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과 시간적 특징 융합 기반 유해 비디오 분류에 관한 연구

        전재현,김세민,한승완,노용만,Jeon, Jae-Hyun,Kim, Se-Min,Han, Seung-Wan,Ro, Yong-M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8 No.6

        최근 인터넷, IPTV/SMART TV, 소셜 네트워크 (social network)와 같은 정보 유통 채널의 다양화로 유해 비디오 분류 및 차단 기술 연구에 대한 요구가 높아가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비디오에 대한 유해성을 판단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 유해 이미지 분류 연구에서는 이미지에서의 피부 영역의 비율이나 Bag of Visual Words (BoVW)와 같은 공간적 특징들 (spatial features)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비디오에서는 공간적 특징 이외에도 모션 반복성 특징이나 시간적 상관성 (temporal correlation)과 같은 시간적 특징들 (temporal features)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유해성을 판단할 수 있다. 기존의 유해 비디오 분류 연구에서는 공간적 특징과 시간적 특징들에서 하나의 특징만을 사용하거나 두 개의 특징들을 단순히 결정 단계에서 데이터 융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결정 단계 데이터 융합 방법은 특징 단계 데이터 융합 방법보다 높은 성능을 가지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유해 비디오 분류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간적 특징과 시간적 특징들을 특징 단계 융합 방법을 이용하여 융합하여 유해 비디오를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사용되는 특징이 늘어남에 따른 분류 성능 변화와 데이터 융합 방법의 변화에 따른 분류 성능 변화를 보였다. 공간적 특징만을 이용하였을 때에는 92.25%의 유해 비디오 분류 성능을 보이는데 반해, 모션 반복성 특징을 이용하고 특징 단계 데이터 융합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96%의 향상된 분류 성능을 보였다. Recently, malicious video classification and filtering techniques are of practical interest as ones can easily access to malicious multimedia contents through the Internet, IPTV, online social network, and etc. Considerable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ing malicious video classification and filtering systems. However, the malicious video classification and filtering is not still being from mature in terms of reliable classification/filter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most of conventional approaches have been limited to using only the spatial features (such as a ratio of skin regions and bag of visual words) for the purpose of malicious image classification. Hence, previous approaches have been restricted to achieving acceptable classification and filtering performance. In order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limitation, we propose new malicious video classification framework that takes advantage of using both the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that are readily extracted from a sequence of video frames. In particular, we develop the effective temporal features based on the motion periodicity feature and temporal correlation. In addition, to exploit the best data fusion approach aiming to combine the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the representative data fusion approaches are applied to the proposed framework.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we collect 200 sexual intercourse videos and 200 non-sexual intercourse video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ncreases 3.75% (from 92.25% to 96%) for classification of sexual intercourse video in terms of accuracy. Further, based on our experimental results, feature-level fusion approach (for fusing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is found to achieve the best classification accuracy.

      • KCI등재

        노인 그룹홈의 현장 사례 연구 - 독일, 스웨덴 그룹홈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문정인 ( Moon Jung-in ),최임정 ( Choi Im Jung ),최기 ( Choi K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노인공동생활가정 공간계획 및 리모델링 시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독일, 스웨덴의 위치한 그룹홈의 현장 사례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실내공간 계획 및 실내 디자인 요소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별 계획의 특징으로 접근공간의 진입로는 경사로와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외부공간이 계획되어져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생활공간으로 침실은 1인용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거실과 주방은 인접배치, 미닫이문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위생공간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시설물이 배치되어 있는 특징이 도출되었다. 내부 이동 공간으로 복도는 중복도 형식으로 알코브공간이 있어 휴식이 가능하게 계획되어 있었다. 관리 사무 공간은 직원을 위한 휴게실과 상담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현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특징이 도출되었다. 둘째, 실내 요소 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마감 재료는 노인들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미끄럽지 않고 친환경 재료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문과 창은 각 실마다 채광 등 기능에 따라 차별을 두게 디자인되어져 있는 특징이 나타났다. 조명은 간접조명과 직접조명이 각 실의 기능에 따라 사용되었으며, 사인은 개별 침실 문 앞에 이름표와 색채로 구분을 두는 특징이 나타났다. 가구 및 패브릭은 일반 가정집과 같은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자신이 사용하던 가구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 특징이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to use as a basis when planning and remodeling the elderly group home. The subjects are the elderly group home in Germany and Swede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on-site case studies.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 planning and interior design elemen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of the interior space planning is as follows. Access space is composed of ramps and stairs and the exterior space is planned various activities. The bedroom is a single type and living room and kitchen were separated by the adjacent arrangement, a sliding door. Toilet facilities are characterized by considering of the elderly. The corridor is double type and also planned alcove space to rest. Management office is consisted of a meeting space, counsellor space and located adjacent to the entranc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design elements is as follows: Finishing materials are eco-friendly things used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Doors and windows are considering a plan to design lighting for each room. Lighting is used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each room and also signs are characterized by putting name tags, separated by the color at the door of each room. Furniture and fabrics are brought to make their used furniture in order to create a home like space.

