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중층불전의 상층체감 기법에 관한 연구

        신웅주,박강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는 중층불전의 상층체감 방식과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인 평면 구성, 가구, 공포배열의 특징에 대하여 고찰한 것으로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단층목조건축에 비하여 다양한 결구 형태를 갖는 전통 중층목조건축의 구조방식은 중첩된 층의 수직적인 연결 방법에 의해 세 종류의 가구방식으로 분류되었고 중층불전은 연속구조방식과 절충구조방식에서 그 유형이 확인되었다. 연속구조방식의 중층불전은 퇴칸이 어칸에 비해 현저히 작아 내진고주가 상층의 변주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절충구조방식의 퇴칸이 큰 값을 보이는 것은 상층의 포작배열 계획과 관련하여 체감에 의해 줄어드는 퇴칸의 폭에 포작 배치를 위한 의도적인 공간 확보를 위한 기법으로서 주칸 설정과 포간거리 설정은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층불전에는 내진과 외진의 일체화를 위해 다양한 결구법들이 적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속구조방식에는 내진고주와 퇴량의 결구를 위하여 퇴량 외에도 창방, 첨차, 이중퇴량이 사용되었고 절충구조방식에는 창방, 마루귀틀, 보아지, 철물, 퇴량과 대량의 직접결구법 등이 사용되었다. 중층불전의 공포양식은 중층의 건물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당시 건축되었던 유사 용도의 건물과 비슷하게 표현되어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 상하층의 출목 수에서 시대가 이른 건물에서는 상층의 출목 수가 많았고 후대의 건물에서는 하층의 출목수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신안 김환기고택의 건축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신웅주,최규웅,김현태 한국농촌건축학회 2018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3

        Suhwa Kim Hwan-gi established his own unique world of art based on Korean-style lyricism with his sophisticated and sublimated formative language a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bstract artist. He made his name known not only in Korea but New York and Paris, the center of contemporary art. Presently, there is almost no material left for us to examine how Kim Hwan-gi's house looked in the first place. But there is a painting that chef Kim Am-gi possesses where we can find the image of painter Kim Hwan-gi’s house drawn by recalling the memories at home in a far-off land. With that, we can see it should be the original looks of that house. To examine the original looks of Kim Hwan-gi's house when it was built, this author studied the closure land registration map. By analyzing 29 land registration maps around Eupdong-ri of Gijwa-myeon in Muan-gun of Jeollanam-do produced in 1917 which National Archives of Korea possesses, this researcher could figure out the status of land registration around Kim Hwan-gi's house with No. 15 and 22 drawing board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sidering aerial photographs after the emancipation tha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possesses,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 arrangement of Kim Hwan-gi's house was changed from 1954 up to 2008. In 1954 aerophotos, we can see the main building and studio in Kim Hwan-gi's house and there was an additional structure between them. Kim Hwan-gi's house was built before 1925. The main building presently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and also the sarangchae arranged in the east and the studio, too, were built in the similar period.

      • KCI등재

        근대건축 등록문화재의 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신웅주,이상선 한국농촌건축학회 2014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6 No.1

        This study suggests institution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preservation of South Kore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The suggested approach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registration and preservation system for cultural properties, we need to employ both structure-based classification and style-based classification. Registration criteria for modern architecture properties need to includ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in terms of their structure: brick structure, steel concrete structure and post lintel structure. In terms of construction style, the properties need to be further classified into the western style, the traditional style and the Korean-western eclectic style. In addition, protec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eed to be achieved through legislation of a protection system. Second, while the current system sets out six methods for preserv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more specific preservation methods types and plans need to be continuously introduced. In particular, as for the method of partial preservation, the method needs to be further classified based on the usage of the relevant structure so as to allow for more diverse options. First, the ‘Preservation by Interior Alteration’ needs to be added to the category, where the exterior is preserved as it is and the interior is preserved through alteration. Also needs to be added the preservation method where the interior space is preserved as it is and the exterior space is altered, in case the finishing materials of the exterior has deteriorated. Third, if the records on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are to provide the functions of legal evidences regarding management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sources of knowledge required for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and past management record for the future, each phase needs to be closely connected in an organic manner, and we need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and plan that go beyond the relevant organizations. Fourth, in order to preserve South Kore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of modern architecture in its original state, it is imperative to prepare separate criteria for registration of technicians with expertise on modern architecture, and train experts and technicians on modern architectur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 KCI등재
      • 강진객사 금릉관의 복원 고찰

