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증진인력(健康增進人力)의 훈련교육과정(訓練敎育課程) 개발(開發)

        최은진 ( Eun-jin Cho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保健社會硏究 Vol.18 No.1

        國民健康增進法의 제정이래 건강증진사업은 각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단위에서 점차 확대 개발되는 상황에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행태변화기술 및 기획관리의 건강증진영역을 기초로 한 건강증진인력의 역할 및 교육훈련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진국 건강증진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인력교육 및 훈련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호주 및 미국에서의 건강증진 인력훈련 동향은 건강증진사업의 기획ㆍ관리, 행동변화기술의 적용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일본의 경우도 운동ㆍ영양ㆍ휴양을 중심으로 행동변화를 위한 보건의료인력의 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증진인력의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 건강증진사업의 발전을 위해 건강증진업무의 영역이 전문화되는 것은 필수적이고 인력의 관리 또한 중요하다. 이를 위한 건강증진인력의 양성방안은 첫째 대학에서 건강증진 교육과정의 확립, 둘째 건강증진 보수교육과정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보수교육과정은 健康增進職務를 수행하는 인력에 대하여 健康增進 事業內容 및 方法의 最新化를 기할 수 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향후 증가하는 건강증진의 要求度를 생각할 때 건강증진 인력관리와 건강증진 업무내용의 專門化 및 敎育訓練課程 開發에 대한 연구와 政府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passed in 1995 was a milestone for initiating a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Korea, and since then local governments and health centers have been developing and provid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rends in health promotion workforce development internationally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workforce development in Korea. Those who provide health promotion services should be properly qualified and professionally trained, especially in the area of behavior change and management of programs. A health promotion workforce is being developed through professional preparation i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continuing education through conferences and workshops, and on-the job training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Japan. The skills and responsibilities of those who are in charge of providing health promotion services have not yet been clearly defined in Korea because the area of health promotion is a multi-academic field. There are many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physicians and nurses who are working hard towards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Korea, but there are very few individuals who have gone through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and it is important to develop programs to train those who providing health education services.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we need first to delineate the responsibilities and functions of health promotion personnel. This is going to require a lot of research as the local governments initiat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government, therefore, should support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promotion personnel.

      • KCI등재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련성

        정승혜,추진아,김혜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1 No.2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Korean Coast Guards who are exposed to a vulnerable working environment. Method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271 Korean Coast Guards in Gangwon-do.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ve Scale-Revise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KOSHA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GUIDE H-9-2012.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Results: Of all the Korean Coast Guards, 17.3% represents the risk of clinical depression, and 43.5% reporte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any body parts. The average scor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2.4 (range, 1-4 scores).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respectively.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grow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management in subscales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activity and stress management in subscales o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Conclusions: Among Korean Coast Guards,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Therefore, nursing strategies to promote health-promoting behaviors may be enhanced psychologic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outcome of Korean Coast Guards. 연구배경: 본 연구는 취약한 근무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해양경찰을 대상으로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 그리고 건강증진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 중재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지역 D지방해양경찰서 소속으로 근무 중이며 근무경력이 1년 이상인 해양경찰 271명이었다. 우울증상은 한국판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 도구를 사용하였고,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은 KOSHA GUIDE H-9-2012에서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증진생활양식척도 II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공변량을 보정한 후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수준에서 우울증(≥13점)으로선별된 대상자는 17.3%였으며,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이있는 해양경찰은 43.5%였다. 건강증진행위 수준은 평균 2.4점(범위, 1-4)이었다. 우울증상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수준이낮았다.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에서는 우울증상과 영적성장, 대인관계, 신체활동, 스트레스관리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이 있을수록건강증진행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에서는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과 신체활동, 스트레스관리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과건강증진행위 간의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해양경찰의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우울증상과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 수준을 감소시키는 전략이필요하겠다.

      • KCI등재후보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분석

        고종경(Jong-Kyung Ko),권덕문(Duk-Mun Kwon),강영한(Yeong-Han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4

