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감성, 공동체, 치유 ; 공감, 정서 그리고 행복의 관계

        이찬종 ( Jong Lee Chan ),허재홍 ( Jae Hong Heo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49

        본 연구에서는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의 “감성”과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의 “인문치료”의 연구에서 중심주제중의 하나인 “공감”이 긍정정서 빈도, 정서체험, 그리고 정서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들 정서변인을 매개로 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44명(남학생 235명, 여학생 272명)을 대상으로 공감지수 척도, 정서강도 척도, 정서표현 질문지,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감 가운데 인지공감은 긍정정서 빈도, 정서체험에 영향을 미치고, 정서공감은 정서체험과 정서표현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사회기술은 정서체험에만 영향을 미쳤으나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이 정서변인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인지공감은 긍정 정서 빈도나 정서체험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공감은 정서체험이나 정서표현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기술은 긍정정서 빈도나 정서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정서체험을 못하도록 하여 주관적 안녕감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감이 정서와 주관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밝혔고, 공감가운데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이 중요하며 정서변인 가운데에는 정서체험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empathy affected on the positive emo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empathy on the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ediation of emotional factors. 444 university students (235 males, 272 females) took part in this study. They were administered to complete K-EQ, Affective Intensity Measures(AIM),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empathy was more correlated with positive emotion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emotional empathy was more correlated with emotional experienc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results found that the social skill was mo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experience. Second, cognitive empathy was more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ediation of positive emotion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emotional empathy was more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ediation of emotional experienc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owever, social skill was not correlated with positive emo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ail skill decreases subjective well-being by inhibiting emotional experie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empathy had effects on emotion and mental health, and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were important factors among the components of empathy and emotional experien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emotional factors.

      • KCI등재

        공감의 예술론

        서성록 기독교학문연구회 2015 신앙과 학문 Vol.20 No.4

        The following research covers the extent to which we and others should maintain their intimacy and how the essence of art is established. Empathists have developed an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theories of art. The issues concerning empathy (Einfühlung) have been broadly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aesthetics and psychology to politics and sociology. The German philosophers, Robert Vischer and Theodor Lipps, have discussed these issues regarding empathy following Rudolf Lotze, who suggested using the ‘fell into’ (empatheria) method to understand art work. The way empathy is developed in art is discussed in Chapter Four where he examines how it evolved in the work of Vincent van Gogh, Georges Rouault, and Jozef Israëls. Van Gogh sympathizes with poor men. Rouault finds himself through the facial expressions of Pierrot. Israëls finds his through the fellowship of peers. Chapter Five looks into the archetype of empathy through the Spirit of Christianity. Some Empathists argue that empathy stems from evolutionism, which stands for the interactions between neurons. The importance of empathy, however, is mostly found in the Bible because the Christian spirit derives from having an empathetic attitude towards others. In this sense, the chapter explains the limitations of using a humanistic perspective when it comes to discussing empathy. By examining Christianity’s Golden Rule (Matthew 7:12), an explanation is given as to how that Rule should be regarded as the ‘empathic principle’ (Karen Armstrong). Moreover, this chapter explores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empathy in a pluralistic society. 본 논문의 목적은 얼마나 우리 자신과 타인 사이의 관계를 좁히며 그것을 예술의 중핵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공감’의 개념을 중심으로 검토하는 데에 있다. 타인의 이해를 예술론으로 발전시킨 것은 일군의 공감학자들(Empathists)인데 그들에 의해 공감(Einfühlung)의 문제는 미학과 심리학 분야에서 시작하여 근래에는 철학과 사회학, 생물학으로까지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미학에서 공감의 문제는 루돌프 로쩨(Rudolf Lotze)가 예술작품을 ‘느끼는(feel into)’ 대상으로 인식하면서 논의의 실마리를 제공한 바 있고, 이어서 로베르트 피셔(Robert Vischer)나 테오도르 립스(Theodor Lipps)와 같은 학자들이 공감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였다. 미술에서 공감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는 Ⅳ장에서 논의하였다. 특히 반 고흐(Vincent van Gogh), 조르주 루오(Georges Rouault), 이스라엘스(Jozef Israëls)의 작품속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반 고흐는 가난한 이들에 대한 연민을 통해, 조르주 루오는 광대의 얼굴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했으며, 이스라엘스는 동료인간과의 연대감으로 공감을 실어냈다. 관계의 고리를 상실한 문화속에서 이들 작가들은 ‘현실에 거리를 두는’ 태도보다는 ‘현실 속에 뛰어드는’ 태도를 취하면서 많은 사실들을 들려준다. Ⅴ장에서는 공감의 원형을 기독교 정신에서 발견하고자 했다. 공감연구가들은 ‘공감’의 원천을 진화론, 즉 신경세포의 작용에서 찾고자 하지만 사실 공감이 성경 속에서만큼 충분하게 드러나는 곳도 없다. 기독교의 정신은 철저히 타인에 대한 공감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공감문제를 진화론의 입장에서 파악하는 입장의 한계를 밝히게 될 것이다. 기독교에 있어서의 ‘사랑의 황금률’(the Golden Rule of Christianity)(마 7: 12)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사실상 ‘공감의 원리’(Empathic Principle)가 될 뿐만 아니라 다원주의 사회에서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갖는지 검토해보았다.

