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대・계층별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과 도시경쟁력 발전을 위한 연구: 부산시를 중심으로

        윤은기,박소연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2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2 No.4

        Different generations and classes show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needs for the quality of life due to differences i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and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generations and classe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by generation and class using the measurement items and indicators of Mercer, a world-renowned quality of life survey and evaluation agency.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were promoted by applying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tems and indicators based on the human development approach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bottom-up spillover theory in the quality of life theory. This study measures the quality of life including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that apply multidimensional and multidimensional measurements of the quality of life such as social, economic, education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welfare factors. As such,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consistent with the resident sentiments and conditions of each generation and class, secondly, to strengthen urban competi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irdly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happy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As a result,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policy plan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hrough factor analysis that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citizens by group, generation, and class through the application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세대‧계층별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관점의 차이로 인하여 삶의 질에 대해 다른 욕구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세대와 계층에 따라 삶의 질의 차이 및 요인분석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계적 권위의 삶의 질 조사평가기관인 머서(Mercer)사의 측정항목과 지표들을 활용하여 세대‧계층별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삶의 질 이론에서 상향확산이론의 적용과 함께 인간개발이론(Human Development Approach)을 근거로 삶의 질 측정항목과 지표를 적용하여 연구 설계와 분석을 추진하였다. 이 연구는 객관적 및 주관적 지표를 포함하여 삶의 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문화적, 환경적, 복지적 요소 등의 삶의 질의 다차원·다면적인 측면의 측정을 적용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첫째, 세대‧계층별 주민정서와 여건에 맞는 삶의 질 향상을 연구하고, 둘째, 삶의 질 향상을 통한 도시경쟁력을 강화하며, 셋째, 세대‧계층별 시민들의 삶의 질 수준의 조사를 통해 시민들의 삶의 질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다중 회귀 분석 방법의 적용으로 전체 집단 및 세대‧계층별 시민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통해 정책방안과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교육운영 특색사업에 따른 일반고 잠재계층 분류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오영교(Young-Kyo Oh),차성현(Sung-Hyun Cha)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일반고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육운영 특색사업(교과교실제, 수준별 이동수업, 자율학교, 영어교육프로그램)의 시행 여부에 따라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계층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나아가, 잠재계층별로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EDSS(EduData Service System)에서 제공하는 2015년 일반고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잠재계층회귀분석(Latent Class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운영 특색사업에 따른 일반고의 잠재계층은 3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계층의 특성에 따라 실시형(engaged), 미실시형(disengaged), 수준별 수업 중점 혼합형(mixed)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잠재계층 분류에는 학교소재지역, 학교규모, 주당 평균 수업시수, 자율동아리 참여율, 방과후학교 참여율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잠재집단별로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시실형 집단의 국어, 영어, 수학 학업성취도가 실시형 집단과 혼합형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계층별 학업성취도에는 학비감면율, 교사 1인당 학생 수, 학생 · 학부모 상담실적 등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반고 교육력 제고를 위해 학교 특색에 맞는 맞춤형 교육사업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in general high schools which implemented four different specialized school programs to enhance their academic performance. Futhermore, the study explored what school factors affected the classificat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fied latent classes and distal outcome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In order to do this, we used the 2015 high school data provided by EduData Service System (EDSS) and applied a new 3-step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latent class regression analysis (LCRA).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and named as ‘engaged group’, ‘disengaged group’, and ability tracking centered ‘mixed group’. In addition, these classifications were influenced by school characteristics; school location, school size, average class hours per week, club activity and after-school program participation rate. As for distal outcomes, high schools classified into the disengaged group were lower in academic achievements scor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particular, a tuition discount rate’s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does not exist in the engaged group and it implies the effect of school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specialized and customized school programs for general high school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better school performance.

      • KCI등재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계층구조를 고려한 성능 분석 프레임워크

        곽상헌(Sangheon Kwak),이남승(Namseung Lee),이호림(Horim Lee),임성수(Sung-Soo L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6 No.6