        연구목적 : 방사선사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 향후 방사선사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총 234명을 대상으로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건강지각에 대한 선문은 현재 건강, 건강관심, 민감성 등 총 20문항이었고, Cronbach's α는 0.79였다. 건강증진행위의 설문은 자아실현, 건강책임, 운동, 영양, 대인관계지지, 스트레스 관리 등 총 47문항이었고, Cronbach's α값은 0.93이었다.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있는 단변량 분석은 평균비교분석(t-test, ANOVA)을 하였고, 건강지각 요인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은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nefficient)을 하였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별 다중회귀분석(E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일반적 특성 중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있는 요인은 연령, 결혼, 연봉, 직급, 경력, 고용, 종교 등이 었고, 건강생활습관 관련 특성 중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잇는 요인은 흡연유무, 운동여부 등이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평균 2.90점, 표준편차 0.37이었다. 민감성, 건강관심, 현재건강 등으로 구분한 건강치는 요인으로는 민감성, 현재건강, 운동여부, 흡연유무, 근무경력 등이었고, 건강지각 요인 중 민감성이 가장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지각에 대한 민감성, 현재건강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높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군, 과거흡연군, 근무경력이 높은 군에서 건강증진행위점수가 높았다. 결론 : 방사선사가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점수를 높이려면 먼저스스로의 건강에 대해 지각하고 병에 걸리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건강한 생활을 추구하여야 한다. 또한 근무 경력과 년차에 관계없이 금연과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that could affect health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ich is useful for health care and development of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Methods : Subjects were 234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o work in general hospitals. Some questionaires were made about perceptions of health condition and promotional behavior of health for this study. The questionaires of health perception were 20 items that consist of the persent condition of health, health concern and sensitivity. The reliability was sufficient(Cronbach's α=0.79). The other questionaires abot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47 items that consist of self-realization, health responsibility, exercise, nutrition, personal relationships, and stress management. the results tumed out to bewas sufficient (Cronbach's α=0.93. Every data was treated statistically, comparison of average(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Related factors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ge, marriage, salary, class of one's position, carrer, employment, and reliagion, in general features. In health life habit, related factors were smoke and exercise. Resul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2.90 of mean score, 0.37 of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of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positive(p(0.01). Health promotion behavior were affected by sensitivity, persents condition of health, exercise, smoke, career. Sensitivity was the most affectable variable, which means that promotional behavior score became higher and higher as the score of sensitivity and present condition were increased. In addition, persons who exercise regularly, had been smoked, and has higher carrer showed higher score of promotional behavior. Conclusion : Radiological technologists have to keep their health, trying not to infected by a disease. Most of all, no smoking and regular exercise a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all of members.

      • KCI등재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관련요인분석

        김윤정,이경희 대한보건협회 1999 대한보건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건강증진 제공자로서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의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근거로 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간호사들의 바람직한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서 좀 더 효율적인 건강증진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서술적 상관 관계 연구이고, 연구대상은 대구시에 위치한 500병상 규모이상의 3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388명이었고 자료수집 방법은 1998년 3월 2일부터 1998년 3월 28일까지 본 연구자가 각 병원 간호부에 설문지 배부 및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도는 건강증진 행위 수행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Pender등이 개발한 건강증진 생활양식 측정도구(HPLP)를 이태화(1990)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Sherer et al(1982)에 의해 개발된 자기효능중 일반적 자기효능 척도를 오현수(1993)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지각된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Ware의 Health Perception Scale를 이향련이 번안하고 본 연구자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서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회귀분석, ANOVA, t-test, Tukey검증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평균이 2.50이었고,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영역은 자아실현(2.82), 가장 낮은 영역은 운동(2.06)이었다. 2)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r=.41, P=.000), 지각된 건강상태(r=.37, P=.000)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3)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이 다 변수 상관계수가 R=.41로 건강증진행위 수행에서 전체변량의 17.2%를 설명하였다. 자기효능감다음으로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지각된 건강상태, 직업만족도 순서였으며, 위의 변인들 모두 포함시키면 건강증진행위에서 전체변량의 245%를 설명하였다. 4)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 지각요인의 인식도와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의 평균이 차이검증을 위해 ANOVA를 사후 검증으로 Tukey test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와 관련 변인들의 차이를 보면 전체 건강증진행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근무병동, 직업만족도였다. 자기 효능감은 근무병동, 직업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지각된 건강상태는 질병경험, 월평균수입, 직업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낮은수준으로 나타났고 이와 관련된 요인은 자기 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 순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은 자기 효능감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Pender(1982)의 건강증진모형을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들의 설명력은 24.5%밖에 안되므로 건강증진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하며 Pender가 제시한 7개의 개인의 인지·지각변수를 포함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하며, 앞으로 간호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교육, 건강상담, 건강프로그램의 운영을 계획할 때 간호사의 자기 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고안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자신감과 아기행동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T광역시 소재의 D 종합병원 영유아상담실에서 신생아 예방접종을 위해 방문한 94명의 산욕기 산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도구는 Wolke와 St. James-Robert(1987)가 개발한 '어머니와 아기에 관한 척도(Mother and Baby Scale: MABS)'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주요 결과는, 연구 대상 어머니들의 신생아 양육에 대한 자신감 부족 정도는 보통정도 수준이었으며(평균 24.2점/55점). 어머니의 양육자신감 부족과 신생아의 보채는 행동과는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50, p=.00). 어머니의 자신감 부족은 신생아들에게는 부정적인 행동으로 반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assess how hospital nurses practice their health promoting behaviors but also to identify those affecting factors. The subjects consisted of 388 nurses working at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Taegu.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March 2 to March 28, 1998. Questionnaires that employed in this study were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s Profile Walker et al. (1987), the Self-Efficacy scale Sherer et al. (1982), and Ware's Health Perception Scale (1979).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t-test, ANOVA, Tukey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PC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or the factors involved with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 mean score was 2.50 and range was 3.68 to 1.48. The factor with the highest mean score was self-esteem (2.82) and the factor with the lowest mean score was exercise(2.06). 2.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r=.41, P=.000) and perceived health status(r=.37, P=.000). 3. The combination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as explained 24.5% of the varia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 It can be contended above findings show that health-promoting behavior is related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wo cognitive·perceptual factors(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1.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exercise, nutrition, and health responsibility for nurses must be provided. 2. The strategies enhancing self-efficy which has the significant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 must be developed. 3. Nurses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as health promoters, but also as individual who wants to promote her health.

