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척추 신경 차단술 환자 특성이 주사시술의 공포감과 방사선의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차진영(Jin-Young Cha),성열훈(Youl-Hun Seou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22 방사선기술과학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underwent spinal nerve block on the fear of injection and the risk of radiation. Subjects were 137 patients (67 males, 70 female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in Cheongju. The method was conducted as a research study using a total of 28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patient characteristics,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nerve block surgery, nerve block fear scale, and radiation risk perception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was secured with a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of 0.6 or higher. For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was tes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by measurement scale and factor. As a result, the fear scale of nerve bloc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p<0.05). The fear scale of nerve block inj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rst-visit patients than in the second-visited patien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variables in radiation risk perception. In conclusion, patients undergoing spinal nerve block were more aware of the fear of injection than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during the procedure.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개정에 따른 이동형 방사선검사의 개선방안
최준구(Jun-Gu Choi),김경수(Gyeong-Su Kim),김병기(Byeong-Gi Kim),안남준(Nam-Jun Ahn),김형선(Hyeong-Sun Kim),김상건(Sang-Geon Kim),임시은(Si-Eun L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1
방사선종사자와 환자 및 보호자의 안전을 위해 개정된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 규칙이 2006년 2월 10일 공포되었다. 이 규칙에는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을 제외한 곳의 방사선검사 시 반드시 방사선방어 용칸막이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동형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안전하게 관리하여, 방사선으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고, 환자 및 보호자들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고객 불만사항들을 최소화 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은 병실 이동형 방사선검사환경과 본원의 의료정보시스템(KIS) 및 의료영상전송시스템(PACS)의 통계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병실 이동형 방사선검사 시 환자 상태 및 감염 등 관련 정보를 조사하여 자료화 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한 이동형 방사선검사에 대한 개정된 규칙을 적용할 경우 고려되는 문제점은 공간적인 측면에서의 제약, 운영적인 측면에서의 인력 및 비용, 업무적인 측면에서 환자 및 보호자 만족도저하 등의 문제가 예상되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인병실의 검사를 제한하고, 각 병동에 있는 치료실을 이용하여 검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전체 병실 이동형 방사선검사율이 50% 가까이 감소하였고, 거동이 양호한 환자의 병실 이동형 방사선검사율도 85% 이상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새로운 법 규정에 따라 예상되는 인력, 비용, 고객만족도 저하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었다. 또한 병실 이동형 방사선검사로 인한 환자 및 보호자를 방사선노출로부터 보호하고, 검사로 인한 주위 환자 및 보호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의의가 있다. A safety management rule of the diagnosis radiation system which opened a court 2006 February 10th was promulgated for safety of the radiation worker, patients and patients" family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injury by radiation that can happen to patients and people around a sick ward when managing mobile X-ray system. This study analyzed sickroom environment of mobile X-ray examination and the statistical data of the Konkuk medical Information System(KIS) and the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PAC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patient conditions, infection, relation information and related data, when the sickroom mobile X-ray examination is used. Through data analysis, many problems were expected such as restriction of space side, manpower and expense of business side, satisfaction degree decline of patient and protector of operation side. Therefore, we tried to restrict examination of multi bed sickroom, and to use treatment room in each ward to solve problem mentioned. As a result, the whole sickroom mobile X-ray examination rate decreased to near 50%, and mobile X-ray examination rate for inpatients decreased to more than 85%. This study shows that several attempts we did should be helpful for manpower, patients satisfaction and expenses. Also, they should protect patients in sickroom from unnecessary radiation exposure and could minimize inconvenience of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from x-ray examination.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의 방사선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현황과 개선 방향
김창수(Chang-Soo Kim),김화곤(Hwa-Go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5 방사선기술과학 Vol.28 No.2
현대사회의 IT 정보통신 인터넷 관련 산업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이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동통신의 종주국을 자랑이라도 하듯이 단말기의 관련기술 및 생산도 세계의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이처럼IT분야는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나,방사선학과의 학부로서 정보통신 관련교육은 이에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학부로서의 인격 및 지식교육과 방사선사로서의 기술 및 직업교육의 교과 과정은 현재의 IT 환경과 실제 임상의 디지털 관련 장비의 인터페이스에 적응하기는 다소 힘들다. 특히 의료 디지털 환경 및 병원의 정보화로 방사선과에서의 방사선사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정보 통신영역의 교육과정의 개선 및 새로운 과정의 제안은 디지털 사회의 변화에 적응할 뿐만 아니라 방사선사의 자질 및 위상을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방사선 환경에서의 방사선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각 대학 및 대학교별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며, 그 현황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IT communication industries of current society are developed in enormous growth, our country leading the world in the number of super high speed internet equipments in use. In the pride oneself on communication network of those, mobile terminal technology and wireless phone production hold a high rank. 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may be the fastest growing technologies in our culture today. In this way, IT fields conjugated in the daily quick, the fact that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idn't discharged one's duties on current IT education. The curriculum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that play an important part between skill and occupation's education as major and personality didn't performed one's part most effectively on current IT environments and digital radiological equipments interface. Therefore, in this paper current curriculum of radiological science are catched hold of trend and problems on digital radiology environments, on fact the present state of problems, for radiological engineering and HIS manager, new curriculum course are suggested a reform measure of culture and major education curriculum introduction.
