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차 브랜드 공간의 전략적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정희탁,양지윤,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오프라인 공간을 위주로 이루어지던 소비가 현대 사회에서는 온라인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가격과 제품을 넘어선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새로운 방식의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제는 단순히 판매가 아닌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소통을 하는 시대가 되었고 따라서 오프라인 매장이 온라인과 차별화의 되는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만의 공간마케팅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 마케팅의 가장 큰 무기는 ‘경험’이다. 공간 마케팅의 특징을 보면 브랜드의 정체성이나 이미지를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여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한 경험과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기업의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은 감각적인 경험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기업 브랜드의 이미지나 정체성을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략을 적용해 자동차브랜드 공간의 체험마케팅은 차별화와 브랜드 공간의 이미지를 재정립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자동차 브랜드 공간 사례분석을 통해 체험적 특성을 밝힘으로서 자동차 브랜드 공간 디자인의 지향성과 확장성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로 브랜드 공간에서의 체험마케팅의 중요성과 브랜드공간에서 체험 요소에 관한 이론 고찰을 하고 자동차브랜드공간에서의 Bernd H. Schmitt‘체험 마케팅’과 Pine & Gilmore‘체험4요소(4Es)’분류 방식을 적용된 체험마케팅의 구성요소를 분석 및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체험 특성이 적용된 국내외 자동차 브랜드의 국내 브랜드 공간을 답사해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연출 방식을 바탕으로 공간 구성의 기준을 세우고 분석을 통하여, 국내 자동차 브랜드 공간 연출 요소에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효율적인 연출 요소가 적용된 공간의 방향성과 발전 가능성을 제안한다. (결과) 분석결과 체험마케팅의 전략 중 4Es에서는 일탈적 체험 요소가 가장 잘 나타나있고 다음으로 오락적 체험 요소가 뒤를 이었다. 일탈적 체험으로 소비자는 공간에서의 비일상적 체험을 통해 좀 더 몰입감 있는 브랜드에 대한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오락적 체험으로 오감을 통한 감각적 체험을 흡수한다. SEMs에서는 감각 체험 마케팅과 감성 체험 마케팅 요소가 뒤를 이었다. 감각적, 감성적 체험 마케팅의 요소는 고객의 자발성과 감정 이입 되며 더욱 효과적인 체험 마케팅의 요소로 보여 진다. (결론) 이를 통해 자동차 브랜드 공간은 공간 내에 체험 요소를 활용한 체험마케팅의 차별화와 브랜드 공간과 브랜드 이미지를 재정립하는데 중요한 요소로써의 방향성과 확장성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large amount of consumption shifts from offline to online spac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 new approach toward offline brand space is essential. Since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is requisite at this juncture, and not just for sales, space marketing for offline brand spaces is imperative where offline stores have been differentiated from online ones. A major means of such type of space marketing is experience. If you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marketing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brand identity or image, consumers can enhance their experience and involvement with the brand. A company's offline brand store serves to deliver a pleasant experience to consumers while also offering the desire direction image or identity of a corporate brand to consumers. By applying this strategy, experience marketing in the automobile brand spac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differentiating and redefining the image of the brand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expandability of the automobile brand space design by elucidat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ar brand space.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marketing in brand space and the elements of experience. In the automobile brand space, we will analyze the components of experience marketing by applying Bernd H. Schmitt's experience marketing and Pine & Gilmore's experience 4 factors (4Es) classification method and examine its characteristics. By exploring the brand spaces of domestic and foreign automobile brands with experienc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roduction method applied with experience marketing, the standard of space composition is established and analyzed. Future direction and potential of development are recommended.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4Es among the strategies of experience marketing showed the most deviant experience elements, followed by recreational experience elements. With a deviant experience, the consumer provides a more immersive brand experience through an extraordinary experience in space. It also absorbs sensory experiences as entertainment experiences. In SEMs, the elements of sensory and emotional experience marketing are followed. The elements of sensory and emotional experience marketing are considered as elements of a customer's spontaneity and emotions, and an effective experience marketing of the space. (Conclusions) By means of this study, the automobile brand space can present direction and scala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in differentiating experience marketing using experiential elements in the space and re-establishing brand space and brand image.

