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 거부민감성의 연구 현황과 과제

        홍상황,이경연 한국교육치료학회 2016 교육치료연구 Vol.8 No.2

        최근에 아동의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많이 연구되고 있는 주제 또는 변인 중 하나는 거부민감성이고, 선행요인과 결과변인인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거부민감성을 다룬 최근의 연구들을 중심으로 거부민감성과 관련 변인들을 개관하고 추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거부민감성을 정의하고 거부민감성의 발달과 측정방법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거부민감성에 대한 국내외 연구를 통해 거부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거부민감성과 부적응 행동과의 연관성 및 조절 변인 등을 탐색함으로써 아동의 거부민감성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초등학교 상담의 방향과 과제에 주는 시사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Due to the growing interest in the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children’s mental health, there has been a noteworthy increase in research on rejection sensitivity,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maladaptive behavi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review recent research on child rejection sensitiv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definition and early development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commonly used measures of rejection sensitivity were examined. Further, recent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behavior, and the moderator variable were reviewed. Finally, future directions for the study of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were suggested.

      • KCI등재

        청소년의 정서적, 성적학대 경험이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검증

        곽연희,정원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4

        본 연구는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거부민감성과 성인지감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거부민감성의 매개를 통하여 성인지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3개 중, 고등학생 5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권 관점에서의 성인지감수성을 성차별 감수성, 양성평등의식, 성폭력 감수성 등의 3가지 요인으로 측정하였고, 피학대경험은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 성적 학대 등의 4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나 요인 간의 상관계수가 높아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존재하여 회귀모형의 변수선택을 단계적 선택법을 적용하여 유의성이 낮은 변수인 신체적 학대와 방임 변수는 제외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정서적 학대는 성인지감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나, 성적 학대는 성차별감수성과 성폭력감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정서적 학대와 성적 학대 모두 거부불안민감성, 거부분노민감성 및 거부우울민감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매개효과가 검증이 된 경로는 정서학대가 거부분노민감성과 거부우울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성폭력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성학대가 거부분노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성차별감수성과 성폭력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성학대가 거부우울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양성평등의식과 성폭력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등의 6가지였다. 피학대경험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하여 성폭력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부불안민감성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성인지감수성의 중요성이 증대하지만 성인지감수성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다수 수행되었지만 학대경험과 거부민감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ether adolescents' experience of maltreatment affects rejection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and whether adolescents' experience of maltreatment affects gender sensitivity through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Gender sensitivity in terms of human rights was measured by three factors such as sex discrimination sensitivity,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sexual violence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abus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ender sensitivity, but sexual abuse has a positive effect on gender discrimination sensitivity and sexual violence sensitivity. Second, both emotional abuse and sexual abuse have positive effects on rejection anxiety sensitivity, rejection anger sensitivity, and rejection depression sensitivity. Third, the paths that the 7 mediating effects are verified. Although the importance of gender sensitiveness has been increasing,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gender sensitivit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abuse experience and rejection sensitivity. have. By analyzing the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n gender responsivenes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confusion of gender sensitivity that can occur when adolescents enter the society after they become adults and seek programs that can prevent such confusion in advance You can do it.

