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병준 忠州大學校 2002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37 No.1
We investigate theoretically the partitioning behavior of a uniformly-charged polyelectrolyte confined in a circular cylindrical pore with constant electric potential on its surface. On the basis of the first order perturbation theory, predictions on the partition coefficient are made in a variety of situations. The intramolecular interactions between pairs of monomers are found to be as much important as the direct polymer-pore interaction in determining the partition coefficient. Depending upon the ionic strength of the embedding electrolyte solution, the polyelectrolyte conformation gets stretched or follows self-avoiding walk, yielding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artition coefficient compared to the ideal chain result.
박병준 忠州大學校 2003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38 No.1
Conformation of a polymer has been studied significantly in a variety of situations. Conventional theoretical models describe the essential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s successfully, yet some realistic features are missing due to the limitation of each specific model. In this paper, an alternative formulation to obtain the polymer Green's function is proposed and applied to the problem of polymer adsorption to a flat attractive surface as an example. The end-to-end distance of an adsorbed polymer is obtain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which signifies a stretched conformation that could not be observed in conventional approaches.
준설토 배송관로 내에서의 개질재 혼합효율에 대한 CFD 해석
박병준,강병윤,정민철,신재렬,Park, Byongjun,Kang, Byungyoon,Chung, Minchul,Shin, Jaeryul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5
본 연구는 준설매립과정에서의 관중혼합 거동을 3차원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을 통해 분석한 연구로 준설토 배송관과 개질재 주입관이 합류하며 발생되는 이상(2-phase)유체의 혼합효율을 사전 평가함으로써 관중혼합 양상을 고찰하는 물리실험의 시행착오를 줄여 경제성을 증진시키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수치해석에 이용된 CFD 코드는 OpenFOAM$^{(R)}$이고, 몇 가지의 기본가정 하에 배송관-주입관의 관경과 합류각을 변화시켜 총 18가지 경우에 대한 삼상(3-phase)유체 거동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혼합효율에 대한 우열은 있었으나 그 차이는 미미하였고, 모든 경우에서 각 재료 사이의 경계층이 뚜렷하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보완 실험을 통해 경계층 파쇄(破碎)를 위한 관 내 부속 구조물이 고안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구조물은 단거리 배송관로 내 준설토와 개질재의 혼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utilis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for preliminary assessment of mixing efficiencies of 2-phase fluids in a pipe at which a slurry flow and an injected solidifier join, for the purposes of reducing trial-and-error-based instances of physical experiments and conducting the overall research in an economical way. Using OpenFOAM$^{(R)}$, we simulated behavior of 3-phase fluids under 18 different settings generated by changing diameters of a dredged soil transportation pipe, a quality improving material injection pipe and the confluence angle. While difference in mixing efficiencies amongst the instances was insignificant, discernible boundary layers amongst the materials were observed in all of the instances. In order to break the boundary layers, we designed a substructure inside a pipe and found out that it could remarkably improve mixing efficiencies particularly for short distance applications.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차이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이해
박병준 한국하이데거학회 201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24
