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草梁客舍 造營에 관한 硏究

        정예정(Chung, Ye-Jung)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7 No.-

        草梁客舍는 1678년 창건 이래 총 9회 이상의 중수공사가 행해졌다. 객사가 여러 번 중창되면서 間架의 수도 늘어났는데, 정청 및 동?서헌 주요 건물은 24칸에서 33칸 정도의 규모를 거쳐 45칸의 규모까지 증축되었다. 주요 건물과 함께 외삼문과 내삼문 등 부속 건물이 증축되었으며, 객사 주변의 담장 및 축대를 포함한 정비공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왜관접수가 일어난 다음해인 1873년에도 초량객사의 중수가 이루어진 사실을 통해 초량객사의 건축물은 초량왜관이 일본인 전관거류지로 변모해 가는 동안에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東萊府使接倭使圖」?「釜山通草梁和館之圖」에 묘사된 초량객사의 외관은 전패를 모시는 正廳과 관료나 조공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온돌방을 배치한 左右翼舍를 가진 조선시대 일반적 객사형식과 같다. 초량객사는 매번 수리마다 국왕에게 보고되면서도 조정의 관할이 아니라는 이중적 기준이 적용되었다. 왜관수리가 강력한 중앙의 통제에 의해 이루어진데 반하여, 초량객사로 대표되는 초량공해의 조영은 경상감영의 지시 아래 자치행정계통을 통해 이루어졌다. 초량공해의 공사행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재목을 수취할 경우 留山鎭이 담당하였고 일반 물력을 수취할 경우 동래부사가 담당하였는데, 후자의 경우 留鄕所에서 面?里任으로 연결되는 자치행정계통에 의해 물력을 조달하였다. 감동인력은 材木을 구해야 하는 경우에는 개운포와 다대진이 담당하였고, 그 재료로 목구조를 결구하고 세부를 치장하는 수리공사는 釜山鎭과 東萊府가 맡고 있었다. 재목의 수취는 차사원의 활약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감작차사원의 경우, 왜관재목을 감작하는 개운포만호라는 점에서 초량 객사의 재목수취방식이 왜관과 같음을 알 수 있다. 수리공사의 경우 鎭堡의 邊將들이 공사를 담당하는 것이 전례화 되어 있었으나,1873년 초량객사 중수에는 문?무관직이 다양하게 편성되어 공사를 감독하였다. 이러한 자치적 감동조직의 편성 아래 왜학 역관의 활동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같은 시기 동래부 관아 건축에서 볼 수 없는 이례적인 것이다. 왜학역관이 감동관으로 활동하는 상황은 왜관수리공사의 경우와 같으며, 이로써 건축 행정적인 측면에서도 초량객사는 동래부객사와는 성격을 달리하는 외교 시설로서 운영되 었음을 알 수 있다. 기술 장인들은 보상을 받고 공사에 참여했으나, 잡역은 무상노동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으며 수리 초기에는 釜山鎭 소속 土卒들이 동원되었다. 토졸의 과중한 업무 분담으로 이후 烟戶를 사역하게 되었다. 이처럼 19세기에도 여전히 民丁은 중앙권력에 의한 지배와 수취의 대상이 되었는데, 이는 조선후기 만성적 재정난 속에서 이루어지는 관영공사의 사례가 모두 그러하듯이 공사비 지출을 줄이기 위 한 다각적 노력의 한 방편이었던 것이다. 草梁客舍의 재원을 확보하는 방식은 草梁倭館 수리의 그것과 유사하나 역가 지급방식은 서로 차이를 보이는데, 초량객사에서는 米와 布로써, 왜관에서는 공가로써 지급하였다. 초량공해의 수리는 비교적 자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수리 요청이 생기면 지연 없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든 물력을 갖추었다. 초량공해의 수리를 담당한 관리는 주어진 상황 속에서 최 선의 방법을 동원하여 공사를 잘 진행하여야 하는 중책을 맡고 있었으므로, 목재를 절약하고, 공사도구를 民으로부터 회수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어렵게 확보한 공사비의 지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of supervisors and artisans who belonged to Dongnae-bu of what is now the city of Busan and fundraising for building repair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horyang-gaeksa. Choryang-gaeksa had been located near the Choryang-waegwan, which was the largest international trading quarters between Joseon Dynasty and Tokugawa Shogunate had been maintained from 1678 through 1872 in Busan. This Korean traditional style building was used to perform the ceremony which was concerned with Joseon"s diplomatic policy toward Tokugawa Shogunate. The government offacials of the Joseon Dynasty enshrined the wooden tablet which was inscribed the Chinese letter Jeon(殿) whose meaning is the king of Joseon Dynasty and the envoys of Tokugawa Shogunate bowed before the symbolized plate because they could not be received in royal audience in capital of Joseon. Therefore, Choryang-gaeksa was more important than other government offices which were located Choryang area, and had more than 9 times repairing constructions for nearly 200 years since its establishment. Although the building was stationed right outside the wall of the Choryang-waegwa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uilding(Choryang-gaeksa) was detimtely different from the usage which was carded on repairing of Choryang-waegwan. The construction of Choryang-gaeksa was achieved by local govemment(Dongnae-bu), whereas the architectural activities of Choryang-waegwan were regul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construction organization was consisted of superintendents, artisans and ordinary people who had to serve compulsory labor every period of public construction. Superintendents of the construction were called Chal-bang, Man-ho and Hun-do, who acted as civil or military officers as well. They struggled to secure and reduce construction expenses in order to accomplish construction work without damaging the provincial finance. Because artisans were under the authority of the local government, the superintendents could send them under escort on a case by case basis. Laborers had to do compulsory service without any compensation, in contrast to the cases of the constructions which were performed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발굴조사를 통해 본 나주객사 유적의 구조변화