      • KCI등재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안현서,김인혜,윤소현,박혜연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을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이 건강증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과 라이프스타일 영역별 건강증진행동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관계망은 비동거 가족, 친인척, 친구, 이웃의 4가지 관계망을 대상으로, 구조적 특성인 관계망 크기와 접촉빈도, 기능적 특성인 사회적지지를 조사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동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이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 : 사회적 관계망 크기는 친구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으며, 접촉빈도와사회적 지지는 비동거 가족 관계망에서 가장 높았고 이웃 관계망에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동은일상생활활동 영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생산적⋅사회적 활동 영역에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성 중성별,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수준에 따른 건강증진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측면의 모든 하위요인들은 건강증진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웃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건강증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우울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모델은 37%의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증진행동 촉진을 위해서는 이웃의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망을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정책이 요구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 Social networks based on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by lifestyle were measured in 226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65 years and ov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 independent t -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 The network size was the highest in the friend network, and the frequency of contact and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in the non-living family network.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highest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owest for productive and social activities. All subfactors of social network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as the variable with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gender and depression were also influencing factors, and this model showed 37%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 To promote healthy behaviors of older adultsin the community,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related policies considering social networks centering on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건강증진프로그램 이용과 관련된 요인 - 서울시 보건소를 중심으로 -

        윤희상 ( Hee Sang Yoon ),이혜영 ( Hae-young Lee ),이숙경 ( Sook Kyung L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保健社會硏究 Vol.28 No.2

        건강증진은 건강한 삶을 사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건강증진사업이 실시되고 있으며 금연, 절주, 운동 영양 등은 지역사회 보건소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비용이 저렴하고 프로그램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이용하는 사람만 계속 이용하고 지역주민 전체에게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건강증진 프로그램 이용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개념 틀은 건강신념 모형이다. 건강신념 모형은 주관적 인지와 관련된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건강신념모형은 건강행위와 관련된 동기를 설명하는 개념적 틀로 건강 관련 행위의 개입과 설명이 용이하고 주관적 인지와 관련된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가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연구의 틀로 설정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되는 변수로 종속변수는 보건소 건강증진 프로그램 이용 유무이다. 독립변수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소득, 건강상태에 대한 민감도, 건강증진의 심각도, 자아효능감, 비용인지, 홍보경험, 가족의 이용과 권유, 친구나 이웃의 이용과 권유이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수집방법은 서울을 동부, 서부, 북부, 남부로 구분하여 각 구역에서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보건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용자는 지난 1년 동안 보건소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자이다. 비이용자는 이용자와 연령과 성별 등 인구학적 특성이 비슷한 자로 각 보건소가 위치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으로 보건소의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이용하지 않는 대상자와 보건소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대상자이다. 연구에 참여한 총수는 495명으로 보건소 건강증진 프로그램 이용자 150명, 비이용자 345명으로 구성되었다. 분석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t 검정, 카이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로 성별과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남성(OR=2.82, p=0.01)이 여성에 비해, 나이(OR=1.03, p=0.02)가 많을수록 많이 이용하였다. 건강신념 모형 구성변수로는 홍보(OR=3.96, p=0.00), 친구나 이웃의 이용과 권유(OR=5.40, p=0.00), 인지된 비용(OR=1.72, p=0.00)은 건강신념모형 구성변수로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개인적인 관심과 심각도, 민감성을 강조하는 것에서 나아가 건강증진의 지지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친구, 이웃의 이용과 권유, 홍보, 인지된 비용은 보건소 건강증진 프로그램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으므로 이들을 중심으로 하는 이용자 지향적인 홍보전략이 요구된다. It is well-known that health promo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healthy life. Health promotion programs, such as those for smoking cessation, reducing drinking, exercise, nutrition provided by community health centers, are proven to be economic and excellent. However, the number of users is very limited, and most of the community residents are not using these program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use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recommend policy measures that may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these programs. The conceptual framework used in the research is health belief model. We adopted the use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f community health center as dependent variable. Indepentant variables are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nd income status, perceived susceptibility, seriousness, selfefficacy, perceived cost, promotion of program recommendation of family, friend, neighbor.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For the survey, Seoul was divided into 4 areas: eastern, western, northern, and southern area. From each area, one community health center was chosen from the ones that wanted to participate. Total number of observations was 495: 150 users and 345 non users. We used frequency table, t-test, chi 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for the analysis. Logis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ose users and nonusers. `sex` and `age` were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showed a sts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ith users. Male(OR=2.82, p=0.01) and older age(OR=1.03, p=0.02) showed a higher likelihood of users compare to female and younger ages. Promotion(OR=3.96, p=0.00), recommendation of friend and neighbor(OR=5.40, p=0.00), and perceived cost(OR=1.72, p=0.00) were significant factors at the component of health belief mod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environment of health promotion beyond individual concern of seriousness and susceptibility. It is also necessary to implement an effective and user-friendly marketing strategy. Because the factors which have strong influence on the use of health promotion program are recommendation of friends and neighbor, promotion and perceived cost

