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후기·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문종(Han, Moon-Jong)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0 No.-

        『한일관계사연구』(1~58)에 수록된 고려후기・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성과와 특징을 정리하였다. 먼저 고려후기 한일관계사는 왜구 문제가 주요한 연구 주제였다. 그러나 아직도 이 주제에 대해서는 한일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있다. 한편 여원연합군의 일본정벌과 상호인식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었다. 따라서 고려후기 한일관계사 연구는 앞으로 왜구의 주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좁히고, 연구주제를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다.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는 소수의 학자들에 의해서 행하여 졌다. 이 때문에 다른 시기에 비해 연구가 많지 않았다.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의 특징은 李藝와 金誠一등 외교 인물과 해동제국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러나 조일간의 무역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하여지 않았으며, 제도사적인 면에 치우친 한계가 있었다. 倭人의 統制와 接待, 向化・受職・受圖書倭人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행하여졌다. 그러나 주로 한국 측의 자료만을 가지고 연구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삼포왜란 이후의 한일관계는 임진왜란의 발발 배경과 通交違反者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주제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조선전기 한일관계사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주제를 연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일 학자 간에 견해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동 연구가 필요하며, 양국의 사료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높여야 한다. 그리고 연구의 시각을 동아시아 세계로 확대하고, 女眞・琉球등 주변의 여러 나라와 비교연구를 통하여 한일관계 특징을 보다 더 명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The resul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Japan relations studies from the late Kory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Korea-Japan Historical Review” (vol. 1 to 58)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late Koryo period, Japanese pirates was a major research topic. But, there is still much controversy among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on this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udy on the Japanese conquest of the Mongol Yuan and Koryo Allied Forces and their mutual perception. Therefore, the study of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the Koryo dynasty needs to narrow the gap of perception of the identity of Japanese pirates and to diversify the subjects of the study. Next, the study of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conducted by a small number of scholars. Because of this, there were not many studies compared to other 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n Korea-Japan relations of this period are that the research on diplomatic characters such as Lee Yeh and Kim Sung Il and the book entitled “Haedongjegukgi” we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even that has been limited to institutional aspects. The issue of controlling and hosting Japanese, naturalized Japanese problems, and the grant of government posts and books to Japanese have been studied so far.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studying mainly data from the Korean sid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fter the Japanese riots at three ports in 1510 is a very important topic for studying the background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violators of friendly relations,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it. In order to revitalize Korea-Japan affiliated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many researchers can study various sub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erences of opin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joint research is necessary and objectivity of research should be enhanc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ed data of both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 Japan relations more clearly by expanding the viewpoint of research into the East Asian world and by conducting comparative studi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urchen and Ryukyu island.

      • KCI등재

        고대한일관계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나행주(Na, Haeng-Joo)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2 No.-

        본고는 최근 2002년부터 2017년까지의 약 15년간에 걸쳐 한국학계에 제시된 고대한일관계사에 관한 연구 성과를 정리, 회고해 보고 향후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우선, 본 학회의 위상을 살펴보기 위해 근년의 인용지수와 함께 학술회의 개최실적, 그리고 학회지『한일관계사연구』에 게재된 고대한일관계에 관한 연구 성과를 수량적으로 분석해보고, 주제별로 그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학회지의 높은 위상(위치)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고대 한일 관계사 연구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고대한일관계에 관한 연구 성과를 쟁점 및 테마별, 시대별 · 시기별, 국가별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방면의 연구 수준의 질적 심화와 함께 연구주제의 다양화 양상을 확인했고, 학회차원의 분야별 연구 성과 정리의 필요성이 있음을 실감했다. 마지막으로, 금후의 학회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paper reviewed the trends of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from 2002 to 2017, and prospected future researches. The results and characteristic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s published in “The Korea-Japan Historical Review”, and confirmed the high status of the journal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by topic. Next, In order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were classified by issues and themes, periods, and countries. As a result, we confirme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research level in each area and the aspect of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Finally, I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ociety of Korea-Japan Relations History.

