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프트웨어 복제도 감정기법의 표준화 모델에 관한 연구

        방효근,차태원,정태명,Bahng, Hyo-Keun,Cha, Tae-Own,Chung, Tai-M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6

        소프트웨어(SW) 복제도 감정의 목적은 두 프로그램 사이의 동일 또는 유사성 정도를 판단하는 것으로, 컴퓨터프로그림 저작권 관련 분쟁해결의 주요한 기술적 판단근거를 제시하는 제도라 할 수 있다. SW감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감정인의 주관적 판단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고, 신속 객관적인 감정의 수행으로 정확한 감정결과를 도출해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체계적인 감정기법의 표준화 연구 및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며, SW감정 분야별(유형별) 감정기법 조차 전문 감정인들에 따라 그 접근방법이 천차만별이어서 뚜렷한 표준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 수행되었던 감정사례에 대한 실증적 분석 결과, 기존 감정 절차 및 기법의 오류 또는 감정인의 전문지식 결여 등의 문제가 잠재하여 일부 감정결과에 대한 객관성 및 정확성에 손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인에 따라 동일한 평가 항목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오차의 허용치를 감소시키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방법과 정형화된 SW복제도 감정기법의 표준화 모델을 제시한다. 특히, 기존 감정기법의 문제점 해결 및 보완 연구를 기반으로 감정범위의 설정, 감정기준 및 방법, 단위작업 프로세스 기준의 감정영역 및 감정항목 설정, 가중치 부여, 논리적 복제도와 물리적 복제도 산출 등에 초점을 맞추어 감정기법을 분석 평가한다. 따라서 SW복제도 감정 기법의 표준화 모델은 감정인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오류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감정결과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한층 제고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Similarity(Reproduction) Degree Appraisal is to determine the equality or similarity between two programs and it is a system that presents the technical grounds of judgment which is necessary to support the resolution of softwar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rough expert eyes.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proceeding software appraisal are not to make too much of expert's own subjective judgment and to acquire the accurate-appraisal results. However, up to now standar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its systematic techniques are not properly made out and as different expert as each one could approach in a thousand different ways, even the techniques for software appraisal types have not exactly been presented yet. Moreover, in the analyzing results of all the appraisal cases finished before, through a practical way, we blow that there are some damages on objectivity and accuracy in some parts of the appraisal results owing to the problems of existing appraisal procedures and techniques or lack of expert's professional knowledg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model for the standardization of software-similarity-appraisal techniques and objective-evaluation methods for decreasing a tolerance that could make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each expert in the same-evaluation points. Especially, it analyzes and evaluates the technique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concerning the standard appraisal process, setting a range of appraisal, setting appraisal domains and items in detail, based on unit processes, setting the weight of each object to be appraised, and the degree of logical and physical similarity, based on effective solutions to practical problems of existing appraisal techniques and their objective and quantitative standardization. Consequently, we believe that the model for the standardization of software-similarity-appraisal techniques will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mistakes due to an expert's subjective judgment as well as it will offer a tool for improving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appraisal results.

