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의 인성교육과 시민교육

        정석환(Chung Seok Hwan),배정혜(Bae Jung Hye)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2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성교육의 현황과 쟁점을 살펴보고, 인성교육의 기본적 개념을 재고찰하는 것이다. 인성교육은 이를 진흥하기 위한 법이 제정될 정도로 많은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인간성 상실의 위기는 인성교육 진흥법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인성이 땅에 떨어진 상태이고 법적으로 강제해서라도 진흥해야 하는 상황으로 인식되고 있고, 국가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교육적 아젠다(azenda)의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인성교육에 대한 사회적 합의나 국가적 차원의 공론화 과정 없이 시대적 조류에 따라 인성교육을 편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이 존재한다. 필자의 시각으로 인성교육이라는 개념의 구체적 명료화와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사회적 합의 없이 막연히 인성교육의 진흥을 추진하고 있는 현실은 모순이라는 문제인식이다. 국가적 슬로건으로서 인성교육의 개념을 사용하기 전에 인성교육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이며 이 고찰을 기반으로 인성교육의 재개념화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인성교육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들은 공동체적 시민교육의 개념과 다름이 아니다. 거창한 이름으로 실시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내막을 살펴보면 민주주의 사회에서 공동체적 삶을 영위하기 위한 시민의 자질을 길러주는 시민교육의 범주와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인성교육을 둘러싼 여러 가지 교육적 혼란을 피하고, 보다 현실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인성교육’이라는 용어를 ‘시민교육’ 더 나아가 ‘공동체적 시민교육’이라는 용어로 대체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물론 필자의 이 제안은 ‘인성교육진흥법’의 범위에서 계획되고 실현되는 학교교육의 장으로 한정된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명료화를 통해 교육적으로 가능한 수준의 인성교육의 범위를 특정지우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보다 명료한 시민교육, 공동체적 시민교육의 범주로 인성교육의 범위를 한정하여 활용하는 것이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더욱 적합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구된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는 인성교육 관련 교육정책개발에 기초적 방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and issue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nd to critically discuss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 basic assumption made to conduct this study is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is being utilized conveniently following the periodic trend without a social agreement or public speculation process in government level.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is being conducted based on so called ‘Promotion Law of Character Education’ and approached in accordance with a concept of an educational agenda requiring legal promotion. Contemplation of the educational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before utilizing the concept of the character education as a national agenda is necessary and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properly recognized based on this contemplation. In fact, programs under the name of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re not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the civic education. Realizable education can be developed and practiced once an educational range of the character education is narrowed down to that of the civic education.

      • KCI등재

        한일관계에서 영토교육의 현재적 의미: 경상북도(慶尙北道)와 시마네현(島根県)의 독도교육을 중심으로

        박창건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4

        This study illuminates the current meaning of territorial education in the Korea-Japan relations. The focus of the debate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territory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Especially the cases of Dokdo education between Gyeongsangbuk-do and Shimane prefecture will be compared and analyzed and it also is to grasp the situation accurately. Dokdo education of Gyeongsangbuk-do, gone through time and space, is systematic, sustained and focused on raising awareness. While Dokdo education of Shimane prefecture, focused on life history, is aggressive and meticulous, and it is going on in one's own country through a mid-to long-term territory return strategy. If territorial issues associated with Dokdo education of Korea and Japan is conducted in a national-centered context, the gap between the people of the two countries will widen and be very difficult to narrow the gap. Moreover, these fall into a serious dilemma whether it is desirable to do Dokdo education in one's own country in transition from current state sanctions that emphasize exclusive and exclusive sovereignty in Northeast Asia to horizontal and multi-level in community educ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provides th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by working on the theory of territory education based on the correct historical perception of Northeast Asia and the universality of regional community citizenship. Doing so, the existing territorial education adopted an exclusive national approach in Dokdo issues will b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regional community timely democracy at the level of Northeast Asia, this paper is trying to seek a solution about a desirable Dokdo education 본 연구는 한일관계에서 영토교육이 어떠한 현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조명하는 것이다. 논쟁의 초점은 한국과 일본의 영토교육 현황을 검토하고, 특히 경상북도와 시마네 현의 독도교육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그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경상북도의 독도교육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의식고취에 중점을 두고, 시공간을 초월해서 진행되고 있는 반면, 시네마현의 독도교육은 공격적이고 치밀하며, 생활사에 초점을 맞추고, 중-장기 적인 영토 반환전략 등을 통해 자국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일 양국이 영유권 문제와 연관된 독도교육을 자국 중심의 관점에서 실시하다 보면, 양국 국민의 인식 차이는 더욱 벌어져 그 격차를 좁혀 나가기 매우 힘들 것이다. 이는 동북아시아 국가 간의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주권을 강조하는 현재의 국가 체제가 수평적이고 다층적인 지역공동체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자국 중심의 독도교육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원론적인 고민에 빠지게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의 올바른 역사적 인식과 지역공동체적 시민의식이 갖는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영토교육의 이론화 작업을 통해 독도교육의 방향성 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독도문제에서 배타적 민족주의 접근 방식을 채택했던 기존의 영토교육을 냉정하게 분석하고, 동북아지역 차원의 지역공동체적 시민주의 관점에서 미래 지향적인 한일관계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독도교육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려는 시도이다.