      • KCI등재

        건강관련 대인커뮤니케이션과 경제수준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전려홍(Lihong Quan),서미혜(Mihye Seo)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1 No.-

        본 연구는 경제수준을 개인의 객관적·주관적 경제수준과 개인이 거주하는 커뮤니티의 경제수준으로 나누고, 다양한 차원의 경제적 요인이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이와 함께, 건강 캠페인이나 전문가와의 대화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가족, 친구, 이웃과의 건강에 대한 대화가 개인의 건강증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각 구의 가구당 평균소득을 파악한 후 평균 경제수준이 높은 3개구와 낮은 3개 구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 성인 25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객관적 경제수준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주관적 경제수준은 신체적 건강증진행위와 정적 관련을 맺고 있을 뿐 아니라, 개인과 커뮤니티의 객관적 경제수준이 신체적 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기도 했다. 일상에서 다른 사람들과 건강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눌수록 신체적 건강증진행위와 정신적 건강증진행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건강관련 대인커뮤니케이션, 경제수준, 그리고 개인의 건강증진 행동과의 관계를 2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가족, 친구, 이웃과 어떤 맥락에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건강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지,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 하는 행동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개인과 커뮤니티의 경제수준은 개인의 건강증진행동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건강증진행위가 개인적 차원과 커뮤니티 차원의 다양한 요소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결론을 통해 한국사회의 공공건강을 증진하는 데 실증적 제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economic status factors on individual’s mental and physical health comprehensively by dividing the economic status into the individual’s objective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the economic status of the community where the individual liv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how health-related conversations in daily life, rather than health campaigns and conversation with experts, affect individual’s behaviors of maintaining and enhancing health. An onlin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259 adults who are live in three lowest economic status districts and three highest economic status districts in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bjective economic status was not directly linked to mental and physical health-enhancing behaviors; however, as subjective economic status increased, the physical health-enhancing behaviors also increased.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more health-related conversation people had in their daily life, the more mental and physical health-enhancing behaviors they tended to practice. This study further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20 adults from the same selected districts reported above and prob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economic status, health-rela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health-enhancing behavior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found in what contexts are people having health-related conversations with their family members, friends, and neighbors, and what contents do they mainly talk about; what do they do for enhancing health;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status of individual and community and health-enhancing behavior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individual’s health-enhancing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various economic status factors such as individual and community economic status, which could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public health of Korean society.