      • KCI등재후보

        근대국가의 파토스, ‘공감’의 (불)가능성

        박숙자(Park suk ja)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2

        본고는 근대/국가의 파토스로 ‘공감’의 감정-구조를 논의하고자 한다. 근대/국가 사이에 놓인 빗금은 공감의 번역 (불)가능성을 가시화한 것이다. ‘공감(empathy)’은 평등한 인간관계 안에서 야기되는 상호주체적인 감정으로 근대적인 감정-구조에서 배태되었다. 그러나 국가주의의 맥락 하에서 타자의 삶에 대한 주체의 감정적 개입을 통해 ‘공감’은 ‘동정’의 도덕감정으로 규율되었다. 그간 ‘동정’과 ‘공감’이 유사한 개념으로 혼용되면서 ‘공감’이 제기한 긍정적이고 해방적인 감각들이 설명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며, 공감/동정의 의미론적 자질을 분리한 후 근대적 감정의 기원에 놓인 ‘공감’의 의미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애(fellowship), 동정(sympathy), 공감(empathy)의 의미를 변별한 후, ‘동정’의 의미를 주체중심의 상상력으로 환원되는 감정으로, 공감의 의미를 자아와 타자의 경계를 뛰어넘는 상호성의 감정으로 가정했다. 1910년대 ‘sympathy’가 ‘동정(同情)’으로 번역될 때 그 함의가 ‘도덕감정’으로 한정되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동정 이면에 놓인 평등한 관계들이 야기하는 상호성의 감정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대적 감정이 재현된 춘원의 『무정』으로 돌아가 ‘감정’의 재현 양상을 다시 살펴보았다. 그간 이 작품의 주제를 동정을 통한 민족주의로 논의해 왔는데, 이 지적은 식민지에 불가피한 감정으로 주체 중심의 민족주의를 추인하면서 결과적으로 ‘공감’의 정치성을 외면하게 하였다. 이는 ‘공감’의 감정-구조를 감각해내지 못하는 식민주체의 번역능력이 야기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자발적 감정을 계몽이성으로 추인하고자 했던 계몽주의의 동학 때문이기도 하다. 더욱이 한국 문학사 속에서 이러한 논리가 강화되면서 ‘공감’의 내적 자질인 자유와 평등의 감각이 ‘자유연애’와 ‘민족애’로 양분되었다. 근대문학사에 선취해야 할 ‘공감의 근대성’이 ‘통속성’과 ‘계몽성’으로 오인된 채 오역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형식’의 ‘연민’과 ‘연설’ 이전에 삼랑진 수해를 공동운명으로 감각하며 ‘공감’하는 인물이 있었다는 것, 그리고 당대 독자들이 이 인물이 제시하는 ‘공감’에 ‘감동’하고 감화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는 근대문학이 선취한 ‘공감’의 가능성이다. This article redefines the meaning of fraternity, sympathy, and empathy to focus on the modernity of ‘empathy’ lying in the origin of contemporary emotion. ‘Sympathy’ and empathy are similar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ality and imagine the context of others’ lives; however, ‘sympathy’ might be reduced to subject-oriented imagination. Thereup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inciple of reciprocality of ‘empathy’. ‘Empathy’ is the form of emotion of mutual aid beyond the border of ego and others. This is exposed in collecting feeling that shows the ethics of solidarity toward compatriots in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In the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empathy is ‘mistranslated’ as sympathy ideology. Because of that, this paper focuses not on the 122nd episode showing the national collective feeing but on the 123rd one converging it into ideology. This is not because of Chun Won’s personal problem that he could not translate the modernity of ‘empathy’ but the fellow students of the Enlightenment who saw only the morally planned emotion as proper emotion. However, literary history has solidified it so far and bisected the sense of freedom and equality that ‘empathy’ has as free love and enlightenment.

