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방향과 과제 -초․중등교육법의 개정안을 중심으로-

        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s a task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policy to strengthen the autonomy of local and school curriculum. For this end, it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curriculum decentralization policy and the requirements of the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urriculum autonomy in curriculum document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period.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revised draft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revision), curriculum implementation(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result) was derived as to how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should be chang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decentralization policy of education curriculum, beside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examine related laws such as the Basic Education Law and the curriculum council regulations. In addition to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infrastructure, and the administrative administration betwee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본 연구는 지역 및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과제로서 관련 법령을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현황과 전제 요건을 탐색하는 데 교육과정 시기별로 교육과정 문서상의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문재인 정부의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에 대한 경향성을 짚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실효 성을 담보하기 위해 초 중등교육법의 관련 조항들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교육 과정 개발(개정), 교육과정 실행(수업), 교육과정 평가(성과) 측면에서 초 중등교육 법의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분권화 정책의 실행과 성과 도출을 위해 초 중등교육법 외에도 교육기본법, 교육과정심의회 규정 등 관련 법령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자치 강화에 따른 행 재정적 인프라,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간의 행정 운영 연계 등 분권화 추진 전략 로드맵을 구상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박순경 ( Soon Kyung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3

        6차 교육과정 이후 기울여 온 교육과정 분권화 노력은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에서의 지역화와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재량권 확대로 집약된다. 본 연구는 장기간 중앙집중적 교육과정 체제를 견지해 온 국가 교육과정 체제와 기준에 교육과정 분권화의 일환으로 `지역화`의 강점을 어떤 식으로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도 교육청별로 개발되어 온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과 지역 교육청의 장학 자료를 대상으로 지역화의 경향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6차 교육과정 이후 16개 교육청별로 연구·개발되어 온 `우리들은 1학년` 교과서와 초등학교 `사회과 탐구` 교과서를 대상으로 지역성의 반영 정도와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에서의 지역화 노력의 성과는 중앙 집중 체제하에서 행정 구역의 구분에 급급한 기계적이고 획일적인 사고로 인하여 고비용·저효율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높은 실효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중앙 정부와 지역 간의 역할 분담과 지역성 반영의 필요성이 담보되어야 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단위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을 포괄할 수있도록 교육과정 지역화의 개념을 재정립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o incorporate the right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into the school curriculum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urriculum localization and tried to re-establish the meaning of curriculum local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the 16 MPEA-developed curriculum guidelines and textbooks, such as `We are the first Graders` for the primary school orientation program and Social Studies Inquiry` which are localized primary social studies subsidiary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urriculum localization efforts for the last 20 years can be evaluated as high-cost but low-efficiency. So far, the efforts have been simply focused on the division of curriculum decision-making power, neither strengthening the rational role-distribution and nor reflecting the differences and variety according to the local conditions. The impacts of curriculum localization measures have been small becaus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re too regulative and over-detailed. Second, the concept of localization should be re-established to provide the right direction of school curriculum autonomy. To do thi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needed : 1) to identify the ultimate meaning of curriculum localization, 2) to guarantee the necessity of role distribution between the cental government and 16 MPEAs and that of reflecting local distinctions, and 3) to extend the scope of localization to implicate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교육과정 지역화의 문제와 개선 방향

        한진호 ( Jinho Han ),임유나 ( Yoona Lim ),홍후조 ( Hoo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2

        6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교육과정의 의사결정 권한은 중앙에서 지역과 학교로 분권화되고, 이러한 추세는 교육감 직선제 이후 지속·강화되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인 편성·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과정 지역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교육과정 지역화의 근거와 특징을 살펴보고, 지역화 과정에서 생긴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이후 관련 전문가 8인의 심층면담을 거쳐 교육현장의 실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추후 방향 제시를 위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이끌어 낸 교육과정 지역화의 문제점으로는 교육과정적 기회비용의 발생, 고비용·저효율·행정력의 낭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저해, 시·도교육청 업무의 비효율성과 비효과성 초래, 교육과정 지역화 수혜 대상자의 전도(顚倒)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문제에 대응하는 개선 방향으로 지역성과 지역의 실정에 대한 재개념화, 국가와 시·도교육청 간의 적절한 의사결정 권한 분배와 지역 교육과정 문서의 실사구시형 개발, 지역 교육과정의 대강화, 시·도교육청 및 지역교육지원청의 역할 및 기능 재구조화, 학교와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따른 지역사회와의 쌍방식 협업 등으로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지역화는 결국 단위학교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 환경 조성으로 건강한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w and problems of curriculum localization in Korea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curriculum localization to promote autonomous organizations and operations of school curricula. The problems of curriculum localization discove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include causing curricular opportunity cost, high-cost and low-efficiency waste of administrative power, hindering autonomous organization and operations of school curriculum, causing inefficiency and ineffectiveness in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reversed beneficiaries of curriculum localization.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s in response to each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e reconceptualization of locality and the actual state of regions; proper distribution of decision-making authority between state,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empirical development of local curriculum documents; simplification of local curricula; restructuralization of roles and functions of local, municip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bottom-up collaboration with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needs of schools and students. Curriculum localization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healthy educational ecosystem by building up the environment for autonomous and creative organization operations of curricula in unit school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support to unit schools.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대강화와 상세화에 관한 일고