      • KCI등재

        중국 전통가옥 객가(客家)의 공간 특징 및 선호도 인식 현황 분석 연구

        장웨이(Zhang, Wei),강성곤(Kang, Sung-k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중국 전통가옥 ‘객가(客家) 에 대하여 독특한 생활 문화적 특징과 건축문화의 지역성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소에 대하여 고찰을 통해 취락(聚落)형태, 공간배치, 재료사용 및 공간의 세부사항과 색채 등의 특징을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전통가옥 객가문화(客家文化)의 공간 요소에 대한 선호도 인식 현황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전통가옥 객가(客家)의 발전적 방향과 현대 건축에 활용될 수 있는 문화자원의 요소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전통가옥 객가(客家)의 공간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면, 규칙적인 리듬감과 운율감 및 완결성, 그리고 이들 상호간의 관계에서 강한 휴머니즘적인 체계를 볼 수 있다. 특히 독창적인 엄격한 대칭적 구조와 조화로운 관계적 공간 구성은 인본주의적 감정의 중요성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독특한 공간 형태와 배치는 중국 전통적인 객가문화의 역사적 맥락에서 표현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의 특성을 보여 주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이며, 현대 공간 구성에 있어서도 새롭게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높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중국 객가 전통가옥의 문화적 특징과 공간 특성에 대한 현대인들의 만족도 인식 현황을 조사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로, 객가의 공간 구조의 특징들은 현대인들에게도 좋은 인지도와 만족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사람들이 중국 전통가옥의 객가문화에 대하여 높은 인식을 가지고 사랑하게 될 것이라는 점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본 결과는, 추후 중국 전통가옥 객가의 공간 형태 및 전통적 건축 재료와 현대적 활용 가능성, 전통적 색채의 현대적 변화 등의 측면에서 전통가옥 공간 구성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와 토대를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 전통적인 객가문화(客家文化)의 정신을 이해하고 공간구성에 대한 대표적인 문화 요소들을 찾고, 또한 문화적 가치에 대한 높은 인식을 통해 객가문화에 대한 발전적 방향을 강구할 수 있도록 그 근거를 찾아 현대적인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중국 객가의 전통적 건축 공간 구성의 이념과 특징을 종합적으로 유추하여 중국의 현대적인 공간 특성에 대한 이론을 보완하고 새로운 개념으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The article starts from the study of the regional elements that influence the architectural culture of Hakka house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arious elements of the architectural beauty of Hakka houses,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Hakka architecture in settlement form, spatial layout, use of materials, architectural details and colors, etc.,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preference recognition statu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is available. The reference to the spatial charateristics of new buildings today provides a corresponding theoretical basis for the creation of new Hakka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al buildings. Analyzing the preference recognition of space charateristics of the󰡐Hakka enclosure, we can discover its orderly sense of rhythm and rhythm; its integrity and primary and secondary relationship, showing a strong humanistic color; its strict symmetrical and harmonious relationship, fully demonstrating the humanity The important position of the complex in the space composition, if its unique shape and spatial layout are used as the inspiration of the creative source of modern space design, it can not only express the historical context of traditional Chinese Hakka culture, but als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is research attempts to use literature research and questionnaire survey methods to investigate the status quo of the spatial beauty of Chinese traditional Hakka folk house culture and analyze i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eauty of space has a high degree of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in people s hearts, and it will attract more people to love the traditional Chinese Hakka folk house culture in the future. Resultinglly, this research seeks to find the most representative elements of traditional Chinese Hakka culture, analyzes the spirit of Hakka culture through space characteristics, gives Hakka culture a new look, and compares Hakka s construction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Hakka architecture with contemporary spatial structure theories. Hope It plays a role in the enrichment an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architectural creation theory, and makes certain explorations and efforts for the perfection of contemporary characteristic of space theoretical framework.