      • KCI등재

        한국인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수준의 효과를 중심으로

        김경근,이자형,이기혜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1

        Drawing on public opinion data on multicultural people in Korea collected in 2013 by the SSK Cultural Diversity and Coexistence Research Team, we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Korean adult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role played by educational attainment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 also examined how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vary by the presence and absence of foreigners or immigrants around the subject of the study. Our SEM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al attainment, class identification, ethnic identity, and civic consciousness al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Especially, it was proven that educational attainment exerted a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it via class identification, ethnic identity, and civic consciousness. While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ethnic identity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 civic consciousness exerted a very strong positive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Meanwhile,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exhibited that for those who have had contact with foreigners or immigrants around them, the negative effect of ethnic identit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might to some extent be mitigated. Taken together, it is highly likely that schooling could be very instrumental in improving multicultural acceptance in Korean society. Presumably, schooling might become a more effective vehicle for improving multicultural acceptance when it puts more emphasis on promoting students’ civic consciousness than on enlightening students about multiculturalism itself. 본 연구는 SSK 문화적 다양성과 공존 연구단이 수집한 ‘2013 다문화사회 관련 의견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육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주변의 외국인 또는 이주민 존재 유무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 결정기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은 교육수준, 계층의식, 종족정체성 및 공동체적 시민의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수준은 다문화 수용성에 직접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계층의식, 종족정체성, 공동체적 시민의식을 매개로 하여 간접효과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층의식과 종족정체성은 다문화 수용성에 부적 효과를 발휘하는 반면, 공동체적 시민의식은 다문화 수용성에 매우 강력한 정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다집단 분석 결과는 외국인이나 이주민과의 접촉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종족정체성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부적 효과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사회에서 학교교육은 선주민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학교교육을 통한 다문화 수용성 제고 노력이 실효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문화주의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계몽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학생들의 공동체적 시민의식을 함양하는 데 배전의 관심과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정보사회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 체계론적 접근 A Systems Approach

        변종헌 한국국민윤리학회 2003 倫理硏究 Vol.54 No.1

        민주 사회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민주주의의 이념과 가치에 대한 이해 및 확고한 신념, 합리적이고 건전한 사고를 토대로 공동체를 위해 참여하고 헌신할 수 있는 유능하고 책임감 있는 민주 시민을 육성해야 한다. 그런데 이를 위한 교육적 노력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민주 시민 교육에 대한 인식론적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 주지하듯이 최근에 펼쳐지고 있는 사회 변화의 폭과 깊이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서 기계론적 패러다임의 단선적이거나 선형적인 사고에 입각해서는 적절하게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정보 사회에 적합한 민주 시민 교육은 복합적, 유기적, 체계론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정보 사회에서 요구되는 건전한 민주 시민의 자질과 특성을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 하며, 그것들을 어떠한 방법으로 육성할 것인가 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체계론적 패러다임은 상호 대립적인 혹은 병립 가능한 가치들 사이의 조화 그리고 다양한 관점이나 방법들에 대한 유기적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정보 사회의 민주 시민 교육은 개인적 가치와 공동체적 가치의 조화, 개별 국가의 국민이자 세계 시민에게 요청되는 새로운 시민성의 함양, 정보 사회의 민주주의에 관한 반성적 사고와 적극적 참여 기능의 활성화, 그리고 참여자 중심의 다양한 민주 시민 교육 방법의 유기적 통합이라는 과제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In general,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is needed now more than ever to consolidate and deepen democratic political systems.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has been developed by reflection and discussion on the cultural, socio-political environment of a particular political system. Thus, if we are to understand democratic citizenship in terms of ongoing societal changes,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the meaning and the contents of the citizenship in an information society. To do this, however, above all there needs to be a fundamental shift in our perception and thinking of citizenship education. It requires a kind of paradigmshift from the mechanistic worldview to the holistic, ecological(systematic) vie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directions and articulate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in an information society. Considering the newly emerging perspectives in the sphere of systematic paradigm,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to emphasize the followings: Firstly,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to harmonize individual values with communitarian values. Secondly, it has to redefine the definition of citizenship including world citizenship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irdly, it has to stimulate reflective thinking on democracy of an information society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Finally, it has to consider and adopt various educational methods for the effectivenes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an information society.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다문화(이주민) 통합 교육 방향