      • KCI등재

        한국과 일본에서의 한일회담 반대운동의 전개과정과 역사적 의의

        유지아(柳芝娥)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3 No.-

        1951년부터 시작된 한일국교정상화교섭은 수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초반까지 어떠한 합의도 이루어내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이승만 정부는 국교정상화의 전제조건으로 일본의 사과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던 반면, 일본정부는 한일국교정상화를 양국 간의 미래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협정으로 간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1년 5월에 한국에서 군사쿠데타가 일어나 박정희 정권이 수립되면서 한일국교정상화 회담이 급진전하기 시작하였으며, 그에 따른 반대운동도 일어났다. 군사쿠데타로 성립한 박정희 정권은 미국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부심했고, 한국 국민들이 정부를 인정하게 만들기 위해 기존의 정부에서 해결하지 못한 난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 두 가지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이슈가 한일국교의 조속한 타결이라고 판단했던 것이다. 한국에서 한일회담 반대운동은 한국정부의 대일 저자세 바판, 평화선 사수, 일본의 경제침략에 대한 경계, 미국의 한일회담 개입에 대한 비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에서의 한일회담 반대논리는 아시아의 전쟁을 야기하는 군사동맹 반대, 경제적인 면에서 일본의 자본진출로 인하여 일본 노동자의 생존권 위협, 한국의 통일을 방해하고 베트남전쟁을 지속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군사제휴 반대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한일회담 반대운동은 식민지 지배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함으로써 한일 양국의 운동세력이 연대하지 못함으로써 실패한 운동으로 규정되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일 양국의 반대운동의 의의는 첫째, 자국의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거국적인 운동이었다는 점, 둘째, 양국에서 한일회담반대운동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반미의식이 강해졌다는 점, 셋째 한국에서 ‘자주경제’라고 표현되었던 부분이 일본에서도 또한 노동자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경제개념으로 나타나고 있었다는 점, 마지막으로 한일회담반대운동의 내재적 비판을 통해 일본인 자신이 식민지 지배민족이었다는 자각을 하지 못함으로써 조선문제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전쟁시기 가해자로서의 자기부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각은 이후 일본 사회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식민지 문제에 대한 보다 본질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한일병합조약의 국제법적 기원과 국제적 승인문제