      • KCI등재후보

        주거 공간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마케팅 전략 연구

        김희정,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5 No.2

        주거 공간의 브랜드화를 통하여 브랜드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소비자의 주목을 끌기 위한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강력한 브랜드 구축은 경쟁력 있는 기업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기업은 일시적인 브랜드 개발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브랜드 개발 및 관리를 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맞는 상품 개발이 기획단계에서부터 주거 공간 마케팅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상품과는 다른 주거 공간의 상품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브랜드 이미지와 마케팅 전략의 문헌적 연구, 주거 공간 마케팅 전략의 기본 전략을 마케팅 믹스 전략(4P MIX)으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분석 모형을 설계하고, 결과를 도출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공간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방안의 기틀을 마련하고, 주거 공간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With the increasing of brand's importance through the branding of housing spaces, the brand companies' competition to get the attention of customer is getting harder and harder and the having a strong brand became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all competitive companies. Therefore, a company needs to develop and manage his own brands systematically on a long-term basis not temporarily. Furthermore, the products developing that meets the customers' needs has to be carried out through housing space marketing activities right from the planning stage.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literature study on brand images an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 housing space as a product different from other products and to divide the basic strategies for housing space marketing into marketing mix strategies(4P MIX) to design a specific analysis model and generate results. The results, this study is also aimed to offer the basic data conducive to make a base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housing space to improve the brand image.