        이수진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0 고문화 Vol.75 No.-

        Gaeksa(객사) was built to spread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ing system to regional area according to Confusianism in Joseon Dynasty.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how regional Gaeksa was influenced by the social circumstances the Joseon Dynasty. This thesis has examined how the structure of regional Gaeksa changed during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structural change of Naju Gaeksa which was excavated. As the Gaeksa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regional Gaeksa changed with the transition of society. In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when the major role of Gaeksa was lodging and reception, building a place for leisure as well as for lodging was highlighted. But, after the mid Joseon Dynasty, the ceremonial function of Gaeksa was the most important due to the growth of Sarim(사림) and Yehak(예학). This is verified at the Naju Gaeksa site which was divided ceremonial space and other space. At the time of King Gojong, he tried to recover regional facilities including Gaeksa with purpose of intensifying King power. But most of regional Gaeksa lost its function and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after the Korea and Japan annexation. Naju Gaeksa also had changed after Japanese Invasion to Korea in 1597. At this time, main hall, left and right wing quarters changed to typical apparence. Also, division of ceremonial function and practical function became clear. After then, In the 19th century, Naju Gaeksa was reconstructed. At this time, it had 1st inner gate and 2nd inner gate. After the Korea and Japan annexation in 1910, Naju Gaeksa lost most parts except for the main hall(Geumseonggwan) which was used as a political office, other facilities were used as a residence of general public. 본고는 나주객사의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나주객사의 중·개수를 통한 구조 변화를 확인하고, 조선시대 지방객사의 구조가 사회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작성되었다. 조선시대 객사는,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위한 지방 읍치 내 중심건축물로, 모든 의식이 치러졌던주공간(정청, 동·서익헌)과 객사의 지원을 위해 조성된 부속공간(부속건물, 유흥공간 등), 그리고주공간에 들어서기까지의 진입공간(외·중·내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공간 구조는 사회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러한 변화 양상은 나주객사 유적의 발굴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사신의 유숙과 접대가 주 기능이었던 조선 전기 객사는 유숙시설과 그 주변의 완상공간 조성이 우선시 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 당시 나주객사지 내 건물유구 또한 다소 산발적인 구조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 객사의 주요기능은 정청에서의 행례의식으로 변화하였다. 이 시기 나주객사 내 건물 배치는 정청과 양익헌을 갖춘 객사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객사 일곽또한 중문을 중심으로 행례공간과 그 외 공간으로 명확하게 구획되어졌다. 그리고 19세기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약화된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한 노력에 발맞춰 나주객사는 주 건물을 제외한 모든 공간에서 대대적인 구조변화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한일합병 이후 일제의 의도적인 해체로 인해 나주객사는 군청으로 사용된 정청(금성관)을 제외한 그 밖의 영역이 모두 일반인들의 거주지로 변화되었다.