        최정수(Choi, Jeong Soo)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1 No.-

        이 연구는 한일병합조약을 국제법의 관점에서 조명했다. 하나는 일본이 한국을 병합한 동기가 무엇인가. 다른 하나는 병합 후 일본이 미국의 승인을 얻으려고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이 두 가지 주제는 아직 국제법의 맥락에서 검토된 바 없다. 연구자는 본문을 3개의 장으로 나누어 살폈다. 제2장에서 헤이그협약, 가옥세중재재판사건, 러시아가 펼친 헤이그중재재판 기도 사건 등을 다루었다. 이들 사건이 한일병합조약의 법리를 탄생시켰기 때문이다. 이어서 제3장과 4장에서 일본이 한일병합 후에 미국으로부터 사후 승인받는 과정과 승인의 의미를 살폈다. 그것이 일본으로 하여금 계획 단계의 병합을 실제정책으로 드러나게 한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 몇 가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일병합의 동기는 한국과 열강 간의 통상조약을 제거하는데 있다. 헤이그협약과 가옥 세중재재판사건은 일본에게 한국문제를 국제재판에 회부하면 빼앗긴다는 공포감을 심어주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러시아가 실제로 그러한 음모를 수차례에 걸쳐 꾸밈으로써 일본은 마침내 행동으로 옮겼던 것이다. 그것은 바로 한국-열강의 중재재판청구권을 박탈하는 것이다. 한일병합조약으로 한국-열강의 통상조약을 폐기한다는 법리가 이렇게 하여 만들어 졌던 것이다. 둘째, 한일병합조약은 미국의 승인을 얻어야만 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미국이 한일병합으로 한미통상조약은 폐기된다는 법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점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이 얻고자 한 것은 한일병합조약을 승인해 달라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 일본의 조약침해를 헤이그중재 재판소에 회부하지 말 것을 약속해 달라는 것이었다. 미국은 이를 수용했다. 일본이 미국의 이민금지를 용인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사실 이민배척법은 조약 위반이었다. 아시아인에게만 차별적으로 적용되었기 때문이며, 따라서 국제재판의 대상이었다. 이렇게 본다면 미국과 일본 간에는 다음과 같은 거래가 있었던 셈이다. 미국은 일본이 한미통상조약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재판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일본에게 약속하고, 일본은 이민문제가 미일통상조약을 위반했지만, 재판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점을 미국에게 약속한 것이었다. 요컨대 미국은 한일병합이 한미조약을 위반한데 대하여 재판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는 정도의 약속을 미일통상조약 제5조를 통해서 표시한 것이다. 셋째, 한일병합조약은 미일 간의 조약체제를 둘러싼 미래의 투쟁을 예고했다는 것이다. 한일병합조약에 담긴 조약개정원리는 ‘先 선언을 통한 구조약 파기, 後 신조약 수립’이었던 반면, 미국의 통상조약의 개정은 ‘선협상을 통한 수정, 후 신조약 수립’을 조약개정의 원리로 했기 때문이다. 이후 일본은 대청 21개조 요구, 만주괴뢰정부를 통한 만주분리 시도, 중일전쟁 개시 등을 통해 한일병합조약의 원리를 확산시키려고 했고, 미국은 국제연맹규약, 부전조약, 문호개방조약 등을 통해 현행 조약개정원리의 준수를 요구했다. 양국 간의 국제법전쟁은 1939년에 이르러 미국이 미일신 통상조약의 파기를 선언하고, 1946년의 전범재판에서 헤이그조약체제의 파괴를 기소 사유 중의 하나로 들었을 때 종식되었다. Why did Japan annex Korea in 1910? Why did Japan confront with question of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reaty of Annex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wo question throughly. My research consists of three parts: In part one and two, I asked that what caused Japan to do the treaty of annexation of Korea. Part three tried to find the cause of the question of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treaty of annex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he Origin of the Annexation of Treaty Korea and Japan is as follows; First, the nations have the right for peace resolution to the dispute between nations based on the Hague Convention(1899). The Powers can bring the international dispute on the commercial treaties between Korea and the Powers to Hague arbitral court since the Hague Convention. In other words, the commercial treaties between Korea and the Powers added in the right of access to Hague Arbitral Courts. Secondly, Japan feared the Hague Court, because Japan have had the bitter experience that the Hague Court decide the case on Japanese House Tax Arbitration against Japan. It ended in failure that Japanese plan of an unequal treaty revision is to take advantage of the Hague Court. Thirdly, Japan has been threaten from Russia to carry Korea question on the Hague arbitral court. It is the reason why Japan decide to annex Korea.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bring about the question of international recognition. The treaty of annex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did damage to the U.S. commercial treaty right in Korea. It is prescribed in the U.S. constitution that treaty is supreme clause. If the government want to abrogate treaty, it should be ratified by the U.S. Senate. In other words, Japan couldn"t nullify the U.S. treaty, the U.S. President couldn"t too without the consent of the U.S. Senate. The U.S. government gave to Japan not legal recognition, and not diplomatical silence that implies consent. The U.S. silence implies to do not to expression in the opposition of annexation of Korea. In conclusion, the U.S. attitude toward Japanese annexation is abstention from the appeal to Hague Court.

      • KCI등재

        현대 한일관계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최영호(Choi, Young-Ho)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0 No.-

        본 논문은 필자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과 일본의 현대사에 관한 연구를 ①해방직후의 재일한인 사회, ②일본의 전후처리, ③일제강점하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한국정부의 ‘보상’과 ‘지원’, ④해방 후 재조일본인 단체, ⑤‘평화선’문제에 국한시켜 연구 활동과 관련한 회고와 전망을 논한 것이다. 필자는 한국의 현대사 연구에는 반드시 한일관계사에 관한 기본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역사적으로 지리적으로 일본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한국은 민족 해방, 정부 수립, 주권국가의 회복, 경제성장 과정 등에서 일본과의 관계를 설정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현대 한일관계사에서 갖가지 역사적 맥락들은 과거의 사건이나 현상에 그치지 않고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양 국민의 생활이나 상호 인식 문제에 강력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역사 교육과 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당위성을 제공하고 있다. In this paper, I"m discussing the prospect and retrospect about ① Korean community of Japan in the liberation period, ② Japan"s postwar settlement, ③ Korean government"s compensation and assistance to victims of forcible mobilization by Japan, ④ Japanese people in Korea in the liberation period, ⑤ "Peace line’by Korean government relating to contemporary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my own investigation. I think it is essential for researchers of Korean modern history to understand fundamental informations of the postwar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Because Korea has fallen historically and geographically under the influence of Japan and would map out future relations with Japan in the process of national liberation, governmental setting-up, recovery of sovereignty and economic revival. Various historical contexts in contemporary relation between two countries are not confined to past events or phenomena but also include lives or perceptions of the people between two countries these days. So Korean and Japanese historians should examine closely the contexts and spread widely over the common societies in many ways.