        최근 임베디드 시스템은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복잡한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를 가지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한 소프트웨어 계층에서의 성능 뿐 아니라 전체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의 모든 소프트웨어 계층 구조를 고려할 수 있는 성능 분석 도구를 설계하고 구현한 결과를 보인다. 제안하는 기법은 응용 프로그램이나 라이브러리에 대한 재컴파일 없이 모든 소프트웨어 계층의 성능 분석에 필요한 측정 정보를 수집한다. 이 기법을 통해 리눅스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 미들웨어 라이브러리 함수, 커널의 시스템 호출, 커널 이벤트에 대한 다양한 성능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본 연구를 통해 구현된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실제 실행 경로 분석, 각 소프트웨어 계층의 함수나 이벤트의 소요시간 분석, 그리고 소프트웨어 계층간 실행 흐름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체 소프트웨어 계층상의 성능 병목을 찾을 수 있음을 보인다. Recent embedded systems are being more complicated due to their hierarchical software architecture including operating systems. The performance of such complicated software architecture could not be well analyzed through separate analysis of each software layer; the combined effect and the interactions among the whole software layers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paper, we show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erformance analysis framework that enables hierarchical analysis of performance of Linux-based embedded systems considering interactions among the software layers. By using the proposed framework, we can obtain useful run-time information about a hierarchical software structure which usually consists of user-defined function layer, library function layer, system call layer, and kernel events layer.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framework could accurately identify the performance bottlenecks with the corresponding software layers during executions of target applications through the accompanying sub-steps of the analysis: the actual execution paths, the execution time of each observed event in each software layer, and the control flows across the software layers.

      • KCI우수등재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을 위한 베이지안 계층 군집분석

        류성균(Sung Kyun Rhyeu),황범석(Beom Seuk Hwa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1 No.1

        군집분석은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일종으로 객체 간의 유사도 혹은 비유사도를 이용하여 비슷한 객체를 군집화하는 방법이다. 흔히 사용되는 군집분석 방법으로는 계층적 군집분석, k-평균 군집분석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이상치에 민감하고, 군집의 수와 같은 모수들을 사전에 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유전체 분석에서 활용되고 있는 베이지안 계층 군집분석은 가설 검정을 기반으로 군집을 정하기 때문에 앞서 말한 군집분석 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해 베이지안 계층 군집분석 방법의 장점과 기존 방법들과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실제 비즈니스 데이터에 이를 적용하여 최적의 군집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살펴본다. Clustering is a kind of data mining methods that groups similar objects by using similarity or nonsimilarity between objects. The hierarchical clustering and k-means clustering are widely exploited, but these methods have some drawbacks in that sensitive to the outliers and require predetermined options such as the number of clusters. Meanwhile, the Bayesian Hierarchical Clustering (BHC) employed in microarray data analysis determines clusters based on the hypothesis testing, and therefore, it does not concern about the problems as mentioned above.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advantage of BHC and the differences between well-known clustering methods and how this method could be applied to business data to obtain superior clustering result.

      • KCI등재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일본인 관광객의 관광지 방문 네트워크 특성 - 옴니보어론을 중심으로 -

        김가윤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9 觀光硏究論叢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structure between tourist destinations visited by Japanese touris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mparison of upp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social stratification. The differences are interpreted from the view of Omnivore theory. The results reveled three major findings: First, as a result of the overall network proper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upper class of Japanese tourists visited the tourist places evenly. On the other hand, the lower group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tourist destinations. Second, as a result of centrality analysis, Myeong-dong was the hub tourist spot where Japanese tourists are most concentrated regardless of the class. Third,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from the view of Omnivore theory, destinations visited by upper class were classified into more various types, and where lower class were visited typified by popular characteristic. This study has an important theoretical contribution that extend the Omnivore theory to tourism and apply 2 mode network analysis.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인 관광객이 방문한 관광목적지들 간의 네트워크 구조의 특성을 사회계층에 따라 상위계층과 하층계층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도출하고이를옴니보어론의관점에서해석하는데에있다. 분석에앞서옴니보어론에대해고찰하였고, 2016년 외래관광객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본인 관광객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이 방문한 관광지 네트워크를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 네트워크 속성 분석 결과 일본인 관광객의 상위계층은 관광지를 고르게 방문하는 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하위계층은 특정 관광지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심성분석결과계층에상관없이일본인관광객이가장많이밀집되는허브관광지는명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응집구조 분석 결과, 옴니보어론의 관점에서 상위계층이 방문한 관광지는 더다양한 유형으로분류되었고, 하위계층이방문한관광지는대중적인성격으로유형화되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옴니보어론에서 주장하는 사회계층과 문화소비의 다양성관계를관광분야로확장시켰으며, 2모드네트워크분석을적용하였다는데에서중요한이론적 기여를 제공한다.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위기 유형 분류