      • KCI등재

        문헌으로 찾은 양근·지평 관아의 흔적 : 관아의 연혁·규모·터[址]를 중심으로

        유동호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1

        전근대 사회에서 지방고을의 중심공간은 官衙(관아)가 있던 邑治(읍치)였다. 해안가 고을의 읍치는 읍성 안에 있었으나, 내륙 고을의 읍치는 성곽이 없이 관아만 있었다. 현재 양평군(楊平郡)인 양근군(楊根郡)과 지평현(砥平縣)은 관아만 있던 고을이었다. 양근군과 지평현에 관아가 정식으로 설치된 시점은 조선 초기이다. ①조선 초부터 두 지역에 수령(守令)이 정식으로 임명되었던 점, ②1703년(숙종 29)과 1465년(세조 11)에 양근군 동헌(東軒)과 지평현 객사(客舍)가 중수(重修)되었던 점, ③조선 초부터 향교가 있었던 점 등이 조선 초부터 두 지역에 관아가 존재하였음을 증명한다. 조선시대 양근ㆍ지평관아의 주요건물은 아사(衙舍)ㆍ향청(鄕廳)ㆍ작청(作廳)ㆍ객사(客舍)ㆍ군관청(軍官廳) 등의 공해(公廨), 향교 등의 교육시설, 사직단(社稷壇)ㆍ성황사(城隍祠)ㆍ여단(厲壇) 등의 제단(祭壇)이었다. 현재 양근관아와 지평관아의 흔적은 거의 없다. 하지만 조선시대 지방관아의 공간구성 원칙 속에서 남아있는 문헌ㆍ고지도ㆍ유물 등을 분석한다면, 두 관아의 터[址]는 대략 찾을 수 있다. 문헌상 양근 아사[동헌] 터로 지목된 지역은 ‘현 양근중학교 앞 양평읍 관문1길 15(양근리 151)’이다. 실제 관문1길 일대에서 조선시대 백자편ㆍ기와편 등이 발견되며, 일부 주택에서 옛 동헌의 장대석을 재활용하는 모습도 확인된다. 한편 양근 객사 터로 추정되는 지역은 ‘현 양평경찰서 주변’이다. 하지만 양평경찰서 주변에서 객사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 다만 양평경찰서 근처의 양평역 앞에 천주교 성지 표석이 있어, 이 일대가 관아 터였음을 알 수 있다. 지평관아의 주요건물(동헌ㆍ내아ㆍ작청ㆍ장청ㆍ군향고ㆍ연무정ㆍ화약고ㆍ향청ㆍ객사 등)은 현 관교길(지평리 238~250)을 따라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는 건물 터는 객사와 아사[동헌] 터이다. 객사 터로 지목된 지평리 238번지는 주민의 구술과 문헌 내용이 일치하며, 아사[동헌] 터로 추정된 지평리 248~250번지 일대는 백자편ㆍ기와편ㆍ옛 동헌의 담장 등이 발견된다. In premodern society, the central spaces in local counties were known as Eupchi (邑治), in which Gwan-a (官衙). The Eupchi located in seaside counties were in Eupseong, whereas the Eupchi of inland counties only included a Gwan-a, and did not have a fortress. Yanggeun-gun (楊根郡) and Jipyeonghyeon (砥平縣), which currently form Yangpyeong-gun (楊平郡), were counties where only Gwan-a existed. At present, there are few traces of the Gwan-a in Yanggeun and Jipyeong.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exactly verify the history, scale and location of these two Gwan-a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rough estimation of the histories, scales and sites of these Gwan-a by analyz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ancient maps that are scatter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spatial organization of local Gwan-a. The Yanggeun and Jipyeong Gwan-a appear to have been built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re are three reasons for this assertion: First, in Yanggeun and Jipyeong, Suryeong (守令) were first officially appointed after the early Joseon period. Once Suryoeng were appointed to such counties, the Gwan-a in which they would serve c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Dongheon (東軒) in Yanggengun and the Gaeksa (客舍) in Jipyeonghyeon were rebuilt in 1703 (2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1465 (11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 respectively; thus; the Gwan-a must have existed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Third, in Yanggeungun, the Hyanggyo (鄕校) had existed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Joseon government necessarily established the Hyanggyo in areas where Suryeong were established. The facilities of local Gwan-a in the Joseon period were largely divided into gonghae (公廨), educational institutes, and alters. The gonghae was a facility in which the Suryeong and Gwanwon (官員) managed administrative, judicial and military affairs, and consisted of the A-sa (衙舍), Hyeongcheong (鄕廳), Jackcheong (作廳), Gaeksa (客舍), Gungwancheon (軍官廳), and so on. The education institute was called a Hyeonggyo, while alters included the Sajikdan (社稷壇), Seonghwansa (城隍祠) and Yeodan (厲壇). Both the Yeongeun and Jipyeong Gwan-a also consisted of such facilities as A-sa, Hyangcheong, Jakcheong, Gaeksa, Gungwancheong, Hyeonggyo, Changgo, Sajikdan, Seonghwangsa, Yeodan, Saryeongcheong, Jiincheong and Gwannocheong. The present sites for both Gwan-as cannot be identified with any certitude. However, they can be roughly identified by connecting the related literatures, oral statements and relics with the principles of spatial organization of local Gwan-a in the Joseon period. ● Address of the Yanggeun A-sa (Dongheon): the whole of # 15, Gwanmun 1-gil, Yangpyeong-eup (Yanggeun-ri 151) in front of Yanggeun Junior High School at present. ● Address of Yanggeun Gaeksa: around the Yangpyeong police station at present. ● Address of Jipyeong A-sa(Dongheon): the whole of Jipyeong-ri 248-250, Jipyeong-myeon at present. ● Address of Jipyeong Gaeksa: the whole of Jipyeong-ri 238, Jipyeong-myeon at present.