      • 감정자각의 활성화를 위한 치유적 글쓰기 기법에 관한 연구

        이지희 대한문학치료학회 2016 대한문학치료연구 Vol.6 No.1

        복잡하고 다양화된 현대 사회에서, 내외면적인 빠른 성장에 바쁘게 적응하느라, 우리는 가늠하기 어려 운 양가감정이나, 확실한 증상을 모른 채 복잡한 심리적 증후군을 안고 살아간다. 가짜감정과 진짜감정을 구별하는 것이 이슈가 될 만큼 감정의 홍수 속에 살고 있지만, 정작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스스로 감 정을 자각하는 데는 서투른 나머지 감정에 휘둘리기도 하고 많은 심리적 갈등 속에 놓여 있기도 하다. 이에 문학치료 또한 빠르고 감각적으로 변해가는 현대인의 정서에 부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필요 성이 더욱 증가되는 문학치료의 일환으로써, 표현중심 치유적 글쓰기의 방법론적 적용을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김혜순 시에서 나타나는 시의 다양한 형태적 기법, 즉 연극적, 영화적, 프랙탈 기법을 차용하여 구조화 된 글쓰기로 적용함으로써, 내면치유 글쓰기의 양식적 확장을 꾀하였다. 참여자들이 동작묘사, 행위묘사 의 구체적 재현과 시각적 사고, 장면 화를 통한 몰입, 중첩의 프랙탈 이미지를 통해 내면형상을 새롭게 발견하고, 심층감정을 자각하며 감정이완과 치유를 경험할 수 있는지에 목표를 두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내면의 트라우마를 지닌 30-40대 성인 8명으로 정했으며, 이 중 4명이 매주 1회 80분씩 6회기의 프로 그램에 끝까지 참여하였다. 3회기의 일반적인 산문글로 시작해, 4회기부터 6회기까지 한 기법씩 한 편 의 글을 완성하게 했으며, 트라우마의 범주를 정하지 않음으로서, 어떤 글쓰기 기법이 어떤 상처의 치유 에 더 부합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었다. 직면과 회상의 글쓰기에 앞서, 감정의 해소를 돕는 명상 등의 작업을 매시간 행하였으며 ,이면감정과 심층감정의 자각에 초점을 두었다. 참여자들의 인 터뷰와 감정언어 기술을 통해, 본 연구가 실효성 있는 적용이었음을 밝히며, 이러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 다. 영화와 연극기법이 가질 수 있는 심층 대사 분석을 통해, 자신을 객관화시켜 바라보고 감정자각 활성 화가 이루어졌으며, 치유적 글쓰기로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프랙탈 기법의 시 쓰기를 통해 보다 뚜렷한 자기인식으로 심층감정과 그림자의 원형을 드러냄으로써 치유를 경험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창의적 사고기법 연계 감정코칭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윤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6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하여 창의적 사고기법을 연계시켜 구성한 감정코칭 문제해결 활동 경험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K유치원 2개 학급 원아 2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게는 Gottman 외(2011)의 감정코칭이론과 창의적 사고기법을 연계시켜 구안한 감정코칭 문제해결 활동을 9주 동안 실시하였다. 감정코칭 문제해결 활동은 동화에 기초하여 감정인식하기, 동화속에서 감정발견하기, 동화에 나타난 감정에 공감하고 경청하기, 유아자신의 감정표현하기, 감정해결하기의 5단계 교수학습 과정에 창의적 사고기법(브레인스토밍, 마인드맵, 강제 결합법, 스캠퍼, 연상법, 희망열거법, 육색사고 모자, 색다른 용도법)을 연계시켜 구안한 창의적 역량 증진을 위한 문제해결 활동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만5세 유아들의 창의성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안한 창의적 기법을 연계한 감정코칭 문제해결 활동은 유아의 창의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emotion coaching activities connected with creative thinking strategy through children’s picture books and then apply them to a kindergarten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creativity.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effect of applying the emotion coaching activities through picture books on children’s creativity?To find an answer to the study question, the investigator sampled 26 kindergarteners of five-year old in A class - experimental group, B class contrast group in Seoul Si and randomly divided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3) and a contrast group (n=13).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investigator implemented the emotion coaching activities connected with creative thinking strategy using children’s picture books. The activities was applied 9 times over the period of 9 weeks from September 4-November 3, 2013.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emotion coaching activities connecting creative thinking strategy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ast group activities. This study’s findings show that the emotion coaching activities connected with creative thinking strategy using children’s picture book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anges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 KCI등재

        감정자유기법(EFT)의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발달장애 아동 및 성인에 대한 적용 가능성 고찰

