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일 초등교사의 시민의식 비교

        유은영 ( Eun Young Yu ),남상준 ( Sang Joon Nam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1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3 No.-

        사회과 교육의 목표가 시민성 교육 또는 민주시민 자질의 형성이라는 점은 합의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시민성, 민주시민의 자질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료하게 규정된 바가 없다. 이는 직접 사회과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시민성에 대한 이해와 민주시민의 자질에 인식을 파악해야 할 필요성과 잇닿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문지를 활용하여 한국과 일본 양국의 초등교사들의 시민의식 정도와 현재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민주시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는 공보처(1997)와 한국교육개발원(1994)의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 중에서 본 연구문제 해결에 관련되는 항목을 추출하여 1) 초등교사의 시민의식, 2) 민주시민 교육에 대한 인식이라는 두 개의 큰 주제를 내용으로 한 질문지로 재구성한 것이다. 일본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는 한국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를 번역한 것이다. 한국은 266명, 일본은 48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에디팅, 코딩, 펀칭, 데이터 클리닝 과정을 거쳐 SPSS 12.0을 이용 전산처리 하였다. 한국과 일본 초등교사의 시민의식과 민주시민 자질을 비교·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준법실태 인식은 일본에 비해 매우 낮고 준법의식에 있어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권리 실태 인식과 권리 의식에 있어 일본은 평균 이상이나 다른 영역에 비해 낮았고 한국도 평균 이하의 낮은 결과를 보였다. 양국 모두 공익이나 공적 관계보다는 사익이나 사적 관계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의 초등교사들은 일본 소학교 교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국의 시민의식에 대해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1개 분야의 시민의식 중 평균 이상의 높은 결과를 보였던 분야와 사회과에서 길러주어야 민주시민자질 중 강조하고 있는 분야가 일치하는 것으로 민주시민 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시민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초등학교 사회과의 민주시민 교육에 대하여 일본은 50% 이상이 한국은 80% 이상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원인을 한국의 초등교사들은 교육행정 체제 및 교육제도에서 찾으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사들은 민주시민 교육을 교과 내용으로 학습되기보다는 학교와 사회의 풍토를 기반으로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끝으로 양국 모두 실태와 의식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일본은 의식에 비해 실천이 앞서 있는 반면 한국은 의식은 앞서 있으나 실천이 뒷받침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의 시민의식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민주시민 교육 나아가 사회과교육의 방향 제시에 있어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 학교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개발" 관점 탐색

        정광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과교육연구 Vol.4 No.-

        본 연구는 SBCD와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해 SBCD의 개념과 성격을 중심으로 SBCD의 의미와 SBCD를 등장시킨 교육학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과정 어원, 개념, 그리고 성격을 분석하여 초등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차이성과 연계성의 관점을 검토하였다. 이를 기초로 SBCD의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첫째, SBCD는 의미상 보다 적절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으로 '독자성'과 '연계성'을 특징으로 한다. SBCD는 교육의 사회적, 철학적, 심리적 측면에서 교육이나 교육과정에 관점의 변화 및 학교, 학습지 및 교사의 역할 변화를 배경으로 등장하였다. 둘째, 초등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는 초등에서 보다 적절한 SBCD개발과 관련이 있다. 초등교육과정은 currire 보다는 curricule라는 어원에 더 가깝게, 경험성과 활동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일상경험을 '교과개념'으로 연계하는 개념화의 단계로 인식할 수 있다. 셋째, SBCD가 초등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은 SBCD체제는 광범위한 수준에서 초등교육과정이 승법적으로 운영 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수내용지식을 중요하게 부각시킴으로써 초등교사의 전문성 영역을 다른 각도(제 3의 영역)에서 찾을 수 있도록 시사한다. SBCD는 교육과정 '개발'에 초정을 두지만, 교사의 입장애서 '이해'와 '개발'의 관점은 모두 필요함으로 본 글에서는 이 둘을 같이 다루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SBCD in regards to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this purpose, this article explains and illustrates the educational meaning and background of SBCD. It analyzes the etymology,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and investigates a viewpoint to understand the elementary curriculum accurately and finds out some significances of SBCD. First, SBCD means to provide more appropriate. curriculum and be characterized as the uniqueness and relevance. SBCD comes from a changed viewpoint of education or curriculum in the social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educational psychology. Seco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more related to 'curricule' than to 'currire' etymologically. It includes experience and activity in nature, and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ual process which connects life experiences into subject concepts. Third. SBCD implies tha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s implemented by multiple approaches. Finally, SBCD stresses practical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teacher. Although SBCD focuses on curriculum 'development', the teacher is needed to both 'understand' and 'develop' the curriculum.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deals with both together.

