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지언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6 음악예술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국내 유아음악교육분야의 연구에 나타나는 유아의 음악성 측정준거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유아의 음악성 연구를 위한 문헌적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아의 음악성에 대한 연구에서 측정된 다양한 변인에 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음악성에 대해 연구된 변인들이 가지는 개념들과 각 변인의 구체적인 하위개념을 분석하고 측정된 변인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서 최근 14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유아 음악성 연구 중에서 유아의 음악성을 연구변인으로 측정한 양적연구 45편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 유아의 음악적 성향, 유아의 음악적 태도, 유아의 음악적 흥미, 유아의 음악적성, 유아의 음악지능, 유아의 음악적 능력, 유아의 음악 인지능력, 유아의 음악 표현능력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음악성 측정준거는 음악적 요소를 구별해 내는 능력을 유아의 청각을 통해 측정하는 것과 유아가 음악을 듣고 즐기며 표현하는 내적·외적 정도를 검사한 것으로 크게 나누어지며, 각 음악성 측정의 하위 요소에 있어 개념에 대한 혼용이 야기되어 있음으로 이에 따른 표준화된 개념에 대한 정립이 요구됨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research proper assessment tools of young children's musicality, so that researchers can use it as a useful fundamental material for their studies. For this, a literature study was executed on the studies of various variables of young children's musicality. Also, this study researched 45 quantitative studies on the variables of young children's musicality to ver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assessment tools' subordinate concepts. This analysis on the assessment tools was divided into nine different categories: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musical propensity, musical attitude, musical interest, musical aptitude, musical intelligence, musical capability, musical cognitive capability, and musical __EXPRESSION__ capability. The assessment tools were made up of auditory assessments for distinctive senses of musical elements and assessments for internal and external stages on musical attitude. However, since the subordinate concepts of musicality have been used together, a reorganization and unification of concepts for young children's musicality is need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도시 공간 속 노점상에서 드러난 비공식성과 공식성의 상호작용 : 서울특별시 강남구 측 강남대로의 노점상에 대한 사례연구
김지언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16 地理學論叢 Vol.62 No.-
현대 도시사회는 비공식성으로 점철되어있고, 이러한 비공식성은 사회의 공식성과 상호작용하며 결과론 적으로는 두 영역 모두의 변화를 이끌어 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비공식성의 이론을 서울특별시 강남 구 측 강남대로의 노점상에 적용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Kudva의 도시비공식성 이론과, Etzold의 방글라데 시 다카에서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도시 비공식성의 이론으로 노점상의 생성 및 유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외환 위기 이후 급속하게 증가한 노점상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로 대표되는 공식성과 많은 마찰을 일으키며, 그 갈등 의 정도는 점점 심화되고 있는것이 실정이다. 이러한 갈등은 특히 사례지역에서 잘 나타나며, 본 연구에서는 갈등 의 원인에 대하여, 그리고 공식성과 비공식성이 상호작용하는 모습이 현실세계에서 구현되는 양상에 대하여 분석 해 보고자 한다. 또한, 강남구청과, 서초구청으로 대표되는 서울시청이 노점상을 대하는 상이한 노선에 대해서 논 의해보고, 비공식성과 공식성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Prevalence of Urban Informality is one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today’s society. And the transaction between the urban informality and the formality ultimately results in the changes in both formality and informality. This study will apply the concept of Urban Informality to the Street Vendors in Gangnam-daero in Gangnam-gu, Seoul. Based on the concept of urban informality by Kudva, and the research of Bangladesh by Etzold, we will see how street vendors are formed and developed in the lens of urban informality. Street vendors increased in numbers since the Asian Economic Crisis in 1997, and the conflicts between these vendors and the government are increasing as the time passes. This conflict is especially prevalent in the research area (Gangnam-daero), and we will analyze the reason for this conflict, as well as how the transactions between formality and informality is realized in the conflict. Also,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different reactions by Gangnam-gu and Seoul city (Seocho-gu), and how the diverse interaction between formaily and informality results in different situations.
