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의 성리학적 입장에 대한 검토 -한주학파(寒洲學派)와의 논변을 중심으로-

        임종진 ( Jong Jin Lim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본 논문은 19세기말 영남의 성리학자인 李種杞의 성리학적 입장을 살펴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性理學에 대한 이종기의 입장은 그의 문집 속에 들어 있는 소논문들, 李震相과 그의 제자 및 다른 성리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 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러한 글 속에서 이종기는 여러 성리학적 주제들과 관련된 자신의 입장을 피력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해 보면, 이종기는 크게 두 측면에서 자신의 성리학적 입장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첫 번째 측면은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李珥의 성리학적 입장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退溪學派로서의 자신의 사상적 좌표를 명확하게 설정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측면은 퇴계학파 내에서의 성리학적 입장과 관련되어 있다. 이점과 관련해서는 이종기와 이진상을 비롯한 寒洲學派(許愈, 尹胄夏, 郭鍾錫)와의 논변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주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바로 이 부분이다. 理氣論과 心性論을 중심으로 해서 이 부분에 대한 이종기와 한주학파의 성리학적 차이점을 드러내 보이면, 자연스럽게 당시 퇴계학파 내에서 이종기의 성리학적 입장이 가지는 의미와 평가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理氣論과 관련해서 살펴보면, 양측 모두는 기본적으로 朱熹와 이황에서 비롯된 主理論의 입장을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한 걸음 더 나아가면 여러 가지 주제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요컨대 한주학파는 보다 주리적인 측면을 부각시켜 리와 기의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입장이라면, 이종기는 리와 기의 조화와 공존의 측면을 보다 강조하려는 입장이다. 心性論과 관련해서도 한주학파는 心卽理說을 주창함으로써 이황의 心合理氣說을 고수한 이종기와 대립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양측의 입장 차이는 쉽게 해소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첫째는 朱熹와 같은 성리학자들의 이론 자체에서 발견되는 부정합성의 문제 때문이고, 둘째는 한 성리학자의 이론에 내재된 다면적인 함의 중에서 어떤 측면을 중요하게 보는가하는 문제가 계속 남기 때문이다. 이제 이종기의 성리학적 입장과 관련해서 약간의 평가를 덧붙이고자 한다. 이종기는 기본적으로 李滉의 理氣互發說과 심합리기설의 입장을 성리학 이해의 근간으로 삼고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나치게 理發ㆍ氣發만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입장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다. 이러한 입장은 물론 기호학파의 主氣論에 대한 비판이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한편으로는 퇴계학파의 주리론이 후대로 내려오면서 점차 리 위주로 모든 것을 해석하려는 경향에 대한 퇴계학파 내부의 자기반성적 태도와도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이진상을 중심으로 하는 한주학파가 理優位論을 근간으로 하는 觀念(idea) 위주의 理想主義的입장에서 퇴계학을 계승했다면, 이종기는 상대적으로 氣의 존재론적 위상에 좀 더 주목하여 종래 퇴계학파의 性理思想을 보다 현실적인 입장으로 이동시켜 사상적 균형성을 회복하려는 태도를 견지한 `退溪學의 現實主義的 繼承者`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look over the Neo-Confucian position of Lee Jong-Gi, a Confucian scholar of Youngnam a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is position on Neo-Confucianism can be figured out through some small articles in his collection of works and his correspondences with Lee Jin-Sang and his disciples and other scholars. In these works, we can see that Lee Jong-Gi had revealed his position to the various Neo-Confucian issues in two large aspects. The first aspect is that by way of taking critical stance on the Neo-Confucian position of Lee I, the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school of Giho, he, as a scholar of the school of Toegye, established clearly his stance of thought. The second aspect is related to his position within the school of Toegye. In regard to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is argument with the school of Hanju represented by Lee Jin-Sang. This article mostly deals with this part, and thereupon meaning and evaluation about Lee Jong-Gi`s Neo-Confucian position can be drawn naturally. First of all, if we look into the theory of li[principle]-ki[material force], both sides basically took the position of the theory of Juli[主理論] which was originated by Chu Hsi and Lee Hwang. However, if we take one step further, we can see that they revealed some differences in many issues. For example, while the school of Hanju(Lee Jin-Sang and his disciples like Heo Yu, Yun Ju-Ha, Kwak Jong-Seok) tried to emphasize the distinction between li and ki by way of revealing more the aspect of Juli, Lee Jong-Gi tried to emphasize the harmony and coexistence of li and ki. In regard to the theory of human mind and nature, the school of Hanju, by advocating the theory that human mind is li[心卽理說], tookdifferent stance against Lee Jong-Gi who held fast to Lee Hwang`s theory of human mind as the integration of li-ki[心合理氣說]. Yet, the difference of both positions is at the same time a kind of structural problem that cannot be dissolved easily. It is due, first, to the disparity discovered from the theory itself of Neo-Confucian scholars such as Chu Hsi, second, to the fact that there still remains a problem that among various immanent implications of a scholar which aspect is to be considered most importantly. At this point, we need to add some evaluation in regard to Lee Jong-Gi`s Neo-Confucian position. Basically he got his root of Neo-Confucian understanding from Lee Hwang`s theory of co-arousal of li-ki[理氣互發說] and theory of human mind as the integration of li-ki. Therefore, he was skeptical to the Neo-Confucian position that had excessive emphasis on the arousal of li[理發] and the arousal of ki. This kind of position as well as the critique of the theory of Juki[主氣論] of the school of Giho has a much greater deal of weight, but in the meanwhile it is related to self-reflective attitude within the school of Toegye against the tendency to interpret everything mostly with regard to li. This tendency had been developed as the theory of Juli of the school of Toegye had been handed down to later generations. From this aspect, we can see that while the school of Hanju led by Lee Jin-Sang had taken over Toegye Studies form the idealistic position centered on idea based on the theory that li is superior, Lee Jong-Gi can be called `a realistic successor of Toegye Studies` who adhered to the position to recover the equilibrium of thought by way of moving the school of Toegye`s traditional Neo-Confucian thought into more realistic position after paying more attention relatively to the ontological location of ki.