        김영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and application of emotional freedom techniques an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children to children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foreign meta - analysis studies of the effect size of the emotional freedom technique(EFT) and the contents of the journals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e effect of the EFT is partly recognized as evidence - based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symptoms and physical symptom due to stress through foreign meta - analytic research, while thirteen intervention studies on EFT In Korea were collected, but there was no meta - analysis. Of these, 70% of the studies (9) were conducted from oriental psychiatry, and 4 studies were conducted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purposes. In addition, as the research method, 77% (10 cases) of the case studies were found among all the studies,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method was needed to be improved. However, the efficacy of EFT was considered to be valid in 84.6% (11 cases), so it can be considered that EFT has therapeutic or educational potential. Although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children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and abroad, it has been reported that some overseas cases have been reported to be applicable to the disorder. In the future, RCT research is needed for the scientific validation of the effects of the EFT. Also, as a way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develop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the potential of EFT is required. 이 연구는 감정자유기법의 효과와 활용 실태를 조사하고,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 및 성인들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감정자유기법의 효과 크기에 대한 해외 메타분석 연구와 국내의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감정자유기법의 효과는 해외 메타분석 연구를 통해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증상들과 신체적 증상에 효과가 있는 근거기반중재로서 부분적으로 인정받고 있었다. 한편, 국내에서는 감정자유기법에 관한 13편의 중재 연구가 수집되었으나 메타분석 연구는 없었다. 그 중 70%의 연구(9편)는 한방정신의학적인 측면에서 실시된 것이었고 4편의 연구는 교육, 상담 등의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연구방법적으로는 사례연구가 77%(10편)에 달해 연구방법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EFT의 효과성에 관해서는 84.6%(11편)에서 유효하다고 하고 있어서, EFT의 치료 또는 교육적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이나 성인들에 대한 적용에 대해서는 국내외적으로 거의 연구된 바가 없었지만 일부 해외 사례를 통해 효과가 보고되어 적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감정자유기법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을 위해 집단을 대상으로 한 과학적 기반의 RCT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발달장애를 가진 사람이나 그 가족의 심리적 적응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감정자유기법의 가능성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 KCI등재

        건강한 삶을 위한 감정자유기법(EFT) 상담 사례 고찰

        김영환(Young-Hwa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3

        공황장애는 광장공포증(agora phobia) 동반의 유무와 관계없이 내부 신체감각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외부 자극에 대한 두려움이 가장 중요한 심리적 변인이다. 내부의 감각적 두려움과 파국적 사고 경향은 약물치료로 그 수준을 낮추더라도 정상집단에 비해서 그 수준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감정자유기법(Emotional Freedom Techniques:EFT) 상담과 같은 추가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호소하며 상담을 의뢰한 내담자에 대하여 그림카드를 이용한 자기탐색을 통하여 감정자유기법(EFT)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자유기법(EFT) 상담이 공황장애 내담자의 ‘공황발작과 광장공포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감정자유기법(EFT) 상담은 공황장애 내담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것인가? 셋째, 공황장애 증상의 변화 요인은 무엇인 가?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자유기법(EFT) 상담은 공황장애 내담자의 공황발작 및 광장공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인 예기불안, 능력 감소, 건강염려 등도 모두 감소되었다. 둘째, 감정자유기법(EFT) 상담은 공황장애 내담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인 호흡기 증상 불안, 노출불안, 심혈관증상 불안, 인지통제불능 불안 등도 모두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나게 된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황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가지게 되었고, 이 지식을 신뢰하게 되었다. 둘째, 과거의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현재의 문제와 분리시킬 수 있었다. 셋째, 그림카드 나누기를 통하여 효과적인 자기노출훈련과 자기탐색을 할 수 있었다. 넷째, 상담자가 함께한 자기노출훈련을 통하여 현실적응력을 높이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다. 다섯째, 치료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고, 심리적 안정과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로써 그림카드를 이용한 자기탐색으로 감정자유기법(EFT)을 활용하더라도 효과적인 상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anic disorder is significant variable physical factor in external stimulus which rises up inside physical sense regardless of agora phobia. Emotional inside fear and catastrophic intentional tendency level can be decreased by medicine treatment. However, it still needs the Emotional Freedom Technique(EFT) to handle of Emotional inside fear and catastrophic intentional tendency level. In this study, we have conducted and investigated EFT method through self-examination with picture card for client who has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this case, the themes of research are below. The first one is that how the EFT counseling can be effect on client’s “panic attack and agora phobia:? The second one is that how the EFT counseling can be decreased client’s “anxiety”? Third, what is the cause for change of panic disorder? The summaries of investigation are also below. First of all, the EFT Counseling was able to decrease client’s panic attack and agora phobia. In addition, it could decrease expectation anxiety, ability decline and hypochondriasis. Second, the EFT counseling could decrease client’s anxiety with respiratory system disorder, exposure anxiety disorder, cardiovascular anxiety disorder and agnosia disorder. Finally, the main effects for summaries as above are described as below. First, the client could have right knowledge about panic disorder and trust that knowledge. Second, the client could remind retrospective memory and distinguish between present and past problem. Third, the client could carry out effective self-examination and self-exposure training through the picture card dividing. Fourth, the client could have confidence with high real adaptability through self-exposure training by counselor. Fifth, the client could have positive thinko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igh expectation for the treatment. Finally, we have confirmed that the EFT with self-examination by using picture card could be effective counseling for who has client who has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 KCI등재후보

