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지 매력성, 환경책임행동, 그리고 장소애착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을 중심으로

        윤동환,한승훈 한국관광연구학회 2020 관광연구저널 Vol.34 No.3

        무등산권 지역은 유니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우수한 자연자원의 가치를 인정받은 관광지로서 무등산 관광 관련 기관들은 무등산의 자연자원을 보호하고 지질공원으로서의 인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효과적 관리와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등산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자발적 행동인 환경책임행동(ERB)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비록 선행연구들이 관광지 매력성과 장소애착이 관광객들의 재방문 의도, 관광지 만족, 충성도 등 긍정적 행동의 선행변수로 제시하여 왔으나 환경적 행동의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지 매력성, 장소애착, 환경책임행동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가설을 세우고 모델을 검증하였다. 무등산을 방문한 370명의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결과, 관광지 매력성은 환경책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지 매력성은 장소애착의 구성요인인 장소의존성과 장소정체성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장소애착은 환경책임행동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지의 자연자원을 보존과 관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은 환경적 행동에 대한 의도를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에 대한 답을 주지 못했으며, 본 연구는 관광객 행동의 수동적 측면이 아닌 능동적 행동의도인 환경책임행동을 고려하여 관광지 환경에 대한 효과적 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자체와 관광지 관리 기관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한류가 국가이미지, 한국관광 및 웨딩관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창규,김기동,최혜정 동북아관광학회 2015 동북아관광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방한 중국이 한국웨딩을 경험 한 후 한류관여도, 국가이미지, 한국관광 및 웨딩관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한류관여도가 웨딩관광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류관여도는 한국의 국가이미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국가이미지는 웨딩관광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한국관광 행동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관광 행동의도는 방한 웨딩관광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인의 한류관여도는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웨딩관광행동의도를 예측하는 변수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중국인의 한류관여도는 한국의 국가이미지와방한 웨딩관광을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한류와 국가이미지, 관광행동의도와의 관계에서 웨딩관광행동의도를 더욱 관심있게 다루었다. 하지만 웨딩관광 행동의도는 방한 관광행동의도에 내포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는 측면에 있어서 논리적 연계성에 대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Korea's national image, the Intention of Korea tourism and wedding tourism after wedding tourism behavior experienced wedding targeting Chinese wedding touri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Hanllu involvement affect Korea's national image, Korea tourism behavior and wedding behavior. The result of verification is the impact on the tourism behavior of wedding appeared as a factor affecting the degree of involvement wedding Korean tourist behavior. However, Hanllu involvement was found in the national image of Korea, which had no affect. The national image of Korea appear to affect behavior in wedding tourism, tourism in South Korea has also showed behavior that has no affect. The degree of the Korea tourism actions as a factor does not affect behavior winter wedding tourism.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Chinese Hanllu involvement of the appropriate parameters as Korea's national image and also to predict the behavior of wedding tourism. This study also addressed the enabling of more interested in Korea's traditional image, weddings acted in relation to the help given by tourist action. Also wedding tourist behavior has limitations for logical linkages in terms of being able to implicitly included also a visit to the tourist act.

      • KCI등재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이용한 종교관광객 동기와 행동구조 분석

        양승탁,이승곤,유진룡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12

        본 연구에서는 종교관광객들의 의사결정과정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남양성모성지를 방문한 종교관광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에 종교관광 참여동기 변인을 추가로 한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이용하여 방문의사결정 과정을 논리적으로 살펴보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관광 참여동기는 종교적 호기심, 영성, 축원, 일탈의 4개 차원으로 참여동기를 구성하였으며, 종교관광 참여동기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종교관광 참여동기의 종교적 호기심과 일탈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성과 축원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축원 동기는 태도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교관광객들의 신앙, 성서, 성당에 대한 이해를 위한 영성과 개인과 가족의 축복을 기원하는 축원동기를 통해 종교관광객들에게 남양성모성지에 대한 긍정적인방문태도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둘째,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적용하여 종교관광객들의 행동의도를 분석한 결과주관적 규범은 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태도,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및 지각된 행동통제가 열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긍정적 예기정서는 열망을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와 열망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종교관광객의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태도,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예기정서 및 지각된 행동통제는 종교관광객들의 열망을 형성하며, 종교관광객들의 의사결정과정에서 지각된 행동통제 열망은 종교관광객들의 행동의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목표지향적 행동모델(MGB)을 적용한 지체장애인의 관광행동 고찰

        김기완(Kim, Kiwan),이경찬(Lee, Kyungchan)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4