      • KCI등재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써 기술 활용에 관한 연구

        김지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Background and Purpose) In commercial spaces, it has become important to provide technology-based enhanced experiences to consumers who have grown accustomed to using digital technology to fulfill their needs. Fully leveraging digital technology is an important strategy for gaining a competitive edge, and it requires a systematic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use as a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y. (Method) A review of the literature examined the current trends in spatial design marketing and technology utilization. Once the current flow of marketing in spatial design was analyzed, the representative technologies and characteristics used in space were reviewed. Subsequently, the direction of technology utilization as a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y was considered, and a technology utilization strategy was established for each value type. Finally, various domestic cases were analyzed for each value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chnology utilization strategies were presented.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echnology-based spatial differentiation strategy maximizes convenience in terms of access and use. This contributes to a positive spatial experience by delivering timely information,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increasing time efficiency, and creating a pleasant environment. Second, a technology-based spatial communication strategy expands spatial experience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play. It enriches spatial experience by providing interactive high-engagement services, flexible space production, and out-of-the-ordinary event effects. Third, a technology-based corporate image branding strategy uses technology to suppor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Technology is us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social issues or the results thereof to form consensus with customers and contribute to a positive spatial experience. (Conclusions) Technology is not a factor that puts offline space into crisis, but a strategic means that can lead to consumer satisfaction depending on how it is used. In terms of the goal and method of using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set a human-centered, value-oriented direction, and it is possible to approach a spatial design marketing value system. The use of technology in commercial spaces can be characterized as a “spatial differentiation strategy” centered on practical and functional values, a “spatial communication strategy” centered on hedonic and emotional values, and a “corporate image strategy” centered on social and altruistic values. Such digital-based spatial experiences will provide new levels of retail service, and will be strengthened into an important strategy that can result in customer value creation.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using technology while establishing a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y. (연구배경 및 목적) 상업공간에서는 디지털에 익숙한 소비자와 그들의 욕구에 의해 기술 기반의 확장된 경험 제공이 중요해졌다. 기술의 적절한 활용은 경쟁우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써 기술 활용의 특성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단계로 공간디자인 마케팅 흐름과 기술 활용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공간디자인 영역에서의 마케팅적 흐름의 현시점을 파악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공간에서 이용되고 있는 대표 기술과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후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써 기술 활용에 대한 방향성을 고찰하고 가치 유형별로 기술 활용의 전략을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치 유형별로 다양한 국내 사례를 분석하여 기술 활용 전략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결과) 첫째, 기술 기반 공간 차별화 전략은 접근과 이용 측면에서 편리성을 극대화한다. 적시적소의 정보전달,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 시간단축의 효율성, 쾌적한 환경의 구현을 통해 긍정적 공간 경험에 기여한다. 둘째, 기술 기반 공간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소통적, 유희적 측면에서 공간경험을 확장한다. 상호작용적 고관여 서비스의 제공, 유연적 공간 연출, 비일상적인 이벤트 효과로 공간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셋째, 기술 기반 기업 이미지 전략은 사회공헌적 활동의 지원으로 기술을 활용한다. 사회 문제 참여의 과정이나 결과에 기술이 활용되어 고객과의 공감대를 형성시켜 긍정적 공간 경험에 이바지한다. (결론) 기술은 오프라인 공간을 위기로 만드는 요소가 아니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소비자의 만족을 이끌 수 있는 전략적 수단이 된다. 기술 이용의 목표와 방법적 측면에서 인간 중심의 가치 지향적인 방향 설정이 중요하며, 이에 공간디자인 마케팅 가치 체계로 접근할 수 있다. 상업공간에서의 기술 활용은 실용적·기능적 가치 중심의‘공간차별화 전략’, 쾌락적·정서적 가치 중심의‘공간 커뮤니케이션 전략’, 사회적·이타적 가치 중심의‘기업 이미지 전략’으로 그 특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기술 기반의 공간 경험은 새로운 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가치 창출로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강화될 것이다. 앞으로 본 연구가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 수립 시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스포츠 이벤트 공간 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동기,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기정훈,허근영,하철수 한국정책과학학회 2007 한국정책과학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그 지역을 광고함을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장소마케팅은 추구하는 목표와 공간적 계획의 정도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장소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과정, 즉 장소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해군 스포츠 파크’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사례를 통해서 스포츠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장소마케팅을 해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이벤트 공간 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은 무엇보다도 지방 도시들에게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특별히 최근에 대구광역시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인천광역시가 아시안게임 유치를 성공하는 등 여러 도시들이 스포츠 관련 행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해군의 사례는 지역을 살리고 또한 외부에 알리고자 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 준다.