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 분석 : 제 1~7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teacher´s guidebook of 3rd. 5th and 7th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정혜승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4 No.-

        본고는 1~7차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그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용 지도서가 어떤 기능을 수행해 왔으며,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그 자체에 대한 해설과 안내,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설명,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 평가 안내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교사용 지도서가 이와 같은 기능을 다 할 때 교육과 정의 의도한 대로 보다 충실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교사용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을 기존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을 분속한 결과, 국어과 교사와 지도서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그차체에 대한 핵설과 안내가 비교적 잘 되어 있는 편이며,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7차 지도서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나 평가에 대한 안내 면에서 많은 발전을 이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교사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것은 교사용 지도서의 계속된 문제이다. 장차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교사가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를 올바로 인식하고 있을 때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가 될 수 있다. 교사용 지도서는 바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교사에게 제공하는 통로이다. 즉, 교사용 지도서는 교과서 개발자와 교사의 의사소통을 매개하는 교량 역할을 해야 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1st~7th teacher's guidebook for middle school(hereinafter "guidebook") in order that we can review its functional performance and can find any problem of it. A guidebook should meet functional requirements that it should include explanation about and guidance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explan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presentation of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instruction for evaluation. The purpose of curriculum can be accomplished through fulfilling the functional requirements. The analysis results on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the 1st~7th guidebook from the viewpoint of above function requirements shows that the guidebook includes good explanation about and good guidance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d they have been developed consecutively. Especially the 7th guidebook shows much growth in the area of specific instruction and evalu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However it is a common problem from the 1st to 7th guidebook that no enough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has been offered to teachers. It is thought that this problem should be solved in the future guidebook. The teacher can be the subject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hen he or she correctly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The guidebook is the path for furnishing in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guidebook should play a role of bridge connecting textbook developer and teacher.

      • KCI등재후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교사용 지도서의 연계 분석 -"수학적 탐구하기" 를 중심으로-

        장혜원 ( Hyewon Chang ),임미인 ( Miin Lim ),이화영 ( Hwayoung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2

        본 연구는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와 그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 연계성을 양방향으로 분석하여 향후 누리과정 개정 및 교사용 지도서 집필, 수정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 32권이며, 분석틀은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의 세부 내용을 상세화, 구체화한 재구성 성취기준이다. 분석 내용은 누리과정 재구성 성취기준이 교사용 지도서에 모두 구현되었는지, 그 역방향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관련 활동이 재구성 성취기준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지에 대한 분석의 두 가지이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에 기초한 논의로부터 누리과정 개정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 재구성 성취기준 중 교사용 지도서에 적절히 구현되지 못한 요소가 발견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조치가 요구되며, 교사용 지도서 집필시 누리과정의 의도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누리과정 세부 내용의 구체화와 세분화를 제안한다. 또한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연령과 일치하지 않는 다수의 지도서 활동은 교사용 지도서 집필시 연령별 발달 단계에 맞게 구성한 누리과정의 의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관련 활동 중 누리과정을 벗어난 내용에 대해서는 유아의 수준을 고려한 검토를 제안한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관련 활동 집필시 유아교육의 바탕이 되는 놀이 활동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넷째, 누리과정 개정 및 교사용 지도서 집필시 다루는 대상이나 표현상의 일관성을 보완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교사용 지도서 활동의 유치원, 어린이집 적용을 통한 누리과정에의 피드백을 고려할 것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for revising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and its manuals based on the analysis on connection of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and its manuals for teachers in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 kind of critical analysis of literature. We reviewed the domain which is called ‘mathematical exploration’ of Nuri curriculum and reconstructed its sub-contents for analyzing the manuals for teachers. We renamed them ‘reconstructed achievement criteria’ as a framework of analysis and applied them to analyze 32 manuals for teachers of Nuri curriculum for ages 3 to 5.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at there are a lot of poor connections between Nuri curriculum and its manuals for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ncludes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Firstly, considering poor connections between Nuri curriculum and its manuals for teachers, we have to take proper steps for the relevant elements. We also suggest refinement and actualization of sub-contents of Nuri curriculum. Secondly, math-related activities of the manuals for teachers which are beyond the range of Nuri curriculum need examinations in relation to the cognitive levels of young children. Thirdly, the disagreement of ages between Nuri curriculum and its manuals for teachers suggests that writers need to consider intentions of Nuri curriculum in relation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phases when they write the manuals for teachers. Fourthly, we notice the needs for supplementing consistency of concepts or representations when revising Nuri curriculum and its manuals. Finally, we had better take a feedback from specific application of the manuals for teachers to many children.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의 특성 분석

