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 연구: 행태적 매개효과 및 채용제도와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형(Kim, Jae Hyoung),김성엽(Kim, Sung Yeop),오수연(Oh, Su Yeon),박성민(Park, Sung Min) 서울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최근 COVID-19와 같이 국가적으로 정부 및 공무원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에서 공무원의 적극행정 강화를 위해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공직사회 상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공무원의 행태(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공무원의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변혁적리더십,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채용제도와 직급의 영향 여부를 검증하여 정부 인사전략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공봉사동기는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각각을 매개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리더십과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채용제도는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만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직급은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와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정부 인사행정 운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해 상시 학습제도의 개편, 공무원 학습조직의 활성화, 개별학습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봉사동기가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공공봉사동기 제고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채용유형과 직급에 따라 달라지는 공무원의 행태를 적극적으로 인사관리에 포섭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and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 situation where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officials is urgently needed nationwide, such as COVID-19.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study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officials" behavior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s personnel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the recruitment system and rank in relation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respectively,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each medium of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thr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ruit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or variab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at the grad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s a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duc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govern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can be exercised.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ermanent learning system, revitalize the learning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and provide customized contents for individual learn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active administration,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personnel management and strategically utilize public officials" behavio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recruitment and grade.

      • KCI등재

        경찰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조직문화를 조절변수로

        최영관,박성철 한국치안행정학회 202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7 No.4

        Although the research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s a strategic management in H.R has been developed, its research to the South Korea Police has been rare. Thus, this research tried to confirm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n South Korean Police Organization. Also, it tried to assure how can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culture, as a inherent characteristic, moderate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job attitud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In doing so, this study performed th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hypothesis after testing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of developed items on the basis of 538 questionnaires gained from Gyeonggi Southern Provincial Police Agency staffs. In conclusion, this could confirm that as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which pursues the public interest gets fostered,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get developed in our police organization and additionally could figure out that police’s hierarchical culture negatively moderates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job satisfaction. Thus, first, we should establish the qualitative evaluation criteria to recruit the applicant who has the spiri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educate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new employees and incumbent employees in order for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to have an positive impact on staff’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second, we should boost task force team to accept environmental change in a flexible manner and develop curriculum for the good communication as a reduction device of hierarchical organization culture. 전략적 인적자원 관리의 하나인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어 오고 있지만, 우리나라 경찰 조직에 있어서 이러한 공공봉사동기를 활용한 연구는 희소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 경찰 조직에서도 공공봉사동기가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또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고, 경찰조직의 태생적 특성인 위계적 조직문화가 이러한 공공봉사동기가 경찰 구성원의 직무태도(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가하는 영향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남부경찰청 소속 경찰로부터 획득된 설문지(538매)를바탕으로 구성 측정 변수들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진행한 뒤 이 연구의 핵심인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경찰에서도 ‘공공 선(善)’을 추구하는 공공봉사동기가 높아질수록 경찰 구성원들의 직무만족 또는 조직몰입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경찰의 위계문화는 공공봉사동기가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력을 보이지 않았으나, 공공봉사동기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 첫째, 경찰조직에 있어서 공공봉사동기가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지속 미칠 수 있도록 채용 시정성적 평가 요인으로 지원자의 공공봉사동기 채득 여부를 평가 요소에 포함시키고, 신입 및 재직자교육훈련에 있어서 공공봉사동기 함양 교육을 확대 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위계문화에 대한 저감 장치로서 환경변화에 대한 적극적 수용과 조직의 연성화를 가능케 하는 태스크포스팀(T/F Team) 활성화와 조직 내 의사소통 활성화를 위한 인사평가 요인 마련 및 교육 커리큘럼 발굴 등을각각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 연구의 성과와 과제

        김상묵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8 정부학연구 Vol.24 No.3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is one of the original research concepts developed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PSM research in Korea in comparison with the research trends in the world and exploring theories of PSM in the context of Korea. The study provide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160 journal articles published until June 2018, discussing performances and future directions in the PSM research in Korea. The literature reviews focused on three key aspects: studies on the concept and measure of PSM, on the antecedents of PSM and on the outcomes of PSM. Also, it investigated plausible theories on PSM in the context of Korea. The study suggested clues for developing theories primarily on the effects of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on PSM,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motives, and the influences of PSM on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behaviors of public employees in Korea.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는 행정학의 고유한 연구 개념가운데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국내 연구를 세계의 연구경향과 비교하여 점검하고, 한국적 맥락에서의 공공봉사동기 이론을 탐색하고자 한다. 첫째, 2018년 6월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160편의 학술논문에 대한 문헌검토를 통해 그동안의 성과를 평가하고 후속 과제를 제시한다. 문헌검토는 공공봉사동기의 개념과 척도에 관한 연구,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선행변수)에 관한 연구, 공공봉사동기의 효과(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등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고찰한다. 둘째, 한국적 맥락에서 공공봉사동기의 형성과 영향에 대한 이론을 탐색한다. 우리나라의 공식적・비공식적 제도가 공공봉사동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와 다른 동기요인간의 관계, 공공봉사동기가 행정과 공무원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론 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와 인적자원관리