      • 투고논문 : 고령객사(高靈客舍) 연구

        정동락 ( Dong Rak Jung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이 글은 高靈客舍의 연혁과 건축의 배치형태 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먼저, 曺偉(1454~1503)의 「高靈客館記」와 李斗勳(1856~1918)의 『高靈誌』, 고령현감 趙秉璿의 「伽倻館重修記草」 등 문헌자료와 최근의 발굴 성과를 소개하였다. 고령객사는 1493년(성종 24) 고령현감 申澹이 건립하였는데, 正廳인 伽倻館 9칸과 동대청인 寅賓閣 15칸, 서대청인 餞日軒15칸 등 대략 50여 칸의 규모였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하였으며, 1843년(헌종 8)에는 고령현감 趙秉璿이 가야관 9칸, 인빈각 15칸 등 55칸을 중수하였으며, 폐문루 3칸 등 17칸은 보수하였고, 전일헌 15칸과 庫直家 3칸 등 31칸은 새로 건립해 규모가 103칸 정도로 확장되었다. 가야관에는 왕을 상징하는 殿牌를 모셨으나, 1896년에는 황제를 상징하는 闕牌를 봉안하였다. 1909년에 객사의 기능이 정지되었으며, 이듬해에 폐지되었다. 1930년대 후반에 가야관과 인빈각 등의 건물도 완전히 철거되었다. 고령객사는 가야관을 중심으로 좌우에 인빈각ㆍ전일헌을 `II`형으로 배치하였다. 인빈각은 정면 5칸 중 마루 2칸ㆍ온돌 1칸 등 3칸을 정청의 우측에 붙이고, 나머지는 남쪽 전면으로 나와 있다. 전일헌도 동일한 평면구조였다. 인빈각의 남쪽에는 3칸의 폐문루가 있고, 횡각 3칸으로 두 건물을 연결시켰다. 아울러 내삼문과 외삼문은 가야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었다. 연못은 가야관의 남쪽 정원에 위치했으며, 객사 주위에는 담장을 둘렀다. 가야관은 남향의 정면 3칸, 측면 3칸의 이익공 5량가 판대공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인빈각은 서향의 정면 5칸, 측면 3칸의 이익공 5량가 판대공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고령객사는 15세기 말 건립되어 400여 년 이상 고령관아의 중심 건물로 유지되다가 조선왕조와 운명을 함께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shape of Goryeonggaeksa. First of all, such documentary materials as 「Goryeonggaekgwangi」 of Jo-wi(1454~1503), 『Goryeongji』 of Yi-duhun(1856~1918), and 「Gaya-gwanjungsugicho」 of Jo-byeongseon as well as recent excavation results are introduced. Goryeonggaeksa was founded by Goryeonghyeongam Sin-dam in 1493(the 24th year of King Seongjong). It consists of about 50 kan(間)s including 9 kans of Jeongcheong Gayagwan, 15 kans of Dongdaecheong Inbingak, and 15 kans of Seodaecheong Jeonilheon. Thereafter, there were many restorations, one of which in 1843(the 8th year of King Heonjong) Goryeonghyeongam Jo-byeongseon covered the 50 kans including 9 kans of Gayagwan and 15 kans of Inbingak. In time, 17 kans including 3 kans of Pyemunru were repaired, and 31 kans in total including 15 kans of Jeonilheon, and 3 kans of Gojikga were newly built, which expanded the whole site to 103 kans. Jeonpae, a symbol of King, was dedicated in Gayagwan, and in 1896, Gwolpae, a symbol of Emperor, was newly enshrined. The function as a Gaeksa was discontinued in 1909, and abolished in the next year. In late 1930`s, such buildings as Gayagwan and Inbingak were completely demolished. Goryeonggaeksa had Gayagwan at the center and InbingakㆍJeonilheon at the sides, which formed a `П` shape. Inbingak had 3 kans(two floors and one ondol) at the right side of Gayagwan and the rest of 5 kans at the Southern part. Jeonilheon had the same plan. There were 3 kans of Pyemunru at the Southern part of Inbingak, and the two building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3 kans of Hwaenggak. In addition, Naesammun and Wesammun were arranged in the same line with Gayagwan. The pond was located at the Southern part of the garden in Gayagwan, and Gaeksa was surrounded by fences. Gayagwan was a gable roof building in Yiikgong Oyrangga that consisted of 3 kans in the front(facing the south) and 3 kans at the side, while Inbingak was a hipped-and-gable roof building in Yiikgong Oyrangga which consisted of 5 kans at the front(facing the west) and 3 kans at the side. Goryeonggaeksa was founded in the late 15 century, used as the central building of Goryeonggwana for more than 400 years, and then ruined upon the fall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다대포진 객사와 동헌에 관한 연구