        박진이,이영애 한국음악교육학회 2015 음악교육연구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수록된 동요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누리과정 개정 시 음악관련 영역에 있어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 49곡과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 84곡으로, 동요의 장르, 주제및 활동유형, 노랫말 형식, 음악적 요소 4가지 분석기준을 토대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의 장르는 대부분 창작동요였다. 둘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는 ‘동식물과 자연’ 생활주제에 많은 동요가 수록되었으며, 대․소집단 음악활동이 가장 많았다. 반면,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는 ‘학교와 나’대주제에 많은 동요가 수록되었으며, 즐거운 생활과 관련된 동요가 가장 많았다. 셋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는 산문형과 산문형과 반복형을 모두 사용한 노랫말 형식이 가장 많았고,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는 산문형 형식이 가장 많았다. 넷째, 음악적 요소를 살펴보면 ‘5세 누리과정 지도서’와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들은 공통적으로 4/4박자가 가장많이 사용되었고, 다장조가 대다수였으며, 대부분 한도막 또는 두도막 형식이었다. 또한 주로 8도의 음역을 사용하고 최고 음정의 도약은 4도에서 이루어지며, 전래가락의 사용 비율이 높지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가정 교사의 인식 및 활용

        강은영,신혜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regarding teacher's guidebook for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lass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The data were collected via e-mail to teachers teaching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s. These e-mail addresses were acquired from middle school web pages registered on the Educational Board. The 355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eachers recognized highly the necessity of teacher's guidebook. However, as the actual guidebook was not adequately helpful, the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Teachers utilizing guidebook had more positive recognition on teacher's guidebook than teachers who did not. And teachers majored in technology education thought teacher's guidebook more helpful compared with teachers majo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Second, teachers referenced teacher's guidebook mostly for field practice guidance.Third, teachers who did not utilize teacher's guidebook used other reference materials such as Internet Web sites and audiovisual materials. They were most commonly used for the reason that the contents were ample and easy to access. Fourth,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to improve teacher's guidebook. The provision of learning contents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class, the various sample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specified methodsof planning and criteria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e adequate supplementations regarding textbook contents, and the improvement of the outward layout format of the guidebook.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가정 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를 분석하여 우리 교육 현실에 맞는 새로운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이메일을 통하여 수집하였는데 전국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서울시교육청 및 각 도교육청 그리고 각 광역시 교육청에 등록되어 있는 중학교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가정 교사의 이메일을 토대로 하였으며, 설문은 Web을 구축하여 사이트에 접속해서 답변을 할 수 있게 하였다. 855명에게 이메일을 발송한 결과 366명이 설문에 응답을 해주었으나 기술교사 9명과 중복 답변 2명을 제외한 355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필요성에 비해 교사용 지도서가 도움이 되지 못하며 따라서 만족도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 활용교사가 미활용교사보다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술교육 전공 교사가 가정교육 전공 교사보다 교사용 지도서가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둘째, 가정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참고하는 부분은 ‘차시별 지도의 실제’로 나타났고, 각 부분에 따라 총론은 ‘교수-학습 방법’, 각론은 ‘차시별지도의 실제(학습내용해설)’, 차시별 지도의 실제는 ‘학습 자료’와 ‘학습 내용 및 활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지 않는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가 충분한 도움을 주지 못하거나 다른 참고 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용 지도서 외에 인터넷 사이트, 시청각 자료를 가장 많이 참고하며, 이런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사용하기 편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사항으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의 제시, 다양한 교수-학습 과정안 제시, 수행평가 계획 및 기준에 대한 구체적 제시, 교과서 내용에 대한 충분한 보충 설명, 지도서의 외형적 체재 개선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교사 교육과정 담론 속 역사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향 모색