      • 학교건강증진사업의 실태분석

        성명진(Myeongjin, Seong),장노순(Rhosoon, Chang) 강원행정학회 2009 한국행정과 정책연구 Vol.7 No.2

        학교건강증진사업은 학교교육의 능률은 물론 학교에서 습득한 건강생활습관이 지역사회에 매우 중요한 파급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점점 고령화 되어 가고 있는 사회에서 의료비의 국가적 손실을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사회의 주역인 청소년들의 현재와 미래의 가정 및 사회의 건강생활의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학교건강증진사업은 매우 중요한 영역을 다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건강증진사업을 주도적으로 시행해야할 교사들과 지역사회의 건강증진 프로그램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교건강증진사업의 구체적인 실태와 문제점이 충분히 파악되지 못하고 있어 효과적으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건강증진 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서는 사업계획의 수립, 실시, 평가에 준거가 되는 목표 설정과 전략개발이 요구되며, 실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실용적이고 타당성 있는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내 보건교사와 보건겸직교사를 대상으로 ACCESS 모델을 적용하여 학교건강증진사업의 중요도와 수행정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학교건강증진사업의 방향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ACCESS 모형의 5개 요인 모두 보건교사집단에서 중요도와 수행정도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건교사의 업무가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교사가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학교건강증진사업을 기획하고 평가 할 수 있는 보건 전문 인력인 보건교사를 확대 배치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교건강증진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시대의 변화와 요구에 맞추어 학교건강증진사업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책 수립과 전문적인 건강증진사업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일 고급형 실버타운 거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 유형별 관련변인 탐색

        김선숙(Kim, Seon-Sook),송준아(Song, Jun-Ah)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1

        본 연구는 고급형 실버타운 거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 정도 및 유형을 파악하고, 그 유형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과 관련 제 변인의 관계를 규명하며 각각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내에 소재한 일개 고급형 실버타운에 1개월 이상 거주한 만 60세 이상 노인으로서 연구참여 동의서에 서명하고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170명이었다. 실버타운 거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 평균 점수는 3.05점(SD=.54)으로 나타났고, 군집분석 결과 소극적 건강증진행위 실천군(M=2.75점)과 적극적 건강증진행위 실천군(M=3.29점)의 2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 실천 관련 제 변인 중 지각된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는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인구학적 특성 관련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소극적 건강증진행위 실천군에서는 지각된 유익성(β=.50, R²=.25)이, 적극적 건강증진행위 실천군에서는 지각된 자기효능감(β=.38, R²=.30)과 지각된 장애성(β=-.20, R²=.30)이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고급형 실버타운 거주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먼저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실천 유형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파악된 유형에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과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건강증진행위 실천의 유익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안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추 후 이를 위한 구체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HPBP) of retirement community residents in Korea and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ive to their HPBP.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170 older adults in a retirement community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Data was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HPLP), Self-Efficacy, the Perceived Benefit, the Perceived Barrier,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the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with the SPSS and the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The mean score of the HPLP was 3.05(SD=.54). 2) HPBP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Type I was named "passive HPBP group" (2.75±.29) and type II "active HPBP group"(3.29±.25). 3)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only perceived benefit(β=.50, R²=25) was a significant factor predicting participants' HPBP of the passive HPBP group, while perceived self-efficacy(β=.38, R²=30) and perceived barrier (β=-.20, R²=30),were for the active HPBP group. The limitation,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tasks for the older ad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한석영(Han, Seo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목적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의 관련변인과 영향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는데 있다. K 광역시에 소재한 간호대학교의 간호대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19.0을 사용 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 증진행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여 Scheffé test로 사후검증하였고,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건강증 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간호대 학생의 건강증진행위 평균은 2.66점이었고, 건강증진행위와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는 이전 건강관련행위(r=.300, p=.000), 지각된 장애성(r=.178, p=.000), 행위관련 감정 (r=.106, p=.034), 행동계획수립(r=.195, p=.000)과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년으로 2학년 이 전체 변이의 21.8%를 설명하였고, 이전 건강관련행위, 행동계획수립,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장애성, 연령과 함께 전체 변이의 36%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요인으로는 개인적인 특성에서 학년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학년 및 연령에 따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이전의 건강관리행위, 행동계획수립, 행위관련 감정, 지각된 장애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related determinants affecting nursing college student’s health based on the Health Promotion Model by Pender(1996).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399 participants under the permission of data collection in at K metropolitan city. For data analysis, SPSS/ WIN 19.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score for the HPBs, consisting of 6 subscales was 2.66. The highest mean score was 2.80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lowest one was 2.54 in ‘Physical activity’. The HPBs were positively associated to ‘prior related behavior’ (r=.300, p=.000),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r=.178, p=.000), and ‘activity related affect’ (r=.106, p=.034),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r= .195, p=.000).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HPBs was ‘2nd grade’. It explained 21.8 %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HPBs. ‘Prior related behavior’, ‘perceived barriers to action’, ‘activity related affect’,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and ‘age’ explained 3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considering the grad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o facilitate and maintain HPB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ust be mutually planned interactive health preven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