        의료기기분쟁과 분쟁조정제도 ― 독일의 법적 현황을 참고하여 ―

        양천수 ( Chun-soo Yang ),우세나 ( Se-na Woo ) 안암법학회 2021 안암 법학 Vol.- No.62

        최근 의료기기로 인한 인권침해 등과 같은 의료기기분쟁이 증가하면서 「의료기기법」개정이 검토된다. 오늘날 의료행위에서 의료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의료기기의 결함 문제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분쟁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 이에 의료기기의 결함으로 발생하는 피해로부터 환자나 이용자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는 법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의료기기법」개정안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고려한 것으로 평가된다. 개정안은 크게 두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는 제조자의 책임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것이다. 둘째는 분쟁조정제도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개정안은 타당한가? 이를 검토하기 위해 이 글은 비교법 방법을 원용한다. 특히 이 글은 우리 법체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 독일의 법제도, 그중에서도 의료기기의 분쟁조정을 어떻게 규율하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획득하였다. 첫째, 독일의료기기법은 의료기기분쟁을 정면에서 규율하는 법적ㆍ제도적 장치는 담고 있지 않다. 둘째, 독일은 우리처럼 의료분쟁을 전담하는 의료분쟁조정법을 갖고 있지 않다. 의료분쟁에 대한 ADR은 민간 주도로 구축되어 있다. 의료조정원이나 감정위원회가 그것이다. 셋째, 의료조정원이나 감정위원회에 대해서는 기본원칙으로 자발성과 비구속성이 적용된다. 넷째, 의료기기분쟁에 대한 ADR로는 독일 조정법에 따른 조정을 언급할 수 있다. 독일 조정법에 의한 조정 역시 철저하게 자율적으로 진행된다. 이 글은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의 「의료기기법」개정안을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우선 책임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개정안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행정형 분쟁조정제도를 신설하는 것에는 의문을 제기한다. 행정형 분쟁조정제도는 조정의 본래적 취지와 맞지 않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조정을 통해 도출한 합의에 기판력에 준하는 강력한 법적 구속력을 부여하는 것은 문제로 보인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법적 구속력을 전적으로 부여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지는 않다. 조정으로 도출한 합의에는 조정제도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집행력 정도의 법적 구속력을 인정하는 게 적절해 보인다. 아울러 이 글은 법정책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도 제안한다. 현재 운용 중인 의료분쟁조정제도가 관할하는 대상에 의료기기분쟁을 추가하는 방안이 그것이다. Recently, as medical device disputes such as human rights violations due to medical devices increase, the revision of the Korean 「Medical Devices Act」is being reviewed. As the proportion of medical devices in medical practice today increases, resolving the problem of defects in medical devices and its disputes becomes an important issu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system that can adequately protect patients and users from damage caused by defects in medical devices. The amendment to the Korean 「Medical Devices Act」is evaluated to take into account this awareness. The amendment proposes two main things. The first is to oblige the manufacturers of medical devices to buy a liability insurance. The second is to establish a dispute mediation system for the medical device disputes. So, is this amendment valid? To review that question, this article uses the comparative law method. In particular, this article examines the legal system and situation of Germany, which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legal systems, especially how it regulates dispute settlement of medical devices. Through those, this article has obtain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German 「Medical Devices Act」does not contain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that govern medical device disputes. Second, German legal systems do not have a medical dispute mediation law dedicated to medical disputes like ours. The ADR on medical disputes is established by the private sector. The ‘Schlichtungsstelle’ or ‘Gutachterkommssion’ are those. Third, ‘Freiwilligkeit’ and ‘Unverbindlichkeit’ are applied as basic principles to the ‘Schlichtungsstelle’ and ‘Gutachterkommssion’. Fourth, the ADR for medical device disputes can refer to the medi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German mediation law. The mediation under the German mediation law is also ruled by the principle of autonomy. Based on these implications, this article evaluates the amendment of the Korean 「Medical Devices Ac t」as follows. First of all, the amendment which mandates buying a liability insurance can be evaluated positively.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an administrative dispute mediation system should meet questions. This is because the administrative dispute mediation system does not seem to fit the original purpose of the mediation system. In particular, it seems to be a problem to impart a strong legal binding power to agreements reached through a mediation. Of course, the article does not argue that the agreements should have no legal binding power. Instead, it seems appropriate for the author to recognize the legal binding power as executive pow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ediation system in agreements reached through a mediation. In addit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for legal policy. This is a propose to add medical device disputes to the subject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edical dispute mediation system currently in operation in Korea.