        이미미,이소은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교사교육연구 Vol.62 No.4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과 교사용 지도서의 현황과 교사용 지도서가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종의 중학교 역사 교사용 지도서 1개 대단원의 구성 체제와 기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교사 교육과정 구성과 실천에 도움을 주는 역사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중학교 역사 교사용 지도서는 ‘도입-차시 내용-평가 및 마무리’라는 기본 구성 체제와 단원 도입, 차시 지도안, 해설, 보충자료, 수행평가, 기타 평가, 단원 마무리, 기타 활동이라는 세부적인 구성요소에서 전반적인 유사성을 보였다. 기능 측면에서는 자료의 제공(79%), 교사와 학생 행동의 지시(19%), 교사의 학습 ・성장・변화 지원(2%)이라는 교사용 지도서의 세 가지 기능에 주력하고 있었으며, 7종의 지도서는 기능 분포에서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7종의 교사용 지도서는 구성 체제면에서는 차시별 수업 내용을 중심에 두고 있고, 기능 측면에서는 자료의 제공에 주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 교육과정이 활발하게 논의되는 담론 속에서 수업 내용 전달에 중심을 둔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도 더욱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해 볼 때, 중학교 역사 교사의 수업 구성과 교수・학습 향상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정보 전달을 넘어서 교사의 교육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교수용 교재로서 교사용 지도서가 거듭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적 교수학습자료로서의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언하였다. Based on the concept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 of 7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guides. Focusing the analysis on one unit from each guide, the study aimed at providing suggestions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 guides which promote teacher-created curriculum materials. All 7 middle school history teachers’ guides shared the ‘introduction-lessons-assessment and summary’ organization with categories including unit introduction, lesson plan, commentary, additional materials, performance assessment, other assessment, unit summary, and other activities.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eachers’ guides devote 79% to providing materials, 19% to directing teachers’ and students’ actions, and 2% to educative supports that assist teachers’ learning, growth and chang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urrent teachers’ guides concentrate on lessons category by providing instructional materials to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a challenge in terms of implementing teacher-created curriculum materials. Teachers’ guides that focus on providing materials to teachers without supports for teacher learning have a high chance of being neglected by teachers. The study discusses two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s.

      • KCI등재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양찬호 ( Chanho Yang ),송나윤 ( Nayoon Song ),김민환 ( Minhwan Kim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4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1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및 부속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수업과 과학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계획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구분을 그대로 따랐으나, 전체 대단원의 차시 구성이나 교육과정 상의 내용 간 연계에 대한 고려는 부족하였다. 또한, 수업에 적용할 모형을 선정할 때 제시된 예시 지도안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 일반적인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시된 질문을 변형하였고,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모형의 각 단계에 맞춰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변형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부속자료로 제공된 활동지를 활용하지 않고 교사용 지도서와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활동 지를 제작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예시 지도안에 제시된 평가 단계를 보고 교수학습 평가 요소를 인식하였으나,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주로 내용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지필평가를 계획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소단원 도입 질문이 학생의 흥미 유발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여, 이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의 PDC 향상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use of teacher’s guide in planning lessons. Eleven pre-servi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includ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were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used teacher’s guide while they planned two lessons, which were a lecture and an instruction using science teaching model.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All of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pre-service teachers followed each lesson presented in teacher’s guide, but they did not consider the structure of the whole unit and science curriculum. There were some cases that the exemplary lesson planning in teacher’s guide helped them to select science teaching model. They modified the questions of textbook activity in planning their lecture. On the other hand, they modified the activity to fit each stage of the model in planning their instruction using science teaching models. Most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ed their own worksheets by applying the materials of the teacher’s guide. They recognized the components of assessment by considering exemplary lesson planning from the teacher’s guide, and created questions by modifying the content of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books includ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However, the questions which they made were limited in context of knowledge. They evaluated that introductory questions were not of interest to students, and modified or added new material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쟁점과 실제 적용에 관한 연구 -제3국 출생 탈북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돋움한국어』의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홍혜란 ( Hong Hye-ran ),유소영 ( Yoo So-young ),최수정 ( Choi Su-jeong ),김령 ( Jin Li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9

        본고는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관한 연구로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그간 이루어진 한국어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 중 요구분석 연구의 성과를 집중 분석하여 그 결과를 실제 지도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아동, 재외동포 아동, KSL 초, 중, 고등학생 등 다양한 변인을 대상으로 한 지도서의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지도서의 구성 체제와 내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원리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교사용 지도서 개발 원리를 첫째, 수업 준비와 운영의 흐름을 고려한 구성 체제, 둘째, 아동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활동 구성, 셋째, 효율적인 수업 준비를 돕기 위한 내용의 이원화, 넷째, 대조분석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 오류 클리닉 제공, 다섯째, 수업 운영의 편의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업 보조 자료 개발의 다섯 가지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실제 지도서에서의 적용 예시를 보였다. 이 연구는 교사의 요구분석 내용을 지도서에 반영하고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교사,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지도서 체계와 내용을 마련한 교사용 지도서의 실제를 보여줬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s guidebook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Korean textbooks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guidebook is also intende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fore developing an actual teacher’s guidebook, this paper reviewed previous relevant studies to collect result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In addition, the various factors that a teacher’s guidebook must address were analyzed, including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children; and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KS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osition, and the contents and principles necessary for teachers’ guidebooks were established. The following are five principles for developing a teacher’s guidebook fo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to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is study: 1) a system of composition considering the flow of class preparation and management; 2) class activit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hild learners; 3) dualization of contents to help efficient class preparation; 4) providing learner error clinics based on contrast analysis; and 5) development of class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of convenience and utilization in classroom operation. Furthermore, this paper shows examples of applications in the teacher’s guidebook.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show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 teacher’s guidebook based on a system and contents that consider both teachers and learners’ variabl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and the guidebook that it created will enhance Korean textbooks and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용 지도서 활용 방식에 대한 연구 : 두 명의 미국 교사를 중심으로