      • KCI등재

        그림책 속 일러스트레이션의 공간 표현 특징 연구

        한영강(YongGang Han),김기수(KieS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그림책 속 그림 디자인에 기초한 것으로, 그림책 속 일러스트레이션의 공간 표현은 매우 중요한 객관성을 담고 있다. 그림속의 다양한 텍스트, 그림, 여백 등은 작업자의 다양한 편집기술과 합리적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공간배치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여러 그림 사례와 고전적인 그림책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여 그림책 속 디자인의 공간 표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그림과 텍스트의 융합, 즉 그림과 텍스트 모두 화면의 요소로서 함께 공간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이다. 둘째 그림책 속 공간 디자인의 일관성 특징으로, 책을 열람할 때 이야기와 내용을 부드럽게 연결시켜야 한다. 셋째 공간 표현 시 창작자가 필요에 따라 추상적 공간 표현과 구상적 공간 표현 중에서 서로 장단점을 활용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넷째는 그림책 공간 표현의 상징적 특징으로, 기호학 원리에 따라 그림책의 공간 표현에 많은 상징적 표현 수법이 적용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그림책 열람의 인지적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다. 다섯째 특징은 우수한 그림책의 공간 표현은 재미있는 요소가 뛰어나며 디자인 수단이 풍부하고 화면 내용과 화면 형식을 독자들에게 재미나게 전달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그림책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이너와 아티스트가 이 같은 주어진 공간프레임 안에서 창작을 이끌어 내야 하며 이러한 공간프레임은 그림책창작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각적으로 독자중심적인 흥미로운 체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design of pictures in picture books, and the spatial representation of illustrations in the picture books contains the significantly important objective. Various texts, pictures, spaces, etc. in a picture must have the operators various editing skills so that spatial arrangement is made smoothly.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ression of design in picture books are derived by analyzing several examples of paintings and studies on classic picture books. First, the fusion of picture and text, that is, that both picture and text convey spatial information together as elements of the screen. Second, as a characteristic of the coherence of the space design in picture books, the story and content must be smoothly connected when reading the book. Third, when expressing a space, the creator should utili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other between abstract and conceived spatial expressions as needed. Fourth, as a symbolic feature of picture book spatial expression, it can be seen that many symbolic expression techniques are applied to the spatial expression of picture books according to the semiotic principle, which greatly improves the cognitive efficiency of reading picture books. The fifth characteristic is that the spatial expression of an excellent picture book has excellent interesting element, rich design means, and interestingly conveys screen contents and screen format to readers. In this research, it is thought that designers and artists should guide the creation within a spatial framework as designing picture books, thus grea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creation process, while also provide a reader-centered visual Interesting experience.

      • 체험 마케팅을 통한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신동(Li, Xin-Tong),조정형(Cho, Joung-hyung)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1 공공디자인연구 Vol.3 No.-

