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추 퇴행성 신경근증의 치료로 시행하는 경추 경추간공 경막외 신경 차단술에 있어서 스테로이드 사용 유무에 따른 임상 결과

        박유진재진,김성민,정승호,민우기 대한척추외과학회 202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7 No.4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bjective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cervical transforaminal epidural block (CTEB) using local anesthetics with or without a steroid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CSR).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typical mixture for a CTEB is a combination of local anesthetics with a non-particulate steroid. However, there are potential complications related to steroid injections such as steroid-induced osteoporosis,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gland axis suppression, and hyperglycemi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8 to October 2019, 35 patients who underwent CTEB for CS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ases with arm pain over 4 on a visual analog scale (VAS) were included. In the first 19 cases, a combination of 1 mL of 1% lidocaine and 1 mL of dexamethasone was used (group A), and in the next 16 cases, 1 mL of 1% lidocaine mixed with 1 mL of normal saline was used (group B). Arm pain VAS and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were obtained perioperatively. Results: Baseline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groups, the arm pain V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30 minutes, 2 weeks, and 6 weeks post-injection compared to pre-injection values. However, the arm pain aggravated 12 weeks post-injection. The NDI of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6 weeks post-injection compared to pre-injection. The clinical outcomes of arm pain VAS and NDI at 30 minutes, 2 weeks, and 6 weeks post-injection, as well as the amounts of chan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 Conclusions: CTEB for CSR without a steroid improved symptoms by 6 weeks. The degree of improvement was similar to when CTEB was performed with a steroid in terms of VAS and NDI. 연구 계획: 후향적 의무 기록 연구목적: 경추 퇴행성 신경근증에 대해 국소 마취제를 이용한 경추 경추간공 경막외 신경 차단술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스테로이드 혼용 유무에 따른 임상결과의 비교 분석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일반적인 경추 추간공 경막외 신경 차단술에 이용되는 약제는 국소 마취제와 비입자성 스테로이드이다. 하지만, 스테로이드는 이차성 골다공증,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억제 및 고혈당증 등의 잠재적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경추 퇴행성 신경근증에 대해서 경추 경추간공 경막외 차단술을 시행받은 35예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상지의 통증이 VAS 4점 초과인 환자들만 포함하였다. 첫 19예는 1% 리도카인 1 ml와 덱사메타손 1 ml를 혼용하였고(A군), 이후의 16예는 1% 리도카인 1 ml와 1 ml 생리 식염수를 혼용하였다(B군). 상지의 VAS (Visual Analog Scale) 점수와 Neck Disability Index (NDI)를 조사하였다. 결과: 기본 환자 정보는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VAS 점수는 두 군 모두에서 차단술 30분 후, 2주 후, 6주 후에서 술전에 비해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하지만, 두 군 모두 12주 후에는 6주 후에 비해 악화되었다. 차단술 6주 이후 NDI는 술전보다 유의미하게 호전되었다. 차단술 30분 후, 2주 후, 6주 후의 VAS 점수와 NDI는 두 군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경추 경추간공 경막외 차단술을 경추 퇴행성 신경근증에 시행한 경우 6주까지 호전시켰다. 하지만, 스테로이드 사용 유무는 VAS 점수와 NDI 등의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약칭 제목: 경추 경추간공 신경 차단술 시 스테로이드 사용 유무의 임상적 차이