        전영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3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사용 지도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교육목적과 내용을 구체화한 자료로서 수업에서 무엇이 가르쳐질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연구는 교사들이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 구성 및 제시 방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현직 교사들이 교사용 지도서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명의 미국 초등학교 교사가 수업에서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는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의 교사용 지도서가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유용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용 지도서가 교사에게 좀 더 유용한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교수 실제에서의 파트너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과, 이를 위해 교사용 지도서가 교사 학습의 주요 자료가 될 것을 제안하였다.

      • 초등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안 - 교육과정 실행 관점을 중심으로 -

        표상철(Sang Cheol Pyo),이경화(Kyeong Hwa Lee)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과교육연구 Vol.37 No.-

        이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 관점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이에 부합하는 초등 국어 교사용 지도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사용 지도서는 과거에는 교과서, 지도서를 비롯한 교과용 도서가 표준, 모범을 제공하는 기능 측면에서 충실도 관점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교과서를 재구성하는 상호적응적 관점을 넘어 교육과정 문해력을 강조하고 교사와 학생이 함께 수업을 만들어가는 생성적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실행 관점을 고려한 교사용 지도서의 기능을 ‘설명서’, ‘자료집’, ‘창안서’로 유형화하여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실행 관점을 분석하였다. 교사용 지도서에 반영된 설명서로서의 기능은 크게 (1) 국어교육과정에 대한 해설, (2)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에 대한 이해와 안내, (3) 국어과 교수·학습 정보 제공 및 지도 방법 안내로 분류할 수 있다. 자료집으로서의 기능은 (1) 교과서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자료 제시, (2) 교과서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제재 제시, (3) 교과서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학습 활동 제시로 분류할 수 있다. 창안서로서의 기능은 (1) 단원 집필 의도 및 국어 교과, 국어교육과정 해석, (2) 개별 학급의 국어 학습 경험 반영을 지원하는 자료 제시로 분류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현행 교사용 지도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소개하는 정도에 그친다는 점, 교사가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다는 점, 개별 학급의 국어 학습 경험 반영을 지원하는 역할이 빈약하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해설, 교사가 교과서를 재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대체 활동 자료와 제재를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 안내, 개별 학급의 국어 학습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사용 지도서는 교육과정, 교과서를 구체적으로 상술한다는 점에서 수업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고 교사의 명확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또한 지도서 개발 과정에서 본 연구의 지도서의 기능으로 제시한 세 가지 기능들을 갖추기 위해서는 ‘상세화’와 ‘대강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 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 2009 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중심으로 -

        이경화(Lee, KyeongHwa),최민영(Choi, MinYo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이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새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안착을 견인하고 현장 교사들의 국어 수업 전문성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체제와 내용 구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과 교수 학습 현상 안에서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가 어떠한 위상과 기능을 갖는지를 정립하고, 최근 교과 수업 전문성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부상한 국어과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측면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나아가 차기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서 PCK 측면의 제언을 덧붙이고자 하였다. PCK라는 분석 기준을 토대로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의 체제와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2009 개정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는 이전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비해 판형과 디자인과 같은 외형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내적으로도 현장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인 배경 지식과 참고 자료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는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교수 학습의 실제’ 부분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 ‘대강화’와 ‘상세화’의 딜레마 속에서 선택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국어 수업의 성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교수 학습 과정의 실제를 구성함에 있어 해당 단원 및 차시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관련된 정보를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수 학습의 과정 및 교수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 tried to build up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eacher’s guide book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ual condition” of teacher’s guide book by an aspect of PCK and attached a suggestion for the next teacher’s guide book development by an aspect of PCK. By an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book I could have the implications as belows. The 2009 revised teacher’s guide books contained practical background knowledge and reference materials which are helpful for teaching as well as advanced format and design in external form.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balance of both the process of elaboration and slimming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Second more concrete guidance of teaching’s direction is necessary in aspects of actual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Korean Language Subjec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nformation about the student’s understanding among the PCK components in composition of pract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sent various teaching technique and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