      • KCI등재

        문화재 반환 문제로 본 한일 간 ‘화해’의 가능성 -한일 간 국교정상화 과정에 대한 재고-

        류미나 한일관계사학회 2019 한일관계사연구 Vol.66 No.-

        This paper seeks to reconsider the process of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hereby examining the current twisted situation in the bilateral relations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 “reconciliation,” which the two countries should actively pursue. This study has reconsidered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these two countries from their past relationship, as a colonial suzerain and a dominion, to an “equal” relationship at the time of the South Korea-Japan summit by looking at their responses to the issue of returning cultural assets that surfaced around the time of the summit. The summit as well as negotiations on the return of cultural assets were subjects of major interest in South Korean and Japanese academia. Thus, this study has also examined how academia on both sides understood and accommodated the awareness of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By examining how well the two countries understood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on, this study has reflected on the origins of the current South Korea-Japan relations. Through such a reflection, the author along with the readers hopes to consider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current crisis in bilateral relations, seen as the “worst South Korea-Japan relations” since the normalization. 본고는 한일 간 국교정상화 과정을 재고하면서 한일관계의 기원을 살피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현재의 양국 관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없는지, 그리고 그 가능성에 양국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를 생각해 봤다. 이러한 연구 목적으로 필자는 한일회담을 전후로 대두된 문화재 반환 문제를 주제로 삼아, 양국이 문제를 어떻게 다뤘고, 그 가운데 무엇이 드러났는가를 분석했다. 한일회담은 당시 양국 학계에서도 큰 관심을 보였는데, 이들 학계가 국교정상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했는지도 고찰했다. 국교정상화 과정 속에서 보인 양국의 상호 이해의 수준을 확인하며, 지금의 한일관계가 어떤 기초 위에 구축돼 있는가를 비판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손승철(Seung-Cheul Son)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40 No.-

        이 글은 현재 한ㆍ일간에 일어나고 있는 역사분쟁의 발단과 사적전개과정을 제1기(1955~1981), 제2기(1982~2000), 제3기(2001~2010)로 나누어 서술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한국 측의 노력과 전망 등을 정리하여, 향후 역사분쟁을 해소하는데 일조가 되기를 기원하는 목적에서 작성한 것이다. 1955년 ‘제1차 교과서 공격’으로부터 시작된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는 일본문부성에 ‘교과용도서 조사관제도’를 상설화하고, ‘교과용도서검정심의회’를 범령으로 제정화하면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국가에 의한 통제강화는 1965년 소위 ‘이에나가 교과서 재판’을 계기로 1974년 교과서부터는 일부 시정되기도 했다. ‘제2차 교과서 공격’은 1982년 개악된 교과서가 검정을 통과하면서 시작되었고, 한국에서는 반일여론이 고조되어 ‘독립기념관’을 건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일본에서는 ‘근린제국조항’을 교과서 검정에 새로운 기준으로 설정하여 한국의 수정요구를 일부 수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1990년대 말부터 일본내의 극우파들에 의해 제안된 ‘自虐史觀’과 ‘自由主義史觀’에 의해, 2001년 후소샤의 『새로운 역사 교과서』가 편찬되면서 ‘제3차 교과서 공격’이 시작되었다. 일본의 교과서 공격에 대한 한국의 대응은 70년대에 개인학자의 노력에 의해 시작되다가, 80년대에 들어, 국사편찬위원회ㆍ한일문화교류기금 등이, 90년대에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ㆍ역사교육연구회ㆍ한일관계사학회ㆍ국제교과서연구소ㆍ한국교육개발원 등이, 2000년대에는 한국사연구회 등 5개 학회가 중심이 되어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또한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와 같은 시민단체에서도 일본 NGO 등과 연대하였고, 한국과 일본의 학계에서는 공동역사교과서 형태의 업적들이 나오기도 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는 결국 2002년 양국 정상의 합의에 의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의 설치로 이어졌고, 2기에 걸친 노력은 역사분쟁의 해소를 위해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했다는데 의미를 갖는다. 제3기 위원회는 공동연구의 목적을 쟁점위주에서 화해와 교류의 방향으로 유도하여 대결구도에서 협력구도로 바꾸어가야 한다. 또한 역사분쟁의 모델로서 독일-프랑스, 독일-폴란드의 사례를 참고해 볼 필요가 있다. 지난 반세기간의 역사분쟁의 사적전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양국정부와 학자, 시민단체 들의 노력이 상호이해와 공동 번영의 미래를 향한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기를 염원한다. The current article describes origin of history conflict and its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ree stages: 1st stage(1955~1981), 2nd stage (1982~2000) and 3rd stage(2001~2010), and arranges the reaction of Korea against such distortion with an aim to resolve the history conflict in both countries. The problem in the ‘distortion of Japanese history textbook’ initiated by the ‘1st textbook offense’ in 1955 began when ‘the textbook inspector system’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Japan became permanently installed, and ‘Textbook screening committee’ was enacted as a law. But, the reinforcement of control by the government was introduced taking an opportunity of ‘Ienaga textbook trial’ in 1965, and from 1974 on some textbooks began to be revised partially. The ‘second textbook offense’ began when the retrogressive revision of textbook passed screening in 1982, which stirred up anti-Japanese sentiment in Korea causing an installation of “Independence Memorial Hall.” Japan set up new criteria of ‘neighborhood imperial matter’ in textbook screening and accepts requests by Korea to some degree. However, the “3rd textbook offense” was made when 『New History Textbook(新しい歷史敎科書)』 published in Fusosha in 2001 in accordance with so-called ‘self-torment historical viewpoint (白虐史觀)’ and ‘liberal historical viewpoint(自由主義史觀)’ suggested by extreme right wings in Japan from later 1990s onward. The reaction of such offenses was made by individual scholars in the 70s follow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Korea-Japan Cultural Foundation in the 80s. In the 90s,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the Society for history education, the Society for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 International textbook institute, and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played an important role, and in the 2000s, 5 academic societies including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y have mainly endeavored to react such offenses. NGOs like “Asia Peace and History Education Alliance” are allied to Japanese NGOs, and various achievements have been produced like a ‘communal history textbook’ by the academic circles in Korea and Japan. Such social demands led to the installation of “the Korean - Japanese history joint research committee”, with official activity to resolve history conflict in two stages. The 3rd stage committee should be transferred from conflict to cooperation by converting the objective from issue based to reconciliation and exchange. And, as a model of history conflict, the cases of Germany - France and Germany - Poland are recommended to refer to. It is sincerely hoped that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endeavors to solve it by governments, scholars and NGOs in the last half century shall promote a new path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al prosperous.