김지언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7 계명의대학술지 Vol.16 No.4
저자는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내측측두엽간질로 진단받고 간질수술을 시행받은후 1년이상 추적관찰하여 간질발적빈도가 술전에 비해 90%이상 감소되었거나 또는 완전히 소실된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180회의 간질발작의 징후를 CCTV를 통한 비디오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간질유발병소를 추정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 측위증후는 병변과 동측의 자동증과 함께 반대편의 이긴장성자세가 관찰되는 경우(87%)였으며, 그 다음이 병변위치와 반대편의 이긴장성 자세가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75%), 병변과 동측의 자동증만 나타나는 경우(70%)였다. 2. 두부회전은 처음부터 병변의 반대측으로 회전하는 경우보다 처음에는 동측으로 회전하였다가 다시 반대편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더욱 측방성의 가치가 높았다. Various signs of lateralization have been described in temporal lobe epilepsy (TLE). They include unilateral automatism, unilateral dystonic posture, versive head and body turning, ictal speech and so on. Because their specificity is still unclear, they are used to a limited degree in lateralizing the side of ictal onset. We evaluate the value of lateralizing signs in patients with TLE. We analyzed semiology of 180 seizures in 35 TLE patients who were evaluated for epilepsy surgery at Dongsan Epilepsy Center between November, 1992 and October, 1995. All patients had received epilepsy surgery, and they were seizure free or exhibited aura only for at least 12 months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Unilateral dystonic posture alone was observed in 22 seizures [ipsilateral : 6(25%), contralateral: 16(75%)]. Unilateral hand automatism alone was observed in 33 seizures [ipsilateral: 23(70%), contralateral: 10(30%)]. Unilateral dystonic posture accompanied by automatism of the other side was observed in 56 seizures [ipsilateral automatism combined with contralateral dystonic posture : 48(87%), contralateral automatism combined with ipsilateral dystonic posture: 7(13%)]. Versive head turning was noticed in 35 enents [ipsilateral 4(11%), contralateral: 22(63%), initial ipsilateral to contralateral : 9(26%), initial contralateral to ipsilateral: 0]. We conclude that the most valuable lateralizing sign in TLE is contralateral dystonic posture accompanied by ipsilateral automatism, and ipsilateral hand automatism alone and contralateral dystonic posture alone are also significant.
소모성 질환에 이환된 이유자돈에 대해 Porcine cytomegalovirus DNA Polymerase 유전자 검출과 분석
김지언,김지영,楚佳奇,채미경,장경수,김명철,박창식,전무형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의과학연구소 2004 動物醫科學硏究誌 Vol.12 No.-
Porcine cytomegalovirus (PCMV) causes piglet deaths, runting, inclusion body rhinitis, respiratory and reproductive disorders in swine herd, resulting in the significant economic losses in the swine industry. Recently, in the field of pig-to-human xenotransplantation, PCMV has been indicated as a potential xenogeneic pathogen with the risk for infection transmitted from the xenograft donor to the recipient. In this study, PCMV DNA polymerase gene was detected in the sera and nasal swabs from 30 heads of the weaned piglets affected with various wasting diseases and 10 heads of normal healthy piglet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the diagnostic efficacy of PCR was evaluated. The prevalence of the PCR-positive by specimens from the diseased piglets were 83.3% in sera and 33.3% in nasal swabs. In the normal healthy group, the PCR-positive rates of sera and nasal swabs were 40% and 30%, respectively. Ten piglets (25.0%) out of 40 showed the simultaneously positive results in both of sera and nasal swabs. According to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erum specimen was the most appropriate sample for detection of PCMV by PCR. The nucleotide sequence homology of DNA polymerase gene of PCMV KS1 a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strain of PCMV (GenBank accesson no.AF027217) was 99.0%.
A rare case of pyomyositis with intramuscular hemangioma in the upper arm
김지언,Hyung Jun Park,박정호 대한견주관절학회 2025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28 No.2
Intramuscular hemangiomas are rare in musculoskeletal pain differentials, especially in the upper extremities. We report a case of a 56-year-old male with an intramuscular hemangioma and abscess in the biceps brachii, presenting with pain, swelling, and limited elbow movement. High C-reactive protein (25.43 mg/dL) and visual analog scale score of 10 were noted. Radiograph showed 3 phleboliths. MRI revealed an enhancing lesion (2.5×2.7×9.8 cm) and abscess. We performed surgery for excision of the intramuscular hemangioma and drainage of the abscess in the biceps muscle. By 5 weeks post-surgery, all functional limitations had resolved, and no recurrence was observed at the 5-month follow-up.