      • KCI등재

        경추 및 요추 퇴행성 척추전위증의 병발성 유병률

        박문수,황지효,김태환,오재근,장호근,김형준,박건태,임진규,K. Daniel Riew 대한척추외과학회 201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5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radiographic study. Objective: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current degenerative cervical and lumbar spondylolisthe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Concurrent degenerative cervical and lumbar spondylotic diseases have been reported. Given that severe spondylosis can result in spondylolisthesis, one might expect that concurrent spondylolisthesis of the cervical and lumbar spines might also be prevalent. However, the incidence of spondylolistheses in the lumbar and cervical spines might differ due to anatomical differences between the 2 areas. Nonetheless, there is minimal information in the literature concerning the incidence of concurrent cervical and lumbar spondylolisthesis. Material and Methods: We evaluated standing cervical and lumbar lateral radiographs of 2510 patients with spondylosis. Concurrence, age group, gender, and direction of spondylolisthesis were evaluated. Lumbar spondylolisthesis was defined as at least Meyerding grade I and degenerative cervical spondylolisthesis was defined as over 2 mm of displacement on standing lateral radiographs. Results: Lumbar spondylolisthesis was found in 125 patients (5.0%) and cervical spondylolisthesis was found in 193 patients (7.7%). Seventeen patients had both degenerative cervical and lumbar spondylolistheses (0.7%). Lumbar spondylolisthesis is a risk factor for coexisting cervical spondylolisthesis. Lumbar spondylolisthesis was more common in females than males, independent of advancing age. In contrast, degenerative cervical spondylolisthesis was more common in older patients, independent of gender. Anterolisthesis was more common in the lumbar spine. Retrolisthesis was more common in the cervical spine. Conclusions: There was a higher prevalence of degenerative cervical spondylolisthesis in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spondylolisthesis. 연구 계획: 후향적 방사선 연구목적: 경추와 요추에 동시에 발생한 퇴행성 척추전위증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연구논문의 요약: 경추와 요추에 동시에 발생한 퇴행성 척추질환에 대한 여러 보고가 있었다. 퇴행성 척추전위증은 퇴행성 변화에 의하여 시발되므로 경추와 요추에 척추전위증이 병발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에, 요추와 경추의 해부학적 구조가 서로 다르므로 두 질환의 진행이 동일하지 않을 것으로추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경추와 요추에 동시에 발생한 퇴행성 척추전위증에 대한 보고는 적었다. 대상 및 방법: 요추 및 경추 부위에 기립위 단순방사선 검사를 둘다 시행한 퇴행성 척추 질환 환자 2,5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발여부, 나이, 성별, 전위증의 방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퇴행성 요추전위증은 기립위 단순방사선영상에서 Meyerding 방법을 사용하여 grade 1 이상인 경우 진단하였으며 퇴행성 경추전위증은 기립위 단순방사선영상에서 2 mm 이상의 전위가 보이는 경우 진단하였다. 결과: 퇴행성 요추전위증은 125명에서 관찰되었으며(5.0%) 퇴행성 경추전위증은 193명에서 관찰되었다(7.7%). 요추전위증과 경추전위증은 17명에서같이 관찰되었다(0.7%). 요추전위증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에 비하여 경추전위증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 요추전위증은 남자보다 여자에서 더 흔하였으나, 모든 연령군에서 비슷하게 발생하였다. 경추전위증은 고령의 연령군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남녀의 발생 비율이 비슷하였다. 요추전위증에서는전방으로 많이 발생하였고, 경추전위증에서는 후방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 퇴행성 요추전위증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퇴행성 경추전위증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약칭 제목: 동시에 발생한 척추전위증