        양미진(楊美珍),이자영(李玆煐),손재환(孫在煥)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위기 유형을 잠재계층분석 방법으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12세에서 19세까지의 청소년 3,526명이었으며, 조사도구는 위기상황실태조사 척도와 정신건강척도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된 요인은 5가지로 심각한 수준의 "비행", 집단따돌림 등의 "대인관계", 가벼운 수준의 "일탈", "부모갈등", "학업부적응"이었다. 또한 위기 요인 취약성 범주에 대한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계층이 확인되었으며 각 계층의 조건 확률을 살펴본 결과 계층1은 대인관계 위기가 두드러졌고, 계층2는 모든 위기요인에 취약해 고 위험 계층으로 간주되었다. 계층3은 비교적 가벼운 수준의 일탈 중심 위기가 두드러졌으며, 계층4는 부모갈등 위기가 두드러졌고, 마지막 계층5는 취약한 위기요인이 거의 없는 저 위험 계층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각 계층에 따라 정신건강적 특성과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계층2에서 4가지 하위 정신건강 모두에서 취약하게 나타났으며 학교밖청소년과 경제적 수준이 낮은 청소년들이 다른 계층에 비해 계층 2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asses of adolescents at-risk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LCA). For this, this study surveyed 3,526 Korean adolescents aged between 12 and 19. They were selected according to proportion of 16 metropolitan administrative units of Korea. As a result, the factor analysis identified five factors of adolescents" risk: delinquency, peer relationship including group bullying, harmless deviation, conflict with parents, and poor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adolescents" risk was found to five class through LCA. The main problems of each class are "peer relationships" in the class 1, "all problems" in the class 2, " harmless deviation" in the class 3 and "conflict with parents" in the class 4. And there are little problems in the class 5. These results may help counselors and teache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isk adolescent and to prevent adolescent" risk behaviors.

      • KCI등재

        공공사업 타당성 평가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박승준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2

        기존의 공공사업 타당성 평가는 경제성분석을 위주로 추진되었으나, 계층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도입하면서 정책성, 지역균형발전, 기술성 등의 항목이 추가로 평가되고 있다. 이 연구는 최 근 3년간 건설사업과 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비용편익비(Cost-Benefit Ratio)와 계층 분석의 가중치(weight)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상호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비용편익비와 AHP 가중치의 상관관계가 건설사업의 경우 0.744, 연구개발사업의 경우 0.899로 나타났다. 즉, 사업시행 여부를 결정하는 AHP 결과가 비용편익분석 결과에 의해 크게 좌우됨으로, 경제성 위주의 평가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AHP가 당 초 기대와는 달리 종합적 분석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AHP 분석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설계가 지속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The feasibility evaluation of public projects has been carried out mainly in the economic analysis. However, items of political, technological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spects are further evaluated by apply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is paper suggests to analyzes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construction and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 during the past three years and to verify correlation between B/C ratio and AHP weight. The result show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cost benefit ratio and the weight of the hierarchy is 0.744 in construction projects and 0.899 in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 Namely, AHP weight be under the control of B/C ratio and is devoted to its role against expectation. Therefore it must be sufficiently discussed in various designs of studies to maximize the effects of AHP analysis.

      • 계층적 군집분석과 DEA Tier분석에 의한 클러스터링 측정방법 : 은행산업적용

        박노경(Ro-Kyung PARK)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09 아태경상저널 Vol.1 No.2

        본 논문에서는 국내은행산업의 M&A 결과의 적합성을 투입-산출요소측면에서 검증하기 위해서 계층적 군집분석방법 및 DEA Tier분석방법을 실증적으로 적용해보는 측정방법을 소개 하는데 있다. 국내은행산업이 M&A를 시행하였던(1998년) 바로 전의 시기인 1995년의 국내 25개 은행을 대상으로 생산기능[투입요소:종업원수, 고정자산, 지점수, 산출요소:예금액, 대출액, 유가증권투자액)], 중개기능[투입요소:종업원수, 지점수, 예금액, 산출요소:대출액, 유가증권투자액], 부가가치기능[투입요소:종업원수, 고정자산, 지점수, 핵심예금, 산출요소:수수료, 대출이자]에 의해서 실증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적 군집분석의 결과는 생산기능은 4개 군, 중개기능은 5개 군, 부가가치기능은 3개 군으로 군집시킬 수 있었다. 둘째, DEA Tier분석을 통한 군집도 계층적 군집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따라서 계층적 군집분석의 결과와 DEA Tier분석의 결과가 어느 정도 일치 하였다. 넷째, 비록 1995년의 자료를 이용하였지만, 과거 국내은행합병의 경우를 본 분석 결과와 비교해 보면 생산기능과 부가가치기능접근법의 결과는 큰 유의성이 없었으나, 중개기능접근법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정책적인 함의는 급변하는 금융환경 하에서 국내은행들의 합병에 유사한 성과효율을 보이고 있는 은행 간의 합병을 유도하기 위해서 본 분석방법을 도입하여 예측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의 한계점은 실증분석기간을 1995년의 1개년도 만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계층적 군집분석 및 DEA tier분석과 그에 따른 가설검정을 시도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new measurement way of clustering using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ith DEA Tier analysis for investigating the M&As suitability in 1997 for Korean banking industry. Data for 25 banks with 9 variables (deposits, loans, amount of securities investment, no of employee, fixed capital amount, no of branches, core deposit, interests and charges) were used. Empirical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how the 4 clusters in production approach, 5 clusters in intermediation approach, and 3 clusters in value-added approach. Second, two results between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DEA Tier analysis show the similar results. Third, the investigating results of the M&As suitability in Korean banking industry show that the close relations with M&As suitability were not found in production and value-added approaches, but the result of intermediation approach has shown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Policy planners of banking industry should introduce the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ith DEA Tier analysis when they recommend the M&As to the bank CEOs, because these methods can give them the adequate partners for M&As in terms of inputs and outputs of Korean banks.