      • KCI등재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거부민감성의 매개 효과

        변은실,이주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8 No.4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on children’s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RS). A data of 565 5th and 6th grade students wa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gender differences appeared in the major variables except for the relational aggression. While boys’ emotional abuse and overt agg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irls, 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irl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emotional abuse,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and RS. Among the three RS forms including anxiety, angry, and depression, only angry RS partially mediated a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overt aggression in both boys and gir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relational aggression, angry and anxiety RS had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where anxiety RS inhibited boys’ relational aggression. No mediation effect was found for girls between emotional abuse and relational aggression. 본 연구는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56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t검증,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관계적 공격성을 제외한 주요 변인들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정서적 학대와 외현적 공격성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거부민감성은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남학생의 정서적 학대와 외현적 공격성 및 관계적 공격성간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정서적 학대와 외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하위요인인 거부불안민감성, 거부분노민감성, 거부우울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녀 모두 거부분노민감성만이 부분매개하였다. 정서적 학대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하위요인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에는 거부불안민감성과 거부분노민감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거부불안민감성은 관계적 공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거부민감성의 하위요인들이 정서적 학대와 관계적 공격성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들의 공격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거부민감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거부민감성 중에서도 거부분노민감성 감소를 위한 구체적 방안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아람,양도연,천성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that comes from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fficul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in four cities and they were asked about rejection sensi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with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so as to examine interrelations of variables by using SPSS 22.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s directly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students has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mediating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s an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mediating emotional clarity. Fourth,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successively mediating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These findings show that if a university student has high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student will avoid the experience due to anxiety about rejection and have low level of emotional clarity, and in turn, it can give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Thu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ractical measures for reducing interpersonal relations difficul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discussed and if a university student client who reports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and is sensitive to rejection is faced in practical counsel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the student to adjust to interpersonal relations soundly through proper intervention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중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서울, 경기도, 4개 시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대인관계문제, 경험회피, 정서인식명확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무성의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한 347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SPSS 25.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2013)가 제안한 매개모형의 절차에 따라 경로를 분석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높은 사람은 대인관계 속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호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경험회피를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과도한 불안을 느껴 회피반응을 보여 대인관계가 여려워 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정서인식명확성을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간성이 높을수록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파악하는 능력이 떨어져 대인관계에서도 부적절한 반응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을 순차적 매개하여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이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타인의 거부반응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경험을 회피하고 이로인해 고통스러운 정서나 생각을 지속적으로 피하게 되어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내담자의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동의 또래 거부민감성 구성요인에 대한 기초연구: 문헌고찰과 아동 인터뷰를 중심으로

        최정원 ( Choi Jungwon ),임정하 ( Lim Jung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아동의 또래 거부민감성 구성요인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거부민감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또래 거부민감성의 특성을 정리하였고, 인터뷰를 통해 아동의 또래 거부민감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인터뷰에는 또래관계와 관련된 고민으로 한 번 이상 교사와 면담을 하거나 기관에서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5명이 참여하였다. 문헌고찰 및 인터뷰 결과는 인지-정서적 단위에 근거하여 유사한 범주끼리 묶은 뒤 종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또래 거부민감성 구성요인에 대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또래 거부민감성을 거부지각, 거부예상, 거부불안, 거부분노, 거부우울의 다섯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거부지각은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애매모호한 단서를 거부로 지각하거나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의미하며, 거부예상은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무시, 소외 당하거나 비난받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거부불안은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거부를 예상할 때 걱정이나 긴장감 등을, 거부분노는 화, 짜증 등을, 거부우울은 속상함, 서운함, 슬픔 등을 느끼는 경향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또래 거부민감성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 시 또래 거부민감성을 중심으로 한 개입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components of peer rejection sensitivity among children. A review of the previous literature and chil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peer rejection sensitivity among children. Five 5<sup>th</sup> and 6<sup>th</sup>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South Korea who had previously received counseling for issues relating to peer relationship problem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and child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grouped, based on cognitive-affective units. As a result, peer rejection sensitivity was observed to consist of five factors, rejection perception, rejection expectation, rejection anxiety, rejection anger, and rejection depression. Rejection perception is the tendency to perceive and interpret ambiguous cues negatively as intentional rejection and rejection expectation is the tendency to expect rejection in peer interactions. Rejection anxiety is the tendency to feel anxious and worried in anticipation of peer rejection, rejection anger is the tendency to feel angry and irritated, and rejection depression is the tendency to feel sad and depressed. This study will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peer rejection sensitivity among children. Further implications on child counseling which focused on peer rejection sensitivit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박소연 ( So Youn Park ),진미경 ( Mi Kyoung Ji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 있어서 거부민감성이 매개적 역할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52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AS 8.2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부모 및 또래 애착척도 개정본, 아동용 거부민감성 질문지와 아동의 외로움 및 사회불만족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외로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아동이 부모와 애착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거부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아동이 부모와 애착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을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도 거부민감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아동의 부모애착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자로서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함과 동시에, 아동심리치료 시 인지적 접근과 부모-자녀 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oneliness in childre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520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unggi. They completed a number of questionnaires;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IPPA-R),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CRSQ), and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SAS 8.2 statistics program. In addition, Baron and Kenny`s (1986) model was used to verify any mediational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neliness. Children were found to be less lonely when they felt high attachment levels to their parents. Second, children`s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rejection sensitivity. It was found that when children felt high attachment to the parents, they had low rejection sensitivity. Third, it was found that when children felt high rejection sensitibity, they felt more lonely.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oneliness in children,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and loneliness in children. Accordingly, parent attachment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loneliness but also had an effect on loneliness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oneliness in children. These finding were utilized for a discussion of integrated approaches of cognitive programs for child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거부민감성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현정희,임지숙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with regards to rejection sensitivity toward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social anxiety mediates the effect of said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concerning rejection sensitivity. For this purpose, 254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conduct analysis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t community colleg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using 254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attitude, all affect rejection sensitivi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over the effects of th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rejection sensitivity, it was found that social anxiety completely mediates the effect of the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in regards to rejection sensitivity among the three parenting attitudes. From thes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increases the social anxiety of their children, and the increased social anxiety increases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social anxiety are major variables that can lower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lower both the social anxiety and rejection sensitivity of children by parents raising their children with desirable attitudes, and to lower rejection sensitivity by lowering the social anxiety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 tha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an support them to establish a smooth relationship with infant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그리고 인천 소재의 전문대학에서 유아교육과와 보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254부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양육태도와 거부적 양육태도, 과보호적 양육태도 모두 거부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 중 애정적 양육태도가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불안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부적 양육태도와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거부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불안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자녀의 사회불안을 높이고, 높아진 사회불안은 거부민감성을 높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과 사회불안이 예비유아교사의 거부민감성을 낮출 수 있는 주요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부모가 바람직한 태도로 자녀를 양육하여 자녀의 사회불안과 거부민감성을 낮추고, 예비유아교사의 사회불안을 낮춤으로써 거부민감성을 낮추어 예비유아교사들이 영유아들과 원활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