      • KCI등재

        공감 교육 도구로서 내러티브 인터뷰

        정연옥,박용익 한국독어학회 2021 독어학 Vol.43 No.-

        In diesem Aufsatz geht es um die Anwendungsmöglichkeit und die Angemessenheit des narrativen Interviews als Instrument bei der Beförderung von Empathie. Die Anwendungsmöglichkeit und die Angemessenheit ergeben sich aus Ähnlichkeiten der konstitutiven Merkmale zwischen Empathie und dem narrativen Interview. Einer der Vorteile des narrativen Interviews bei der Beförderung von Empathie besteht in dem Nutzen der Unkompliziertheit der Erzählung, nämlich dass jeder seine eigenen Erfahrungen ohne Vorbereitung und Schwierigkeiten erzählen kann. Ein anderer Vorteil des narrativen Interviews hängt mit der Tatsache zusammen, dass der Erzähler nach dem Interview normalerweise sehr zufrieden ist und der Interviewer mitunter die Möglichkeit hat, Empathie-Aktivitäten in der authentischen Situation zu praktizieren, und die empathischen Reaktionen des Erzählers auf seine Empathie-Aktivitäten unmittelbar zu erleben. Das narrative Interview kann auch das Verhalten von bedingungsloser positiver Rücksichtnahme sowie Zuhör- und Empathie-Aktivitäten, die die wichtigsten konstitutiven Merkmale der Empathie sind, verbessern, da der narrative Interviewer den Erzähler nicht unterbrechen oder kritische Bemerkungen während des Interviews machen darf. Durch die Aktivitäten „Zusammenfassung“ sowie „Fragen“, die erst in der späteren Phase des narrativen Interviews durch den Interviewer gestellt werden dürfen, kann auch das Verständnis der Erfahrungen und der inneren Welt des Interviewten verbessert werden, das als kognitiver Bestandteil der Empathie auch sehr wichtig ist. 이 논문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공감 능력 계발 교육을 위한도구이자 방법론으로서 내러티브 인터뷰의 장점과 적합성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현재 공감능력 계발을 위한 교육이 현장에서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지만 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 공감 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다 효율적인 공감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내러티브 인터뷰가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질적 자료 수집을 위해 고안된 내러티브 인터뷰가 공감 교육에 적합한 이유는 내러티브 인터뷰의 구성 요소와 진행과정의 특성이 공감의 특성과 거의 동일하기때문이다. 내러티브 인터뷰를 활용하여 공감 교육을 할 때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구나 할수 있는 자신의 경험 이야기 외에 추가적인 준비물이 필요 없어 실습이 용이하다. 둘째, 인터뷰 참여자모두에게 이익이 된다. 셋째,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공감을 실습하고 체험할 수 있다. 넷째, 공감 능력, 예를 들면 판단하지 않는 태도와 긍정적인 수용 능력, 친밀감과 관계 형성 능력, 경청과 공감 행위수행 능력 및 이해 능력 등 다양한 공감 능력 계발에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공감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교육 방법론으로서의 적합성 등을 꼽을 수 있다.

      • KCI등재

        ‘공감’과 철학상담 : 막스 셸러의 ‘공감’ 개념을 중심으로

        박병준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6 No.-

        인간을 정서적으로 이해하는 중심에 ‘공감’이 있다. 공감은 철학상담의 기본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공감에 기초한 철학상담의 ‘공감적 대화’는 엄격한 이성적 판단보다 정서적 교감을 중시하는 ‘감정적 성찰’의 상담 방법이다. 이 논문은 인간의 삶과 인간 이해의 기초 개념 중 하나인 공감 개념을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문제의식을 갖고 심층적으로 검토한다. 이 연구의 직접적 동기는 공감이 상호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대화의 핵심 개념으로서 기존의 다양한 상담 분야에서 매우 폭넓게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그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본고는 막스셸러(Max Scheler)의 공감 개념을 토대로 철학상담을 위한 ‘감정적 성찰’로서의 ‘공감적 대화’를 방법론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모색한다. 공감적 대화란 내담자의 감정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내담자를 동등한 인격체로 수용함으로써 인격적 대화를 가능케 하는 철학상담의 고유한 상담 방법이다. 공감적 대화의 핵심은 개별적이며 고유한 인격의 중심에로 들어가는 자기 헌신적이며 자기 증여적인 사랑에 기초한 인격적 대화에 있다.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