      • KCI등재

        경추 시상면 정렬 평가 시 전 척추 측면 방사선과 비교한 경추 측면 방사선의 상관관계 및 유용성

        최병완,박경구 대한척추외과학회 202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7 No.2

        Study Design: Retrospective analysis.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and usefulness of lateral cervical radiographs compared with wholespine sagittal lateral radiographs for evaluating cervical sagittal alignmen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ew reports have compared cervical lateral radiographs with whole-spine sagittal radi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81 patients with both cervical standing lateral radiographs and whole-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s. The radiographs were evaluated using the following sagittal alignment parameters: C2-7 lordosis, C2-7 sagittal vertical axis (SVA), T1 slope, spino-cranial angle (SCA), and whole-spine SVA.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radiograp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age and the measured sagittal parameters were compared across groups. An analysis according to clinical symptoms was also done. Results: C2-7 lordosis was 16.86° and 15.76°, C2-7 SVA was 15.76° and 16.86°, T1 slope was 29.03° and 22.49°, and SCA was 74.74° and 74.5°, respectively, on the cervical and whole spine radiographs. The whole-spine SVA was -2.64 mm.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types of radiographs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for each sagittal parameter. The whole-spine SVA was related with wholespine C2-7 lordosis, T1 slope, and SCA. Cervical C2-7 lordosis and the whole-spine SVA increased with age. A decrease of C2-7 lordosis on whole-spine radiographs was shown in patients with neck pain. Conclusions: Cervical SVA and T1 slope were lower on whole-spine standing lateral radiographs than on simple cervical lateral radiographs. The cervical sagittal parameters measured on cervical radiographs were correlated with those measured on whole-spine radiographs. Cervical radiographs can be used to replace whole-spine radiographs with due consideration of these finding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경추 시상면 정렬 분석에서 경추 측면 방사선과 전 척추 기립 측면 방사선 사이의 관계에 대한 분석 대상이 적고, 상이한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목적: 경추 시상면 정렬의 평가 시 경추 측면 방사선을 전 척추 측면 방사선과 비교하여 그 연관 정도 및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추 기립 측면 단순 방사선과 전 척추 기립 측면 사진을 모두 시행한 1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C2-7 전만각, C2-7 시상수직 축, T1 경사각, 척추 두개 각, 전 척추 시상 수직 축을 측정하였다. 두 방사선학적 방법의 측정치 간 차이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을 연령에 따라 39세 이하, 40-59세, 60-79세, 80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각 측정치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임상적 증상 여부에 따른 측정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C2-7 전만각(경추/전 척추)은 16.86/15.76도, C2-7 시상 수직 축은 21.22/17.32 mm, T1 경사각은 29.03/22.49도, 척추 두개 각은 74.74/74.5도이었고, 전 척추 시상축은 -2.64 mm이었다. 경추와 전 척추 방사선의 측정치 간의 상관 관계 분석에서 각각 모든 인자는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였고, 전척추 시상 수직 축은 전 척추 C2-7 시상 수직 축, T1 경사각, 척추 두개 각과 상관 관계를 보였다. 연령 별 각 수치의 변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경추 전만과 전 척추 시상 수직 축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목 통증 여부에 따른 분석에서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전 적추 C2-7 전만 소실만 보였다. 결론: 전 척추 기립 측면 촬영 시 일상적 경추 측면 방사선에 비해 경추 시상 수직 축과 T1 경사각이 감소하였다. 경추 측면 방사선 소견은 전 척추 기립소견과 모든 측정치에서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여 전 척추 기립 사진을 대체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경추 정면 검사에서 방사선 입사각에 관한 연구

        정성운(Seung-Woon Jeung),임청환(Cheong-Hwan Lim),한범희(Beom-Hee Han),정홍량(Hong-Ryang Jung),주영철(Yeong-Cheol Joo),박미자(Mi-Ja Park)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2 방사선기술과학 Vol.35 No.2

        경추 정면 방사선검사 시 하악골, 후두골의 겹침 방지, 경추 추체의 배열 및 관절의 형태 등을 관찰하기 위하여 X선 입사각을 머리 방향으로 15~20°를 주고 있는 것이 보편적이다. 하지만 한국인의 체형에 맞는 입사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 적합한 입사각을 찾고,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입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산에 위치한 S병원을 내원한 환자 1,04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제 2번 ~ 제 5번 경추의 길이, 피사체-영상판 거리(OID), 제2번 경추(axis)의 경사도, 초점 - 영상판 간거리(FID)를 측정하였으며, 연령대 성별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여 적용공식에 의하여 입사각을 산출하였다. 경추 제 2번~제 5번의 평균길이는 6 ㎝ 이였으며, 10대부터 20대 까지는 경추의 길이가 커지고 30대 이후로는 경추의 길이가 작아졌으며,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약 1 ㎝ 차이가 나타났다(p<.001). OFD는 연령대, 성별과 상관없이 거의 같은 값이 측정이 되었다. 제2번 경추(axis)의 경사도는 10대와 20대는 경사도가 증가하였지만, 30대 이후로는 작게 나타났다. 또한 남성과 여성은 약 2°차이가 났다. (p<.001). FID의 측정 결과, 연령대, 성별과 상관없이 거의 같은 값이 측정되었으며, 이 값 으로 입사각을 측정한 결과, 10대는 15.9°, 20대 16.9°, 30대 16.6°, 40대 16.2°, 50대 15.9°, 60대 14.5°로 측정 되었다. 10대와 20대까지 입사각이 증가하였지만, 30대 부터는 입사각이 작게 나타났다. 또한 10대는 남 성과 여성이 같은 값으로 측정이 되었고, 20대 부터는 남성과 여성이 2°차이가 나타났다. 입사각과 제 2번~ 제 5번 경추의 길이측정, OID, 제2번 경추의 경사도, FID 와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입사각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1). 본 연구에서 경추의 평균 길이, OID, FID, 제2번 경추 (axis)의 경사도에 따라서 입사각이 다르게 나타났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 입사각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경추 정면검사 시 연령, 성별을 고려하여 입사각을 설정하면서 검사를 시행하여야 함이 사료되며, 향후 경추검사의 입사각을 설정할 때 참고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anteroposterior projection for cervical vertebra, it is general that the incidence angle of X-ray is 15° to 20° degrees to head in order to prevent overlap of mandible and occipital bone and to observe array of cervical interbody and shapes of joints. However, the angle is appropriate for foreigners that was determined by foreign literature review long ago, and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f incidence angle for Koreans’ body type. The purpose of in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incidence angle appropriate for Koreans and to present methodology. In order to measure the incidence angle, 1,044 patients who visited S Hospital located in Seosan were selected and measured of average length of cervical vertebra, OID, axis angle, and FID. The incidence angle was calculated from the applied formula by measuring average values per age groups and sex (see Formula 1 and 2). The average length of cervical vertebra was 6cm: the length was increased from teenagers to twenties but was decreased since thirties.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as around 1cm (p<.01). The OID was almost the same regardless of age groups and sex. As for axis angle, the slope was increased in teenagers and twenties, but was decreased since thirties. The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as around 2 degrees (p<.01). The FID measurements were almost the same regardless of age groups and sex, and when the incidence angle was measured from these values, the teenagers were 15.9°, the twenties were 16.9°, the thirties were 16.6°, the forties were 16.2°, the fifties were 15.9°, and the sixties were 14.5°, indicating that the angle was increased from teenagers to the twenties but decreased since the thirties. While the angles of males and females were measured to be the same in the teenagers, the angle was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by 2°. When the incidence angl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measurement of average length of cervical vertebra, OID, axis angle, and FID, all of them were shown to have correlations with the incidence angle (p<.01). Conclusively, it was shown that the incidence angle was measured differently from average length of cervical vertebra, OID, FID, and axis slope, as well as from age and sex.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anteroposterior radiation test for cervical vertebra should be conducted by different incidence angles based on age and sex. The data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reference in determining the incidence angle of cervical vertebra tests for the future.