        구세정,송미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The data from 42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nd Egna Minnen Betraffande Uppfostran (EMBU),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 (IA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and Self Presentational Motivation Scale (SPMS) were used for measurements. Using the SPSS 22.0 packag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warmth parent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anxiety and rejection sensitivity, and rejection,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anxiety,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Second, the rejection sensitivity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warmth,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anxiety,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parenting attitude and interpersonal anxiety. Finally, the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interpersonal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discussed abou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을 비롯한 경기, 강원, 충남, 전남 지역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양육에 대한 나의 기억 척도, 대인관계 불안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자기제시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정적 부모양육태도는 대인불안, 거부민감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지만, 자기제시동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거부적,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는 대인불안, 거부민감성, 자기제시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대인불안은 거부민감성, 자기제시동기와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거부민감성과 자기제시동기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애정적,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 매개하였으며, 거부적 부모양육태도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는 거부민감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적,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는 부분 매개하였으나, 애정적 부모양육태도와 대인불안의 관계에서는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를 전체 점수가 아닌 애정적, 거부적, 과보호적 세 개의 하위유형으로 세분화하여 거부민감성과 자기제시동기를 매개로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치료 장면에서 직접 다루기 어려운 부모양육태도 대신 거부민감성과 자기제시동기를 통해 대인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박영숙,김보영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 정신화,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칠 때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8세에서 39세의 성인초기 남녀 43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거부민감성, 정신화,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기 성인의 거부민감성이 정신화와 정서조절곤란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거부민감성이 정신화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정서조절곤란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432 adults aged 18 to 39,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Second, no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urth,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ovided.

      • 거부민감성(Rejection Sensitivity)에 관한 연구 동향분석

        황정현(Jung Hyun Hwang)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1 상담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거부민감성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있을 연구들을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거부민감성’을 검색하고 2011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KCI에 등재된 학술지 논문 36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년도, 연구대상, 사용 척도, 연구방법, 연구 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해보았다. 거부민감성은 2020년도에 논문이 가장 많이 발행되었으며,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로는 거부민감성척도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가 주로 사용되었다. 나아가, 통계분석으로는 상관분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 변인별 동향은 거부민감성이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의 거부민감성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domestic Rejection Sensitivity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Methods: To this end, the phrase, ‘Rejection Sensitivity’ was searched on the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selected 36 academic papers registered in KCI from 2011 to 2020, and analyzed them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study subjects, research scales, and variables. Results: Studies about Rejection Sensitivity was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2020, an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RSQ) was mainly used as a measurement tool. Furthermore, the most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correlation analysis, and in terms of variables, Rejection Sensitivity was mostly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objective is to pres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the study on future Rejection Sensi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