        박성호,장문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1

        목적 :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 다. 연구방법 : 부산·경남의 135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 문 기간은 2012년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이었다. 작업치료사의 자아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자아존중감 척도와 한국어판 공감지수 척도를 사용 하였다. 결과 : 자아존중감과 인지공감능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 과 공감능력의 하위항목인 사회기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급여에 따라 공감능력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작업치료사의 교육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모 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자아존중감이 높은 작업치료사들이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능력은 클라이언트와 치료사의 치료적 관계를 맺는데 필수적인 요소이 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임상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학생에게 타인에 대한 이해를 높 이고, 클라이언트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 .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steem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empathy with others.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on 135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Busan and Gyeongnam areas from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To measure the self- esteem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ir empathy withothers, the self-esteem scale and Korean-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 (EQ) scale were employed. Results :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self-esteem and cognitive empathy. Significant differences insocial skills, which is a subordinate item of self- esteem and empathy depending on gender, were shown, as were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y depending on wage. In addition, self-esteem and empathy both showed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high self-esteem showed a high understanding of, and empathy toward,other people. Empathy is an essential element for form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a client andtherapis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a proper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s theunderstanding of other people by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nd arousesthe motivation of clients.

      • KCI등재

        공감의 법사상

        김연미(Kim, Yeonmi) 미국헌법학회 2014 美國憲法硏究 Vol.25 No.3

        미국의 오바마대통령은 이상적인 법관(ideal Judge)이라면, 고통받는 이들에게 ‘공감’(empathy)을 표현할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하고, 그는 이러한 실천을 두 명의 여성연방대법관을 임용하면서 시작하였다. 당시 오바마의 이런 공감의 강조는 법학계에 논쟁거리가 되었고, 아직도 불씨는 끝나지 않고 있다. 사람들은 ‘공감’ 보다는 그들의 판사들이 법을 사심없이 공평하게 집행하기를 바란다고 대응하였다. 공감은 ‘타인의 관점을 채택해보기’(taking up the perspective of other people)라고 할 수 있다. 공감능력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할 능력이다. 법관의 공감능력은 원고와 피고, 당대의 법규범의 수범자 모두의 관점에서 희망과 고군분투를 이해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공감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누스바움(M. Nussbaum) 은 문학적 상상력을 통한 분별력있고 공평한 시인으로서 법관상을 제시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누스바움이 제시한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배양된 공정 상상력(public imagination)의 중요성이 법적 추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현대 체험주의윤리학과 인지과학이 밝혀낸 감정이입으로서 공감의 능력은 칸트의 [도덕적 힘]으로서 [엄격한 아버지]은유로부터 발생한 [물리적 힘]의 은유적 맵핑을 거부한다. 오히려 [도덕적 감정이입]은 [자애로운 부모] 도덕성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법관들의 구성이 오히려 공평한 판결을 확보할 수 있다. 최고법원의 재판관들이 동일한 학력과 삶의 배경을 가진 자들이라면 그 사회의 규범체계는 어느 사회보다도 위험할 수 있다. 단일한 종교적 신념하에 사는 사람들의 자유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것처럼, 현대사회의 대부분의 자유의 한계설정을 관장하는 최고법원에서 동일한 배경을 가진 재판관들만으로 구성된다면, 그 사회는 극도로 감정의 편향성에 치우친 판결을 내릴 확률이 많다. 법관은 은유적 사고를 함에 있어서 단순히 직업적 공평성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교육받고 자라온 생물학적, 문화적 혹은 사회적 배경(context)과의 상호작용을 거쳐 법적 판단에 이른다. 감정은 가치를 판별할 수 있는 신념이나 판단의 문제와 연관된다. 만일 법관이 정의의 파수꾼이라면, 법적 추론과정에서 법적 판단에 이르기 전에 자신이 충분히 공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공감의 사각지대를 극복하지 못한다. 이 글은 법적 공감능력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관점에서 파악하려고 하였다. 첫째, 입법이든 사법적 판단이든 법적 허구(legal fiction)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공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둘째, 공감은 법적 정의의 실현을 완성시키는데 필수적 요소이다. 셋째, 공감은 존재와 당위의 간격을 메꾸는 역할을 한다. 넷째, 공감은 민주적 정당성을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법관으로 하여금 역지사지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다섯째, 법적 추론과정에서 법관이 공감의 사각지대를 인지하지 못한다면, 법적 추론은 파탄에 이르게 된다. The President Obama of the United States emphasized that an ideal Judge ought to have empathy to those in pain, and practiced this belief by appointing two female federal judges. The debate on judge’s empathic capability has remained controversial within the legal academic field since that time. It is rather demanded by people that they want judges to enforce the law in impartial and objective manner. Empathy means ‘taking up the perspective of other people’. Judge’s decisions are influenced by a quality of empathy, of seeing, understanding and identifying with people’s hope and struggles. To improve empathic capability, Nussbaum suggested that the literary imagination is a part of public rationality , and not the whole. In her book, Poetic Justice, so as to develop judge’s empathic(compassionate) capability in legal reasoning, she suggests a novel-reading. And J. Rifkin suggests that empathy is a bridge between Is(Sein) and Should(Sollen). In particular, empathy emphasized also by modern experientialism and cognitive sc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rain science, … and Lakoff & Johnson’s experientialism, embodied concept is based upon a neural structure. Empathy is a metaphorical conception like the Golden Rule. Also empathy makes legal justice as our own value system. Empathy play a role of social ties that bind people together into one community. In this paper, I considers empathy from biological, cultural and normative aspects. If in one state are all the highest judges sharing similar background, normative structure of this society should be more risky than other societies in which has multiple background. As is the case in the country with one religion being less free one, lack of diversity in the highest court inevitably has the same effect to modern society. It is purely due to the fact that Judges in the highest courts makes a decision that settles down the limit of freedom within most contemporary societies. Judges’ decision through metaphorical mapping, is not merely reflected on occupational fairness. But They reach the legal decision through interaction between biological,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As emotion closely relates to the matter of faith and judgment, it is important for Judges to realize they could well be fallen into empathic ‘Blind Spots’ while reaching to legal decision through legal reasoning. Above all, judges as a watchman of justice, should recognize that empathic ‘Blind Spots’ can be in their Bodies, in order to avoid them.