      • K-Means 클러스터링과 스미어링 기법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에서의 경추 추출

        한민수(Min-Su Han),김광백(Kwang-Baek Kim)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3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6

        경추의 손상 및 목통증과 같이 목 부위가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경추 근육의 안정적인 수축-이완의 정도를 측정하며, 정확하고 객관적인 초음파 영상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객관적으로 경추 근육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경추 부위의 초음파 영상에서 존재하는 첫 번째 경추 객체의 말단 좌표를 기준점으로 설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K-Means Clustering과 스미어링 기법을 적용하여 경추 초음파 영상에서 경추 객체를 추출하고, 경추 근육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초음파 영상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경추 추출 방법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경추 객체가 추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술 전 경추 시상면 정렬과 운동범위가 전방 경추 유합술후의 인접관절 퇴행성 변화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가? - 중기 추시 연구 -

        송경진,이광복,임종한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1 No.1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reoperative sagittal alignment and range of motion (ROM) affect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ASD) and disease after anterior arthrodesis in degenerative cervical spinal disorder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There is no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eoperative ROM and sagittal alignment and thedevelopment of ASD yet. Materials and Methods: We took a retrospective approach to study 136 patients who underwent an anterior arthodesis for less than 2segments with PEEK cage and plate construct method for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s and who have a minimum of 3 years of followup. We analyzed ASD and cervical ROM, such as less than 40°(group A) and more than 40°(group B) and sagittal alignment, such aslordosis or kyphosis with less than 10°(group a), 10°~30°(group b) and more than 30°(group c).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wasgraded according to Park’s classification and Hillibrand method.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A(1.35±0.48) and group B (1.44±0.50) in the correlation betweenthe cervical ROM and the variation of disc height(p=0.07).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M and osteophyte formation onadjacent segmen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found between group A(1.64±0.88) and group B(1.43±0.67) (p=0.06). The disc height change at the final follow up after cervical sagittal alignmen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groups: Group A presented with 1.53±0.50, group B with 1.30±0.46 and group C with 1.40±0.50.(p=0.08) Regarding sagittal alignment andosteophyte chan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s group A showed an average of 1.33±0.48, groupBan average of 1.56±0.88 and group Can average of 1.60±0.82(p=0.07). Conclusion: Although the preoperative sagittal alignment and RO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anddiseases in a mid-term follow-up evaluation after anterior arthrodesis with PEEK cage and plate in degenerative cervical spinal disorders,we think a future study is required with a sufficient number of patients and a long term follow-up because there were borderlinestatistical significances shown in the present study. 연구계획:후향적 연구목적: 퇴행성 경추질환에서 전방 유합술 후 수술 전 경추시상면 정렬과 운동 범위가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와 인접 분절 질환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현재까지 술전시상면 정렬과 운동범위와 인접분절 퇴행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경추 질환에 대하여 PEEK 케이지 및 금속판 이용한 2분절 이하의 전방 유합술을 시행 후, 3 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운동 범위를 40도 미만(A군), 40도 이상(B군)으로, 경추시상면 정렬은 후만 또는 전만 10도 이하(a군),10-30도 전만(b군), 30도 이상(c군)으로 구분하여 인접 분절 퇴행성 변화와 인접분절 질환 발생과의 연관성에 대하여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경추의 운동 범위와 디스크 높이의 변화의 관계는 A군에서 1.35±0.48점, B군 1.44±0.5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7). 운동 범위와 인접 분절의 골극 형성의 관계는 A군에서 평균 1.64±0.88점이며, B 군에서 평균 1.43±0.67점으로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6). 경추의시상면 정렬에 따른 최종 추시시 디스크 높이의 변화는 a군에서 1.53±0.50점, b군 1.30±0.46점, c군에서 1.40±0.5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8). 시상면 정렬과 골극 변화의 관계에서 a군 평균은 1.33±0.48, b군 평균은 1.56±0.88, c군 평균은 1.60±0.82로, 통계학적으로 각 군 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 =0.07). 결론: 비록 퇴행성 경추 질환에서 전방 유합술 후 중 중기추시 상 수술 전 시상면 정렬과 운동 범위가 인접 분절 퇴행성 변화와 인접 분절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KCI등재