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장소마케팅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는 이무용(2006a, 2006b)이 사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분류와 전략수립 과정 분류, 그리고 본 연구자가 주장하는 공간계획의 정도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 구분방법을 이용하였다. 남해군 스포츠 마케팅은 지역경제 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이며 공간계획 중심적 장소마케팅으로 구분이 되며, 장소 전략과정에서 잔디운동장 시범사업, 서상 매립지 잔디포 조성 및 유채꽃 축제, 그리고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을 실시했으며,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는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호텔, 정부지원, 월드컵유치캠프 및 각종 스포츠 경기 유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비록 스포츠 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간계획을 가지고 주민들을 설득하여 지역을 변화시켰던 리더쉽의 역할이 있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관의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개발의 이익의 재분배를 통해서 단순한 장소의 번영(place's prosperity)을 넘어서 주민의 번영(people's prosperity)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장소마케팅의 모범적인 예로써 제시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기정훈(Ki, Jung-Hoon),허근영(Huh, Keun-Young),하철수(Ha, Cheol-Soo) 한국공간환경학회 2007 공간과 사회 Vol.28 No.-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해 이를 기반으로 그 지역을 광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장소마케팅은 추구하는 목표와 공간적 계 획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장소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과정, 즉 장소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사례를 통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장소마케팅을 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은 무엇보다도 지방도시들에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특히 최근에 대구광역시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인천광역시가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는 등 여러 도시가 스포츠 관련 행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해군의 사례는 지역을 살리고 외부에 알리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준다.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장소마케팅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는 이무용(2006a, 2006b)이 사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 분류와 전략 수립 과정 분류, 그리고 연구자가 주장하는 공간계획의 정도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 구분방법을 이용했다. 남해군 스포츠마케팅은 지역경제 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이자 공간계획 중심적 장소마케팅으로 구분된다. 장소 전략 과정에서는 잔디운동장 시범사업, 서상매립지 잔디포 조성 및 유채꽃 축제, 그리고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을 실시했으며,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는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호텔, 정부지원, 월드컵유치캠프 및 각종 스포츠 경기 유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비록 스포츠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간계획을 가지고 주민들을 설득해 지역을 변화 시킨 리더십이 있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관의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개발이익의 재분배를 통해 단순한 장소의 번영(place’s prosperity)을 넘어 주민의 번영(people’s prosperity)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장소마케팅의 모범적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through making a sports event space in the example of ‘Namhae Sports Park’. The Namhae Sports Park is an exemplary case of place marketing, especially to local cities and counties that are trying various efforts in marketing their places. Recently, sports marketing becomes popular in Korea cities since Incheon and Daegu have succeeded in place marketing with hosting major international sports event. Place marketing is generally referred a city’s strategy to attract tourists, companies, and residents by digging and developing the city’s identity or specialties and advertizing them. Place marketing is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the degree of space planning and its major target. Existent local human capital, new local image slogan and place brand, local cultural event, new local landscape, new local land use, new local industry and sports event are effective sources for place marketing, although some are overlapping in their outcomes. This study adopt Lee(2006a, 2006b)’s place marketing classification and author’s space planning framework to analyze Namhae sports marketing process. Namhae sports marketing, characterizing regional economy-seeking and space planning-centered, has been successful so far with its (1) place strategy that includes the school lawn soccer ground project, Seo-Sang land reclamation lawn ground, the rape flower festival, and the Namhae Sports Park project, and (2) marketing strategy that comprises hosting the 2002 Worldcup camp and other sports events. Namhae county’s place marketing ultimately triggers regional economic vitality and residents’ income growth. Local leade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Namhae sports marketing because they build a long-term comprehensive space planning for this project, persuaded local residents, and went through all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project. Namhae’s space marketing is an excellent example of place marketing in terms of local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and eventual people’s prosperity beyond place’s prosperity.