      • 유ㆍ초등 문학교육 내용 연계 연구

        최신혜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6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만 5세와 초등학교 1-2학년군의 문학교육 내용이 연계되어 있는 양상을 파악하는데 있다. 유ㆍ초등 교육기관은 학교급 단위로 분절되지만, 문학 교육은 연속적인 흐름에 알맞게 조직되어야 한다. 유아교육과 초등학교의 학교급별 단계를 고려하여 순방향의 관점으로 이루어져야한다. 문학 교육 내용의 연계는 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과 관련된다. 문학교육의 내용 선정은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의 범주에 따르며, 문학교육 내용의 조직은 학습자의 인지 정서 수준과 텍스트의 내용 수준에 따른다. 이러한 내용 선정과 조직의 변인을 고려하여 유ㆍ초등 문학교육내용 연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학년군에서는 극 장르가 제외되어 있는데, 다양한 문학 장르를 학습자들의 수준에 알맞게 제공하되, 상위 학년군은 학습자의 발달을 고려하여 텍스트의 복잡성이나 전문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제시해야 한다. 또한, 다매체 문학 교육을 위한 텍스트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합의가 필요하다. 둘째, 만 5세와 1-2학년군에서는 운율에 대한 문학 지식 교육 내용을 일상의 언어 활동을 통해서 경험하도록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의 언어 수준을 고려한 것으로 바람직하다. 셋쩨. 만 5세와 1-2학년군에서는 문학 생산 교육 내용이 제시되고 있는데, 문학 생산의 즐거움을 맛보게 한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다만, 1-2학년군의 학습자들이 기초문식성기에 해당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글과 그림 혹은 구두로 이루어지는 창작을 허용해야 할 것이다. 넷쩨. 문학 태도 교육 내용은 1-2학년군에서만 명시적으로 드러났는데, 만 5세에서도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교육 내용의 수준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의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 반영 양상

        이경화,김동주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초등교과교육연구 Vol.33 No.-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이 내용의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 반영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생산자와 수용자의 통합, 정보 유통의 다방향성 등의 특징을 지니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의사소통 능력으로, 현대의 초등학생이 꼭 갖춰야 할 소양이다.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기준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으로, 사회 문화적 이해, 정보 검색과 선택, 콘텐츠 의미 이해, 감상과 향유, 창작과 제작, 공유와 확산, 비판적 평가와 적용, 바람직한 이용의 8가지를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초등 국어, 국어활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 활동은 복수의 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분석결과, 모든 교육 내용이 국어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으나, 교육 내용별, 학년군별로 반영 양상에 편차가 있었다. 첫째, 정보 검색과 선택은 21회, 감상과 향유가 4회로 가장 많이 반영된 내용과 가장 적게 반영된 내용 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2학년군에는 2개, 3~4학년군에는 29개, 5~6학년군에는 63개의 교육 내용이 교과서 활동에 반영되어, 학년군이 높아질수록 반영되는 교육내용의 수가 증가함이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디지털 도구 사용 능력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념과 내용을 고려하여 분석 결과 나타난 편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언식성 을 고려한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새로운 국어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성취기준 선정을 중심으로

        이경화,유정오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5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언식성(oracy)을 고려한 기초문식성 교육의 일환으로 새로운 국어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성취기준 선정을 위한 제안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으로 볼 때,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이들이 접하게될 기초문식성 교육은 초등학교 입학 이전에 아이들이 경험하고 학습했던 언식성 활동들이 중요한 토대가 된다. 기초문식성 교육에서 언식성을 고려한다는 의미는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국어교육과정 전 영역에 기초문식성 내용인 언식성 요소를 성취기준으로 추가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국어교육과정 내용 영역의 성취기준에 언식성 활동을 관련짓는 것을 말한다. 이 연구에서는 언식성을 고려하여 새롭게 기초문식성 내용 체계를 마련하고, 2009 개정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국어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성취기준 선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어교육과정 성취기준 선정은 ‘순방향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초문식성 내용’을 바탕으로 성취기준을 선정해야 한다. 셋째, 국어 교육과정 내용 영역 성취기준에 기초문식성 내용의 ‘언식성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넷째, 국어교육과정 모든 내용 영역에서 기초문식성 내용과 관련한 ‘언식성활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자기성찰의 사회과교육적 실천 방안: "다시쓰기"를 중심으로