        임유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surrounding curriculum simplification and specification as it pertains to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I provide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subject matter. Results from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indicate that the meanings behind the simplification of the general curriculum includes the following: “including only common and sophisticated standards,” “optimizing needed contents,” “giving brief guidance,” “giving a lot of room for subject and time-allotment systems,” and “simplifying document structures.” Conversely, the general curriculum specifications also suggested that a comprehensive guidebook that includes all the forms and contents necessary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would be developed. The meanings of subject curriculum simplification also vary in scope and focus. These include a “reduction of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or “a comprehensive present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statement itself,” and the focus on subject curriculum specification was intended for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related documents” and a “concrete and clear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This study suggests a range of opinions and concerns surrounding “minimizing or integrating forms,” ”simplifying or specifying content through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nhancing autonomy,” as well as addressing the “form and content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issues such as “school competency”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accountability.” 지방자치 강화 정책에 따라 국가 교육과정 대강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대강화 또는 상세화해야 한다는 주장의 ‘대상’이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시작하여 국내 선행 연구와 국내외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국가 교육과정 대강화, 상세화의 의미와 교육과정 문서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 결과, 전체적 방향으로서 교육과정 대강화나 상세화를 제안하여 그 대상이 모호한 경우도 있었지만, 총론의 대강화는 공통적, 요강적인 기준만을 담는 것, 필요한 내용을 최적화하여 담는 것, 간결하게 안내하는 것, 편제표와 시간 배당 기준에 여지를 많이 주는 것, 문서 체제를 간소화하는 것 등의 의미로 제시되었다. 반면, 총론의 상세화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필요한 형식과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종합서, 안내서로 개발해 주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교과 교육과정의 대강화는 성취기준 수의 감축, 또는 성취기준 진술문 자체의 포괄적 제시로 사용되었고, 상세화는 교육과정 관련 문서들의 통합, 성취기준의 구체적이고 명료한 진술 등으로 사용되었다. 향후 교육과정 문서의 대강화는 그 대상, 형식이나 내용, 기준과 지침의 ‘수’ 축소나 ‘진술’의 요강화 등을 구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율성 제고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방향,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형식과 내용,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과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자율성, 책무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국가 교육과정 문서 형식의 최소화/종합화, 문서 내용의 대강화/상세화 방향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교육과정기준 문서 다층화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임유나(Lim Yoona),홍후조(Hoojo Ho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multi-layered system in the curriculum decision making and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s development; and to suggest improvement ways necessary for realization of the school-centered curriculum in terms of the curriculum decision. As a result, the form and content of the MPO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developed by the Educational Office of each region, were composed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ocument; so, they emasculated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it was hard to identify any distinctions among the MPOE Guidelines by several regions. Moreover, in the diversified structure, schools are oversupplied by demands and rules to follow, and they rather have a difficulty in displaying autonom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POE do not make the middle-level curriculum but abolish this, and dualize the curriculum composed of two systems instead: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outside of school that reflects globally and nationally universal validity; and the school curriculum standards inside of school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cities and provinces. The MPOE should play a role of ‘supporting’ schools, so that they could plan and operate fine and excellent educational activities. 본 연구는 그간 논란이 되어 온 교육과정 결정과 문서 개발의 권한을 국가-지역(시.도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학교 수준으로 다층화한 구조가 지닌 문제점을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질 높은 구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근거가 되고 있는 교육법과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에 나타난 교육과정 결정 구조를 확인하였고,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와 시.도 지침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시.도교육청에서 매년 개발하고 있는 지침의 형식과 내용은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와 동일하거나 대동소이하여 국가교육과정기준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시.도 지침의 지역간 특색도 부족한 가운데 학교 수준에 도달해서는 교육과정적 요구의 과잉 문제를 낳고 결과적으로 단위학교의 자율성.특수성.지역성 발휘를 위축시켜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이 중간 단계 옥상옥(屋上屋)의 교육과정기준을 만들어 학교에 하달하는 것을 개선하여, 세계적.국가적인 보편성과 공통성을 반영한 학교 밖의 ‘국가교육과정기준’과 시.도 및 학교를 둘러싼 지역의 특수성과 자율성을 반영한 학교 안의 ‘학교교육과정기준’의 두 체제로 교육과정기준 문서를 이원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지방자치제 속에서 이런 제언은 논란을 낳을 수 있지만, 시.도 교육청과 교육지원청은 학교가 국가기준을 바탕으로 지역 및 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수용하여 질 높고 우수한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 및 전제 조건 탐색