        T1 시상각이 큰 환자에서 경추 만곡이 경추간판 퇴행에 미치는 영향

        홍성하,이승환,박병문,송경섭,임성태 대한척추외과학회 201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5 No.2

        Study Design: Retrospective evaluation. Objectives: To analyze the effect of cervical lordosis on cervical disc degeneration in patients with a high T1 slop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T1 slope is known to be a parameter that may be very useful in evaluating sagittal balance. We previously reported that a low T1 slope was a potential risk factor for cervical spondylosis, especially in the C6-7 cervical segment. However, no study has analyzed the effect of cervical lordosis in patients with a high T1 slope (>25) on cervical disc degen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seven patients with a high T1 slope who underwent cervical spine MRI in our orthopedic clinic were enroll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cervical compensation. The radiologic parameters obtained from radiography and cervical spine MRI were compared between the uncompensated group (cervical lordosis <25) and the compensated group (cervical lordosis ≥25). Results: In the uncompensated group, the average degeneration grade of each segment was 2.72 (±0.70) in C2-3, 3.00 (±0.76) in C3-4, 3.02 (±0.91) in C4-5, 3.37 (±0.95) in C5-6, and 2.95 (±0.98) in C6-7. The average degeneration grade of each segment in the compensated group was 2.38 (±0.78) in C2-3, 2.38 (±0.60) in C3-4, 2.62 (±0.60) in C4-5, 2.82 (±0.72) in C5-6, and 2.41 (±0.74) in C6-7. The degeneration gra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compensated group than in the compensated group for all cervical segments. The risk of high-grade degeneration of C3-4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compensated group (odds ratio = 6.268; 95% CI, 2.232-17.601; p<.001). Conclusions: Patients with a high T1 slope without compensation of cervical lordosis had a higher grade of degeneration in all cervical segments.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T1 시상각이 큰 환자들에서 경추 만곡에 의한 보상이 경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T1 시상각은 시상 균형을 평가하는 유용한 지표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T1 시상각이 낮은 경우 제 6-7 경추간판의 퇴행성 변화가 많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T1 시상각이 큰 환자(>25)에서 경추 만곡의 보상이 경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분석하지않았다. 대상 및 방법: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경추부 MRI를 촬영한 환자들 중 T1 시상각이 25도 보다 큰 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을 경추 만곡의보상에 따라 비보상군(경추 만곡<25)과 보상군(경추 만곡≥25)으로 분류하였다. 경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는 Miyazaki 분류에 따라 다섯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간의 방사선학적 지표와 MRI상의 추간판 퇴행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비보상군에서 경추간판의 평균 퇴행 등급은 제 2-3경추간에서 2.72, 제 3-4경추간에서 3.00, 제 4-5경추간에서 3.02, 제 5-6경추간에서 3.37, 제6-7경추간에서 2.95로 나타났다. 보상군에서 경추간판의 평균 퇴행 등급은 제 2-3경추간에서 2.38, 제 3-4경추간에서 2.38, 제 4-5경추간에 서 2.62, 제5-6경추간에서 2.82, 제 6-7경추간에서 2.41로 나타났다. 모든 경추 분절에서 퇴행성 변화가 비보상군에서 보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제 3-4경추간판에서 3등급 이상의 심한 퇴행 등급의 비율 역시 비보상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OR 6.268, 95% CI 2.232-17.601, p<0.001). 결론: T1 시상각이 25도보다 큰 환자들에서 경추 만곡의 보상이 없는 경우 경추간판 전체에서 퇴행성 변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칭 제목: 경추 만곡에 의한 보상

