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지역 교육 자료 구축을 위한 경상남도 지명의 언어지리학적 연구 방법

        곽재용 한국지명학회 2007 지명학 Vol.13 No.-

        It is not easy that a number of materials of place names are turned into educational ones for localizing. First of all, we need to survey the place names for educational materials, to get assistance from specialists in the related literature and to perform a long-term stud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search methodology of Gyeongsangnam-do place names as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3-year-research of a learning system including derived tales and geograph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end, the former study performed by three researchers whose majors were Korean linguistics, tradition literature and geography is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expressed and the annual research plan is suggest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correct the errors of the place names and to find teaching ways in Korean language class and so on. Through supplying CD and DVD materials manufactured based on this research for elementary schools, Gyeongsangnam-do place names can be shared. 우리 주변의 풍부한 지명 자료가 지역화를 지향하는 교육적 자료로 거듭날 수 있는 방법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우선 지명 자료를 구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고, 관련 학문간 연구를 통해 여러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며, 거시적인 측면에서 장기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경상남도의 전체 지명을 대상으로 연기 설화와 지리학을 포함한 학제간의 연구를 3년 동안 진행하여 교육적인 자료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언어학, 구비문학, 지리학 등 3인의 전문 연구자가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으며 연차적인 연구를 계획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및 활용 방안으로는 지명 자료의 오류를 수정하여 구축한 자료를 교육 현장에서 국어과를 비롯한 교과 시간에 활용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이 때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CD나 DVD로 제작하여 각급 학교에 보급함으로써 경상남도 지명에 관한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한자말에 대응하는 토박이말 땅이름

        곽재용 한글학회 2023 한글 Vol.- No.339

        이 글은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한자말 땅이름의 짝이 되는 토박이말 땅이름의 모습과 유래, 어종, 동의 경쟁 양상을 알기 위해 이루어졌다. ‘병요산(甁要山)’은 하동군 진교면 양포리와 금남면 중평리에 있는 산이다. 오늘날 소오산 혹은 금오산(金鰲山)이다. 소오산은 산이 솟아올랐다는 뜻이다. ‘옹암(甕巖)’은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에 위치한 바위이름이다. 독을 닮았다고 독바위라고 한다. ‘마현(馬峴)’은 진주시 초전동에서 진주시 옥봉동으로 넘어오는 고갯길 이름이다. 오늘날 말띠(티)고개로, 큰 고개라는 뜻이다. ‘서흘산(鉏屹山)’은 지금의 써리봉이다. 써리봉의 ‘써리’는 ‘써레’의 경상도 방언이다. ‘혈암(血巖)’은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와 인월면 인월리 사이의 남천 가에 위치한 붉은색을 띤 바위다. 토박이말인 피바위와 동의 경쟁 중이다. ‘토현(兎峴)/묘봉(卯峯)’은 남원시 산내면과 하동군 화개면 경계에 있는 지리산의 봉우리로 오늘날 토끼봉이다. ‘검암(劍巖)/도암(刀巖)’은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 지리산에 있는 바위다. 칼처럼 생긴 바위라고 칼바위라 부른다. ‘탄촌(炭村)’은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에 있는 마을이다. 숯꾸지라고 한다. 숯을 굽는 곳이었다. ‘수월치(水越峙)’는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에 있는 지리산의 고개 이름이다. 무넹기이다. 한자말에 대응하는 어종별 양상을 보면 토박이말은 28개(50.91%), 토박이말+한자말은 11개(20.00%), 한자말+토박이말은 14개(25.45%), 토박이말+한자말+토박이말은 2개(3.64%)였다. 한자말 55개에 대응하는 토박이말 땅이름의 동의 경쟁 양상을 보면 토박이말로 정착한 것 33개(60.00%), 한자말과 토박이말이 동의 경쟁 중인 것 19개(34.55%), 사라진 것 3개(5.45%)였다.

