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cial Cutaneous Rosai-Dorfman Disease: Dermoscopic Findings with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허근영,Ji Yeon Hong,Kyu Han Kim,Jihui Jeon,이철,곽윤진,김태민,문제호 대한피부과학회 2023 Annals of Dermatology Vol.35 No.-

        Rosai-Dorfman disease (RDD) is a rare non-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characterized by an accumulation of activated histiocytes within the affected tissues. It is a heterogeneous disease that includes the classical (nodal) and extra-nodal variants. The cutaneous form of the disease without the characteristic lymphadenopathy is rare and is often misdiagnosed as other dermatologic diseases. Misdiagnosis as lymphoproliferative and infectious diseases such as lymphoma and tuberculosi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Herein, we report a case of facial cutaneous RDD with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In addition, we provide dermoscopic findings and literature review as dermoscopy can be a useful adjuvant tool in the diagnosis of cutaneous RDD.

      • KCI등재

        Bee Venom Inhibits DU-145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허근영,송호섭 대한침구의학회 2011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8 No.3

        a 목적 : 이 연구는 봉독이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을 처리한 후 DU-145의 세포자멸사를 관찰하기 위해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DU-145 세포에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U-145 세포에서 봉독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다. 2.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ro-apoptotic proteins인 PARP, caspase-3, caspase-9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3.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anti-apoptotic proteins인 Bcl-2, p-AKT, XIAP, cIAP2는 유의한 감소를, MMP2, MMP13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 인간 전립선 암세포주인 DU-145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전립선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인공지반 녹화 용인공배지에서 스트로브잣나무와 헤데라의 생육특성

        허근영 두레마을 친환경농업연구원 2005 친환경농업연구 Vol.7 No.1

        AS82, AS73, AS64, AS55의 용적밀도는 0.36-0.41g/㎤으며, 공극률과 포장용수량은 낮은 수준이였고, 포화투수계수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공질 유리 파쇄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용적밀도와 포화투수계수가 증가하였고, 공극률과 포장용수량이 감소하였다. AS82, AS73, AS64, AS55의 pH는 6.8-7.2로 중성이며, 다공질 유리 파쇄물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pH가 낮아졌다. 전기전도도는 0.69-0.75mS/cm로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양이온치환용량은 4.2-14.8cmol/kg으로 수피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낮아졌다. AS82F, AS64F, CPGF의 용적밀도는 0.97-1.03g/㎤로 PSGF와 PLGF의 용적밀도와 유사하였다. AS82F와 AS64F는 노지토양, PSGF, PLGF와 비교하여 배수성과 보수성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다. CPGF의 공극률, 포장용수량은 PLGF와 유사하였고, 포화투수계수는 3배이상 높게 나타났다. AS82F, AS64F, CPGF의 pH는 6.9-7.3으로 중성에서 미알칼리성을 나타냈고, 전기전도도는 0.22-0.52mS/cm로 모두 낮게 나타났다. AS82F와 AS64F의 양이온친환용량은 AS82와 AS64와 비교하여 낮았는데, 이것은 상대적으로 양이온치환용량이 낮은 노지토양과 혼합되었기 때문이다. 단용의 인공배지에서 생육특성을 분석한 결과, 스트로브잣나무는 AS64와 AS73에서 자란 것의 생육량이 가장 높고, 펄라이트 소립과 AS82에서 자란 것의 생육량이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헤데라는 AS64, AS55, 노지토양에서 자란 것의 생육량이 높고, 펄라이트 소립과 AS73에서 자란 것의 생육량이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인공배지와 노지토양 혼합물에서 생육특성을 분석한 결과, 스트로브잣나무는 지상부길이와 지하부길이를 제외하고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AS82F에서 자란 것의 생육량이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AS64F와 CPGF에서 자란 것의 생육량도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헤데라는 뿌리생체중과 뿌리건물중을 제외하고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고, AS82F, AS64F, CPGF에서 자란 것의 생육량이 낮았다. 최종으로, 단용의 인공배지 중에서는 AS64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AS64는 상대적으로 배수성, 통기성, 보수력, 보비력, 비옥도가 우수한 인공배지로 판단되었다. 인공배지와 논지토양 혼합물 중에서는 AS82F, AS64F, CPGF는 PLGF, PSGF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우수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인공지반의 녹화를 위해서 단용 또는 노지토양과 혼합하여 이용되는 인공토양의 특성

        허근영,심경구 한국조경학회 2000 한국조경학회지 Vol.28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evaluate artificial soils which are used alone or in a blend with field soil for the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 To achieve these, determin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was made in four artificial media[Perlite small grain(PSG), perlite large grain(PLG), crushed porous glass+bark(AS), crushed porous glass(CPG)] used alone and/or in a blend with field soil, then evaluation of their effect on th plant growth of Ligustrum obtusifolium and Syringa vulgaris were conducted. In bulk density of root media at field capacity and th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LG and AS showed good performance. But, PLG was though to be unsuitable as artificial soil when used alone because of poor plant growth. PLG, AS, and CPG were thought to be good when it is used in a blend with field soil. But, PSG was thought to be unsuitable. In the result, PSG is recommended as artificial soil which is used alone for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 PLG is recommended as artificial soil which is used in a blend with field soil. AS is recommended as artificial soil which is used alone and in a blend with field soil. Thought CPG+field soil(v/v, 1:1) might be undesi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chemical properties in six months after planting, it was thought to be superior to th other treatments in the plant growth. CPG can be used as artificial soil which is used in a blend with field soil. Follow-up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plant growth of the other plants and the practical use of them in artificial grounds.

      • KCI등재

        소성 점토다공체 및 코코넛 피트를 혼합한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허근영,강호철,김인혜,심경구 한국조경학회 2002 한국조경학회지 Vol.30 No.5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artificial soil formulated by blending calcined clay and coconut peat with perlite, then to evaluate this soil as a perlite substitute for use as an artificial planting medium. To achieve this, a determinati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t's effect on plant growth were conducted by comparing those with large perlite grains and small grai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ulk density was 0.41g/㎤. This density was lower than that of field soil, but higher than that of large perlite grain(0.23g/㎤) and small grain(0.25g/㎤). The porosity, field capacity, an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ere 71.3%, 49.2%, and 3.8$\times$10-2cm/s, respectively. The air-permeability, water holding capacity, and drainage were better than or equal to that both large and small perlite grain. 2) It was near-neutral in reaction(pH=6.6). It had a high organic carbon content(65.8g/kg) and a low available phosphoric acid content(84.7mg/kg). It was similar to crop soil in cation exchange capacity(11.4cmol/kg). It had a low exchangeable calcium content(0.71cmol/kg), a low exchangeable magnesium content(0.68cmol/kg), a high exchangeable potassium content(2.54cmol/kg), and a high exchangeable sodium content(1.12cmol/kg). Except for the exchangeable potassium and sodium content, the chemical properties were better than or equal to both large and small grain perlite. The excessive exchangeable potassium or sodium content will inhibit plant growth. 3) In Experiment 1, the plant growth tended to be higher compared to that of large and small perlite gains. But in Experiment 2, it tended to be lower. This might be linked to the excessive exchangeable potassium or sodium content. 4) It could be considered as a renewable perlite substitute for greening of artificial soil.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leach the excessive exchangeable potassium or sodium to avoid the risk of inhibiting plant growth.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