착 금융으로의 지속성장이 필요하다. 더불어 대출자산에 편중되어 있는 쏠림현상을 개선함으로써 자산운용의 균형을 맞춰나감과 동시에 비이자수익 증대를 통한 수익구조 다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신협관계형 금융으로 이를 기반으로 신협중앙회와 핀테크업체, 개별조합이 공동으로 새로운 대안적인 모델을 만들고 고령층 증가에 따른 자산운용상품을 개발함으로써 비용 절감과 이윤향상의 효율성을 도모해 나가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Recently, the financial market has changed rapidly due to the spread of Fintech and the active entry of non-financial companies based on IT. This is creating a crisis while giving opportu1)nities to the financial industry by affecting the existing banking industry. On the other hand, as high interest rates and economic recession continue, the delinquency rate of the mutual financial sector has risen, raising concerns about bank runs due to insolvency. In such a difficult environment, it is very necessary to find ways for credit unions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as local finance and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meta-technology efficiency and meta-profit efficiency using data from credit businesses for 2012-2021(10 years), and to identify detailed factors that lead the profit technology gap by decomposing profit efficiency into four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etical model of this study, it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measures technology efficiency and meta-technology efficiency using parametric hyperbolic distance functions to derive technology gaps, and defines and decomposes profits into four inner factors by measuring profit efficiency and meta-profit efficienc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Suhyup leads the meta-frontier in meta-technology efficiency. Second, due to the large difference in efficiency between the combination of the Credit Union and the Suhyup, the average of the meta-profit efficiency was close to zero, and the Suhyup was found to lead the meta-frontier. Third, as a result of the decomposition of meta-profit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the Credit Union cooperative needs to improve technology transformation (TT), and the Suhyup needs to improve allocation transformation (AT).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in a difficult financial environment, credit unions and Suhyup are products that meet the purpose of establishing low-income finance in order to sustain growth in competition with other finances, and sustain growth to regional finance, the original purpose of low-income finance, is necessary.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balance asset management by improving the concentration of loan assets and to diversify the profit structure by increasing non-interest income. This suggests that the Korea Credit Cooperative Federation, fintech companies, and individual unions should jointly create new alternative models and develop asset management products due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thereby reducing costs and improving profits.

      • KCI등재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Korean ginseng in high-fat diet-fed ovariectomized rats

        정수임,Lara Marie Pangan Lo,이상철,이성준,강미영 한국식품과학회 2016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5 No.4

        Because of decreased estrogen levels, postmenopausal women are at a high risk ofdeveloping dyslipidemia, obesity, and other metabolic diseases. The effects of Korean ginseng were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it can be used as an adjunct supplement for hyperlipidemia. Ovariectomized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to mimic postmenopausal conditions and were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n=6): normal control, high-fat diet, high-fat diet+statin, high-fatdiet+white ginseng, and high-fat diet + heated ginseng. In vitro results revealed that heated ginsenghad higher ginsenosides. Meanwhile, in vivo results showed that heated ginseng inhibited excessivelipogenesis and promoted lipolysis. It also had a better lipid profile than white ginseng. Finally, plasmaadipokine levels indicated a lower risk of developing obesity-induced hyperlipidemia in rats fed heatedginseng.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ated ginseng ameliorates hyperlipidemia and that it canbe a suitable alternative to white ginseng.

      • KCI등재

        슈퍼홍미 미강 추출물의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지질 농도 및 대사성 질환 개선 효과

        정수임,남수진,Jie Liang,Jing Wen Ma,강미영 한국식품과학회 201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1 No.2

        Women who undergo natural menopause transition have increased numbers of risk factors relating to metabolic syndrome due to estrogen deficienc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erhongmi bran extract on metabolic syndrome improvement in menopausal women. Thirty women, who participated i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were assigned to placebo-control (n=15) or Superhongmi bran extract (n=15) groups and were asked to consume two tablets (350 mg per extract per tablet) per day. After 12 weeks, weight, body mass index (BMI), plasma triglyceride (TG) levels, and total cholesterol (TC)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HDL-cholesterol (HDL-C), apolipoprotein A1 (ApoA1), adiponectin, superoxide dismutase 1 (SOD1), and GSH (glutathion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uperhongmi bran extract group. Moreover, 17β-estradiol, and progesterone levels in the Superhongmi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lacebo-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erhongmi bran extract alleviates metabolic symptom in menopausal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