Key Image를 포함한 방사선과 판독결과지 표준전송시스템 개발
김선칠(Seon-Chil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1
의료정보의 전달과정과 저장은 공유를 목적으로 함으로써 기본적인 표준안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현재 방사선과 판독결과와 관련하여 DICOM SR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를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도 현재 개인평생전자의무기록 관리체계를 구축하려는 시스템에서 표준으로 내세우는 CDA형태의 판독결과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사선과 판독결과지를 PACS내에서 자동으로 CDA로 생성하는 Module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시켰으며, 이 결과지 안에는 검사결과뿐만 아니라, 판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Key Image를 내포하여 파일형태로 전송 저장하게 하였다. 상호 이질적인 시스템이라 할지라도 정보의 분석과 저장이 용이하게 구현하여 적용시켰으며, 고가의 의료장비가 부족한 지역과 대형, 3차 진료기관과의 방사선과 결과 정보의 공유를 통해 의료서비스를 개선시키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Development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nd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is not new in the medical field,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information technology are also universal. In the course of such development, however, it is hard to share medical information without a refined standard format.<BR> Especially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the role of PACS has become very important in interchanging information with other disparate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A specific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that radiological reports are archived into a database efficiently. This includes sharing of medical images. A model is suggested in this study in which an internal system is developed where radiologists store necessary images and transmit them in the standard international clinical format,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nd share the information with hospitals. CDA document generator was made to generate a new file format and separate the existing storage system from the new system. This was to ensure the access to required data in XML documents. Th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added a process where crucial images in reading are inserted in the CDA radiological report generato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storage and transmission model for CDA document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COM SR. Radiological reports could be better shared, when the application function for inserting images and the analysis of standard clinical terms are completed.
방사선과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방사선사와 환자의 인식차이 및 개선방향 -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안성민(Sung-Min An),김성철(Sung-Chul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2
방사선과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평가 및 방사선사와 환자간의 인식차를 평가하여 방사선과 의료 서비스의 개선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BR> 그 결과 대부분의 설문결과에“보통이다”이상의 답변을 하였으며, 부족한 부분으로는“접수수속의 복잡함, 검사 대기시간이 긴 점 및 환자 보호자의 방사선차폐 미실시”를 들었다. 또한 이 항목들은 환자뿐 아니라 방사선사들도 인식을 하고 있는 부분으로 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방사선사와 환자의 인식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사선사의 노력이 가장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환자관점에서의 의료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통해 환자가 느끼는 서비스의 품질수준을 평가하고 만족도가 낮은 사항에 대해서는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책 마련에 힘써야 할 것이다. Satisfaction of the patient against the medical service in department of radiology and it evaluated the different recognition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and patient. and investigates it"s improvement direction.<BR> It sent the reply the above the which is a usual result in question result of the most that, the receipt process it was complicated in the portion which is insufficient,“The receipt process is complicated”, “waiting time is long”and “don"t radiation protection for patient and guardian”.<BR> Also these a facts was recognizing patients and radiological technologist all.<BR> And the effort of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 is necessary with the method which reduces a recognition difference.<BR> The periodical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investigates and must endeavor in reform measure preparation.