        이승미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1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는 중앙집권적 교육과정의 체제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제6차 교육과정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학습자의 자율성과 주도성의 발현 지원을 위해 지역과 학교 수준에서 발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권한으로 자리매김하여 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이 행위 주체와 연결지어 해석, 실천되는 과정에서 그 본래 지향점이 왜곡, 변형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교육과정 정책과 관련 연구에의 활용 및 현장 지원 방향 탐색을 위하여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과 전제 조건을 명료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이론적, 실제적 측면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 및 전제 조건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개념 및 전제 조건의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첫째,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역할 및 범위가 확장되어야 하며, 둘째, 지역 및 학교별 교육적 요구와 실태를 반영한 교육과정 지역화 및 자율화의 전제 조건의 구체화 및 지원을 위한 후속 연구가 실시되어야 한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교사 공동체의 형성과 진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김세영,신은희,안용순 한국교육과정학회 2023 교육과정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시기 등장한 교사 공동체인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가 어떠한 맥락에서 형 성되었고, 그것이 현재 어떤 양태로 진화하는지 그 양상을 다양한 맥락 속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의 사례됨에 초점을 맞춰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가 처한 시공간적 영역이라는 맥락 속에서 분석 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는 시간적 측면에서 과거 국가 교육과정에 대응했던 다양한 방식들이 체계적으로 표면화된 것으로, 교육과정 적용이라는 일련의 교육과정 흐름에 따라 현재 시도교육청 혹은 비공식적 차원에서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적 측면에서는 사회적 합의 분위기부터 국가교육 회의 설립, 교육부의 정책 변화, 비대면 협의 활성화 등 다양한 층위에서 일어난 변화가 네트워크를 형성케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현장네트워크는 수정된 주도조직 관리 네트워크 형식을 취함과 동시 에 활동가에서 교사 중심으로 행위자 변동을 일으킨 교사 네트워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교육과정현장 네트워크가 하나의 독립적인 교육과정 주체로 작동하는바, 국가교육위원회, 시도교육청 등은 교사 네트워크 와 협력적 거버넌스를 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xt in which field-centered curriculum networks emerg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how they are currently evolving. To this end, we focused on qualitative case studies, with a specific emphasis on “casing,”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dimensions in which field-centered curriculum networks exist. From a temporal perspectiv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se networks have surfaced as various responses to the past national curriculum. Furthermore, these networks continue to operate either within current local education offices or informally. From a spatial perspective, changes at various levels, such as the social consensus, the establishment of Presidential Council on Education, policy chang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activation of remote consultations,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se networks. These networks adopt a modified lead organization-governed network structure. In addition, this teacher network caused a change in actors from activists to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local education offices, and others to adopt collaborative governance with teacher networks.

      • KCI등재후보

        국가 교육과정 적용에서의 교육과정 지역화의 실효성 논의 (Ⅰ) : 시·도교육청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연구·개발 과업을 중심으로

        박순경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 적용 과정에서의 교육과정 지역화 노력의 실효성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연구·개발 과업에 주안점올 두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국가수준 지침과 16개 시·도교육청 지침의 일부를 상호 비교 분석하였고 그를 토대로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지역화 노력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교육과정 적용의 각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할 의사결정권의 총화(總和)를 증대하고 지역 단위의 교육과정 전문가 훈련과 의사결정 참여의 공통 분모를 확대해나가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지역화 노력 가운데 부분적으로는 실효성의 면에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교육과정 지역화의 노력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지침의 요강화와 함께 국가와 시·도교육청간, 그리고 16개 시·도교육청간의 역할분담 체제를 합리적으로 하고,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과업 수행 역량의 증진과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것은 명목상의 자율성이 아닌, 권고와 지원을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강구되는 실질적 자율성올 전제로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attempts to localize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some directions which can substantiate curriculum administr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ions of autonomy of MPEA (Metropolitan and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stage. As an attempt to complement the limits of centralized curriculum system, curriculum guideline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have been carried out in each MPEA sinc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But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role division and specification to carry out the complex curriculum dissemination tasks has been ignored at local level. To improve this state, this study indicates the problem of low efficiency of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the guideline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the 7th Korean high school elective curriculum. The results mea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role division and specification system in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ss.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should be more empowered to have a real authority and professionality in the context of local curriculum management. Strengthening the concept of customer-centerednes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reinforces the authentic autonomy to be internalized in the whole processes of national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idea of curriculum localization should be consolidated not as a rhetoric, but as a reality of local curriculum practices.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의 가능성과 한계 :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2