        새로운 포스트모던 시대를 맞이하여 장애인의 여가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관광활동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장애인이 관광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관광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추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목표지향적 행동모델을 장애 인구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관광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예상정서와 열망 그리고 행동의도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지체장애인의 관광행동을 이론적으로 검증하였다. 합리적 행동모델에서 간과된 감정 변수인 열망은 지체장애인의 관광행동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변수라는 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체장애인도 비장애인과 유사하게 하고 싶고, 희망하고, 좋은 경험과 재미를 얻기를 바라는 마음이 관광행동을 추동하는데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지각된 행동통제감은 열망과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체장애인에게 있어서 지각된 행동통제는 스스로 관광을 전적으로 할 수 있거나 언제든지 할 수 있는 능력이 내부적으로 부여되지 않아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지체장애인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장애인의 관광활동이 아직 우리 사회에서 보편화된 사회활동의 범주에 속하지 않아서 나타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지체장애인을 관광의 주체로 보는 인식 전환과 함께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관광활동의 주체로 이해하고, 이에 알맞은 관광행동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임을 인식해야 한다. In the new postmodern era,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on tourism activities that can satisfy the leisure needs of the disabled.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in the aspec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direct and indirect driving of their tourism activities and to form a social consensus in the process of pursuing tourism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edictive emotions, aspira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occupy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disabled population using a goal-oriented behavior model. The behavior was theoretically verified. It was found that aspiration, an emotional variable overlooked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reasoned action, is also an important variable in understanding the tourism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esire to mak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resemble those of non-disabled people, hope, and desire to have good experiences and fu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driving tourism behavio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sense of behavioral control did not affect aspiration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is result can be inferred that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is a result of not being given the ability to do tourism entirely by itself or to do it anytime internally.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s the subject of tourism should be converted and understood as the subject of tourism activities in the same way as those without disabilities.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is is the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thinking in which appropriate tourism behavior research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 KCI우수등재

        『관광학연구』에 게재된 관광 행동 연구 동향 분석: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연구를 대상으로

        김지언,이계희,한관희,박득희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3

        This study examined 52 research trends related to tourism behavior published between 2012 and 2021 in th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Korea's only class-one tourism journ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identify trends in tourism behavior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directly related to tourism behavior was on the decline overall. In the analysis by research topic, purchasing behavior, sharing behavior, and civic behavior were the most widely published, followed by behaviors related to sustainability and tourism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terms of methods, 86.5 percent of tourism behavior studies used quantitative methods, indicating that Korean tourism researchers continue to favor quantitative methods. However, in order to fully comprehend the behavior of tourists, more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must be used. Because research was conducted on a variety of topics each year, specific research topics by year of publication were not identified. In addition to these main topics, studies on the behaviors of disabled tourists and risk perception studies are mention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uture tourism behavior research directions using diverse research methodologies. 이 연구는 수요자 중심으로의 관광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연구 패러다임에 대한 편향성 문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관광학 분야에서 국내 유일의 우수 등재 학술지인 『관광학연구』를 대상으로 2012년부터 2021년 사이 게재된 52편의 관광 행동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광 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의 수는 전반적인 감소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논문의 세부 연구주제별 분석에서는 구매행동, 공유 행동, 시민 행동 등 의사결정과 관련한 한 연구와 지속가능성 및 관광 정보와 관련된 연구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 행동 연구의 86.5%는 양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한국 관광연구자들의 정량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선호가 아직도 매우 강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관광자의 행동의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질적 측면의 행동 연구에 대한 접근이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매년 다양한 주제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게재 연도 별 특정 연구 주제가 다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다만 지속적으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지속가능성 및 관광정보 관련 연구, 문화 예술 분야의 관광 행동 연구뿐만 아니라 장애인 관광 행동, 위험 지각 연구 등 사회⋅경제적 이슈에 따른 특징적인 주제를 가진 연구 또한 적지 않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바탕으로 이 연구는 국내 관광 행동 연구에 대한 논의 이후 향후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활용을 통한 관광 행동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놀이성에 따른 일탈적 관광행동의 차이분석