      • KCI등재

        공감능력과 미술 감상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이미정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1 No.-

        Even if the art of the Postmodernism demolishes boundary with avant-guard art, Still the majority of contemporary art to the general audience, rather than fun, and difficult to feel embarra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of empathy and art appreciation. because I think that empathy what emotions or motivations and feelings about other people's feelings or reactions and appreciation of art which works of art via the artist's life and his way of life is very similar.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ppreciation and ability of empathy, J in Cheongju-in 4th grade boys and girls surveyed was 29. and their ability of empathy and appreciation of art was put into a screening tool. In order to measure art appreciation use five activities of curriculum consisting, then estimate them through an open-ended of Elementary Teachers' Manual contains test. It used as a tool to estimate their ability of empathy through Empathy Questionnaire made by Park Seong hi(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of empathy and art appreciation as a tool to analyze the statistical SPSS ver 12.0 was use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ility of empathy and children's art appreciation is certainly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compared to the cognitive variables of empathy and emotional variables of empathy has a greater correlation. Third, most of the variables of empathy to imagine that the correlation is high.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hildren’s art appreciation and ability of empathy has the ability to have a definit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I intend to prove the relation between art appreciation and empathy skills. and the ability of art appreciation using empathy education to find ways to its value as the basis for the study are presented. 오늘날 우리는 유례없이 많은 예술가를 낳고 , 그 예술가들이 쏟아내는 그림이 홍수처럼 범람하는 세계에 살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맞아 현대 미술은 대중문화를 예술의 범주로 흡수하며 대중문화와 예술의 경계를 무너뜨려 일반인에게 예술의 문턱을 낮추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여전히 현대 미술은 대다수의 일반 관람객에게 유쾌하기보다는 난해하며 당혹감을 느끼게 한다. 본 연구는 예술작품을 매개로 작가의 삶과 자신의 삶의 방식을 묻고 비판하는 행위인 감상 능력이 감정이나 동기를 인지해 내고,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느낌에 대한 반응인 공감과 유관하다고 생각되어 공감능력과 미술 감상 능력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미술 감상과 공감능력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청주에 있는 J초등학교 4학년 남녀 아동 29명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미술 감상능력을 평가하여 공감 능력과 미술 감상 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감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교육과정 중 이루어진 감상 활동을 5회 실시 후,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되어 있는 논술형 검사법을 통해 평정하였다. 공감능력측정도구로 박성희(1997)의 공감 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공감 능력과 미술 감상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 도구로 SPSS ver 1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공감 능력과 아동의 미술 감상 능력은 확실한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작품과의 공감, 작품을 통한 작가와의 공감을 추구하는 감상 능력이 타인의 정서를 공감하는 능력과 유관함을 밝히고, 공감 교육을 활용한 미술 감상 능력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의 가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공감의 현상학: 공감의 윤리적 성격에 대한 후설과 쉘러의 논의를 중심으로