        신웅주,이재연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05

        본 연구는 20세기초 훼철된 강진객사에 대한 복원적 고찰이다. 강진현의 관아건물이 있었던 치소는 1417년 강진현이 도강군과 탐진현이 합하여 강진현이 되었을 당시에는 탐진현의 옛 치소, 현재의 강진군청 자리였던 것으로 보이며, 1429년 도강군 송계리(현, 성전면 수양리 수암마을)로 치소를 잠시 옮겼다 가 1475년 또다시 현재의 군청 자리로 치소를 옮겼다. 1910년 강진현 객사가 일본헌병대 둔소가 되었다는 기록과, 1914년 1월 강진공립보통학교가 객사로 이전되어 수업했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사진엽서’에서 강진우편소(1910년 12월 개설)와 강진경찰서(1919년 3월 신설)가 있는 사진으로 보아 1919 년까지도 강진객사가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일본육군참모본부에서 제작한 조선지지략(朝鮮地誌略)』전남도지부 강진현 편에 ‘관아의 문은 ‘금릉아문(金陵衙門)’ 이고 객사는 동북 방향에 ‘금릉관(金陵館)’이 있으며 남면한다는 내용으로 강진객사의 명칭을 확인할 수 있다. 강진객사 금릉관의 규모는 ’조선사진엽서‘를 통해 정청 3칸, 동익헉 7칸, 서익헌 5칸 등 총 15칸으로 추정할 수 있다.

      • 고흥 구 녹동우편소의 복원 고찰

        신웅주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05

        본 연구는 고흥 구 녹동우편소의 복원을 위해 원형을 고찰한 것으로 성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신성 우무국 우편선로도’에 의하면 1927년 개소한 녹동우편소는 원래 3등 우편국이었으나 전신, 전화 설비가 추가되 면서 전신 및 전화취급 특정 우편국으로 등급이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 1927년 우편소 개소 당시에는 우편업무만 취급했던 관계로 내부는 사무실과 객장으로 구분되었으나 1930년 이후에는 전신사무 및 전화통화사무를 취급하였으므로 내부의 평면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3. 녹동우편소의 초대 소장은 야와타요시이치라는 인물로 원래 고흥경찰서 순사부장이었던 것이 파악되었고, 우편소의 관 사에서 거주하였던 것을 알수 있었다. 4. 2007년 수리공사자료 분석, 현장조사, 일본국회도서관 소장 건축자료공동형록 등을 통해 재료의 원형을 파악할 수 있 었다.

      • ‘1911년 전라남도 이전에 관한 품신(稟申)’을 통한 나주 향청의 복원 고찰

        신웅주,성대철,장진영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05

        본 연구는 전라남도청의 설치와 관련하여 1911년 전라남도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에게 보낸 공문서 중 ‘나주안’에 수록된 원 나주재무서 청사에 대한 사용계획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실측도가 수록된 원 나주재무서 청사는 ‘목포안’에 수록된 목포부청 실측도, ‘나주안’에 수록된 금성관 객사 실측도, 조선 총독부 자료 ‘나주군청 정문 양여건’ 등의 치수 분석자료와 발굴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조선후기까지 나주 향청으로 쓰인 건축물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주 향청이 과거에 나주(금남)금융조합, 농지개량조합으로 사용된 사실은 ‘나주목향청복원기본계획(2019)’에서 밝힌 바 있으나 ‘원 나주 재무서 청사’와 ‘향청’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면 1911년 문건을 통해 향청복원의 근거가 명확하게 마련될 것 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맞배지붕 건물의 풍판에 관한 연구

        신웅주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 No.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of gable board prevailed rapidly since the mid-period of Joseon Dynasty with 31 buildings with gable roof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 and treasure centering around economic and decorative caus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hen we consider it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gable roof with lateral furniture, it is deemed that gable board,which use were limited to several buildings gained popularity since 16th century and that it became a significant structural component. Second, it is deemed that there were several occasion gable board was attached afterwards: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lateral wall caused by dori line attachment, unbalance between lateral wall caused by girder line attachment, shortened dori length after repair. Third, it is considered that gable board installment had influenced architectural features since. Difference between frontal and real form, simplified lateral furniture and internal lateral chumcha were found among most of the gable roofed buildings after 16th century. Fourth, It is considered that gable board was attached in order to protect furniture and wall because even though the size of gable roofed building increased the eaves didn't get longer pro r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