      •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강안학(江岸學)과 고령(高靈) 유학(儒學)에 대한 시론(試論)

        정우락 ( Woo Lak Jeong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본고는 고령 유학의 전반적 성격과 특징, 그리고 전망을 다룬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낙동강 연안에 위치한 고령의 지리적 특수성에 입각하여 `江岸學`이라는 새로운 가설을 통해 영남 유학의 성격을 시론으로 살핀 다음, 거기에 입각하여 고령 유학의 특징을 구명하는 것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퇴계학과 남명학을 중심으로 영남학을 읽던 기존의 관점을 극복하는 측면에서, 나아가 한강이나 금강 등 전국적 범위의 강안학을 고령지역에 적용시키고 있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의를 확보하고 있다. `江岸`이라는 용어는 영남지역의 詩歌문학적 특성을 살피면서 제출되어 낙동강 연안을 중심으로 유학사상사를 새롭게 이해하자는 쪽으로 확대 적용되었다. 즉 강좌의 退溪學派와 강우의 南冥學派로 양분되던 영남학을 강안지역의 寒旅學派를 다시 설정하여 소통과 화합의 영남학을 구축하자는 것이었다.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이 용어가 탄생한 것이니, 강안학은 16세기 이후라는 시간적 범위, 상주에서 창원에 이르는 공간적 범위, 유학사상이라는 학문적 범위를 포괄한 개념이다. 이 개념을 더욱 확장하여 강을 중심으로 한 한국학 전반을 새롭게 이해하는 구도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강안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의 성리학이 유입되었고 이후 사림파가 성장하였다. 길재나 김숙자와 김종직, 그리고 김굉필이 강안 지역에 거점을 마련하고 활동하였다는 사실은 이를 증명하기에 족하다. 고령지역은 김숙자가 현감직을 수행하면서 초기 사림이 뿌리 내리기 시작했고 김종직의 후손이 살면서 사림파 着根의 한 표본이 되었다. 강안학의 특징은 기호학과 영남학, 혹은 퇴계학과 남명학의 會通性, 박학에 바탕 한 실천정신을 지닌 實用性,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담보된 獨創性을 들 수 있다. 강안지역에 위치한 고령지역은 이 같은 강안학의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면서도 고령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회통성의 경우 고령 유학은 畿嶺學의 회통성보다 退南學의 회통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며, 퇴남학의 회통성에서도 남명학 쪽으로 다소 경사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남명학의 저류와 그 발전적 면모를 통해 고령 유학의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용주의에 입각한 실천정신은 역사에 대한 관심과 의병활동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고령 유학이 지닌 최대의 특징이다. 그리고 독창성은 朴而章의 양명학 수용 가능성과 서양철학 도입을 통한 李寅梓의 유교개혁사상을 들 수 있다. 이 같은 사정을 고려하며 고령 유학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면, 고령지역의 강안학적 특수성을 살리면서도, 회통성과 실용성, 그리고 독창성이 역동적 상생관계를 구축하며 새로운 시대를 위한 응전력을 키워나가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and then prospected its future. First of all, it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Yeongnam Confucian thoughts through a new hypothesis called `Ganganhak`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oryeong which is located along the shores of the Nakdong River. On the basis of this, the study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This process is significant in that it escaped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understand Yeongnam Confucian thoughts based on Toegyehak and Nammyeonghak and that it applied Ganganhak, that covers the entire nation including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to Goryeong region. The term `Gangan`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features of poetry literature of Yeongnam region and then employed to renew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n the region around the Nakdong river. That is, `Gangan` was used to recreate Yeongnamhak, which had been divided into Toegye school on the left side of the Nakdong river and Nammyeong school on the right side of the river, into Hanryeo school in the regions around rivers to build communicative and cooperative Yeongnamhak. Given that the term Gangan emerged under the awareness of such problems, it can be said that Ganganhak is Confucian thoughts created in the area from Sangju to Changwon in the 16th century. If Ganganhak is further expanded, it may develop into a concept that renew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studies based on rivers. It was through regions around the rivers that Korean Confucianism was imported, and later Sarim faction also grew up. This is proved by the fact that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and Kim Goeng-pilpursued their studies and carried out academic activities in the regions around the rivers. Sarim faction emerged in Goryeong region while Kim Suk-ja was the country magistrate called `Hyeongam` of Goryeong. Later, Sarim faction took root in Goryeong due to the efforts of Kim Jong-jik`s descendants who settled down in the region. Ganganhak is characterized by the conciliation of Gihohak and Yeongnamhak or Toegyehak and Nammyeonghak, practicality based on wide knowledge, and creativity based on the new perception of the world. Goryeong region located around the river wa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Ganganhak and had its own geographical peculiarities. As for the conciliation,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ere more conciliated with Toenamhak than with Giryeonghak. Especially it was more conciliated with Nammyeonghak, a part of Toenamhak. Therefore, the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can be examined though the development of Nammyeonghak. Practical mind based on practicality were embodied into interests in history and Uibyeong`s activities, which are the biggest features of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th regard to creativity, Park, I-jang`s possibility of accepting Wang Yang-ming School and Lee In-jae`s Confucian reform though the instruction of Western philosophy can be discussed. Given all this, it is expected that Goryeong Confucian thoughts will develop further in the future by maintaining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Goryeong region and building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its features, conciliation, practicality and creativity.