        오늘날 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인터넷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 제품의 품질과 용도만을 주요 마케팅으로 삼는 것은 더 이상 사람들의 정신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사람들은 더 많은 자극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런 체험적 소비 트렌드에 맞춰 전통 소매공간의 형식과 특징을 끊임없이 쇄신해야 한다. 이런 소비 드라이브에 팝업 스토어 라는 새로운 공간이 생겼다. 본 연구는 체험 마케팅의 5가지 요소와 팝업 스토어 공간의 5가지 특징을 4가지 사례로 평가하여 현재 체험 마케팅의 팝업 스토어 공간 활용 현황 및 향후 추이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팝업 스토어 공간에 체험 마케팅을 적극 활용하는 요소가 브랜드 이미지 강화의 매개체가 돼 브랜드 파워를 키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팝업 스토어 공간은 이동성, 다양성, 일시성, 활동성, 융통성의 특징에 따라 공간을 활성화하여 공간의 활용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적이며, 다원화된 현재의 라이프스타일의 특징에도 부합한다. 팝업 스토어의 다양한 공간 특징은 시각적인 미관과 공간의 주제성을 높여준다. 또한 사회경제 및 인문특성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사회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자료이다. In today s modern societ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developed network, the marketing mode that only focuses on the quality and use of products can no longer meet people s spiritual needs. People need more stimulating and sensory experiences. Based on this experiential consumption trend, th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tail space need to be constantly updated. Driven by such consumption, a new type of space called pop-up stores has emerged. This study evaluates the five elements of experiential marketing and the five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 space through four cases, and analyzes the current application status and future development trend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pop-up stor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active application of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in the pop-up store can become a medium to strengthen the brand image and thus enhance the brand influen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p-up store with mobility, diversity, impermanence, performance and flexibility, it can also activate the space, so that the application efficiency of space is higher, more economic, and mor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diversified lifestyle.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will also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socio-economic and human characteristics, and become widely used information in the society.

      • KCI등재

        자율주행 기술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에 관한 연구 -공간 디자인을 중심으로-

        심소이,김진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From 1939 when General Motors first spread the concept of autonomous driving to the public on a large scale at the World's Fair,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as now evolved the car into a mobile service space where passengers can complete leisure, consumption, work and other activities in the car, while also having social service functions such as delivery, catering and so on. The traditional automotive industry is facing multiple impacts from sluggish sales growth, pressure from environmental policies and the rise of new technological forces. With its safety, user-friendliness and intelligenc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can activate, reshape and revolutionize the automotive industry.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make the overall research on the mobile space under the change of design context by using automatic driving technology. By analyzing and summarizing the target users of mobile service space and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automatic driving technology, this paper puts forward the methods and key points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when designing mobile service space and provides design methods for the future design of mobile service space on the basis of on the automatic driving technology.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s, researchers analyzed the development potential and value of th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rough data analysis and classified the mobile service space. Focusing on the user’s activities in this paper, the summary and development of the mobile service space is studied on the basis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rough the objective data analysis, the target users on the basis of th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re determined and the design methods are analyzed and summarized in combination with the user characteristic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the end, the design, rules and methods of the mobile service space on the basis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re summarized through the examples and the suggestions are put forward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mobile service space. 1939년 세계 박람회에서 GM사가 처음으로 자율주행 콘셉트카라는 개념을 대중에게 공개한 이후로, 오늘날 자율주행 기술은 자동차 안에서 레저, 소비, 오피스 등 다양한 액티비티와 배송, 식사 등 사회적 서비스 기능이 가능한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최근 자동차 산업은 판매성적 부진, 친환경정책으로 인한 제약, 과학기술의 발달이라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자율주행 기술은 안전성, 지능화, 인간친화성 등의 특성으로 자동차 산업을 새롭게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목적은 자율주행 기술을 바탕으로 디자인 맥락(design context)의 변화에 따른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에대한 연구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의 타겟 이용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용자의 특징과 자율주행 기술의특징에 적용하고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을 디자인할 때 주의해야할 방법과 중점을 제시하여 향후 자율주행기술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의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방법을 제공하였다.연구 방법으로는 데이터분석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 잠재력과 가치를 분석하여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을 분류하였다. 또한이용자의 활동과 경험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기술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의 발전 상황을 밝혔다. 그리고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기술 기반 타겟 이용자를 분석하여 이용자의 특징과 공간의특징, 기술의 특징에 따른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 분석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 기반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의 디자인 원칙과 방법을 정리하여 향후 모빌리티 서비스 공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일본 소규모 단독주택의 공간특징 분석 - 국내 아파트 평면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신미옥,윤춘섭,김남효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To analyze the space features of small-sized detached houses, this study has compared the floor plan types of detached houses and apartments. Currently small-sized detached houses are popular in Korea.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focused on common residential patterns and the apartment plan. The results of space syntax were summarized as follows: four types of apartments and twelve types of small-sized detached houses were deduced by the relative spatial depth analysis. Among the sixty-seven house samples, only two of them showed the same pattern as those of apartments, which showed that each room of detached houses had distinct difference with those of apartments.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and control analysis, each space of apartments showed difference within narrow range, while the space of detached housed showed difference within wide range. In addition, the detached houses showed distinct relations between the center of space and the surroundings, and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easier layouts for access rooms and difficult ones. Moreover, the living rooms of detached houses somewhat exist under the low integration condition, and they cannot be standardized in the center of house, which are different with those of apartments. The master bedrooms of detached houses exit at the surrounding space same as those of apartments. Nevertheless the toilet is in the master bedroom which made its control lower than those of apartments. 본 연구는 소규모 단독주택의 공간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규모 단독주택의 사례를 아파트의 평면유형과 비교분석하였다. 소규모 단독주택의 사례는 한국에 비하여 보편화되어있고 다양한 공간계획을 볼 수 있는 일본의 사례로 선정하였고, 이를 한국의 보편적인 주거유형인 아파트 평면과 비교분석하였다. 단층으로 구성된 아파트평면과 2층 이상으로 구성된 단독주택 공간을 단순한 도면형태로의 비교는 어려울 수 있으나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공간관계적 측면에서의 분석은 가능하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을 통하여 소규모 단독주택 공간을 아파트 평면과 비교함으로, 그 차이점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또한 거주자의 요구조건을 반영하여 계획된 단독주택의 공간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공간을 계획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대적 공간심도 분석을 통하여 아파트 유형 4가지와 소규모 단독주택 유형 12가지를 도출하였는데, 단독주택 전체 67개 사례 중 2개 사례만 아파트와 같은 유형으로 나타나 단독주택의 각 실의 관계가 아파트와 확연히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통합도와 통제도 분석에서, 아파트는 각 공간이 적은 범위에서 차이를 보인 반면 단독주택은 모든 공간이 큰 범위에서 차이를 보여 단독주택에서 각 공간이 중심과 주변관계가 명확하고, 드나들기 쉬운 공간과 어려운 공간이 명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거실공간은 아파트와 달리 통합도가 낮은 공간이 다소 존재하여 거실이 획일적으로 공간의 중심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침실은 아파트와 마찬가지로 전체 공간의 주변에 존재하나 주침실 내부에 화장실 등 공간이 있어 통제도가 높은 아파트와 달리 통제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로 나타난 소규모 단독주택의 다양성은 미래 주거양식 다양화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홍대 놀이터의 확장을 위한 지하공원화 계획 -어두움을 그리다-