      • KCI등재

        전방 경추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후 경추부 연부조직 부종

        석경수(Kyung-Soo Suk),김기택(Ki-Tack Kim),이정희(Jung-Hee Lee),이상훈(Sang-Hoon Lee),김진수(Jin-Soo Kim),최일헌(Il-H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2

        목적: 경추부 전방 수술 후 연부조직 부종의 단기 자연 경과를 조사하여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기도 폐색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특히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군과 케이지(Cage) 사용군을 비교하여 어떤 술식이 부종을 덜 일으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도달법으로 경추부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을 시행할 환자 113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87명은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26명은 케이지를 사용하였다. 수술 전, 수술 직후, 수술 후 1일, 2일, 3일, 4일, 5일에 경추부 측면 단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제2경추에서 제6경추까지 각각의 전방 연부조직의 전, 후 직경을 측정하였다. 결과: 경추부 전방 연부조직의 부종은 수술 후 발생하였으며 그 정도는 술 후 2일째 및 술 후 3일째에 가장 심하였다. 술 후 4일째부터 부종이 점차 감소하였다. 경추부 전방 연부조직의 부종은 제2, 3, 4경추의 전방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제5 경추 및 제6경추에서의 변화는 경미하였다. 제5경추 상방에서 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하방에서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부종의 정도가 더 심하였다. 1분절에 수술을 시행한 군과 2분절에 수술을 시행한 군간에 경추부 전방 연부조직의 부종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서 케이지를 사용한 군에 비하여 부종의 정도가 더 심하였다. 결론: 경추 추간판 제거 및 유합술 후 경추부 전방 연부조직의 부종은 술 후 2, 3일경에 가장 심하였으며,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케이지를 사용한 경우 부종의 정도가 경미하였다. Purpose: We wanted to identify the natural course of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after performing one-level or two-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and we compared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between the plate and cage groups, and we wanted to help preventing potentially lethal airway complications after ACDF.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hirteen patients who underwent one-level or two-level ACDF with plate and screws or cages were studied. Eighty-seven patients underwent ACDF using plates and twenty-six underwent ACDF using cages. Cervical spine lateral radiography was taken preoperatively, o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day and on the 1 st, 2nd, 3rd, 4th and 5th days after surgery.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was measured from C2 to C6 on the cervical spine lateral radiography. Results: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occurred postoperatively and the peak level was found on the second and third days after surgery.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fourth day after surgery. Prominent swelling of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was found at the 2nd, 3rd and 4th cervical spin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between the one-level and two-level ACDF groups. The cage insertion group showed less swelling than did the plate fixation group. Conclusion: The peak prevertebral soft tissue swelling was found on the second and third days after surgery. The cage insertion group showed less swelling than did the plate fixation group.

      • KCI등재

        다분절 경추증에서 경추 후궁 성형술과 경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의 결과 비교

