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HP 분석을 통한 지역성 표현 요소에 대한 전문가 가치구조 연구

        홍성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Unlike the architecture of modern regionalism, which has emerg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odernism, it is difficult to draw consensus on the specificity of regionality in the field of the modern city, architecture, and public design. Nonetheless, it is becoming an important topic in urban architecture. Despite this interest, however, there are not much objective data and evaluation criteria to which design experts can refer when trying to design something that reflects reg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ructuralize the various thoughts of local experts through the AHP technique, analyze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between priorities and items, and conduct a basic analysis to identify objective criteria. (Method) First, by analyzing the extant scholarship, AHP research in the field of urban architecture and that related to the regionality were collected, and regionality expression elements to be surveyed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two hierarchical structures. Next, the AHP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the top five items related to regional design experts and the 18 sub-items related to them.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was then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AHP analysis programs. The priority values and importance values (weight value) between each item were obtained as a result. (Results)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gionality related elements of the extant studies were applied to the hierarchy structure of the AHP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value structure of the expert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AHP program, and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s (weights) of the five primary and the 18 secondary hierarchy structures in each hierarchical structure were quantified, and priorities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of the primary hierarchy items showed that the experts have a value structure that is important in order of: placeness, community, endemism, traditionality, and symbolism. In the secondary hierarchy structure item, the significance of the subordinate items of symbolism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natural form, abstract-urban form, abstract-social form, abstract-human form, and abstract. The importance of subordinate items of placeness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value context-consider, urban context-consider, natural context-consider, city image-insider, and monumentality. The importance of subordinate items of endemism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local colors-consider, local material-consider, local climate. The order of subordinate items of traditionality and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space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application,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elements; while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human elem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subcategories of community, consideration of community, considerat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consideration of local industry. (Conclusions) In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expert's value structure for regionality expression factors, the results can be used for constructing evaluation criteria related to regionality, its application at the design stage, as well as in regional study in other fields. (연구배경 및 목적) 모더니즘 건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나타났던 근대의 지역주의 건축과 달리 현대 도시, 건축, 공공 디자인 분야에서의 지역성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그 구체성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가 어려운 상황임을 이야기하고 있으나, 여전히 도시건축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디자인 전문가들이 지역성을 반영한 디자인을 하려고 하거나, 지역성을 고려한 심사를 하려고 할 때 참고할 만한 객관적 자료나 평가기준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성에 대한 지역 전문가들의 다양한 생각들을 AHP 분석을 통해 구조화하고, 우선순위와 항목간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여 객관적인 기준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도시건축 분야에서의 AHP 연구와 지역성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설문의 대상이 되는 지역성 표현 요소들을 추출하고, 2개의 계층구조로 분류하여 위계화 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성과 연관된 디자인 전문가 중 건축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5가지 상위 항목과 이와 연관된 18가지 하위 항목으로 분류된 위계화 항목들에 대한 AHP 설문을 시행하고,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을 통계분석프로그램과 AHP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각 항목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중요도 값(가중치)을 구하고 지역성 표현 요소들에 대한 전문가들의 가치 인식 구조를 알아보았다. (결과) 선행 논문의 지역성 관련 요소들을 종합 분석한 결과를 AHP 설문의 계층구조로 적용시켜 상징성, 장소성, 풍토성, 전통성, 지역사회의 5개 항목을 상위 위계로 하는 전문가의 가치구조 분석틀을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 결과를 AHP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1차 계층구조 5개 항목과 2차 계층구조 18개 항목이 각 계층구조 내에서 가지는 상대적인 중요도 값(가중치)을 정량화하고 우선순위를 구할 수 있었다. 1차 계층구조 항목의 AHP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장소성-지역사회-풍토성-전통성-상징성의 순서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계층구조 항목에서 상징성의 하위 항목 중요도는 자연형태고려-도시형태고려-사회형태고려-인문형태고려의 순서로 나타났고, 장소성의 하위항목은 가치맥락고려-도시맥락고려-자연맥락고려-도시이미지고려-기념비성고려의 순서로, 풍토성의 하위 항목은 지역색채-지역재료-지역기후의 순서로, 전통성의 하위 항목은 전통공간응용-전통건축요소응용-전통인문요소응용의 순서로, 지역사회의 하위 항목은 