        황정현 ( Jeong Hyun Hwang ),남상준 ( Sang Joon Nam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학습자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의미구성 과정의 중요한 양상으로서 ``자기성찰``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사회과교육 실천방안을 모색하였다. ``자기성찰``은 ``대상``을 통하여 자기를 이해하는 일련의 사고행위를 가리키는 것으로, 대상의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을 되돌아보고 새롭게 발견·이해함으로써 세계와 자신의 삶에 대한 가치와 태도를 정향하는 의식활동이다. 사회과교육을 통한 ``자기성찰``은 학습자가 교과의 지식과 가치의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그것이 나에게 가지는 상황적이고 맥락적인 의미를 구성함으로써 학습자 자신을 발견·이해하고 나아가 자기의 변화와 성숙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자기성찰을 구현할 수 있는 하나의 실천방안으로 학습자와 사회과 텍스트의 만남과 대화를 통한 새로운 의미구성의 과정인 ``다시쓰기``를 제안하였다. 자기성찰을 위한 사회과교육 실천방안으로서 ``다시쓰기``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다시쓰기가 이루어지는 읽기와 쓰기 국면, 그 결과물을 매개로 한 토의 국면에서의 자기성찰 전략을 제시해 보았다. Considering the perspectives of the individual development model which values the holistic growth of a learner through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study suggested the self-reflection as one of meaningful aspects in the process of the learner`s organizing a sense of subjectivity and activeness, which leads to the individual changes and full growth. The study considered the ``self-reflection`` a thinking behavior that a person understands himself through an ``object``. Here, the person is able to look back on himself and discovers new things as he searches for the meaning of the object. This way, the person refreshes himself with new values and attitudes towards the life.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the ``self-reflection`` through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ndicates that it encourages the learners to achieve the individual changes and full growth as they build up any situational, contextual meanings which suit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their searching for knowledge and values that a subject possesses. As an action plan which realizes the self-reflection i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focused on the text of the social studies, the study came up with ``rewriting`` which is considered to be an organization of a new meaning, based on a meeting and a conversa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text of the social studies.

      • 영토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독도교육을 사례로

        김소용 ( So Yong Kim ),남상준 ( Sang Joon Nam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5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1 No.-

        세계화라는 거대한 물결 앞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변화 안에서도 영토는 여전히 그 존재 의미가 유효하며 우리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삶에서 중요한 영토의 문제를 다루는 영토교육은 그 중요성이나 의미에 비해 학교 현장에서 소극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효과성에 대해서도 많은 의문을 남기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영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독도교육에 대한 관점은 주로 교사의 연구 경험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이 관점에 따라 독도교육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에서 차이가 분명하였다. 독도교육에 대한 대부분의 교사 인식은 여전히 민족주의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민족주의적 측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다양하였다. 또한 독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통해 현재의 독도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전향적 관점에 의해 국가 주도 정책으로 의무화된 독도교육에 많은 교사들이 관심을 갖지 않았으며 일부 관심 있는 교사에 의해서만 독도교육이 적극적으로 실시되고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독도라는 공간이나 독도 문제에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 독도에 더 많은 관심이 있으리라 예상되는 울릉도집단이나 독도학습 경험이 풍부한 집단 학생 역시 마찬가지였다. Amid a lot of changes that have been made in the huge wave of globalization, the existence of the territory still has a significant meaning and has an enormous impact on our lives. However, territory education that covers territorial issues which are an important part of our lives is not being sufficiently provided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meaning and there are many questions about its effectivenes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Dokdo education by teachers and students an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sought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territory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erspectives on Dokdo education were formed mainly by teachers` research experiences and the aspects of Dokdo education they put emphasis on were remarkab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perspectives. It was confirmed that most teachers` perception of Dokdo education was still based on nationalism. Teachers` perception of such nationalistic aspects was varied. The perception of Dokdo education by teachers also revealed that the current Dokdo education is not being provided in effective ways. Not many teachers took an interest in Dokdo education made mandatory by the government-led policy based on a forward-mapping viewpoint and only a small number of teachers were providing Dokdo education actively. The majority of students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the area of Dokdo and the issues about Dokdo. The groups of students who were expected to be more interested in Dokdo including the Ulleungdo group and the group of students who had a lot of experience of learning about Dokdo did not take much interest in Dokdo, either.