      • KCI등재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으로써 공간가치 창출에 관한 연구

        김지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motivated by technological development, have created further changes not only in consumption patterns and behavior but also in the power of consumers. Thus, a new approach toward spatial design that is sensitive to these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is necessary, and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possible perspectives through which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ies may be created. This study seeks to examine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create value through space based on the changes in value consumption motivated by the greater change in social context. (Method) A review of the literature examines the changing concept of spatial design marketing, marketing strategy, and consumer preferences to identify the current direction of spatial design marketing. This review serves as the basis of the study’s definitions of the creation and formation of spatial value and its associated strategies, which are then used in case studies involving urban entertainment centers (UEC). (Results) First, in terms of form-based function value, a UEC creates an environment where consumers can spend time at their leisure, by realizing user accessibility, utility, and environmental amenities. Artistic and formal sights offer aesthetic satisfaction to consumers, whereas thematic expressions create interest and enjoyment: together, these two factors create emotional and hedonic values for customers. Second, for behavior-based relationship value, the UEC uses free movement within its space to create an interesting spatial experience for the customers; participatory contents to offer active, responsive, and utilitarian experience; and events, as well as other activities, to facilitate hedonic and emotional value formation. Third, for meaning-based objective value, the UEC seeks to create social and altruistic values through space-related contextual applications from environmental, cultural, and restorative perspectives; public space sharing and utility creation for the people of the community; and positive practice of society. (Conclusions) First, spatial value creation may be approached through the formal definition of values based on the contents of utility and satisfaction created by the spatial experience. Results from the case study suggest that such approaches are informed by multidimensional and concurrent selection of different forms. Second, a spatial design marketing strategy is based on a perspective that seeks to create values, progressing with a singular focus on the satisfaction of its consumers with various forms of value.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erve as a point of convergence where a spatial design meets marketing measures to create new values that correspond with the ever-changing desires of consumers. (연구배경 및 목적) 기술발달에 의한 사회 환경의 변화는 소비패턴 및 소비행태를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위상 또한 변화시키게 되었다. 변화된 소비자의 태도를 분석하여 공간디자인 접근이 필요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설정 시 어떠한 관점으로 전략설정이 가능한지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변화된 가치소비 중심의 소비 성향에 기반하여 공간을 통한 가치창출이 가능한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로 공간디자인 마케팅의 개념과 전략, 소비자 변화를 고찰하여 공간디자인 마케팅의 지향성을 나타낸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가치 창출 및 공간가치 유형별 특성과 전략내용을 제시한다. 이를 중심으로 복합상업시설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결과) 첫째, 형태기반 기능가치 부분에서는 이용자 입장에서의 접근의 편의성, 이용의 편의성, 환경의 쾌적성을 구현하여 고객이 충분히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한 쇼핑 이외의 예술적, 조형적 볼거리로 심미적인 만족감의 제공, 테마적 표현으로써 흥미와 즐거움을 유발시켜 쾌락적·감정적 가치 형성을 유도하고 있다. 둘째, 행태기반 관계가치에서는 자유로운 이동을 통한 흥미로운 공간경험의 유도, 참여콘텐츠를 활용한 능동적·반응적·유용적인 경험의 제공, 즐거운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이벤트 및 다채로운 볼거리로써 쾌락적·감정적 가치 형성을 도모하고 있다. 셋째, 의미기반 대상가치에서는 입지되는 장소와 관련된 환경적 ·문화적 ·재생 관점의 맥락적 반영, 공적공간의 공유, 지역주민 혜택 제공, 사회의 긍정적 실천을 통한 사회적·이타적 가치 형성을 도모하고 있다. (결론) 첫째, 공간가치 창출은 공간경험의 혜택과 만족의 내용을 바탕으로 가치를 유형화하여 접근 가능하며, 사례분석 결과 다른 유형들의 복수 선택으로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공간디자인 마케팅 전략은 가치 창출의 관점에서 설정된 목표를 중심으로 철저히 고객중심으로 그들을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다양한 유형별 가치 창출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더욱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욕구에 대한 진정한 접근이 될 수 있도록 공간디자인이 마케팅 환경에서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접점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간재생 마케팅 전략요소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폐공장 재생 복합문화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심옥기,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를 맞아 산업화 시대가 끝나고 정보화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산업 시설물의 방치 현상으로 인한 폐공장 문제가 도시계획 차원의 이슈로 논의되고 있다. 폐공장은 과거 산업 공간으로서의 역할에서 정보화 시대에 이르러 다양한 지식 정보 제공의 공간으로 그 역할이 변화됨에 따라 폐공장들이 차지하던 장소는 이제 도심 지역의 토지 자원으로 부각되어 폐공장의 재생 문제는 시급한 상황이다. 한편 중국에서도 도시 현황과 특성에 맞는 폐공장 재생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며 문화적 소비에 도움이 되는 공간재생 마케팅 전략 방향의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소비자 심리 관련 이론과 공간재생 마케팅 관련 전략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폐공장 재생공간 사례에서 발생하는 매매행위와 관련된 공간 환경 내 인지 지각에 대한 소비자 구매 의도와 공간재생 전략요소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중국 경제 문화의 주요 대도시에 있는 폐공장으로서 2000년대 이후 원형보존 상태로 개조되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사례별 소비자를 대상으로 공간재생 마케팅 전략요소별 구매 의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가설검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공간적 측면에서의 지역성, 심미성, 문화적 측면에서의 상징성, 체험성, 마케팅 측면에서의 프로그램, 가치성이 구매 의도에서의 인지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공간재생 마케팅 전략요소가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검증되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구매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문화적 측면에서의 체험성과 상징성인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중국이 앞으로 폐공장을 개조할 때 공간·문화·마케팅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체적인 고려내용과 순서는 문화적 측면에서의 체험성 중의 공간 체험과 활동 체험, 상징성 중의 건축의 역사적 보존과 문화적 존중과 인식, 프로그램 중의 협력업체 제휴 및 운영 및 홍보, 심미성 중의 건축 외관과 내부 환경, 주요 편의시설, 가치성 중의 관광객 유치, 지역 사회 기여, 지역성 중의 교통과 위치, 주변 시설과 연결이다. 폐공장 활성화를 위해 공간재생 마케팅 전략요소와 구매 의도 요소를 도출하고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중국의 6가지 사례 중 각 요소 간의 영향 정도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이후 폐공장 공간재생 진행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BTL 마케팅을 적용한 기업 박물관 전시공간 구성 특성 연구