        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와 교육과정 구조의 다양화를 표방했던 6차 교육과정 이후부터는 학교 단위 교육과정 자율성을 위한 노력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1~5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편제 및 편성․운영 지침이 자율 및 허용 규정보다는 통제 및 강제 의무 규정이 많아서 지역 및 학교 단위 교육과정 자율성 증진은 형식적, 선언적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6차~2007년 개정 교육과 정 시기에는 국가, 지역 및 학교의 역할 분담 체제에 따라 보다 구체적인 자율성 확대 지침을 통해 자율적 편성․운영의 실질적 보장이 상당 부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에서 자율적 편성․운영이 제한적, 부분적이었다는 지적에 따라 ‘교과 집중 이수제 도입’, ‘교과수업 시수의 증감 운영’,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자율성 확대’ 등을 통 해 좀 더 실효성 있는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 확대를 지향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상황에서 학교 단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은 국가 교육과정 기준에 기초해야 한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학교단위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를 위해 향후 국가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하면, 우선 단기적으로는 교육과정 편제표상의 수업 시수를 ‘최소’보다는 ‘기준’ 개념으로 해석하는 문제, 교육과정 영역별(교과․재량활동․특별활동) 수업시간 수를 “학교급별” 혹은 “학년군별”로 통합하여 제시하는 문제, 수업 시수의 통합 제시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의 학년별 내용을 ‘기준’으로 해석하고 개발된 교과서내용의 재구성 혹은 대체 가능 내용에 대한 ‘아이콘 형식 표기’ 문제 등의 현실적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국가 교육과정의 체제를 현재와 같이 다양한 교과 중심의 편제에서 벗어나 핵심 교과(영역) 중심으로 재구조화 하는 문제, 학생의 과목 선택권의 실질적 확대를 위해 ‘학기의 세분화’를 통한 집중 이수 및 재이수의 자율적 허용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has been regarded as an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deliberation and decision making. This trend could be understood as a main stream of effort to improv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1st national curriculum included slightly autonomy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local and school level in korea. Especially, the 6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cluded the partial admission on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local level according to the decentralization of curriculum decision making and expanding the curriculum diversity. Also, the 2007 new national curriculum included the considerable admission on the autonomy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at the local and each schools. Nevertheless, in korea context, there is the limitation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local and school level. Because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our curriculum system. In the future, in order to improve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xtend the curriculum autonom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erm of \ subject matters\ contents\ , \ time allotment\ , and \ curriculum reconstruction or reorganization of textbooks\ in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light of curriculum autonom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curriculum design and construct should be focussing on the \ core competency\ or \ core subject\ in the structure of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나타난 교육과정 지역화 양상에 관한 연구

        최류미 ( Choi Ryumi ),이도영 ( Lee Doy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국내 교육과정 지역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17개 시·도 교육청 편성·운영 지침을 분석하였다. 17개 시·도 교육청 지침 문서에서 교육과정 지역화를 시도한 요소를 총 5개의 지역화 범주로 도출하였다.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서 드러나는 지역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첫째, 각 시·도별로 교육과정 지역화를 시도한 영역과 항목이 상이했다. 둘째, 지역화의 수준 및 구체성에서 차이가 드러났다. 이러한 차이는 특히 각론의 교수학습 및 평가, 성취기준 관련 요소에서 두드러졌다. 셋째, 지역화 시도는 특정 교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총론, 교과 각론, 창의적 체험활동, 범교과학습주제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발견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지역화가 총론에서부터 각론까지 일관성 있게 드러나는 지역과 일관성이 낮은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교육과정 개발 및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o understand the localization of the regiona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the 17 MPOE (MetropolitanㆍProvince Office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lements that attempted to localize the curriculum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five categories in the aforementioned Guidelines. first, the areas that attempted to localize the curriculum were different for each office of education. Second,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the level and specificity of localization. This difference was particularly noticeable in the factor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Third, the discussion on localiza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ubject, and is applied overall to general guidelines, the subject curriculum, creative-experience activities, and cross-curricular subjects. Fourth, localization was classified into attempts that were consistently revealed throughout the curriculum document and those with low consisten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rriculum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