공동체고려-주민참여고려-지역산업고려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이렇게 지역성 표현 요소에 대한 건축디자인 전문가들의 가치구조를 구조화하고, 각 항목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함으로서 지역성과 관련된 평가기준의 설정이나 설계단계에서 응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만들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교회건축물의 디자인 의사결정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홍성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is a problem for all of the protestant church building users, only architects, some pastors and church laymen have participated in the design decision process, and most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have been neglected in this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decision making elements that should reflect the user's recognition in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analyzes the subjective thoughts of the members who are the users of these elements, and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reflect the general recognition of church architecture users about the major decision making elements of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process. (Method) Firstly, we analyzed the major elements of decision making in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process from the 90 's until recently by analysing previous research, and classify it into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AHP questionnaire method. Next, a total of 176 randomly selected church building users in Busan were classified into three hierarchically structured prim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10 second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and 18 terti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conduct an AHP questionnaire method.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higher - 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showed that users are conscious of the order of functionality-publicness-symbolism when setting direction of church architecture design. Second, the importance of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functionality appeared in order of worship function-education function-service function-society fun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publicness, the importance appeared in order of participating in community welfare-participating in community culture- participating in community education, and showed importance in the order of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community welfare participation is local resident care-disabled care-homeless & teenage runaway care- multicultural family & north Korean defectors.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symbolism, it appeared that the overall building expression-image expression-partial elements expression, and subordinate element of overall building expression was modern style-symbolic style-classical style-traditional style, in the image expression elements are familiar/comfortable image-elegant/beautiful image- refined/modern image-new/fresh image-solemn/strict image order, and in the partial elements expression elements are Bible verses elements-christianity art elements-symbolic emblem elements-symbolic color elements- symbolic number elements order.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through the AHP questionnaire analysis method and to provide the user 's recognition to refer to the design priority among the main element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연구배경 및 목적) 교회건축 디자인은 교회건축 사용자 모두의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건축가와 일부 교역자, 중직자만이 참여하여 디자인 의사결정을 하여 왔으며, 대다수의 교회 구성원들은 이 과정에서 소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교회건축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인식이 반영되어야 하는 주요의사결정요소들을 추출하고 이 요소들에 대해 사용자인 교회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인 생각들을 분석하여 AHP설문 분석법을 통해 제시함으로서 교회건축디자인 과정의 주요의사결정요소들에 대한 교회건축 사용자의 전반적인 인식이 반영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교회건축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9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부각된 교회건축디자인 과정에서의 주요의사결정요소들을 추출하고 AHP설문을 위한 계층구조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무작위로 선정된 부산지역 교회건축 사용자 176명을 대상으로 3개의 계층구조로 분류된 3가지 상위계층 의사결정요소, 10가지 2차 계층 의사결정요소 및 18가지 3차 계층 의사결정요소에 대한 AHP설문을 시행한다.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각 계층 의사결정요소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중요도 값(가중치)을 구하고 이를 통해 교회건축디자인에서 주요의사결정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알아본다. (결과) 첫째, 상위 계층 의사결정요소 분석결과 사용자들은 교회건축디자인의 방향설정 시 기능성-공공성-상징성의 순서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형보다는 본질에 충실한 것이 교회건축디자인의 방향설정에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기능성의 하위요소 중요도는 예배 기능-교육 기능-봉사 기능-교제 기능의 순서로 나타났고, 예배 기능이 나머지 3개 요소 전체 합과 비슷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공공성의 하위요소 분석결과, 지역사회 복지참여-지역사회 문화참여-지역사회 교육참여의 순서로 중요도가 나타났고, 이 중 지역사회 복지참여 요소의 하위요소는 지역주민 배려-장애인 배려-노숙인․가출청소년 배려-다문화․탈북자 배려의 순서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상징성의 하위요소 분석결과, 교회 건물 전체로 표현-이미지로 표현-부분요소로 표현의 순서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회 건물 전체로 표현 요소의 하위요소는 현대적인 표현-상징적인 표현-고전적인 표현-전통적인 표현의 순서로, 이미지로 표현 요소는 친숙한/ 편안한 이미지-우아한/ 아름다운 이미지-세련된/ 현대적인 이미지-새로운/ 신선한 이미지-엄숙한/ 엄격한 이미지의 순서로, 부분요소로 표현은 성경구절-상징문양-성화-상징색채-상징 수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AHP설문 분석법을 통해 각 요소별 중요도 값을 제시하여 교회건축디자인 의사결정과정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디자인 우선순위 설정에 참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식 특성을 제공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