        서치상 한국건축역사학회 2020 건축역사연구 Vol.29 No.2

        This paper aims at the examination on the fallacy of the name of ‘Dadaepo-gaeksa’.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so called ‘Dadaepo-gaeksa’ was one of the official buildings of Dadaejin, the naval forces in the late period of Josun dynasty. The building was moved to Molundae near the original site in 1970. And two years later, it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However it’s real name is ‘Dadaejin-dongheon’, because Dadae-jin gaeksa was demolished about the time of the foundation of Dadaepo-elementary school. Otherwise, Dadae-jin donheon was used as a school building from 1904 to 1970. Futhermore,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existing building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gaeksa’s in the period of Josun dynasty. Therefore, the name of Dadaepo-gaeksa needs to change into Dadaejin-gaeksa and to restore as its original style. 본 연구는 현재 몰운대에 있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다대포 객사’의 명칭과 건축형식의 오류를 검토함으로써 올바른 명칭으로의 변경과 함께 원형 복원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후기까지 다대진에는 60여 동, 280여 칸의 관아건물이 있었다. 그러나 1896년 갑오개혁으로 혁파되면서 객사를 비롯한 대부분의 건물이 철거되었다. 그나마 동헌과 부속 행랑채만 남아 1904년 개교된 다대포사립실용학교 교사로 사용되었다. 이후 1970년 운동장 정지공사로 동헌만 몰운대로 옮겨져서 ‘다대포 객사’로 명기되었다. 따라서 1970년까지 학교 부지 내에 남아 있던 건물은 동헌이며, 이를 비전문가들이 객사로 오인해서 ‘다대포 객사’로 명칭을 잘못 붙인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혁파 직전의 <중기책>을 비롯한 문헌 자료, 옛 모습을 묘사한 <임진전란도> 등의 고지도와 고회화, 그리고 『다대백년사』 에 실린 개교 이래의 상황에 대한 <연혁지>와 근대기 사진자료을 통해 객사와 동헌의 칸수와 위치, 소멸시기, 건축형식 등의 검토로 확인된다. 다만 지금까지 모든 정보매체는 ‘다대포 객사’라는 명칭을 기정사실화하는 한편,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객사와 현존 건물에 대한 해설을 똑같이 반복하고 있다. 이는 역사문화유산에 대한 그릇된 지식을 확산시킬 뿐 아니라 역사왜곡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건물의 명칭을 ‘다대진 동헌’으로 변경하고, 이에 부합하는 해설이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서 동헌의 원형에 대한 고증을 바탕으로 정확한 복원이 이뤄져야 한다.