        권지현,윤재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라 기업은 자사의 기술 및 역사, 이념 등을 홍보 할 수 있는 수단으로 다양한 마케팅 전략 중, 소비자들과 관계적이며 차별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BTL(Below The Line) 마케팅에 주안점을 두기 시작했다. 또한 기업 박물관이라는 공간을 통해 기업은 소비자에게 경험과 정보를 제공하고, 자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활용 가치가 있는 기업 박물관과 BTL 마케팅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소비자들에게는 기업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경험·교육의 공간이 되며, 기업에게는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BTL 마케팅 수단으로서의 활용성을 알려 국내·외 기업 박물관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먼저 기업 박물관과 BTL(Below The Line) 마케팅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한다. 그리고 기업 박물관의 특성과 BTL 마케팅의 4가지 특성을 소비자 대면 마케팅 관점과 기업 홍보 마케팅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BTL 마케팅을 적용한 전시공간의 5가지 구성 요소를 도출해 낸다. 도출된 구성 요소 5가지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국내·외 기업 박물관 2군데씩을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위한 틀을 만든다. 그리고 정량적 평가를 위한 리커트 척도분석을 한 후, 분석 결과를 점수하고 다이어그램으로 도식화 한다. (결과) 연구결과, 소비자 대면 마케팅 관점과 기업 홍보 마케팅 관점에서 본 BTL(Below The Line) 마케팅을 적용한 기업 박물관 전시공간의 구성 요소는, 마케팅 관점에 따라 마케팅 전략을 다르게 하여 전시공간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소비자 대면 마케팅 관점에서는 경험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역사성, 문화성 순으로 중요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업 홍보 마케팅 관점에서는 문화성과 정보성, 역사성, 경험성, 상호작용성 순으로 중요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기업 박물관 특성과 BTL(Below The Line) 마케팅의 특성은 서로 상관관계가 많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시디자이너들과 마케터들이 기업 박물관 전시공간을 구성할 때, BTL 마케팅을 적극 활용하여 사용한다면 소비자에게는 문화와 교육의 공간이자, 기업에게는 역사와 이념을 알릴 수 있는 공간으로서 활용가치가 높아지게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digital environment transformed in the 21st century, companies began focusing on BTL (Below The Line) marketing, among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to conduct related and discriminatory communications with consumers as a means to promote their technology, history, ideology, etc. Additionally, through a space called the corporate museum, companies seek to provide experience and information to consumers and build their brand identity and imag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BTL marketing and corporate museums that are worth utilizing in the future. It offers experience and education to aid consumers in communicating with businesses, and it contributes towards revitalizing domestic and foreign corporate museums by informing them of their use as a BTL marketing tool for building a strong brand image. (Method) The research method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of corporate museums and BTL (Below The Line) marke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porate museum and the four characteristics of BTL marketing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face-to-face marketing and corporate promotion marketing. Based on this study, the five components of exhibition space applied with BTL marketing were derived. Based on these derived components, two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museums were selected to create a framework for case analysis. Then, after the recertification scale analysi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the analysis results were scored and schematized with diagrams. (Result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exhibition space comprises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marketing perspective of the company museum exhibition space applying BTL (Below The Line) marketing from face-to-face and corporate promotion marketing perspectives. From the face-to-face marketing perspective, the importance was highest in order of experience, interactivity, information, history, and culture. From the corporate promotion marketing perspective, cultural, informational, historical, empirical, and interactive were most important.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porate museums and BTL (Below The Line) marketing are correlated. Further, when exhibition designers and marketers make up the exhibition space of corporate museums, if BTL marketing is used actively, the value of utilization will increase as a space for culture and education for consumers and a space for history and ideology for companies.