        GIS기반의 계층분석기법(AHP)을 활용한 부산시 자전거도로망 선정에 관한 연구

        손유진 ( Eu Gene Son ),황인식 ( In Sik Hwa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2 No.4

        자동차 보유대수 증가에 따른 교통 혼잡과 대기오염 및 에너지 과다사용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녹색교통수단인 자전거이용의 중요성이 현저하게 대두되고 있지만, 부산시는 지형적 특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의 한계 등으로 인해 자전거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지리적 여건과 이용활성화를 고려한 자전거도로의 노선선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하여 노선선정 인자의 가중치를 산정하고,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뒤, 산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노선을 도출하였다. GIS 기반에서 AHP 분석을 수행한 결과, 조사의 일관성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었고 임의로 선정된 노선보다 이용수요가 많은 곳으로 노선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향후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노선선정이나 투자 우선순위 결정 등에 본 연구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o solve the problems of traffic congestion, air pollution and energy derived from increased car consumption, people are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green mode, bicycle. Bicycle use rate in Busan is lower due to the terrain and limited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Therefore, geographical conditions and use activation should be initially considered in the bicycle route planning. We calculated a weight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ake a database using GIS tool and deduced the routes applying calculated weight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get reliable data as inspecting consistency of the research. Routes are deducted in the place where using demand is higher than arbitrarily chosen routes. Therefore, the route planning through AHP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area-specialty-reflected route planning or bicycle road alternatives testing.

      • KCI등재후보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국내복귀기업의 복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오준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3 경영컨설팅연구 Vol.13 No.1

        우리나라는 2011년도 처음으로 무역 1조달러를 넘는 쾌거를 달성하였다. 1년이 지난 2012년도 현재 역시 무역 1조 달러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으며 이로써 전세계 무역순위는 8위로 상승할 전망이다. 우리나라와의 교역에 있어 단연 1위 국가는 중국이다. 이와 같은 무역의 눈부신 성장과 함께 해외직접투자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2010년말 기준 국내 중소기업이 해외직접투자한 해외신규법인수는 대기업의 4배 수준에 달하고 있다. 이들 중 제조업 비율이 50%가 넘을 정도로 투자 편중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지역비율 또한 아시아 투자 비율이 60%가 넘어서는 실정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중국시장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최근 자료를 보면 한국 또는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등지의 제 3국으로의 U-Turn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The Investment Path Theory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Dunning and Narula의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중국이라는 시장이 초기에 가지고 있었던 Pull 요인, 즉 풍부한 자원과 저렴한 노동력등 조건의 변화로 일어난 현상이라 볼 수 있겠으나 국가의 경제발전에 있어 중요한 원동력인 중소기업이 이러한 문제에 유연하게 대처하기는 현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현상 파악을 하기 위하여 풍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고 정책결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 집단들을 대상으로 계층분석법 (AHP,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을 거쳐 명확한 상황 판단을 하고 그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정부 사업 평가에 AHP 적용