        이철원,강진헌,이규열,성현우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3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wante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laminoplasty and laminectomy & fusion to treat multilevel cervical spondylosis.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Laminoplasty and laminectomy & fusion are being increasingly used to treat multilevel cervical spondylosis, but definitive guideline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Materials and Methods: Fifty eight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a year and who were treated for multilevel cervical spondylosis with either laminoplasty or laminectomy & fusion between March 2000 and March 2009 were reviewed. Twenty eight patients who underwent laminectomy & fusion were matched with 30 patients who underwent laminoplasty. Results: The laminoplasty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The cervical lordosis for the preoperative and latest sagittal alignment in the laminoplasty group decreased from 14 degrees to 5 degrees and the cervical kyphosis in the laminectomy & fusion group increased from 10 degrees to 15degrees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3 cases with less than 5 degrees of cervical lordosis in the laminoplasty group showed progression of kyphosis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The clinical outcomes of laminoplasty for multilevel cervical spondylosis were better than those of laminectomy & fusion.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study for laminectomy & fusion is needed to prevent the long-term progress of cervical kyphosis in cases with preoperatively decreased cervical lordosis of less than 5 degrees, though it is impossible to make such comparisons with the small number of cases in our study. 연구계획: 다분절 경추증의 치료에서 경추 후궁 성형술과 경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는 후향적 연구. 목적: 다분절 경추증의 치료에서 우수한 방법으로 점진적으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경추 후궁 성형술과 경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에 대한 임상적 및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다분절 경추증의 치료에서 경추 후궁 성형술과 경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치료 지침이확립되어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다분절 경추증의 치료에서 경추 후궁 성형술과 경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 중 1년 이상추시 가능한 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30명은 경추 후궁 성형술을 시행하였고, 28명은 경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와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는 경추 후궁 성형술 군에서 통계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술 전과 최종 추시시의 시상 정렬은 경추 후궁 성형술 군의 경우 경추 전만곡이 14도에서 5도로 감소하였고, 경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 군의 경우 경추 후만곡이 10도에서 15도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경추 후궁 성형술을 시행한 군 중 경추전만곡이 5도 이하인 3예에서 최종 추시시에 경추 후만곡이 진행되었다. 결론: 다분절 경추증의 치료에서 경추 후궁 성형술이 경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보다 임상적 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5도 이하로 전만각이 감소한 경우에는 장기적인 경과관찰이 필요하며 경추 후만곡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경추 후궁 절제술 및 유합술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급성 경추부 척수 손상에 미치는 경추증의 영향

        서형연,정재윤,김기형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4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ervical spondylosis on an acute cervical spinal cord inju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no re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rvical spondylosis and acute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ix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ve treatment for acute cervical injuries with spinal cord injury were evaluated. The mean age and follow-up period was 58 years and 2.2 years, respectively.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examining the causes of the injur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fra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ervical spondylosis. This study compared the degrees of postoperative neurological recovery with motor index score i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cervical spondylosis. Results: Cervical cord injuries were more prevalent in the group 60 years and older; 17 cases vs. 9 cases in the group under 60 years. Eleven (65%) and 6 (35%) cases in the group 60 years and older had sustained a high and low energy injury, respectively. In contrast,mostly high energy injuries (8 in 9 cases) were encountered in the group under 60 years of age. A low energy injury could cause a acute cervical cord injury in the group 60 years and older, who also had cervical spondylosis. In those cases, previous cervical spondylosis might be one of the etiologic factors. Conclusions: The cases with cervical spondylosis in the group 60 years and older tended to show incomplete cord injury and good postoperative neurological recovery when they had sustained cervical cord injuries. 연구계획: 급성 경추부 척수 손상과 경추증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목적: 척수 손상이 동반된 급성 경추 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을 분석하여, 손상의 원인 및 정도, 경추증의 유무, 손상의 종류, 수술의 방법, 치료 결과, 신경학적 회복의 정도 등을 조사하여 경추증이 급성 경추부 척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급성 경추부 척수 손상과 경추증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척수손상이 동반된 급성 경추부 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았던 환자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2년이었다. 남자가 19례, 여자가 6례, 평균 연령은 58세(17세-81세)이었다. 경추증의 유무에 따른 손상의 원인, 골절의 기전, 술전 및 최종추시에서의 근력평가지수 등을 조사하였고 신경학적 회복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60세 이하가 9명, 60세 이상의 환자가 17명으로 60세 이상군에서 척수 손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60세 이하 9명중 8명(89%)이 고에너지 손상이었던 것에 반해, 60세 이상 17명중에서는 고에너지 손상이 11례(65%), 저에너지 손상이 6례(35%)로 저에너지 손상에서도 척수 손상이 비교적 많이 동반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에서는 기왕의 경추증이 동반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추증이 있는 예에서는 불완전 척수 손상이 많았으며, 수술후 신경학적 회복율이 다른 예에서보다 양호하였다. 결론: 6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도 경추부 손상시 급성 척수 손상이 많이 동반되고 있었으며, 이 경우에는 저에너지 손상에 의한 불완전 척수 손상이 많았다. 기왕의 경추증이 한 원인으로 조사되었고, 수술적 치료 후에 상대적으로 양호한 신경학적 회복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