It was Martin Heidegger who brought a new interest in metaphysics to the era of, so called, “anti-metaphysics.” In his book “Being and Time” (originally titled “Sein und Zeit”), Heidegger once diagnosed that questions of being were buried in oblivion. He cited “ontological difference” as the reason behind such diagnosis. In order words, metaphysics had never sought separation being from beings. Accordingly,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whether Heidegger’s criticism is reasonable in light of the academic purpose of metaphysics. Thomas Aquinas, a representative philosopher of Scholasticism, distinguished essence from being and being from beings, by understanding beings through being-in-itself. Despite that, Heidegger did criticize Scholasticism by adopting the concept of ontological difference since there was a big methodological gap between the two scholars with regard to understanding being. From the very departure of their understanding of being, they showed sharp differences: while Heidegger understood the meaning of being through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ward Dasein, Thomas Aquinas concluded being in itself through essence/instinct-based approaches toward beings. Such differences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and examine Heidegger’s criticism of Scholasticism with respect to ontological difference. Two philosophers had different grounds for metaphysical methodology, interpretations of being, and understandings of being-in-itself as ground. Only after understanding such differences, we are able to construe what Martin Heidegger meant by saying ontological difference. From the two philosophers’ philosophical grounds for being, we can recognize that being and beings are not exclusive from one another when interpreting the concept of being, despite the ontological gap between two concepts. This is also found in the two philosophers’ notion that being and beings are complementary and defining each other. Being without beings is hollow, and beings without are at risk of losing the ground for being in itself. 반형이상학의 시대라 일컫는 현대에 형이상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철학자가 하이데거이다. 그는 『존재와 시간』에서 오늘날 존재에 대한 물음이 망각 속에 묻혀버렸다고 진단한 바 있다. 그리고그 이유를 이제껏 형이상학이 존재자로부터 존재를 구별하여 묻지 않은 결과, 즉 “존재론적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결과로 본다. 본고는 하이데거의 이런 비판이 형이상학 본래의 학문적 특성과 관련하여 타당한 것인지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스콜라 철학의 대표적 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는 일찍이 본질과 존재를 구별하고, 존재 자체로부터 존재자를 이해함으로써 존재와 존재자를 구별한 바있다. 그럼에도 하이데거가 존재론적 차이를 통하여 스콜라 철학을 비판할수 있었던 것은 이들 사이에 근본적으로 놓여 있는 방법론적으로 상이한 존재 이해의 방식에 기인한다. 현존재의 존재에 대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존재의 의미를 밝히는 하이데거의 존재 이해 방식과 존재자에 대한 본질 직관의 방식을 통하여 존재 자체를 이끌어내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이해방식은 출발부터가 서로 다르다. 존재론적 차이와 관련하여 하이데거의 스콜라 철학에 대한 비판도 여기서부터 이해되고 검토되어야 한다. 형이상학의방법론, 존재 의미와 해석, 그리고 근거로서의 존재 자체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두 철학자의 사유가 서로 다르며, 이런 이해로부터 우리는 하이데거가 존재론적 차이를 통하여 말하고자 하는 바의 진의를 깨닫는다. 그러나 두 철학자의 존재 사유로부터 우리는 존재와 존재자 사이에 놓인 존재론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개념이 존재 해명을 위하여 존재론적으로 결코배타적 관계에 있지 않음을 발견한다. 그것은 두 철학자에게서 공통적으로발견되는 것으로 존재자와 존재가 상보적이며 상호 규정적 개념이라는 것이다. 존재자 없는 존재 사유는 공허하며, 역으로 존재 없는 존재자의 사유는근거를 잃어버린 사상누각이 될 공산이 크다.
현상학과 철학상담 - 행복 수업을 위한 철학상담의 방법론 모색 -
박병준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논집 Vol.50 No.-
본 논문은 현상학과 관련하여 현상학적 철학상담의 방법론이 무엇이며, 이 방법론이 철학집단상담에 어떻게 적용, 확장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모색하고 있다. 철학상담의 현상학적 체험은 내담자가 겪은 체험의 본질 이해를 목표로 한다. 한 개인의 실존적 체험은 자신의 의식 안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본질방식으로 구조화되 어 있다. 철학상담은 바로 현상학적 자기의식 안에 다양하게 유형화되어 있는 체험 의 본질구조를 밝히는 일이다. 현상학적 체험의 본질구조를 통해 비로소 내담자는 자기체험이 지닌 고유한 의미를 확보하고 이해함으로써 자기치유의 길을 모색하게 된다. 이때 철학상담은 가능한 한 내담자로 하여금 과거의 체험에 대한 모든 편견 을 일시적으로 판단중지하고 괄호 안에 넣게 함으로써 자신이 겪은 사태의 본질에 로 접근해 갈 수 있도록 돕고, 이러한 자각을 통해 문제의 해결에 접근해 가도록 돕는다. 결국 철학상담은 현상학적 체험기술을 근거로 하여 내담자가 겪었던 과거 의 체험이 지닌 본질적 의미가 무엇인지 파악해 나가는 이해와 해석의 여정이자 과거의 경험을 새롭게 체험하는 창조적 시도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현상학적 방법이 내담자로 하여금 새로운 관점과 통찰을 갖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내담자의 세계관이나 사태를 바라보는 문제의식 등과 관련하여 내담자의 태도를 변 화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철학상담의 현상학적 방법의 적용은 내담자의 ‘주관적인 체험’의 세계를 어떻게 ‘객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지, 그 논의를 세 단계로 구분하여 검토함으로써 내담자의 자기이해를 도울 수 있는 상담자 의 방법론적 지평이 확장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