        조임곤(Im Gon Cho) 경인행정학회 2021 한국정책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예비타당성 조사와 AHP 활용 연구에서 Saaty가 제안한 방법론에서 소홀히 된 점을 요약한 후에, 우리나라 예비타당성 조사에서의 AHP 활용은 Saaty가 제시한 AHP 활용 예의 극히 일부이기 때문에, 정부사업 평가에서 보다 분석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9점척도를 사용하지 않은 절대등급을 활용한 AHP 적용을 제안하고, 지방정부 재정사업 평가에서의 활용, 정량지표의 활용 등의 예를 설명하였다. 또한, 정량지표와 정성지표를 모두 활용하는 평가도 물론 가능하기 때문에 AHP가 정부의 다양한 사업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AHP에서의 9점 척도를 활용하지 않고서도 등급과 같은 절대평가를 하는 경우에도 전문가가 새로운 쌍대비교 행렬을 작성하여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은 일관성 비율이라는 제약 조건 없이 다수의 대안을 비교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많은 정부 사업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and AHP related study in Korea often neglect AHP methodology issues proposed by Saaty. This study claims more broader application of AHP, since the use of AHP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in Korea is only a small part of the examples of AHP application suggested by Saaty. This study shows AHP can be used more extensively in government project evaluation. For example, AHP can prioritize alternatives by includ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dicators. Often the Consistency Ratio (CR) decreases with the number of alternatives. To compensate for this weakness, AHP can use the absolute evaluation method. After evaluating alternatives using absolute evaluation, experts can determine the AHP weight.

      • KCI등재

        AHP를 활용한 주유소 입지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주옥,노태욱 한국부동산연구원 2016 부동산연구 Vol.26 No.4

        This study utilizes AHP to analyze the key factors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gas station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ranking among the factors were derived and the factors determining the location of gas stations were given number ranks. Then the locational factors of the gas stations in Seoul City were analyzed. To this end, the factors were constructed into layers. The upper layer was composed of economic, demographic, land-use, transport factors and the lower economic layers were competition facilities, number of businesses,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and the lower demographic layers were population, population density, local income tax, and the lower land-use layers were use of land, land size, land price and the lower transport layers were traffic, accessibility and visibility. Multiple priority results analysis show that relative importance of factors were ranked as follows: 1st traffic, 2nd accessibility, 3rd competition facilities, 4th visibility, 5th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7th number of businesses, 8th local income tax, 9th use of land, 10th population, 11th land price, 12th land size. Comprehensive assessment of locat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utilizing GIS showed that within Seoul, Yangcheon Area is the best location. 본 연구에서는 AHP를 활용하여 주유소 입지 결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주유소 입지 결정 요인을 순위화 하였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주유소를 사례로 입지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입지 요인들을 계층화하였다. 상위 계층으로는 경제적 요인, 인구학적 요인, 토지 이용 요인, 교통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경제적 요인의 하위 계층은 경쟁 시설, 사업체 수, 자동차 등록 대수, 인구학적 요인의 하위 계층은 인구 수, 인구 밀도, 지방 소득세, 토지 이용 요인의 하위 계층은 용도지역, 부지 규모, 공시지가, 교통 요인의 하위 계층은 교통량, 접근성, 가시성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복합 중요도 분석 결과 1위는 교통량 2위는 접근성, 3위는 경쟁 시설, 4위는 가시성 , 5위는 자동차 등록 대수, 6위 인구 밀도, 7위 사업체 수, 8위 지방 소득세, 9위 용도지역, 10위 인구 수, 11위 공시지가, 12위 부지 규모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GIS를 활용하여 종합적인 입지 평가를 한 결과 서울지역 중에서는 양천구의 입지 조건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후원지속성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정수미,주효진,조주연 한국자치행정학회 201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 후원자들의 후원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우선순위 및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기관 후원자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AHP기법을 활용하여 우선순위 및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후원목적, 기관의 신뢰도, 대상자 특성, 전문성, 공개성 순으로 나타났다. 즉 무엇보다도 후원목적이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 후원목적의 명시를 통한 후원자의 모집과 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기관의 신뢰도가 두 번째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 기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대상자의 특성, 전문성, 공개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및 전략이 후원자들의 후원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스마트축사 확산 중요요인 분석