        김상묵,노종호 한국인사행정학회 2018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7 No.3

        이 연구는 그동안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으로서 인적자원관리 요인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다는 것에 착안하여 중앙행정부처와 광역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보수, 승진, 교육훈련, 업무수행역량, 상사와 지원과 같은 인적자원관리 요인들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인적자원관리 요인들 중에서 승진, 교육훈련, 업무수행역량, 상사의 지원이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에서 업무수행역량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중앙행정부처와 광역지방자치단체의 두 공무원 집단으로 나누어 인적자원관리 요인들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ㆍ분석한 결과, 교육훈련, 업무수행역량, 상사의 지원은 두 집단에서 모두 공공봉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승진은 광역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에게만 공공 봉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특성에서는 성별과 연령이 공공 봉사동기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주었다. 즉, 여성보다는 남성,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중앙행정부처와 광역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그동안 공공봉사동기의 영향요인으로서 소홀하게 다루어졌던 인적자원관리 요인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를 높이기 위한 정부기관의 인적자원관리 전략과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유학사상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

        김상묵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2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는 원래 민간부문 종사자들의 동기와는 구별되는 공무원들의 독특한 동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개발된 개념이다. 그런데 이후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하면서, 공공봉사동기는 직업과 관계 없이 교육과 경험을 통해 증진되는 인간이 가진 보편적 심성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서양에서는 공공봉사동기의 연원을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찾는 것처럼,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공공봉사동기의 뿌리를 유학(儒學)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 공자·맹자 등 선진(先秦)유학의 가르침과 공공봉사동기간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선진유학의 가르침에서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관심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공공봉사동기 개념의 각 구성요소와 관련 있는 유학사상의 가르침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공공봉사동기는 비록 최근에 미국에서 개념화되었으나 우리 문화와 유리된 생소한 내용이 아니며, 그 핵심은 이미 오래 전부터 한국사회에서도 중요하게 여겨져 왔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의 소재에 관한 논쟁의 평가와 제안

        이태우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3

        공공봉사동기는 연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어 이론적 경험적 연구들의 건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조직관리론의 중요한 연구주제로 확실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조직 차원의 관점에서 공공봉사동기의 소재와 관련된 논쟁은 최초로 제시된 개념정의와 명제에 의해서 촉발되었다. 논쟁의 핵심은 공공봉사동기를 공공조직에 종사하고 있는 구성원 즉 공공조직 구성원만이 독점적으로 가지고 있는가 아니면 민간조직에 종사하고 있는 구성원 즉 민간조직 구성원도 가지고 있는 것인가의 문제이다. 공공봉사동기가 어느 조직의 구성원에게 뿌리를 내리고 있는가 하는 소재에 관한 논쟁이 계속되는 것은 공공봉사동기의 이론적 이해와 해석에 대한 혼란과 모호성을 증가시켜서 공공봉사동기이론의 충실화를 위한 이론적 명료성을 정립하는데 방해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논쟁에 대해서 논쟁이 이루어져 가는 과정의 전말을 검토하고 평가하여 정리를 함으로서 혼란과 모호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학문적으로 필요하고 바람직하다. 공공봉사동기의 소재에 관한 검증에서 공공봉사동기는 공공조직 구성원뿐만 아니라 민간조직 구성원과 비영리조직 구성원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최초의 개념정의와 명제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공공봉사동기의 새로운 개념정의와 명제가 소재에 관한 논쟁을 진정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가 있을 것이다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is positioned as the important topic due to the much interest of researchers and the rapid increase of research numbers since the concept of PSM was originally defined by Perry & Wise. Their concept was that PSM was grounded in the public organization and found exclusively among its members. The concept triggered the dispute of the locus of PSM. The core of the dispute was about whether only the members in the public organization had PSM exclusively or not. Many researchers tested the contents of the concept empirically based on the intrinsic and extrinsic reward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members of private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s well as those of public organization had PSM. Therefore, the original concept was corrected.

