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벤처창업의 수도권 집중도와 그 입지 결정요인 분석을 통한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
기정훈 한국지역학회 2008 지역연구 Vol.24 No.1
Entrepreneurship denotes companies' risk-taking activities such as business starts, facility investment, new operation expansion, foreign branch opening, and managerial innovation; and it contains various aspects of entrepreneurs' personal,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spatial pattern of entrepreneurship by examining the location pattern of venture business starts in Korea. The research hypothesis is that risk-taking tendency of entrepreneurship is demonstrated when some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s are filled. To test this hypothesis, this study compares the means of proportion of Seoul Metropolitan location between venture business starts and other activities since 1980 to 2006. The t-test statistic method is adopted in this comparison. Venture business starts' location tendency in Seoul Metropolitan area is stronger than most of other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This is because Seoul Metropolitan Area offers a variety of social and economic advantages that venture businesses are hard to give up. In Korea, entrepreneurshp's risk-taking tendency is maximized and demonstrated in the central location, Seoul Metropolitan Area. Tests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show that Seoul Metropolitan Area's concentration of financial services and human capital, as well as agglomeration economies effects (urbanization economi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at of venture business starts.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은 창업, 설비투자, 신사업, 해외진출, 경영혁신 등으로 표현되는 모험성 혹은 위험부담(risk-taking)이 상당히 높은 기업 활동들을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기업가의 개인적, 사회적, 경제적인 다양한 특징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의 입지적 패턴을 살펴보기 위해서 위험부담이 가장 높은 기업 활동 중의 하나인 벤처창업의 수도권 집중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의 경제사회활동 집중은 우리나라의 산업화 및 도시화가 시작된 이래로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앞으로도 그 정도가 약해질 가능성이 그리 높아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 이후의 인구, 지역총생산, 기업체수, 은행예금과 대출, 연구개발 인력 등의 경제활동과 벤처기업의 창업을 연도별로 나누어 이들에 대한 수도권입지 비율에 대한 평균간 비교를 위한 t-분석을 실시하였다. t-분석의 결과 벤처기업 창업은 대부분의 주요 사회경제활동과 수도권 비율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그 방향은 오히려 벤처창업의 수도권 집중도가 다른 사회경제활동들보다 높은 것이었다. 이는 벤쳐기업의 수도권에서의 창업이 위험부담이 높음에도 이를 극복할 때의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루어 지는 것이며, 특별히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합리적 선택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회경제 변수들에 대한 상관 및 회귀분석을 통해서 특별히 수도권의 금융 집중도, 연구개발, 인적자원의 집중도는 집적경제의 효과와 함께 벤처창업의 집중도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고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없다면 벤쳐창업이 비수도권에서도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 예상된다. 장기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금융과 재정지원 기능, 연구개발과 인적자원을 비수도권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비수도권 지방에서의 기업가정신 촉진시킬 수 있는 정책적 방향임을 알 수 있다.
구글어스 기반의 공간영상을 통한 환경분야 협력을 위한 남북한 협력적 거버넌스 연구
기정훈,허근숙,남성우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7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0 No.1
Scientific analysis and inter-Korean cooperation are needed to reduce North Kore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forestation. Many efforts to reduce North Korea’s environmental issue have a fundamental weakness because they are generally influenced by internal and political conditions. To overcome such a weakness, two approaches may be effective; the first is to use new technology such as Google Earth and the second is to build collaborative governance that is invulnerable to political conditions. This study focuses on building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s based on Google Earth data investigation, a previous research’s release of Google Earth database, and literature review of North Korea’s environmental issues. This research’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rth Korea’s industrial regions suffer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any other regions experience severe deforestation according to Google Earth-based spatial images. Second, we can discern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soil pollution, and deforestation using Google Earth-based spatial image. In reality, we are able to identify deforestation and partially soil pollution with Google Earth-based spatial image. Third, there are different environmental problems among North Korea’s local regions. South Korea has to prepare and plan various collaborative governance models depending on North Korea’s local needs on environmental problems.
기정훈,주재현,박재현 경인행정학회 2013 한국정책연구 Vol.13 No.1
자격제도는 일반적으로 자격검정에 응시할 수 있는 대상의 자격을 규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응시 전에 갖추어야 하는 학력 또는 산업현장 근무경력, 교육·훈련과정의 이수 등과 같이 아무나 응시할 수 없게 하고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만이 특정한 자격에 응시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국가기술자격제도에는 경력과 학력이라는 응시요건이 설정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국가기술자격의 응시기준에 대한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국가자격응시자와 보유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현행 국가기술자격 응시기준은 강력하게 추진 할 필요가 있는 기준, 검토할 필요가 있는 기준,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기준, 그리고 신설할 필요가 있는 기준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 및 공청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도 및 법률적 제언을 담고 있다.