      • 초등 사회과 수업 평가 기준과 평가 사례

        남상준,정혜정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9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1 No.-

        교과는 수업을 매개로 그 교과에서 의도하는 가치로운 것을 가르친다. 사회과는 수업에서 사회현상, 문제, 쟁점을 통해서 사회과 교육의 이상인 민주시민을 기르고자 한다. 사회과 수업은 사회 교과의 가치가 구체화되는 장(場)이다. 교실친화적 교사는 교실수업으로 대변되는 학교교육의 기본적 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실제적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교실활동 능력, 자기개발 능력, 교직 품성 등의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수업능력은 교실활동 능력 중 하나로서 교사전문성의 중요한 요소이다. 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좋은 수업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들이 마련되었다. 사회과 수업평가 기준에 대한 주요한 국내와 국외의 연구로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와 NBPTS(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가 개발한 ``사회·역사 수업평가 기준``을 들 수 있다. 이 연구들은 사회과 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평가 기준을 상세하게 논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전자는 초등사회과의 특성을 반영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후자는 미국의 사회과 교육의 상황을 바탕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의 초등 사회과 수업에 대한 평가 기준을 연구 개발하는 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다음에서는 먼저 현행의 수업평가가 가진 문제점을 확인하고, 초등 사회과 교육의 지향점에 대해서 논의한 뒤,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평가영역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상세한 평가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사회과 지역화 교재의 향토자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경험유형 분석 -경기도의 2개 시·군 통합 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김송찬 ( Kim Song-chan ),남상준 ( Nam Sang-joon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에서는 2개 시·군이 통합된 경기도 6곳의 교육지원청에서 발행한 지역화 교재에 포함되어 있는 향토자원들을 분류하고 이에 대해 초등학생들의 경험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조사, 분석하여 지역화 교재의 구성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에 경기도 2개 시·군이 통합된 6곳의 교육지원청 중 3곳의 지역화 교재에 나타난 대표 향토자원 10개를 선정하여 각 시·군별 초등학생 3, 4학년 20명씩 총 240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경험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경기도 3곳 교육지원청 지역화 교재의 대표 향토자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경험유형을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이 향토자원을 경험하는 가장 중요한 경험유형은 ‘교과서’ 이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이웃지역보다 거주지역 향토자원에 대한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자신의 행정구역 해당하는 지역의 향토자원에 대한 경험보다는 생활범위에 해당하는 지역의 향토자원에 대한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생들의 장소 선호 연구 -멘탈 맵 분석과 현장 면담을 중심으로-

        김경 ( Gyeong Gim ),남상준 ( Sang Joon Nam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3 초등교과교육연구 Vol.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지리교육내용이 학생들에게 가깝고 구체적인 생활세계를 반영하도록 하는 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경험세계와 지리교육내용을 관련지어 볼 때, 초등학생들에게 장소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 알아보고, 둘째, 초등학생들은 어떤 장소를 왜, 언제부터, 얼마나, 어떻게 좋아하고 있는가 살펴본 후, 셋째, 초등학생들의 장소 선호 유형이 장소학습 내용 구성에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하는지 탐색해보았다. 초등학생들의 장소 선호를 멘탈 맵 분석과 심층 면담 및 현장 면담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생들에게 장소가 가지는 의미는 ‘경험의 총체’로 표현될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장소 선호를 그들만이 지닌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들은 주로 친구와 함께 좋아하는 장소를 찾고, 가족들과 찾는 경우는 드물다. 또래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것만 좋아할 것 같은 아이들도 혼자서 좋아하는 장소를 찾기도 한다. 상업시설을 좋아하는 아이들에게 그 장소의 선호 정도는 어른들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다. 같은 장소에서의 경험이더라도 아이들은 어른들의 그것 이상으로 스트레스를 치유하는 강도가 높다고 여겨진다. 초등학생들은 아파트라는 한정된 공간을 그들만의 장소로 재개념화한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장소 선호 유형은 장소학습 내용 구성에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 아이들이 의미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장소 학습을 할 때 학생들에게보다 친숙하고 가까운 장소, 그리고 긍정적인 지리적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소 선정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geographic education of social studies reflect their close and specific world of life, and the content of it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what meaning a place ha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relating learners` world of experiences to geographical content of education. Second, this study looked at why, from when, how much, and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ke a place. Third, this study explored what suggestive points their types of preferred places provided in the composition of place learning cont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lace preferences were examined based on deep and on-site interviews and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First, the meaning of a plac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he whole of experience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ences to places are as follows based on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y mostly find their places they like with their friends and it is rare for them to find them with their family members. Sometimes children who appear to like spending time with their friends go to places they like alone. The degree of children`s preferences to commercial facilities is different from that of adults. Experiences in the same place reduce stress in children more than in adul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nceptualize limited spaces of apartments as their own places.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ypes of place preferences give many suggestive points in constructing place learning content. Therefore, so that children can make meaningful experiences, when place learning is provided, a focus should be made on the selection of familiar and close places where positive geographical experiences may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