        오한결(주저자) ( Han Gyeol Oh ),임슬비(주저자) ( Seul Bi Lim ),정지은(주저자) ( Ji Eun Jung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공간 환경 스튜디오 Ⅶ 수업에서 진행한 기존 공간 리뉴얼 프로젝트에 대한 공간 디자인프로세스 연구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총 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반과정으로는 대지의 분석과정에서 도출된 여러 가지 문제점 해결을 목표로 아이디어 도출 과정을 거쳤다. 구체적으로 홍대 놀이터의 역사·지리적 특성·지역성·문화 등에 대한 기본정보조사와 실제적인 설문조사, 진행하고자 하는 공간의 사례분석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로는 프로젝트의 목적을 정하고 앞서 진행한 분석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생각하였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문제점 해결을 위해 공간을 외부와 내부로 나누어 적용할 개념과 컨셉 언어를 정하였다. 그 후 공간의 컨셉과 주요 특징 요소를 정하였다. 이단계에서 변화된 홍대 놀이터의 이미지와 공간의 목적이 구체화 되었다. 마지막 단계로는 공간의 컨셉과 주요 특징 요소를 활용해 구체적으로 공간 디자인을 생각하였다. 기초 디자인과정을 거쳐 공간 계획과정을 진행하였으며 도면·다이어그램·동선·소재 등에 이러한 계획 과정을 구체화하여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전체 15주 수업기간 동안 실제 작품의 진행 기간은 약 15주가 소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ace renewal design process from Space Environmental Design Studio Ⅶ. The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steps. First, students analyzed the geographic features of the site and found many problems. So the students brainstormed ideas that could help resolve the problems. Specifically, students proceeded with a pre-investigation about the history, geographic features and region, culture of the Hongdae playground, surveys, and case studies. Second,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found on the previous step, students sought a solution. For a detailed and practical solution we divided the space into two parts, the outside and interior, and formulated a main concept and its elements. Last, based on the space``s main concept and elements, students proceeded to design a renewal space. First, students begun on the primal design process and then began working on the space design. To explain the idea effectively, students made drawings, diagrams, moving lines, and materials. The work the students completed was collected during the 15 weeks of the class.