김정훈(Jung-Hoon Kim),고성진(Seong-Jin Ko),강세식(Se-Sik Kang),최석윤(Seok-Yoon Choi),김창수(Changsoo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1 방사선기술과학 Vol.34 No.2
This study aimed at 1)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knowledge and behaviors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on radiation defence and 2) preparing plans to reduce the unnecessary radiation dose on practician, patients and their caretakers. For data collecti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225 radiological technologists living in downtown Busan.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PC+ Win 13 version was used. For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e-way ANOVA was conducted.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general variables (knowledge, education, age and length of service) i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perspective.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the knowledge on radiation/radioactivit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ge and length of service. In the perspective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the highest figures were found among those in their 40s and higher and those with the education of college graduation and higher.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knowledge on radiation/radioactivity,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all cases. In addition, analysis on the impact of general variables i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perspective indicated that the perception on radiation safety management was higher as the level of knowledge on radiation/radioactivity was higher. The correct radiation/radioactivity management through practician training was necessary to reduce radiation dose on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patients. 본 연구는 방사선사들의 방사선방어에 대한 인식, 지식 및 행위를 조사하여 종사자 본인은 물론 환자 및 환자보호자의 불필요한 방사선피폭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부산시내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2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PC+ Win 13 버전을 사용하였다. 또한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시행하였으며, 일반변인(지식, 학력, 연령, 근무경력)이 방사선안전관리측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여 검증하였다. 학력, 연령, 근무경력에 따른 방사선/능의 지식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방사선안전관리의 경우 40대 이상과 대졸이상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방사선안전관리와 방사선/능의 지식정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일반변인이 방사선안전관리측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방사선/능의 지식이 높을수록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종사자 및 환자에 대한 방사선피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종사자 교육을 통한 올바른 방사선/능의 관리에 있다고 판단된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전여령(Yeo Ryeong Jeon),조평곤(Pyong Kon Cho),한은옥(Eun Ok Han),장현철(Hyon Chul Jang),고종경(Jong Kyung Ko),김용민(Yong Mi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5 방사선기술과학 Vol.38 No.4
목적: 국내 치위생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방사선 안전행위 수준 확인을 위해 방사선 안전관리 지식, 태도, 행위 수준을 분석하여 교육학적 근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정보공시센터(대학알리미)에 등록된 전국 83개교 치위생(학)과에 재학중인 3,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설문지이다. 설문조사는 대학별 각 20부(총 1,660부)를 방문, 우편, e-mail의 방법으로 배포하여 수거된 응답지 중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는 총 723부를 SPSS/WIN 15.0를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치위생(학)과의 지식, 태도, 행위는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행위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식, 태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의 행위에 가장 상관성이 높은 변수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변수로, 이는 물리적 환경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방사선 안전행위 수준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치위생(학)과의 방사선 안전행위 수준을 높이기 위해 물리적 환경을 보완해야 하며 개인의 방사선 안전관리 태도 수준 또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태도 변수와 가장 상관성이 높으므로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개인의 태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변수를 보완해야 한다. 결론: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태도보다 지식이 상대적으로 낮고, 행위 수준이 가장 낮으므로 안전 행위에 대한 강화된 교육정책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며 국내의 경우 치위생(학)과를 졸업한 치위생사들이 치과병원에서 전국민의 구강 방사선 촬영 시 방사선 피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주체이므로 현재의 교육 시스템에서 방사선 안전관리 행위 수준을 향상시킬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다. Objectives :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educational basis based on the radiation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to check the level of radiation safety behavior in domestic students who study dental hygiene. Methods : The students of 3rd and 4th grades in 83 universities which have registered on the Korean University Education Council were involved, and they were given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provided via visit with 20 copies to each university (total 1660 copies), mail by post and e-mail. Among them, we analyzed only 723 copies that we can trus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the SPSS/WIN 15.0. Results : As a result, there are correlations in the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regarding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t means that the education which can improv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should be applied to increase the action level of the radiation safety. In addition, the physical envi-ronment is the most closely correlated with the individual behavior, so it will be limited to improve the behavioral levels of the radiation safety if the physical environment is not prepared. Therefore, the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supported to enhance the level of the radiation safety activity, and to increase the individual attitude level of radiation safety. Conclusions : The knowledge level of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atti-tudes level, and the behavior level is the lowest. Therefore, the education policy of the safety behavior must be enhanced. For domestic students,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be-havioral level of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ecause they will be able to reduce the amount of radiation exposure of their patients in dental care after getting a job.
고종경(Jong-Kyung Ko),권덕문(Duk-Mun Kwon),강영한(Yeong-Han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4
연구목적 : 방사선사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 향후 방사선사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총 234명을 대상으로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건강지각에 대한 선문은 현재 건강, 건강관심, 민감성 등 총 20문항이었고, Cronbach's α는 0.79였다. 건강증진행위의 설문은 자아실현, 건강책임, 운동, 영양, 대인관계지지, 스트레스 관리 등 총 47문항이었고, Cronbach's α값은 0.93이었다.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있는 단변량 분석은 평균비교분석(t-test, ANOVA)을 하였고, 건강지각 요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은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nefficient)을 하였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별 다중회귀분석(E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일반적 특성 중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있는 요인은 연령, 결혼, 연봉, 직급, 경력, 고용, 종교 등이 었고, 건강생활습관 관련 특성 중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잇는 요인은 흡연유무, 운동여부 등이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평균 2.90점, 표준편차 0.37이었다. 민감성, 건강관심, 현재건강 등으로 구분한 건강치는 요인으로는 민감성, 현재건강, 운동여부, 흡연유무, 근무경력 등이었고, 건강지각 요인 중 민감성이 가장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지각에 대한 민감성, 현재건강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높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군, 과거흡연군, 근무경력이 높은 군에서 건강증진행위점수가 높았다. 결론 : 방사선사가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점수를 높이려면 먼저스스로의 건강에 대해 지각하고 병에 걸리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건강한 생활을 추구하여야 한다. 또한 근무 경력과 년차에 관계없이 금연과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that could affect health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ich is useful for health care and development of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Methods : Subjects were 234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o work in general hospitals. Some questionaires were made about perceptions of health condition and promotional behavior of health for this study. The questionaires of health perception were 20 items that consist of the persent condition of health, health concern and sensitivity. The reliability was sufficient(Cronbach's α=0.79). The other questionaires abot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47 items that consist of self-realization, health responsibility, exercise, nutrition, personal relationships, and stress management. the results tumed out to bewas sufficient (Cronbach's α=0.93. Every data was treated statistically, comparison of average(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Related factors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ge, marriage, salary, class of one's position, carrer, employment, and reliagion, in general features. In health life habit, related factors were smoke and exercise. Resul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2.90 of mean score, 0.37 of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of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positive(p(0.01).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ffected by sensitivity, persents condition of health, exercise, smoke, career. Sensitivity was the most affectable variable, which means that promotional behavior score became higher and higher as the score of sensitivity and present condition were increased. In addition, persons who exercise regularly, had been smoked, and has higher carrer showed higher score of promotional behavior. Conclusion : Radiological technologists have to keep their health, trying not to infected by a disease. Most of all, no smoking and regular exercise a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all of members.