      •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경론(敬論)과 이론 배경

        장윤수 ( Yun Su Jang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8 No.-

        葛庵 李玄逸(l627~1704)은 l7세기 영남학파의 최고 학자로서, 栗谷學을 비판하고 退溪學을 변증하며 嶺南 士林의 宗匠 역할을 한 사람이다. 그가 남긴 文集은 이러한 사상사적 지위에 걸맞게 양적으로 풍부하고 질적으로도 수준 높은 성리이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그의 철학사상에 대한 연구는 거의 理氣四七論에 한정되고, 수양론에 대해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것은 배움과 실천을 함께 강조하는 유학의 전통으로 보나, 退溪學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가 ‘敬``의 수양론이며 갈암이 그러한 퇴계학의 嫡傳者임을 자부한다는 점에서 쉽게 이해하기 힘들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갈암의 敬論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시대적 배경과 개인적 학문경향 등으로 인해 敬에 대한 갈암의 언급이 많지 않지만, 배경 지식의 풍부함과 논리적 치밀함이 돋보인다. 갈암은 朱子-退溪의 전통 성리학적 敬論을 계승하며, 특히 그의 家學의 연원인 敬堂 張興孝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는 천하사물의 이치가 둘로 구분되지만 이 둘을 分對的인 관계로만 보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敬의 공부 또한 靜時와 動時, 未發과 已發, 存養과 省察, 居敬과 涵養(窮理) 등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대립되는 양자는 상호보완적 整合體를 이룬다고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갈암은 대립을 이루는 모든 공부의 통일근거로 敬을 해석하였으며, 마음 공부의 핵심이 敬에 달려 있다고 강조한다. Galam(葛庵) Lee Hyeon-Il(李玄逸) could be considered one of leading scholars among Yongnam School in 17th century. During his time. Lee Hyeon-Il criticized Yulgok scholarship and defended Toegye scholarship, acting as a vigorous representative of Yongnam School. As a corollary. Lee Hyeon-Il left a legacy of many works in Confucianism with stellar academic quality. It should, however, be noted that most of previous study and research concerning Lee Hyeon-Il`s Confucius philosophy by and large have been confined to the realm of theory of Ri-Gi(理氣), and little has touched upon Lee Hyeon-Il`s theory of moral culture. This is the point in which one wouldfind a kind of contradiction from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that emphasize unity of theory and practice. Taking this critical concern as its starting point, this study investigates Calam`s theory of Gyeong(敬). Due to both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individual preference, unfortunately, few works are available in order to closely look at Galam`s theory of Gyeong.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his knowledge background and embedded logic in his theory should be considered as excellent ones. Furthermore, Galam inherited theory of Gyeong from traditional Neo-Confucianism such as Chu Hsi(朱熹) and Toegye(退溪). He argued that reason of all things can be dichotomized yet this split should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Not only does Gyeong hold the key to unify all opposed studies into one coherent study but, more importantly, it is the crux of all mind studies," as Lee Hyeon-Il cont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