      • KCI등재

        해외 F&B 공간의 융합디자인 특성 연구

        노혜정,김지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사회·문화적 변화와 함께 혁신적인 IT기술의 박달로 온라인 사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일상의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가능해졌고, 공간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다각화되어 오프라인 공간 또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특히, F&B 분야는 타 브랜드와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른 분야의 산업 또는 기술과 결합하여 기존의 영업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융·복합적인 형태의 공간을 만듦으로써 업종 간 경계가 뒤섞이는 빅블러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디자인이 적용된 식음공간의 공간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앞으로의 융합적 식음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미래의 F&B 공간계획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장에서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공간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융합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고찰한다. 3장에서는 F&B 브랜드 공간이 다른 유형의 산업과 결합 또는 융합되어 나타나는 탈 경계적 현상을 살펴보고 산업간 융합으로 나타나는 공간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여 그 의미를 정의한다. 4장에서는 해외 F&B 산업이 다른 산업과 융합되어 만들어진 공간 사례를 선정하고 3장에서 도출한 공간적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서로 다른 이종 산업의 결합으로 F&B 분야와 타 분야가 융합된 공간디자인을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산업간 융합에서 기업, 소비자, 서비스의 세 가지 관점별로 융합의 목표 및 지향하는 바에 따른 공간적 특성은 사례별로 비중의 차이는 보였으나 차별성, 혁신성, 지속성, 심미성, 정체성, 가치성의 모든 특성이 고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융합이 적용된 F&B 공간의 특성은 기업 관점의 차별성, 소비자 관점의 지속성, 서비스 관점의 가치성이 대표적인 특성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결론) 과거의 융합은 예술·문화·과학·기술 등의 분야에서 주로 이뤄지고 연구되어져 왔으며 산업 및 업종간의 경계가 분명했던 반면 현대 사회에서는 복합적인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 산업 간 융합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융합으로 산업간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공간디자인에서도 다양한 형태와 특징들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F&B 분야는 차별화 전략으로 보다 더 융합 공간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F&B 공간계획을 위해 융합적 공간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새로운 얼굴 특징공간을 이용한 모델 기반 얼굴 표정 인식

        김진옥,Kim, Jin-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얼굴 그리드 각도를 특징공간으로 하는 새로운 모델 기반 얼굴 표정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6가지 얼굴 대표 표정을 인식하기 위해 표정 그리드를 이용하여 그리드의 각 간선과 정점이 형성하는 각도를 기반으로 얼굴 특징 공간을 구성한다. 이 방법은 다른 표정 인식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낮추는 원인인 변환, 회전, 크기변화와 같은 어파인 변환에 강건한 특징을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각도로 특징공간을 구성하고 이 공간 내에서 Wrapper 방식으로 특징 부분집합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선택한 특징들은 SVM, 3-NN 분류기를 이용해 분류하고 분류 결과는 2중 교차검증을 통해 검증하도록 한다. 본 연구가 제안한 방법에서는 94%의 표정 인식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특징 부분집합 선택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전체 특징을 이용한 경우보다 약 10%의 인식율 개선 효과를 보인다. This paper introduces a new model based method for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hat uses facial grid angles as feature space. In order to be able to recognize the six main facial expression, proposed method uses a grid approach and therefore it establishes a new feature space based on the angles that each gird's edge and vertex form. The way taken in the paper is robust against several affine transformations such as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ing which in other approaches are considered very harmful in the overall accuracy of a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lgorithm. Also, this paper demonstrates the process that the feature space is created using angles and how a selection process of feature subset within this space is applied with Wrapper approach. Selected features are classified by SVM, 3-NN classifier and classification results are validated with two-tier cross validation. Proposed method shows 94% classification result and feature selection algorithm improves results by up to 10% over the full set of fe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