강세식(Se-Sik Kang),최석윤(Seok-Yoon Choi),김정훈(Jung-Hoo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4 방사선기술과학 Vol.37 No.1
방사선작업종사의 배경인자에 따른 의료 방사성폐기물관리 방법 및 안전관련 인식 그리고 자체 처분실시에 따른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 하였다. 모집단은 부산 경남소재 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회수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PC+Win 13 버전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방사성폐기물관리 인식에 있어서는 대부분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 변화, 처리에 대한 인식 변화로 개선책을 제안 하였다. 올바른 의료방사선폐기물관리 방안은 주기적인 교육 강화를 통한 방사선종사자들의 올바른 인식변화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medical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methods by background factors of radioactive workers, their awareness of safety management and reduce the difficulty of self-disposal. A population of 102 radiotechnologist who work at hospital in Busan wa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m. the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used SPSS/PC+Win13 version and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of verify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 showed that most of workers had correct awareness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lso, about the difficulty of self-disposal, legal procedures were mentioned most often, and as efficient improvement of management methods is concerned, changing the awareness of safety management and disposal was propos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ight way of managing medical radioactive waste is to change the awareness of radioactive workers by reinforcing regular training.
윤철호(Chul-Ho Yoon),윤석환(Seok-Hwan Yoon),최준구(Jun-Gu Choi)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3
본 논문은 2006. 1. 1~12. 31(1년)까지 방사선 종사자 근무분야별 피폭에 관하여 서울시내 3차 의료기관인 A, B, C병원의 방사선 분야 종사자 방사선 피폭선량에 대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BR> 1. 방사선 종사자 근무분야별 피폭은 심혈관조영실이 1.41 mSv로서 제일 많았고, 방사선종양학과는 0.64 mSv로서 제일 낮았다.<BR> 2. 방사선 종사자 근무분야별 피폭선량은 시술건수에 비례하였다.<BR> 3. 방사선 종사자 근무분야별 시술건수 당 피폭선량은 심혈관조영실 근무자가 많았고, 영상의학과 근무자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BR> 4. 방사선 종사자 근무분야별 피폭선량 순위는 심혈관조영실, 핵의학과, 영상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의 순이었다.<BR>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국제방사선방어위원회(ICRP) 권고안 범위이내이므로 병원 방사선 종사자들의 피폭에 따른 유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adiation dose to radiologists working at three hospitals in Seoul was investigated from Jan 1, 2006 to Dec. 31, 2006. The results are as follows.<BR> First, radiation dose to radiologists at a cardiac angiography room was measured as 1.41 mSv, the highest while radiation dose to radiologists at a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was measured as 0.64 mSv, the lowest.<BR> Second, radiation dose proves to be in direct proportion to the number of X-ray treatment.<BR> Third, as for the radiation dose in X-ray treatments, radiologists in cardiac angiography room are exposed to the largest amount of radiation while radiologists in diagnostic radiology department are exposed to the smallest amount of radiation.<BR> Last, radiation dose at a cardiac angiography room is the largest and is followed by nuclear medicine, diagnostic radiology, and radiation oncology departments in order.<BR> According to ICRP, exposure less than 20 mSv per year is highly recommended while radiation dose is allowed as long as it is ranged less than 50 mSv per year or 100 mSv within a 5-year period.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radiation exposure does not do any harm to radiologists at any related departments in Korean hospitals because the dose per year is less than 1.60 mS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