      • KCI등재

        지방행정계층 및 구역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최영출(崔永出) 한국지방자치학회 2018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0 No.1

        본 연구는 지방자치제도의 핵심 요소 중의 하나인 지방행정계층 및 구역에 관련된 그간의 연구내용 및 경향을 연구주제별 관점에서 경향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서 이 분야에 대한 그간의 주요 연구쟁점들을 검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지방자치 관련하여 가장 오래된 전문학회인 한국지방자치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보인 ‘한국지방자치학회보’의 창간호가 발간된 1989년부터 2017년까지를 대상으로 하여 지방행정계층 및 구역에 관한 총 33편의 논문 초록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1989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간을 3 개 의 시기로 구분하고 전 기간에 걸친 분석 및 시기별 분석을 별도로 수행하여 시기별로 서로 구분하여 보았다.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카테고리별 분석대신에 2010년 이후 많이 활용되고 있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하여, 연결중심성과 덴드로그램 분석 및 다차원척도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주제를 분류해 보았을 때, 전체 기간 동안 (1989-2017)의 주요 연구주제는 계층구조와 규모경제, 통합과정의 정치적 성격과 재정적 측면연구, 시군통합대안과 정부 간 관계, 경쟁력과 대도시 행정체제 수립 방안 등으로 크게 4개 영역으로 분류된다고 할 수 있다. 이론화를 선도하는 주요 중심성 개념으로서는 시기 1(1989-1999)에서는 인구규모, 시민, 계층구조 등이 나타나고 있고, 시기 2(2000-2009)에서는 공무원, 지역주민, 규모경제 등이, 그리고 시기 3(2010-2017)에서는 통합, 행정구역, 갈등 등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What are the evident research and methodological trends in the study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tier and area over the last thirty years in Korea since The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which is manag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wa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1989. With this purpose in mind, this paper applies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as an analytical tool to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tier and area, and attempts to discover recent academic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In doing so, it analyzes 33 articles on the above-mentioned topics published by the Journal for nearly thirty years ranging from 1989 to 2017.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 1990s optimum size of local government and coordination among stake-holders as key words played major role in leading the study of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tier and area, in the early 2000s two key words local decentralisation and competitiveness took lead in the study area, and since the 2010s alternatives for local government consolidation and alternative measures for local government restructuring as key words have been playing crucial role in the study area.

      • 세종시 건설에 대한 정책논변 및 계층구조 분석

        신황용,이희선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0 No.4

        본 연구는 "세종시 건설의 바람직한 정책주장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정의하고, "세종시 건설을 위한 원안 및 수정론에서 주장하는 최선의 정책주장은 무엇인가?"의 문제를 보다 구체적인 쟁점으로 삼아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종시 건설의 추진과정, 주요 논쟁의 쟁점들을 살펴보고 이해당사자들 간의 대립되는 찬반의 논란을 규명하는 정책논변모형의 분석 틀을 정립 한 후 세종시 건설 원안을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수정안을 채택할 것인가에 대한 논쟁을 분석한 후 정책주장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실증적 계층구조분석을 실시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가치가 개입된 규범적 정책논변분석에서는 어느 정책주장이 더 최적 대안인지 사실상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실증적 계층구조분석 결과는 정책주장 중 행정복합도시(안)이 평가기준들을 달성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최적 정책주장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민감도분석 결과도 선택된 정책주장의 우선순위는 변화가 없었다. 둘째, 양 분석을 종합하여 볼 때 한정어는 이해관련자 설득과 사회적 합의 충족을 위하여 '점진적으로(gradually)'라는 표현이 적합할 것이다. 셋째, 비구조적인 의사결정문제인 세종시 건설의 정책주장 분석에 규범적 분석인 정책논변모형과 실증적 평가인 계층구조분석(AHP) 및 민감도분석(SA)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정책주장 대안의 평가에 있어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