      • KCI등재

        직무중요성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조영윤,이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4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i) to compare public service motivation among different age groups of public employees and (ii)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job significance, intrinsic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to present implications for enhanc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within public institutions. For these purpos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308 public employees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test and Model 4 from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those in their 50's i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ose in their 20's. Second, job signific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have positive direct impact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rd, intrinsic motiv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ignificanc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이 연구는 공공기관 종사자의 연령별 공공봉사동기를 비교하고, 직무중요성, 내재적 동기, 공공봉사동기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조직차원에서 공공봉사동기를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사회간접자본 분야의 대표성이 있는 공공기관 종사자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연령별 공공봉사동기를 비교분석하고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사용하여 변인 간 관계 및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기관 종사자의 공공봉사동기는 연령별 집단 간 평균의 차이가 있으며, 20대보다 50대가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중요성과 내재적 동기는 공공봉사동기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는 직무중요성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김재경,김남미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2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police official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ir relationship. Analysis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internal behavior perceived by police officials, it served as a factor that increased their motivation for public servi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urface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it acted as a factor that hindered public service motivation.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both the supervisor's support and the organization's support, which ar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lice's public service motivat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the police,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ort of the boss and the support of the organization rather weake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s internal behavi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ort of the boss and the support of the organization allev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s surface behavi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how to manage emotional labor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police officials.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부실한 설문을 제외한 총 407건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찰공무원이 지각하는 내면행동은 그들의 공공봉사동기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표면행동의 경우에는 공공봉사동기를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적 지원의 하위변수인 상사의 지원 및 조직의 지원 모두 경찰의 공공봉사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의 감정노동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사의 지원 및 조직의 지원 모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내면행동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의 지원과 조직의 지원은 공공봉사동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표면행동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의 지원과 조직의 지원은 표면행동에서 발생하는 감정의 부조화가 경찰의 공공봉사동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상사 및 조직의 지원이 이를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과 공공봉사동기, 사회적 지원 등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 연구: 행태적 매개효과 및 채용제도와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형,김성엽,오수연,박성민 서울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1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and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 situation where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officials is urgently needed nationwide, such as COVID-19.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study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active administration of public officials through the medium of public officials' behavior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s personnel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the recruitment system and rank in relation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orientatio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respectively,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through each medium of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dministration through public service motivation.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ruit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or variab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at the grad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as a moder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tiv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duc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operation of government personnel administr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public sector can be exercised.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learning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ermanent learning system, revitalize the learning organization of public officials, and provide customized contents for individual learn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active administration, an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personnel management and strategically utilize public officials' behavior that varie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recruitment and grade. 본 연구는 최근 COVID-19와 같이 국가적으로 정부 및 공무원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에서 공무원의 적극행정 강화를 위해 공직 내 변혁적리더십과 공무원의 적극행정과의 관계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 다. 구체적으로는 공직사회 상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공무원의 행태(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공무원의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변혁적리더십,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 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채용제도와 직급의 영향 여 부를 검증하여 정부 인사전략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 학습지향성과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공공봉사동기는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리더십은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 각각을 매개로 공공봉사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변혁적리더십과 학습지향성, 자기효능감은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적극행정에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채용제도는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에서만 조절변수로서 유 의한 영향을, 직급은 자기효능감과 공공봉사동기와의 관계와 공공봉사동기와 적극행정과의 관계에서 조절변 수로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정부 인사행정 운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공직 내변혁적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을 제고하기 위해 상시 학습제도의 개편, 공무원 학습조직의 활성화, 개별학습자 맞춤형 컨텐츠 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공공봉사동 기가 적극행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공공봉사동기 제고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채용유형과 직급에 따라 달라지는 공무원의 행태를 적극적으로 인사관리에 포섭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원봉사 지속의지 영향 요인 분석

        김현진(金炫辰),이민창(李敏彰)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공공서비스 분야에서 활동하는 자원봉사자의 참여동기를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이론 관점에서 설명하고,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공공봉사 동기이론의 관점에 따라 참여동기는 합리적 동기, 규범적 동기, 정서적 동기로 구분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직무만족과 지속의지를 정의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합리적 동기, 규범적 동기, 정서적 동기와 지속의지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참여동기와 만족성과의 관계에서 합리적 동기와 직무만족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규범적 동기와 정서적 동기는 기각되었다. 셋째,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은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자원봉사자들이 공공봉사동기를 갖고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으며, 높은 공공봉사동기는 자원봉사 활동 지속의지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해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