무장한 남자(L'Homme armé) 선율에 대한 고찰
김지언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5 음악예술연구 Vol.5 No.1
The melody called L'Homme armé has long been used as the tenor of mass cycles between the 15th century and the end of the 17th century. However, a number of questions have been raised by scholars on both modern and historical aspects. This study examines the origin of the L'Homme armé chanson, the main question that still remains open. It may redefine the boundaries of the present knowledge about the origin. It also discusses the function of the prolatio notation to give a clue on its chronology. Therefore, it examines the possible significance of the text associated with Europe's political life in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Finally, it presents the compositional approach on the melody examined by other scholars. 본 논문은 15세기 후반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 수많은 미사곡과 현대 작곡가들의 작품에 사용된 선율인 <무장한 남자(L'Homme armè)>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로 <무장한 남자> 선율에 대한 근원을 살펴보는 문헌적 연구를 한다. 최초의 필사본, 작곡가와 작곡년도를 가늠했던 연구들을 살펴보아 음악사에서 아직도 미제로 남아있는 질문인 그 기원과 연대에 대한 연구 자료를 제시한다. 둘째로 당대를 풍미했던 작곡가들에 의해 경쟁적으로 선율이 모방된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무장한 남자>의 가사가 가지는 상징적인 의미들에 대한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멜로디 자체가 가진 정선율로서의 가치를 설명한다.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 공헌성은 <무장한 남자> 선율에 대하여 연구하여 당대 음악의 중요한 요소에 대한 좀 더 깊은 통찰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음악계의 후속 연구를 활성화하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여성적 글쓰기 - 엘렌 식수의 사상을 바탕으로
김지언,이광진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1 외국학연구 Vol.- No.58
This paper aims to analyze Marguerite Duras’ works based on Hélène Cixous’ theory. Hélène Cixous is a representative thinker who embodied the theory of ‘Feminine writing’, the core of French feminism in the 1970s. She insisted that women establish independent femininity away from femininity otherized and objectified by men. As examples of this study, we will present Marguerite Duras' Moderato Cantabile and L’Amant. Both works commonly show the ability of women to immerse and accept others, and to self-expand through this. Here we can see that women, by extension, humans, are not just fixed beings, but beings who can have diverse and variable egos. In conclusion, the primary purpose of feminine writing is to restore women's own subjectivity, but the ultimate purpose is to give voices and restore subjectivity to all minorities unilaterally defined and alienated by dominant ideology as well as women.
에폭시 페인트 제거를 위한 레이저 표면 클리닝 성능 및 플라즈마 거동에 관한 연구
김지언,윤예솔,이종명,김종신,김종도 대한용접·접합학회 2021 대한용접학회 특별강연 및 학술발표대회 개요집 Vol.2021 No.11
본 연구에서는 강재에 도장된 에폭시 페인트를 균일하고 친환경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레이저 표면 클리닝 기술 개발을 진행하였다. 기계적 및 화학적 표면 클리닝 기술은 작업장내의 오염문제와 습식, 접촉식 클리닝 공법에 의한 모재의 약화 및 손상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반면에, 레이저 클리닝 기술은 건식 클리닝 기술로 2차 폐기물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비접촉식 공법이기 때문에 모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다양한 빔 스캐닝 패턴을 따라 에폭시 도장된 시험편에 레이저가 조사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레이저는 Q-스위칭 발진하는 파이버 레이저이며, 펄스조사시간은 150 ns, 펄스 주파수는 100 kHz, 레이저 평균 출력은 100 W이다. 또한 레이저 클리닝 공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속도 카메라를 사용하여 플룸/플라즈마 거동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레이저 표면 클리닝 기술을 통하여 기존 기술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양호한 표면 클리닝 성능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레이저와 반응하는 물질에 따른 플룸/플라즈마의 거동 차이로 인하여 도장면이 제거된 조건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김지언,박성파,서정규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5 慶北醫大誌 Vol.36 No.3
목적 :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검사를 통하여 상완신경총 손상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근전도 소견을 분석하여 병변의 국소화(localization)에 근전도가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 49례의 상완신경총 손상 환자들의 근전도 소견으로 병변부위를 정하고, 감각신경전도검사로 감각신경 활동전위의 이상소견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침근전도 검사에 의한 상완신경총의 병변부위는 trunk가 가장 많았고, 침근전도와 감각신경 전도검사에 의한 병변부위로는 후근신경절의 원위부가 가장 많았다. 후근신경절의 원위부 손상에서 감각신경 활동전위의 진폭이 감소되거나 없던 경우가 75%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 상완신경총 손상의 진단에서 근전도 검사는 병변부위를 알아보기 위한 유용한 검사이며 특히 감각신경 전도검사에 의한 감각신경 활동전위의 이상은 병변의 국소화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performed this study to analyze the electromyographic data in patients with brachial pelxus in-jury(BPI), which was diagnosed using a electromyography(EMG) in order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EMG in localizing a lesion to the brachial plexus. According to the EMG findings of 49 patients with BPI, we tried to determine the site of the lesion, and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abnormalities in sensory nerve action potentials(SNAP) through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study. Using a needle EMG, the most frequent site of lesion in the brachial plexus was located in the trunk. When a combination of needle EMG and sensory nerve conduction study was used, the most frequent site of lesion was located in the postganglion. We observed a decrease or absence of SNAP in 75% of patients with a postganglionic injury. In conclusion, EMG is a valuable technique that can be used to localize the site of the lesion in BPI. Through the use of the sensory nerve conduction study, the abnormalities of SNAP can be frequently identified. The identification of the abnormalities of SNAP will make a major contribution to the localization of le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