        서은숙 ( Eun Sook Seo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7 No.1

        전체 인구의 3% 이상이 외국인인 한국의 다문화 사회는 급속도로 그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고는 이주민 및 선주민에 대한 다문화 통합 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는가에 논의의 초점을 두어, 특히 이주민 가운데 언어와 문화는 비슷하지만 북한이탈주민을 다른 이주민들과 마찬가지로 이주민 통합 교육의 대상으로 보아 어떻게 우리사회가 이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통합을 합리적으로 이룰 것인가의 다문화 통합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북한이탈주민은 한국으로 이주한 후 특별법에 의한 단기간 동안의 지원 및 교육을 받고 자연적으로 한국 시민으로 살아간다. 그 내용은 초기정착금지급제도, 취업지원제도, 교육지원제도, 사회보장지원제도, 거주자보호제도, 주거지원제도, 민간지원 등이다. 북한이탈주민은 한국과 같은 언어, 비슷한 문화적 전통을 가지지만, 오랫동안 이질화된 환경에서 이들에게도 다른 이주민들처럼 한국어, 한국문화 이해, 글로벌 다문화 시민교육 등의 교육도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이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 통합 교육은 크게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 접근의 절충의 입장에서, 첫째, 동화주의 관점에서는 공동체적 연대성 교육과, 둘째, 다문화주의 관점에서는 글로벌 다문화 시민성 교육 두 가지를 다루었다. 이를 본고에서는 구절판 접근에서의 다문화 통합 교육으로 보았는데, 공동체적 연대성 교육은 한국 및 아시아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우리’ 정체성을 기르게 하는 교육이다. 글로벌 다문화 시민성 교육은 민주주의와 자유 등에 대한 교육, 다종교 교육을 통한 문화 간 이해 교육 그리고 통일 시민적 덕성 함양 교육이다. This article aims at discovering direction of education of multicultural integr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adults and young people. They supported by special law to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reared as a Korean citizen in a short term. But because they treated as same races like Korean, they received a certificate of residence right after adaptation education for 3months and several weeks. Though they don’t know Korean langage and culture very well, they live just like Korean citizen without Korean identity, and they have weak belonging to Korean society and solidarity.In philosophical dimension, our multicultural integration education goes for the union of assimilation approach and multiculturalism approach in multicultural integration. On the base of assimilation approach, we need to try to educate them communal solidarity, and on the base of multiculturalism approach, we need to try to educate them global multicultural citizenship. I suggested for this philosophy ‘Kujeolpan approach’ which means the combination communal solidarity by Asian and Korean culture identity,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mmigrant multiculture in Korea can be united with major Korean major culture. Simultaneously, Korean majority culture have to infiltrate into immigrant minority multiculture. The original Korean culture mixed with immigrant multiculture in the meaning of social integration for the solidarity in order to live a Korean citizen, and this can make ‘we-identity’.In that point, lik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others in Korea, multicultural integrati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ere are two kinds of direction.Firstly, we have to teach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spirit, and have them Asian cultural identity. For this kind of education, we have to teach Asian culture and spirit including specially southeast Asian culture.Secondly, we have to cultivate global multicultural citizen as a role maker for the Korean multicultural integration. In that sense, 1) they learn the basic theory of democracy and freedom etc. 2)they study global multi-religious culture in Korean migrant culture. And we have to teach them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Asian cooperate attitude. 3) North Korean defectors have to have morality for Korean unification citizenship. In order to accomplish this education, we firstly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in adapting process to Korean culture that separate from their northern culture. And, we teach them the necessity for Korean unification and enforce them to effort.