      • KCI등재

        한말 충청수영 객사·동헌의 위치와 존치상태 연구

        김명래 한국건축역사학회 2018 건축역사연구 Vol.27 No.2

        The study on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Chungcheong Suyeong(忠淸水營) is very rare. How were the Gaeksa(客舍) and Dongheon(東軒) which are representative government office buildings in Suyeong, maintained and what was the aspect of it, while passing through the upheaval period of the end of Joseon(朝鮮)? And where was the original place and was there any change in use? It is so regrettable that these subjects were not figured out yet. So I thought it is very important task to figure out its actual aspect by investigating the maintain state of the Gaeksa and Dongheon and the change of their places. So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ed historical records and, based on it, analyzed 「Ocheon GoonJi(鰲川郡誌)」in various view point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could figured out the maintain aspect of the gaeksa and dongheon and the change of their places, and be able to deduce the other change of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 This study could assume the places of each government office buildings by comparing this investigated result and the analyzed result of the original cadastral map in various view points. As the result of the study done by this method, this study confirmed the maintain state of the Gaeksa and Dongheon in Chungcheong Suyeong while passing through the upheaval period of the end of Joseon. And this study figured out the places of the Gaeksa and Dongheon, and be able to confirm their places by the lot number on the original cadastral map. Along with this, this study could estimate Jo(趙) family's confliction with the residents at that time by verifying the lot numbers of the Sapaeji(賜牌地) which this family received from the government. And among the names of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s, for the Jangkyocheong(將校廳) which is in dispute because of the name, this study figured out that the author of 「Ocheon GoonJi」made a mistake in writing Dongheon.

      • KCI등재

        高靈客舍 연구

        정동락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shape of Goryeonggaeksa. First of all, such documentary materials as 「Goryeonggaekgwangi」 of Jo-wi(1454~1503), 『Goryeongji』 of Yi-duhun(1856~1918), and 「Gaya- gwanjungsugicho」 of Jo-byeongseon as well as recent excavation results are introduced. Goryeonggaeksa was founded by Goryeonghyeongam Sin-dam in 1493(the 24th year of King Seongjong). It consists of about 50 kan(間)s including 9 kans of Jeongcheong Gayagwan, 15 kans of Dongdaecheong Inbingak, and 15 kans of Seodaecheong Jeonilheon. Thereafter, there were many restorations, one of which in 1843(the 8th year of King Heonjong) Goryeonghyeongam Jo-byeongseon covered the 50 kans including 9 kans of Gayagwan and 15 kans of Inbingak. In time, 17 kans including 3 kans of Pyemunru were repaired, and 31 kans in total including 15 kans of Jeonilheon, and 3 kans of Gojikga were newly built, which expanded the whole site to 103 kans. Jeonpae, a symbol of King, was dedicated in Gayagwan, and in 1896, Gwolpae, a symbol of Emperor, was newly enshrined. The function as a Gaeksa was discontinued in 1909, and abolished in the next year. In late 1930's, such buildings as Gayagwan and Inbingak were completely demolished. Goryeonggaeksa had Gayagwan at the center and Inbingak·Jeonilheon at the sides, which formed a ‘П’ shape. Inbingak had 3 kans(two floors and one ondol) at the right side of Gayagwan and the rest of 5 kans at the Southern part. Jeonilheon had the same plan. There were 3 kans of Pyemunru at the Southern part of Inbingak, and the two building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3 kans of Hwaenggak. In addition, Naesammun and Wesammun were arranged in the same line with Gayagwan. The pond was located at the Southern part of the garden in Gayagwan, and Gaeksa was surrounded by fences. Gayagwan was a gable roof building in Yiikgong Oyrangga that consisted of 3 kans in the front(facing the south) and 3 kans at the side, while Inbingak was a hipped-and-gable roof building in Yiikgong Oyrangga which consisted of 5 kans at the front(facing the west) and 3 kans at the side. Goryeonggaeksa was founded in the late 15 century, used as the central building of Goryeonggwana for more than 400 years, and then ruined upon the fall of Joseon Dynasty. 이 글은 高靈客舍의 연혁과 건축의 배치형태 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먼저, 曺偉(1454~1503)의 「高靈客館記」와 李斗勳(1856~1918)의 『高靈誌』, 고령현감 趙秉璿의 「伽倻館重修記草」 등 문헌자료와 최근의 발굴 성과를 소개하였다. 고령객사는 1493년(성종 24) 고령현감 申澹이 건립하였는데, 正廳인 伽倻館 9칸과 동대청인 寅賓閣 15칸, 서대청인 餞日軒 15칸 등 대략 50여 칸의 규모였다.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하였으며, 1843년(헌종 8)에는 고령현감 趙秉璿이 가야관 9칸, 인빈각 15칸 등 55칸을 중수하였으며, 폐문루 3칸 등 17칸은 보수하였고, 전일헌 15칸과 庫直家 3칸 등 31칸은 새로 건립해 규모가 103칸 정도로 확장되었다. 가야관에는 왕을 상징하는 殿牌를 모셨으나, 1896년에는 황제를 상징하는 闕牌를 봉안하였다. 1909년에 객사의 기능이 정지되었으며, 이듬해에 폐지되었다. 1930년대 후반에 가야관과 인빈각 등의 건물도 완전히 철거되었다. 고령객사는 가야관을 중심으로 좌우에 인빈각·전일헌을 ‘П’형으로 배치하였다. 인빈각은 정면 5칸 중 마루 2칸․온돌 1칸 등 3칸을 정청의 우측에 붙이고, 나머지는 남쪽 전면으로 나와 있다. 전일헌도 동일한 평면구조였다. 인빈각의 남쪽에는 3칸의 폐문루가 있고, 횡각 3칸으로 두 건물을 연결시켰다. 아울러 내삼문과 외삼문은 가야관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었다. 연못은 가야관의 남쪽 정원에 위치했으며, 객사 주위에는 담장을 둘렀다. 가야관은 남향의 정면 3칸, 측면 3칸의 이익공 5량가 판대공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인빈각은 서향의 정면 5칸, 측면 3칸의 이익공 5량가 판대공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고령객사는 15세기 말 건립되어 400여 년 이상 고령관아의 중심 건물로 유지되다가 조선왕조와 운명을 함께하였다.