        김승현,정미애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4

        As global meat consumption increases, the livestock farm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specialized in anticipation of higher productivity and sustainability. Korea is also promoting PLF(Precision Livestock Farming) in order to overcome aging livestock population and respond global livestock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level of domestic PLF technology and services was diagnosed and the priority of important factors for the diffusion of PLF was tested through AHP analysis. As a criterion of priority, the 1st layer consisted of technology development, operation management, and society/environment, and the lower 3rd layers consisted of a total of 16 detailed items. As a result, technology develop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1st layer and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development technology, the improvement of compatibility an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and the increase in usability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3rd layer. In conclusion, unlikely to smart farm for crop cultivation, the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such as sensors, expansion of the range of PLF systems, and compatibility should be considered first for the PLF diff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policies for the PLF diffusion. 글로벌 육류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더 높은 생산성과 지속가능성의 기대 속에 축산 농장의 대형화와 전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축산인구의 고령화와 글로벌 축산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축사의 개발과 확산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장주를 포함한 축산 현장의 전문가 설문을 통해 현장에서 느끼는 국내 스마트 축사 기술 및 서비스의 수준을 진단하고, 스마트축사 확산을 위한 중요요인의 우선순위를 AHP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우선순위의 기준으로 상위 1계층은 기술개발, 운영관리, 사회⋅환경을, 하위 3계층은 총 16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상위기준에서는 기술개발이 가장 중요한 확산 요인이었으며 세부적으로는 개발기술의 수준 향상, 호환성 개선 및 적용범위의 확대, 사용 편이성 증대 등이 중요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시설원예 중심의 스마트팜 확산 요인과 달리 스마트축사의 경우, 경제성 확보나 인프라 등 정부지원 보다 기술개발 특히, 센싱 및 모니터링 기술진보와 호환성 확대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론은 스마트축사의 실질적인 파급과 확산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친환경선박 보급정책의 중요도 분석

        배철수,양원재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1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is tighten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the shipping sector to reduce air pollutants such as greenhouse gases emitted from ships. Meanwhile, the paradigm of the shipbuilding and shipping industries is shifting toward eco-friendly and high-efficiency ships worldwide.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promoting a policy to expand the supply of eco-friendly ships from 2020 to disseminate them. In this articl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 experts on the government's eco-friendly ship supply policy, and the priority of the policy was evalua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priorities for six priority tasks, “Securing the world’s leading technology for future eco-friendly ships” for the development of carbon-free and low carbon ships was the highest.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ship policies through AHP analysis, can be used as data to preemptively respond to inter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o improve policy execution efficiency such as budget allocation and policy development regarding protecting national shipping and shipbuilding industries. 국제해사기구(IMO)에서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온실가스 등 대기오염물질을 감축하기 위해 해운분야 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조선․해운산업의 패러다임이 친환경․고효율 선박으로 전환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친환경선박을 보급하기 위해 2020년부터 친환경선박 보급 확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우리정부의 친환경선박 보급정책에 대하여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하여 정책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6개 중점추진과제 중에서 무탄소 및 저탄소 선박 개발을 위한 “미래 친환경선박 세계 선도 기술확보” 정책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HP 분석을 통한 친환경선박 정책의 중요도를 분석한 본 연구는 국제해양환경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해운 및 조선 산업의 보호와 신산업 육성 측면에서 예산 배분 및 정책개발 등 정책 집행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 설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