      • KCI등재

        납치된 “진실”의 역사와 “진실”을 납치한 역사

        김정욱(Kim, Jeong-Uk)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6 No.-

        문화적 보수주의자들은 개신교적 윤리, 가족의 가치, 성적 절제와 같은 전통적인 미국의 가치들이 1960년대 문화적 “반란”의 유산인 무절제한 개인주의에 의해 도전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이들은 미국이 자유라는 국가적 가치를 배태한 앵글로 색슨 지배문화에 기초하여 문화적 단일성을 만들고 자유의 확산이라는 세계사적 사명을 실현해왔음을 입증해온 “진실”의 역사가 60년대 “반란”의 또 하나의 산물인 급진적, 다문화적, 반미국적 “수정주의” 역사학에 의해 도전받고 있다고 여기고 있다. 수정주의라는 용어는 미국 역사에 관한 합의된 진실, 즉 정통의 역사가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지만 미국 역사 교과서들의 분석은 문화적 보수주의자들이 진실이라고 주장하는 역사관이 실은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건국 이래 역사 교과서들은 미국을 압제로 고통받는 모든 사람들을 위해 문화적 일체성이 아닌 자유라는 신조의 공유를 통해 만들어진 정치 공동체로 보는 시민 공동체적 국민주의를 전파하고 있었다. 반면 문화적 보수주의자들이 학교에서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는 “진실”의 역사는 19세기 말 등장한 수정주의 사관인 앵글로 색슨주의에 기초한 국민주의 역사 교과서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문화적 보수주의자들이 사용하는 수정주의란 분류 속에 은폐되어 있는 지식의 위계화 의도를 주목할 때 역사적 “진실”에 대한 보다 생산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Cultural conservatives believe that such traditional American virtues as Christian morals, family values, and sexual discipline have been challenged by the emergence of unlimited individual freedom which dates back to the social and cultural revolt of the 1960s. They also believed that the notion of America"s successful assimilation of immigrants into a culturally unified people with Anglo-Saxon ethnic values and the idea that the United Sates was given a world-wide mission for the dissemination of freedom and democracy is now refuted by radical, muticultural, and anti-American historiography, which is another aftermath of the revolt of the 1960s. By labeling this new trend of historiography “revisionism,” cultural conservatives naturalize an orthodox history. However, when we analyze the discourses of history schoolbooks published until the breakout of World War I, we can see the orthodox history to which cultural subscribe has a short history. While “revisionist history” is based on the post-independence history that defined the new nation as an oppression-free, culturally tolerant, and egalitarian civic community, the “orthodox history” is rooted in a revisionist history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at assumed Anglo-Saxon roo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xistence of a dominant ethnic culture, and promoted culturally unified nationhood. The “orthodox history” claimed itself as “truth” through ideological wars about a century ago. Accordingly, to develop more productive discussion as to how to write American histor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term “revisionism” plays a political role in empowering a certain kind of historical knowledge that was discursively constructed.

      • KCI등재

        화해를 위한 역사교육을 통한 인종적 국민주의의 부상

        金政煜(Kim, Jeong-Uk) 역사교육연구회 2013 역사교육 Vol.125 No.-

        Liberalism and nationalism surged together in revolutionary France creating civic nationalism. However, as the 19th century wore on, civic nationalism increasingly declined. In European nations, nationalism became a conservative ideology to support the unequal system, mobilize people for imperialist causes, and combat socialism. It also idealized a racially homogeneous community and reproduced ethnic and racial hierarchies. As early history schoolbooks represented, in the era of nation-building, American intellectuals also tried to construct civic nationalism. However, as the Civil War ended slavery and made liberty universal, the need of reconciling whites in two regions facilitated racial nationalism by forgetting the cause of the War and stressing the common racial traits among whites. In fact, racial nationalism in schoolbooks already appeared in prewar textbooks and its narrative was formulated in as early as the 1870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liberalism passed away even before the 1900s. These schoolbooks represented that it was alive into the 1900s, but was greatly constrained by the reconciliatory nationalism and racism.

      • KCI등재후보

        2022년 개정 교과과정상 민주시민교육의 의미와 민주주의 역사 활용 가능성: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전명길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2023 민주평화연구 Vol.6 No.2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ursues self-directed students with inclusivity and creativity in an ideal way. This is because, amid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era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climate crisis, a new change to a practical educational paradigm such as on-site acceptance, diversity, and student-customization of school education was required. However, the importa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ntends to promote community self-discovery, awarenes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solidarity, has increased.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compares the history of student democracy, a characteristic of the region's historical culture, with the contents of the new curriculum as the subjec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at can be conducted by the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this end, I introduce the purpose of the revision and future talent appearance in the general overview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1),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tasks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I explore whether the Gwangj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can educate students in the history of participating in social issu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ost-liberation democratization movement in ligh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it is argued that the unique culture of the regional level can be the subjec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students' community self.

      • KCI등재

        윤리문화유형에 따른 도덕적 정서와 다중적 정체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윤리문화사회와 교육을 중심으로-

        송선영 ( Sun Young Song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wo perspectives of moral emotions and multiple identity in the types of ethical culture. Of moral emotions, firstly, there are the nondeliberation nature and the partial nature. In particular, emotions do themselves perform three moral functions: moral guide, moral motivation, and interaction with others. With regards to identity, secondly, diverse cultures have enables those in communities or groups to have its multiple feature in different places where they identify themselves or are identified. Thirdly, human beings have persistently lived their ethical lives in two types of ethical cultures of community(based on the conception of the good) and civil society(based on the conception of the right. However, both types is seen as the one place of our ethical lives, not conceptually divisible. At the moment, we have different but simultaneous features of moral emotions and identity in each type that has its own foundation of virtues. As our future task of leading desirable ethical culture society in harmony of the two types, therefore, a combination between emotion and reason grounded by virtues needs to be developed in the emotional perspective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