        이훈,최일선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9

        This study examined the phenomenon of deviant tourist behavior. This tourist behaviour is seen as being deeply related to tourists’ inherent propensit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playfulness. In order to understand tourist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deviant tourist behaviour and tourist satisfaction were analysed from a total of 1148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higher playfulness of tourist influences on more deviant tourist behaviour. Otherwise stated, deviant tourist behavior is a desire for hedonic value; one such is playfulness as an approach of hedonic value. Thus, human beings' playfulness influences on their behaviour in tourist destinations. Moreover,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deviant tourist behaviour and tourist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re was a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viant behaviour and satisfaction. As it could be stated, tourists whom indicated social deviant experiences at tourist destinations, they could experience greater legal and social risks which could reduce their satisfaction. However, in the case of internal deviant tourist behavior, there were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The result of analysis further showed that more commitment in the tourism, the tourist satisfaction was more increased. 본 연구는 일탈적 관광행동의 현상에 대하여 분석하고자하였다. 관광객의 일탈적 관광행동은 그들의 내재적 성향과 관련 깊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내재적 성향은 관광객의 놀이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관광객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놀이성, 일탈적 관광행동 그리고 관광객 만족도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조사를 통하여 1148개의 표본을 확보하였으며, 분석결과 관광객의 놀이성이 높을수록 더 높은 일탈적 관광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광객의 일탈적 관광행동은 쾌락적 가치에 대한 접근이며, 놀이성 역시 인간의 쾌락적 가치에 대한 맥락이다. 즉, 인간의 놀이성은 관광지에서의 관광객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탈적 관광행동은 관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회형 일탈은 관광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일탈행동은 사회적 위험이나 법적 위험에 대한 개념으로 분석되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위험성이 커짐과 동시에 관광에 대한 만족이 저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내면형 일탈에 있어서는 관광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광객의 몰입에 대한 접근이며 고몰입을 경험한 관광객일수록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의료관광 관련요인이 해외의료관광객의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리뷰를 중심으로-

        원종하,김민숙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1 e-비즈니스 연구 Vol.12 No.5

        This study aims to predict medical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by us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added the interaction variable(online review). There are dozens of non-academic books and a similar number of academic articles on medical tourism. However, one of the accompanying problems of the medical tourism studies is the lack of scholarly research published on the topic based on empirical data collected past or prospective patients. Online customer review are increasingly available online for a wide range of products and services. Although traditional researchers demonstrated the benefits of the presence of customer reviews to an online retailer, there is a lack of focus on customer review effect on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This research relies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explore the attitudes and beliefs of potential Chinese medical tourists towards medical tourism to South Kore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 of online review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For empirical test, total of 10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nline review and potential medical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was revealed. Even though both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positively affected the behavioral intention, attitude impacted more strongly on the intention than subjective norms and online review did. As a modulator, online review has an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of attitude-behavior intention. 한국의 의료관광산업은 블루오션이면서 경제활성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의료관광의 육성을 위해 정부는 본격적으로 외국인 환자유치를 위해 의료법을 개정하고 있으며 비자발급의 간소화 등 의료관광목적국으로 한국을 선택하게 하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의 의료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중요한 잠재적 의료관광객인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의료관광을 고려하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온라인 리뷰가 잠재적 의료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계획행동이론모형은 고객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사회심리적인 접근법을 사용해서 고객들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의 타당성과 유용성이 입증되고 있지만 기존 변인에서 추가적으로 보완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어서 본 연구는 온라인리뷰의 영향력이 행동의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어 온라인 리뷰의 조절효과와 행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절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으로의 의료관광을 가려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태도, 주관적 규범, 온라인 리뷰가 직접적으로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태도가 주관적 규범이나 온라인 리뷰보다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온라인 리뷰가 태도에서 행동의도에서 조절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온라인 리뷰의 파급효과가 중국의 잠재적 관광객에게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노인의 관광행동에 관한 연구-대구시를 중심으로-