      • KCI등재

        18世紀 古地圖로 살펴 본 朝鮮時代 官衙樓의 立地에 관한 硏究

        윤교영,장헌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1 한국전통문화연구 Vol.9 No.-

        본 논문은 18세기 조선의 고문헌과 고지도의 기록을 통하여 당시 관아 루의 입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 재 남아있는 관아 루의 개체 수는 통계를 내어 분류하기엔 그 개체수가 너무 적고 남아 있는 것 또한 최근 들어 복 원 된 것이거나 그 자리가 옮겨진 것이 많기 때문에 현존하는 관아 루로 입지 특성을 연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 러나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지리서인 여지도서의 조선8개도 부·목 지역의 관아 루의 문헌상 위치를 조사하고 18 세기 고지도인 여지도와 해동지도를 통해 그 위치를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변 자연 요건과 객사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입지적 특성을 분류하고 객사 건물과의 연관성 및 입지 요인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관아 루의 입 지를 7가지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었고, 관아 루의 입지와 주변 자연경관의 관계가 밀접했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려시대와는 다르게 조선시대의 객사는 접대 및 향연의 기능이 다소 약화되어 그 해결방안으로 누각을 세웠던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관아시설의 누각 건축은 정자 건축과 더불어 조선시대 선조들의 풍류를 엿볼 수 있 는 중요한 건축물이다. 비록 고지도가 회화 형식이라 정확도 면에 있어서 미진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관아 건축 연 구에 있어서 하나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의의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cation of Gwanaru from old documents and maps in the 18th century Joseon. It is hard to figure out the exact number of remaining Gwanbangru because they are too few, and even remaining ones are those recently restored or relocated that make it difficult to stud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wanbangru.. This study investigated documentary location of Gwanbangru in towns and districts of 8 counties in Joseon with reference to Yeojidoseo, a 18th century geographical book. Then, their locations were double-checked from Yeojido and Haedongjido, two old maps in the 18th century. Based on it, it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official inn to classif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finall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relevance between official inn building and geographical condition. Different to the Goryeo period, reception and entertainment function of the official inn in Joseon was slightly weakened. Thus, a pavilion seems to be built to complement it. Accordingly, together with pavilion (gazebo building), the pavilion building in the public office is an important object in understanding the entertainment of ancestors in Joseon. Although old maps lack accuracy for their painted type,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a plausible research theme for the study of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 KCI등재