      • KCI등재

        마음 수련을 통한 국어교육적 태도 형성

        곽재용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0 No.-

        이 연구는 마음수련 1단계 지도를 통해 유치원생과 초·중학생의 국어교육적 태도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유치원생은 아침 명상, 귀가 명상, 개인 명상, 소집단 명상, 실천 명상, 활동 명상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화났거나 슬펐던 기억을 버리는 수련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은 시간 순으로 기억된 영상속의 감정을 버려나가게 하였다. 14개의 주제를 설정하여 안내와 활동을 실시하여 집착이나 감정을 버리도록 하였다. 중학생은 계발활동 부서인 ‘마음수련반’에 지원한 학생들을 상대로 수련을 지도하였다. ①개체로서의 ‘나’를 없앤다.→②나의 ‘영혼’이 별이 총총한 우주로 올라간다.→③태어나서 현재까지의 기억들을 나이순으로 떠올려 블랙홀 속에 하나하나 버린다.→④모두 버리고 나서 ‘영혼’마저 블랙홀에 버린다.→⑤2분간 명상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유치원생은 전반적으로 밝고 명랑해졌으며,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커졌다. 주의가 산만한 학생은 치유되고 집중력이 길러졌다. 초등학생은 친구들과 잘 지내게 되었고,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감사하는 마음이 많아졌다. 마음이 홀가분하고 폭력과 두통이 사라진 학생이 있었다. 잘난 척 하는 마음이 사라졌으며 마음이 커지고 넓어졌다. 중학생은 컴퓨터, 욕설, 짜증내는 것 등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또 편안 해졌다, 잠을 잘 잔다, 집중력이 높아졌다, 학업 성적이 향상되었다는 반응이 많았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study National language education attitude of preschool student, elementary student, middle school student through contemplation of Maum meditation 1 phase. A preschool executed meditation of the anger or sad memory of anger by many method. A elementary student get out of memory inside sentiment. A middle school student guided a meditation of the Maum meditation class with development activity. The result, there was the following change. A preschool student changed mind of generally cheerful personality and considering. An elementary student joined with their friends and thanked to parents or teacher. A middle school student throw away computer, curses, getting irritated etc. And they improved the record.

      • KCI등재후보

        땅이름 '지리산' 고찰

        곽재용 한국지명학회 2011 지명학 Vol.17 No.-

        Jirisan is the first national park and the second highest mountain in South Korea. It lies over three provinces, five cities or counties, sixteen districts, and fifty-nine villages. It is 483.022㎢ in area, which is the largest in South Korea. Jirisan is written as 智異山, 智理山, 知異山, 地異山, 地理山. It was first described as 知異山(Jirisan) in a document called 'Jingamseonsadaegongtapbi' in Ssanggyesa temple. The web-site of the Korean National Park Authority(http://www.knps.or.kr/main/main.do) describes Jirisan as 'the mountain of the wise and exceptional people'. However, it came from original Korean words 'Jirihada;tedious'. Duryusan means it starts from Baekdusan,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 and it extends southward. However, this is not true. It is artificial to relate to Bakdusan. The name, Duryusan, is also used about other mountains. Gumkangsan and Sulaksan are not called Duryusan. Duryu also came from original Korean words ‘달/들/두리’. The origin is related to ‘達’ that is used a lot as place name in the Goguryeo era. ‘達’ is equivalent to 高(high) when it is used as a prefix. The original meaning of ‘달’ is high place. The mountain names of ‘달/들/두리’ have changed 頭里/頭流/豆利 as Sino-Korean words. ‘달’ has changed to ‘두루/두류’. The changing process can be indicated ‘달>달>다라>다루>두루’ phonologically. Finally, the Sino-Korean representation of ‘달’ class which means mountain has changed to first, 두루, then 두류. 두리/두루 are related to ‘廻’ or ‘周’, which have to do with some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That is, we can say it has changed in this way: ‘come back', ‘look back’, ‘look around’, ‘pan’, 'circumferance', because mountains are usually very big. Korean words ‘두루, 두리’ have changed to Duryusan when they a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Gyeongsang dialect, 두루 is 두리. It is assumed that 두루 related words became 두류산(頭流山), which is more convenient in translating into Sino-Korean. Especially, the Sino representation of 두류산 has somethings in common with Bakdusan, and intellectuals favored that name. Jirisan is also called Bangjangsan or Banghosan. We call Pungak, Halla, Bangjang as Samsinsan and these mountains are located in the east of Korea; Pungaksan(楓岳山) is Bongraesan (蓬萊山, Keumgangsan), Hallasan(漢拏山) is Yeongjusan(瀛洲山),and Duryusan is Bangjangsan. There are 834 智異山 instances, 4 智理山 instances, 10 知異山 instances, 3 地異山 instances, 15 地理山 instances in the current Korean-traditional-name DB; relating to Duryusan, we can see 頭流山 474 times, 頭留山 5 times, Bangjangsan(方丈山) occurs 265 times, Banghosan(方壺山) 6 times. Jirisan has a longer history and has been used more frequently than Dryusan and Bangjangsan. Now, Bangjangsan is rarely used, Duryusan is only 34 地used in special cases, and Jirisan is most common. Both Jirisan and Duryusan come from original Korean words. 지리산은 智異山, 智理山, 知異山, 地異山, 地理山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최초 기록은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인데, 여기에는 知異山으로 되어 있다. 지리산은 순우리말 ‘지루하다’의 방언인 ‘지리하다’에서 온 말이다. 두류산(頭流山)은 한자말로 백두산의 맥이 뻗어 내려 온 뜻으로 해석이 가능하나 역시 고유어에서 온 말로 본다. 두류산의 ‘두류’는 고구려어 ‘達[높음]’을 나타내는 ‘달/들’ 에서 유래하였다. ‘달>달>다라>다루>두루’로 변해온 것 같다. 또 ‘廻’나 ‘周’의 뜻인 우리말 ‘두루, 두리’가 한자로 표기되면서 두류산이 되었다. 지리산을 삼신산의 하나인 방장산이라고도 하였다. 지리산은 두류산이나 방장산보다 역사적으로 오래되었고 많이 사용하던 땅이름이었다. 지금은 방장산은 거의 쓰지 않고, 두류산은 특수한 경우에만 쓰는 정도이고, 대부분이 지리산을 쓰고 있다. 지리산이든 두류산이든 그 뿌리는 순수한 우리말이다.