스포츠 이벤트 공간 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동기,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기정훈,허근영,하철수 한국정책과학학회 2007 한국정책과학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그 지역을 광고함을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장소마케팅은 추구하는 목표와 공간적 계획의 정도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장소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과정, 즉 장소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해군 스포츠 파크’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사례를 통해서 스포츠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장소마케팅을 해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이벤트 공간 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은 무엇보다도 지방 도시들에게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특별히 최근에 대구광역시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인천광역시가 아시안게임 유치를 성공하는 등 여러 도시들이 스포츠 관련 행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해군의 사례는 지역을 살리고 또한 외부에 알리고자 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 준다.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장소마케팅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는 이무용(2006a, 2006b)이 사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분류와 전략수립 과정 분류, 그리고 본 연구자가 주장하는 공간계획의 정도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 구분방법을 이용하였다. 남해군 스포츠 마케팅은 지역경제 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이며 공간계획 중심적 장소마케팅으로 구분이 되며, 장소 전략과정에서 잔디운동장 시범사업, 서상 매립지 잔디포 조성 및 유채꽃 축제, 그리고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을 실시했으며,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는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호텔, 정부지원, 월드컵유치캠프 및 각종 스포츠 경기 유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비록 스포츠 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간계획을 가지고 주민들을 설득하여 지역을 변화시켰던 리더쉽의 역할이 있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관의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개발의 이익의 재분배를 통해서 단순한 장소의 번영(place's prosperity)을 넘어서 주민의 번영(people's prosperity)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장소마케팅의 모범적인 예로써 제시될 수 있다.
시장 도입 이후 평양의 도시공간 변화 : 계획과 시장의 공존과 각축
기정훈,한지만 한국지역개발학회 2024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북한에서의 계획경제의 몰락과 함께 도래한 시장 도입 이후 도시공간의 변화와 주택 시장의 변화 그리고 이와 관련된 생활 양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에서 계획 경제는 1980년대초부터 무너지기 시작하여 1980년대말에 이르렀을 때에는 시장이 도입되지 않고는 버텨낼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북한의 도시에는 어떠한 공간적 변화가 있게 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시장의 도입을 통해서 도시공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평가를 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수도인 평양에서 1990년대 이후 시장경제가 도입되면서 도시의 변화와 발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북한에서 시장의 도입과 역할은 도시의 확산이나 밀집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오히려 계획이나 정부에 영향을 주고 있고 이는 공간의 패턴보다도 공간의 질과 공간의 활용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시장은 공간의 형태보다는 공간의 수준을 높이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자본주의 도시에서 나타나는 젠트리피케이션과 같은 현상을 보여줄 수도 있으며 앞으로 북한의 도시들에 교외화(suburbanization)나 초고층건물의 등장, 그리고 교육도시의 성장과 같은 현상을 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궁극적으로 계획은 시장과 각축하기 보다는 공존하고 그 원리를 따르는 양상을 보일 것이고 이는 북한의 도시들과 궁극적으로 모든 지역에 확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urban spac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market economy in North Korea, amidst the collapse of the planned economy. The disintegration of communist countries in the early 1990s led to the breakdown of the socialist trade system, which, combined with natural disasters that struck North Korea in the late 1990s, dealt a significant blow to the North Korean planned economy. In this process, markets known as “jangmadang” emerged on a national scale by individual residents to secure food, significantly impacting North Korean society as a whole. Therefore, it is highly meaningful to examine the spatial changes in North Korean cities resulting from this marketization process through this study. Focusing on Pyongyang, when examining the history of urban planning, recent urban development trends, and the results of GIS analysis through spatial density, it becomes clear that the introduction and role of markets in North Korea influence planning and governance more than they affect urban sprawl or density. This influence changes the quality and utility of space rather than its patterns. Markets are enhancing the level of space rather than its form, potentially leading to phenomena similar to gentrification seen in capitalist cities. Consequently, North Korean cities might witness suburbanization, the emergence of high-rise buildings, and the growth of educational cities. Ultimately, planning will likely coexist with the market and follow its principles rather than compete with it,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spread to all regions of North Korea.
지방 인구구조의 변화와 지역 사회복지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기정훈 충북연구원 2020 지역정책연구 Vol.31 No.2
Rural population in South Korea is steadily declining and the aging population is also deepening. As a result, the absolute size of the population is expected to decrease after 2031, as the provinces are on the verge of total extinction by the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continue. In this study, I propose a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based on the three local government type. The proposal includes a process of reorganization of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reflecting demographic changes. For the ultra-aging rural type will face the most difficult future among three types, there are some strategies such as readjustment of functions through wide-area administrative networks, the establishment of expertise in senior citizens' welfare through the work, and financial adjustment of townships. For a wide-area administrative network due to a shrinking population, it is inevitable for local governments to integrate their operations or work. Policy measures’ priority should be put on developing social welfare-medical and transportation-linked welfare services based on big data 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우리나라의 지방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고령화 역시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지방은 총체적인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저출산·고령화가 지속되면서 향후 2031년 이후 인구의 절대 규모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인구구조의 변화를 반영한 사회복지전 달체계의 개편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지역별 인구구조 및 변화의 특성을 기준으로 지방 자치단체를 유형화하여 지역별 맞춤형 사회복지전달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세 가지 유형 중에서 특별히 초고령화 농촌 유형의 경우에는 광역행정 네트워크를 통한 기능의 재조정과 읍면동의 업무 및 재정조정을 통한 노인복지 전문성 구축이 중요한 전략 방향이 되어야 한다. 인구감소에 따른 광역행정 네트워크를 위해서는 지자체 간 통합 운영이나 업무 통합이 불가피하다. 이를 위하여 빅데이터 기술이나 제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사회복지-의료, 교통 연계형 복지서비스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