      • KCI등재

        집단적 기억의 정치적 관리

        홍하은(洪ハウン),오명원(吳明元),김성해(金成海)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7 No.-

        언론은 집단적 기억의 형성에 개입한다. 해마다 3?1절, 광복절 등의 국경일이 돌아오면 언론은 역사적 교훈과 쟁점을 재조명함으로써 공동체의 정체성을 관리한다. 언론의 재구성을 통해 집단의 기억은 수정되기도 하고 고착화되기도 한다. 언론은 또한 이를 통해 여론 형성과 집단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과 일본은 가까운 지리적 특성만큼 깊은 교류의 역사를 갖고 있다. 역사적 깊이만큼 일본에 대한 집단적 기억은 끝없이 재구성되고 있다. 과연 언론을 통해 재구성되고 있는 일본의 모습은 어떠할까? 양국 간 관계 및 언론사에 따라 한일 간 갈등 이슈는 다르게 재포장되는 것일까? 본 연구는 이에 한일 간 갈등 이슈를 통해 언론이 집단적 기억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사례로 과거 구한말 이후 대두되어 한일 양국의 근현대사를 관통하고 있는 독도 영유권 분쟁, 위안부 문제,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를 선택했다. 이 쟁점들은 과거 한 시점의 사건으로 종결된 것이 아닌 현재 한일 관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재진행형의 쟁점이기도 하다. ‘여론주도층’ 역할을 하는 주요 신문의 사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했다. 국내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해 <동아일보>, <국민일보>, <서울신문>, <한국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총 6개의 종합지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했다. 분석기간은 양국 간 화해 기간이었던 김대중 정부를 비롯해 관계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진 이명박 정권을 모두 포함했다. 연구문제로 국내 언론의 일본에 대한 규정 방식, 한일 갈등의 원인 및 해결 프레임 등을 제기했다. 분석결과 한일 간 갈등이슈를 둘러싼 원인, 해결 프레임은 관련 주제, 정치적 상황, 언론사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역사적 사건이지만 언론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프레임을 적용해 집단적 기억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언론이 집단적 기억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과 일본의 공생, 공존을 위한 언론의 역할을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