        박인철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9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ethical meaning of empathy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action of empathy is characterized by that it is directed to the self of another person through feeling with him. So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empathy might, in my view, lie in the recognition of the selfhood or personality of other people. This shows that the action of empathy presupposes an ethicl attitude, because we could not vividly realize the real value of another person as a person till it works well. However, on the whole, this fact is often neglected by the psychological analyses of the action of empathy. The phenomenology which lays much stress on the elucidation of the meaning of subjectivity could, so my argument, explain the original meaning of the empathy from an ethical standpoint. Husserl’s theory of empathy(Einfühlung) might be interpreted as a phenomenological trial to discover the reason how we can become aware of the selfhood and subjectivity of another person through the action of empathy. Scheler, as his phenomenological follower, also argues that the true empathy(Mitgefühl) should lie in the realization or understanding of the equal personl value of other people as a person. This proves that the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empathy could keep the original meaning in it’s ethical sense. 공감에 대한 논의는 최근에 심리학계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방대한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심리학적인 공감이해는 공감을 주체와 주체간의 상호주관적, 인격적 관계로 보는 데에 한계를 노출한다. 이는 결국 공감의 윤리적 성격에 대한 통찰의 부족으로 이어진다. 이에 반해 현상학은 기본적으로 주관성에 기반을 두고 주관과 객관의 긴밀한 상관성을 다루기 때문에, 나와 타인 간의 공감적 관계를 주체와 주체간의 상호주관적 관계로 본다. 이런 맥락에서 현상학은 공감현상을 단순한 사실적인 작용으로서만이 아니라, 타인을 나와 같은 하나의 인격적 존재로 인정하게 되는 과정 내지 계기로 이해한다. 바로 이러한 타인에 대한 의미부여에서 공감이 지닌 윤리적 성격이 드러나며, 그런 한에서 윤리성은 공감의 본질적인 요소임이 밝혀진다. 현상학적 공감이해는 곧 공감의 윤리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후설은 그의 감정이입적 타인경험론에서 이러한 공감의 특성을 그 형식적 구조의 면에서 잘 보여주고 있으며, 쉘러는 후설의 공감론의 연장선상에서 공감이 정서적, 정신적으로 윤리적 가치를 지향하고 있음을 사랑과의 연관성을 통해 밝히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현상학적 공감론’의 체계가 어떠한 방향에서 정립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노년기의 공감 능력의 변화

        박 민(Min Park) 한국노년학연구회 2018 한국 노년학연구 Vol.27 No.1

        정상적 노화를 겪고 있는 노인드르이 인지적 공감 능력은 나이가 들수록 조금씩 감퇴하는 편이지만, 정서적 공감 능력의 감퇴 여부는 화실하지 않다. 전두촉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노인들의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 능력은 모두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성 차원의 공감 능력을 측정한 연구보다 상태 차원의 공감 능력을 측정한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분명한 연령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공감 능력의 노화를 연구한 결과들을 개관하면서 특성대 상태 공감 능력의 관점 및 공감 능력의 노화 연구에 대한 실제적 함의도 논의하였다. In general, cognitive empathy was known to decline slowly as people are getting older and older,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emotional empathy have been inconsistent. Older adults with fronto-temporal dementia showed impairment of both emotional and cognitive empathy. Also trait empathy in older adults might not be different from that in younger adults, but the older adults show clear different performance in state empathy from the younger adults. Previous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rait versus state empathy distinc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age-related changes in empathy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