      • 오장육부의 어휘에 대하여

        곽재용 진주교육대학교 2000 論文集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sue how the language of bodily organs on the five viscera and the six entrails has changed diachronically. The five viscera mean the five internal organs such as the liver, the heart (the yeomtong), the spleen, the lung and the kidney (the kongpat). The six entrails mean the six digestive organs such as the gall-bladder, the stomach, the small intestine, the large intestine, the bladder and three foci. The summary accounts are as follows ; The liver didn't have any original language. It was called as the 'liver' from the Middle Age or before. Maybe it seems to be called as the 'liver' for a long time. The heart was called as the 'mazam(??) in the Middle Age. However, as the meaning has changed, the animal's heart is called as the 'yeomtong' and the men is the 'heart'. The bladder (the Ojumtong) was used as the 'ojumkkae', but now disappeared. The 'babtong' means the stomach and its previous name is the 'yang'. It seems that the 'babtong' has been us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But in the Modern Age, it is called as the 'stomach'. The spleen is called as the 'hyeodagi' or the 'manha'. It is changed 'manha'> 'gila'> 'jira'. The previous name of intestine is the 'ae'. In modern times this (ae) can be traceable in the several proverbs. The word of 'kongpat' is a compound word which combined the 'bean(豆)' and the 'red-bean(小豆)'. It is similar in shape to the kidney bean. It colors lire a red-bean. It is written as '콩?' in the ancient records. The lung was used as 'buha'. But the 'bua' of its variant is now used as idiomatic phrases. The some meaning of the language on bodily organs sometimes has been chanced. Most of the original language usually deteriorate the meaning.

      • KCI등재

        쓰기 평가 단계

        곽재용 우리말글학회 2001 우리말 글 Vol.22 No.-

        We in this thesis suggest writing level in rubric that Korean students have to achieve and find out how stage their work belongs to. That is the object for this thesis. There are two types of object in the writing assessment. The first one is to study students' work level and the second is to guide them to write with much better level. The thesis classified writing assessment by four stages. The reason is that it considered students in various levels from first-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10th grade in high. It classified element of assessment by four sections, generating ideas(contents), organizing ideas, expression, revising, orthography, attitude. The scoring criteria is presented mainly through the student's writing. Their writings will be evaluated by this rubric. Each student's evaluation was based on assessing the collection of their writing and the classification of each writing stage. After analyzing their writing, we will then record the evaluation by commenting on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t is difficult to show accurate result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most appropriate scoring criteria will be shown when tested within a fairly long period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