        成俔 記文의 관료문인적 성격

        이대형(Lee, Dae Hyu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虛白堂 成俔의 記 34편 가운데 공공건물에 대한 것이 17편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공공건물 기문 가운데 16편이 지방의 공공건물에 관한 기록이다. 그 가운데 향교를 다룬 1편을 제외하면 모두 客舍에 대한 기문이다. 객사기문에서는 객사가 賓客을 맞이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필요하다는 점, 수령의 정치와 긴밀하게 관련된다는 점들을 역설하고 있다. 공공건물의 경우 정치적 관점에서 건물의 공공성을 표방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사적 건물은 건물의 이름을 풀이하면서 인생관과 유교적 도리를 부연하는 방향으로 서술되었다. 승려에게 준 기문에서는 불교를 유교와 관련지어 해석하는 면모를 보인다. 성현의 기문에서 주류를 차지하는 공공건물에 대한 기문 가운데 친히 가서 보고 지은 것은 7편에 그친다. 직접 가서 보지 않은 상태에서 기문을 지으려면 현장에서 보내온 글에 의존해야만 한다. 성현의 기문에는 현장에서 보내온 글이 대거 인용된 경우도 보인다. 남의 글을 토대로 기문을 찬술하다보니 개성적 표현보다는 관습적 표현들이 자주 사용되었다. 관습적 표현들은 건물의 重修에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쉽게 완성되었고 백성들이 수령을 찬미한다는 데서 두드러진다. 이러한 표현들은 실제 백성의 입장이 아니라 통치자의 입장에서 서술된 다분히 관념적이고 이상적인 것으 로 보인다. 15세기 다른 관료문인들의 기문과 비교하면, 역사적 관점을 견지하며 표현이나 흥취를 중시하는 문인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김종직이나 신선풍취를 보이는 홍귀달과는 달리, 성현의 기문은 객사의 효용 등 정치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관습적인 서술을 보여준다는 데서 관료문인으로서의 모습이 두드러진다. Sung Hyeon wrote 34 gies and most of them deal with public buildings. There are 19 gies about the public buildings. Especially 16 gies of the 19 works are reports on local public buildings. Except one which deals with a Confucian temple and a school belonging to it, all the rest of 16 works are gies about public inns[客舍]. In the gies about public inns, it is emphasized that the public inns are necessary for welcoming visitors such as envoys or public officials and related with local governor's political affairs. He stressed the public buildings' functions in the political views. In the other hand, private building are introduced by explaining the reason of giving a name of a private building and we can understand his viewpoint on life and Confucian duties. There are 4 gies which Sung Hyeon wrote for Buddhist monks trying to connect Buddhism to Confucianism. Sung Hyeon's main gies are 19 works dealing with public buildings. Only 7 works of them were written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of seeing them with his own eyes. The rest of them were written from the local letters sent at the pressing request of Sung Hyeon. We can easily found a lot of quotations from the local letters in his gies. Because of writing on the base of other's letters, he used conventional expressions more than individual ones. It is an example of his conventional remarks that people participated in construction work voluntarily and praised the governors for the building. These expressions are ideological and ideal not in people's places but in governors' places. Compared with others' works, gies by Sung Hyeon show us his bureaucratic literary features well. He wrote a lot of gies about usefulness of public inns in the political aspects.

      • KCI등재

        영광 법성진 관아건축의 배치 및 위치추정에 관한 연구

        성대철,신웅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3

        과거 법성진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로서 조창시설과 수군진이 설치되기에 최적의 장소였다. 이 때문에 하동문(下東門)이 육지에서 접근하는 기능적인 정문이었으며, 남문은 해로에서 접근하는 상징적인 정문이었다. 이에 남문은 1915년 소유자나 지형의 형태 등을 종합해 볼 때 453번지로 추정되며, 옹성(甕城) 때문에 도로가 꺾인 것으로 보인다. 하동문은 1915년 소유자와 ‘비각거리’라는 지명에 의한 161번지 주변으로 추정된다. 객사는 284번지, 동헌 232번지 주변으로 추정되며 이 사이의 대지에서 부속시설이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치형태는 1872년 지도와 유사하다. 객사는 법성진의 전체적인 상징성이 우선한 배치이며, 동헌은 부속시설과 객사를 연결하는 위치이면서 모든 시설이 조망되는 위치에 있어 기능성이 우선한 배치로 볼 수 있다. In the past, Beopsungjin(法聖鎭) was a peninsula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and it was the best place for the installation of a jochang(漕倉) and a naval base(水軍鎭). For this reason, Hadongmun(下東門) was a functional front gate approaching from the land, and the south gate was a symbolic front gate approaching from the sea. In 1915 a land registration map, the south gate was estimated to be 453(street no.) in terms of the owner and terrain type, and the road seems to have been broken due to Ong-seong(甕城). Hadongmun(下東門) is estimated to be around 161(street no.) in 1915 map by its owner and the name of 'bi-gag-geo-li(strret of memorial stone)'. Gaeg-sa(客舍) are estimated to be around 284 and Dong-heon(東軒) in 232, and it seems that the facilities were located between them. This arrangement is similar to the 1872 map. The Gaeg-sa(客舍) is the arrangement in which the overall symbolism of the Beopsungjin(法聖鎭), and the Dong-heon(東軒) is the location where the attached buildings is connected to the Gaeg-sa(客舍), and the function is prioritized in the position where all attached buildings are overlook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