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병완 대신대학 1993 논문집 Vol.13 No.-
관료부패현상은 국가사회발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그 통제전략에 대한 논의는 중요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관료부패의 통제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관료부패의 문제발생요인과 그 통제 실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관료부패 통제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탈현상이라는 점, 경찰 소방
외상성 경추 손상 후 수상에서 응급수술까지의 시간 지연과 관련된 인자
최병완,김성수,김호진 대한척추외과학회 202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8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case analysis.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ime interval between trauma and emergency surgery in individuals with cervical spine trau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atient-related and healthcare-related factors could influence surgical delay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is issue in Kore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In 145 cases of traumatic cervical spinal injury, we evaluated the time between trauma and arrival at the emergency room (ER), as well as the time between trauma and emergency surgery. The following factor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time between trauma and emergency surgery: age, sex, department, the time between trauma and arrival at the emergency room (ER), the time interval until the first medical assessment, whether the injury occurred on a weekday or weekend, the physician at the first assessment, previous visits to other hospitals, combined injuries, the cause of the injury, and whether the patient had consumed alcohol. Results: The total average time between trauma and operation was 89.53 hours. This interva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ime intervals until arrival at the ER (15.46 hours), until the first assessment (2.03 hours), and until emergency surgery (72.03 hours) (p<0.001). The first-assessment physician (p=0.043) and ASIA impairment score (p<0.001) were related to an early operation. Severity of paralysis was related to the time until arrival (p=0.008), the first assessment (p=0.009), and emergency surgery (p<0.001). Conclusions: The time between trauma and emergency surgery in patients with a cervical spine injury was related to the time between the first assessment and surgery. Early surgery tended to be performed when paralysis was severe, surgery was performed by the department that conducted the first assessment, surgical planning was faster, and there was access to the operating room. 연구 계획: 후향적 분석목적: 외상성 경추 손상 환자의 치료 시 수상부터 응급 수술까지의 시간에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여 조기 수술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외상성 척수 손상의 환자의 조기 수술 가능 여부와 관련하여 환자 자신과 의료 서비스적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국내 보고는 미흡하다. 대상 및 방법: 외상성 경추 손상으로 응급실로 내원하여 수술을 시행한 145명을 대상으로 수상부터 병원 내원, 응급수술까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수상부터 수술까지 시간을 기준으로 환자의 나이, 성별, 해당과, 수상부터 응급실 도착 시간, 응급실에서 해당과 진찰 시간, 주중과 주말, 초진의, 타 병원 방문 여부, 동반된 타과 손상 여부, 수상 기전, 음주 여부와 연관 여부를 확인하였고 임상적으로 ASIA 마비 정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상부터 수술까지 시간은 총 89.53(±1.53)시간으로 수상부터 응급실 도착까지 15.46(±44.62) 시간(r=0.491, p<0.001), 도착부터 해당과 진료까지 2.03(±1.53)시간(r=0.286, p<0.001), 진료부터 수술까지 72.03(±101.18)시간(r=0.923, p<0.001) 과 상관 관계를 보였다. 분석 인자 중 초진의(p=0.043), ASIA 마비 정도(p<0.001)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마비의 정도가 심할수록 외상부터 병원 내원(p=0.008), 내원 후 해당과 진료(p=0.009), 진료 후 수술까지 시간(p<0.001)이 짧았다. 결론: 경추 외상 환자의 수상 후 응급수술까지는 해당과 진료부터 수술까지의 시간이 가장 연관이 많았다. 마비 증상이 심한 경우 조속한 전문과 진료와 빠른 수술 결정으로 조기 수술이 시행되었다.
불완전 절제된 무지구근 활막육종에서 광범위 절제술후 비골 이식술과 전외측 대퇴부 유리 피판 이식술 - 증례 보고 -
최병완,김정렬,Choi, Byung-Wan,Kim, Jung-Ryu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활막 육종은 수부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며 광범위 절제술을 요한다. 수부의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할 때는 충분한 절제연을 얻어야 하지만 기능적인 면을 고려한 재건술이 요구된다. 저자들은 타병원에서 불완전 병소내 절제술후 전원된, 46세 남자의 우측 수지 무지구근 부위 활막육종에 대해 대능형골 및 제1 중수지골을 포함한 광범위 절제술 후, 비골 이식술과 전외측 대퇴 피판 이식술을 시행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은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