        곽재용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07 호텔경영학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to understand senior tourists' behavior in the future aging society through grasping the association senior tourists' behavior. The analy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OVA, post-hoc estimation(Duncan test),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used.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 First, people I surveyed made a reasonable tourism behavior the most, and a tourism behavior dependant on others, conspicuous tourism behavior, and impulsive tourism behavior come after in order.Second, the research studies differences in general attributes (sex, a pattern of possessions, monthly average income, past occupation, present occupation, the standard of living, housing type, religion, districts etc) according to the modes of tourism and general attributes' influencing power on tourist behavior. It is found that in case of the senior tourists with less income, when the gender was woman, they were self-employeed, people made a tourism behavior dependant on others. And it is also found that in case of the senior owned a home, and had a shorter education period, people made more reasonable tourism behavior. In case of that the senior tourists live in an apartment, they do conspicuous tourism behavior when have high standard of living. In case of that the senior tourists live in rental house, people who were self-employeed made more impulsive tourism 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행동유형별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거특성인 일반적 특성과 차이를 보고 일반적 특성이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해 봄으로서 향후 고령화 시대의 노인관광행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요인분석, 다중 회귀분석, t-검정, 분산분석과 Duncan test로 사후검증을 하였다. 이외에 각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hronbach′s Alpha계수를 이용하였다. 주요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합리적 관광행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그 다음 타인의존, 과시적, 충동적 관광행동을 하고 있었다.둘째, 관광행동 유형별로 일반적 특성과의 차이와 일반적 특성(성, 소유형태, 월 평균소득, 과거직업, 현재직업, 생활수준, 주거형태, 종교, 지역 등)이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합리적 관광행동은 학력이 낮을수록, 종교가 없는 경우, 주택의 소유형태가 자가인 경우로 나타났다. 타인의존 관광행동은 소득이 적을수록, 여성인 경우, 자영업인 경우로 나타났는데 특히 옛날직업이 전문직인 경우에는 타인의존 관광행동을 가장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시적 관광행동은 소유형태가 타가이고, 생활수준이 좋을수록, 전문직에 종사하는 집단이, 주거유형이 아파트인 경우로 나타났다. 충동적 관광행동은 소득이 많을수록 충동적 관광행동을 하지 않았고 주택의 소유형태가 타가인 경우, 대졸이상 집단보다 고졸이하 집단이, 옛날직업이 자영업인 경우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목표지향행동모형을 적용한 중국인의 북한관광 의사결정 연구

        동려민,김영미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8

        Currently, the tourism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is mainly focused on Chinese tourists visiting North Korea. Compared with other overseas tourism, North Korean tourism has unique tourism form, tourism experience and culture. Therefore, Chinese tourists have a strong interest in traveling North Korea, and their preference is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ecision-making behavior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ehavioral decisions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North Korea, and construct a goal-directed behavior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hinese tourists with travel experience in North Korea, and 349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The results show that attitude, subjective norm,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and the frequency of past behavior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esire. In addi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desir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On the contrary,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sire. The frequency of past behavi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behavior of Chinese tourists in North Korea. Our findings will serve as a reference for tourism policy discuss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중북 양국 간의 관광협력은 상호 왕래보다는 중국 관광객의 북한 관광이 거의 대부분인 편중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북한관광은 다른 해외관광과 뚜렷이 구별되어 그 관광행태와 관광체험이 독특하고 이색적인 문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중국인들의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렇듯 중국은 북한의 주요 관광협력 국가로서 그동안 많은 중국인들이 북한관광을 다녀온 실정이지만 현재까지 중국 관광객의 북한관광 의사결정을 살펴본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국인의 북한관광 의사결정을 파악하기 위해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감,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과거행동의 빈도, 열망 및 행동의도로 구성된 목표지향행동모형을 구축하였고 측정항목들을 도출하였다. 과거행동의 빈도에 대해 일부 목표지향행동모형을 적용한 관광목적지 의사결정 연구는 해당 변수를 고려하지 않았는바 이 연구는 과거 북한관광을 다녀온 관광객들의 의사결정이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북한관광 경험이 있는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49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방북 중국 관광객의 태도, 주관적 규범,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과거행동의 빈도는 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방북 중국 관광객의 지각된 행동 통제감과 열망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각된 행동 통제감은 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과거행동의 빈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방북 중국 관광객의 의사결정 과정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을뿐더러 향후 중북 양국의 관광협력을 정책적으로 논의하는데 참고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각된 행동통제를 포함한 계획행동모형의 국제관광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방희원,김민주 한국호텔관광학회 2020 호텔관광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계획행동이론이 국제관광 활동에도 적용가능한 지를 점검하고 어떤 유형의 관광행태에서 보다 나은 설명력을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계획된 행동이론의 선행변수들이 관광행위의 난이도에 따라서 행동의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여 국제관광을 단체관광, 개별 관광, 나홀로 관광으로 구분하였으며 지각된 행동통제를 상황변수와 분리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난이도가 높은 유형일수록 더 큰 설명력을 지님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계획행동이론이 보편적인 관광행동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계획행동이론이 제안하고 있는 선행변수들이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영향력의 강도는 국제관광 유형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태도의 경우 모든 유형의 국제관광에서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의 경우에는 단체관광에서 더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각된 행동 통제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 관광과 나홀로 관광에서만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계획행동이론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은 단체관광보다는 여행 중의 자율적 의사결정과 자신감을 필요로 하는 나홀로 관광에서 더 설명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과거 경험의 영향도 단체관광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추가적인 분석을 통하여 지각된 행동통제의 수준이 관광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