      • KCI등재

        에이스 호텔의 스페이스 마케팅 특성에 관한 연구

        김부미,권영재,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Hotels are changing into suggesting lifestyles and providing various sensory experiences to customers beyond accommodation spa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pace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Ace Hotel by analyzing the space branding of Ace Hotel, called the first generation of lifestyle hotels.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Ace Hotel and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concepts of lifestyle hotels and space marketing a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space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hotels are derived based on the elemen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pace marketing of lifestyle hotels. Third, the case analysi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rived space, experience, social culture and detailed elements. Data are collected based on the contents of Ace Hotel's official website and MAGAZINE B, and qualitative analysis is conducted on all Ace Hotel branches in operation, except for the London Showditch branch and Pittsburgh branch in the U.S. as of January 2023.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ce Hotel was designing the overall spatial composition and architectural elements by selecting historic buildings in the undervalued area and storytelling based on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t this time, through collaboration with local designers and local artists, Ace Hotel's own visual identity was established. Second, public spaces and service spaces were designed as spaces for not only guests but also local communities and creators through open spac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and also consisted of programs and events for both local communities and guests in cooperation with brands, artists, and musicians in the region. Third, it was found in Ace Hotel that it has resulted in a virtuous cycle of brand growth by activating undervalued local spaces into spaces where many people gather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brands and communities based on the discovery of inherent regional value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e Hotel has a synergy effect through organic interaction while evenly applying the spatial, experiential,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space marketing elements of lifestyle hotels, and it was possible to fi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hotels and space marketing through case analys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all branches of Ace Hotel, called the first generation of lifestyle hotel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marketing of Ace Hotel. (연구배경 및 목적) 호텔은 숙박의 공간을 넘어 고객들에게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그에 맞춰 다양한 감각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호텔 1세대라 불리는 에이스호텔의 스페이스 브랜딩을 분석하여에이스호텔의 스페이스 마케팅 특성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범위는 에이스호텔로 한정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호텔과 스페이스 마케팅의 개념을 고찰한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호텔의공간 특성과 스페이스 마케팅 요소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스페이스 마케팅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공간, 체험, 사회문화의 특성 들과 세부 요소를 토대로 사례를 분석한다. 에이스호텔의 공식 홈페이지 및 MAGAZINE B에 수록된 내용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여,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하여 폐업한 영국 런던 쇼디치 지점과 미국 피츠버그 지점을 제외하고, 영업 중인 에이스호텔 전 지점을 대상으로 정성적 분석을 진행한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에이스 호텔은 저평가된 지역의 유서 깊은건물을 선정하고, 해당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스토리텔링하여 전체적인 공간 구성 및 건축적 요소를 디자인하고있었다. 이때, 지역 디자이너 및 지역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에이스 호텔만의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공용 공간과 서비스 공간은 열린 공간 구성 및 배치를 통해, 투숙객뿐만 아니라 지역 커뮤니티와 크리에이터 등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디자인하고, 지역 내 브랜드와 아티스트, 뮤지션들과 협력하여 지역 커뮤니티와 투숙객 모두를 위한 프로그램과 이벤트로구성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에이스 호텔은 지역의 브랜드 및 예술가, 뮤지션들과 함께 상생하게 되며, 고객은 에이스 호텔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와의 소통과 지역 문화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에이스 호텔은 내재된 지역적 가치 발견을 기반으로지역 브랜드 및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통해 저평가된 지역 공간을 많은 사람이 모여드는 공간으로 활성화함으로 브랜드 성장이라는 선순환적 구조의 결과를 가져왔음을 발견했다. (결론) 에이스 호텔에는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스페이스 마케팅 요소인 공간적특성과 체험적 특성, 그리고 사회문화적 특성이 전반적으로 고르게 적용된 동시에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례 분석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호텔과 스페이스 마케팅과의 상호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라이프 스타일 호텔의 1세대라 불리는 에이스 호텔의 전 지점을 분석하여 에이스 호텔만의 스페이스 마케팅 특성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공간디자인 마케팅에서 소비자 니즈에 관한 연구

        김운걸,이정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In corporate branding strategies, as the space is being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the importance of space design is also growing. Therefore, this study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space design is an expansion of marketing concep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consumer's needs in marketing area, in other words, to review 'consumer's spatial needs'. Research methods were to extract the roles and scope of space design from the design marking cases from enterprises, to make an evaluation chart based on the results and then to perform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ea of corporate brands, that expands and is reorganized into the area including space concept, is not limited to a simple tool of marketing. Second, as the space is being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for marketing space, the importance of space is even more emphasized. Third, the consumer's needs not only includes products and service but also the concept of needs for space. Also, case analysis shows that a spatial experience and desire for level up could be a main point and the types of spatial experience have been developed in the various forms of experience. In addition, the space design marketing includes the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making the space provided by the enterprises into a place to satisfy customer’s needs or improving the image of enterprises or brands by providing product experience through space. In conclusion, it requir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pace and review the awareness of spac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consumer's spatial needs' needs to be understood and this will serve as a momentum to shed new light on space and recognize its importance. 기업의 브랜드 전략에서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로서 인식이 확대되면서 공간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이 마케팅 개념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마케팅 영역에서 공간과 소비자 니즈의 관계, 즉 ‘공간적 소비자 니즈’에 대한 연구진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기업이 제공하는 마케팅 영역에서의 공간 디자인 역할과 그 범위에서 요소를 추출하고, 평가표를 작성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이라는 개념을 포함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개편되는 기업의 브랜드 영역은 단순히 마케팅 도구에 한정되지 않는다. 둘째, 마케팅 공간에 있어 공간이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매개체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 된다. 셋째, 소비자의 니즈는 단순히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니즈에 그치지 않고 공간에 대한 니즈의 개념을 포함한다. 또한 사례분석 결과 공간적 체험과 레벨 업 욕구 등이 주요 관점이 될 수 있었으며, 그 공간적 체험의 유형은 다양한 체험의 형태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공간디자인 마케팅은 기업이 제공하는 공간을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는 공간으로 직접 만들거나 공간을 매개로 한 소비자 체험을 제공해 기업 및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마케팅 활동까지도 포함한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는 공간에 대한 중요성과 그 인식의 재조명 즉, ‘공간적 소비자 니즈’의 개념적 인식이 필요한데 이는 공간에 대한 재조명과 그 중요성 인식의 계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