      • KCI등재

        정지영상과 동영상의 융합모델에 의한 얼굴 감정인식

        이대종(Dae-Jong Lee),이경아(Kyong-Ah Lee),고현주(Hyoun-Joo Go),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좀더 자연스럽고 쉬운 형태의 능동적인 휴먼 인터페이스로 구현하기 위해 정지영상 및 동영상에서의 감정인식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얼굴의 감정인식 기법은 Hidden Markov Model(HMM), 주성분분석기법(PCA)와 웨이블렛 변환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얼굴의 감정인식을 위하여 심리학자인 Ekman과 Friesen의 연구에 의해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공통으로 인식하는 6개의 기본 감정인 기쁨, 슬픔, 화남, 놀람, 공포, 혐오를 바탕으로 실험하였다. 감정인식에서 입력영상은 이산 웨이블렛을 기반으로 한 다해상도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수를 압축한 후, 각각의 영상에서 PCA 특징벡터를 추출한 후 이를 사용하여 HMM의 모델을 생성한다. 인식단계에서는 정지영상에서의 인식값과 동영상에서의 인식값을 정규화 과정을 통하여 상호보완 함으로써 인식률을 높일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motion recognition using static and dynamic facial images to effectively design human interface. The proposed method is constructed by HMM(Hidden Markov Model), PCA(Principal Component) and wavelet transform. Facial database consists of six basic human emotions including happiness, sadness, anger, surprise, fear and dislike which have been known as common emotions regardless of nation and culture. Emotion recognition in the static images is performed by using the discrete wavelet. Here, the feature vectors are extracted by using PCA. Emotion recognition in the dynamic images is performed by using the wavelet transform and PCA. And then, those are modeled by the HMM. Finally, we obtained better performance result from merging the recognition results for the static images and dynamic images.

      • KCI등재

        제주지역 외래관광객 쇼핑활동 경험감정과 원인에 관한 비교 연구 - CIT분석을 중심으로 -

        강숙영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1

        본 연구는 제주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쇼핑활동에서 경험한 감정과 그 원인을 CIT분석을 통해 밝히고, 비교문화적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 여행을 마친 일본인관광객과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각각 191부와 195부의 유효표본을 얻었다. 분석결과, 두 집단간에는 긍정적 감정 및 부정적 감정 경험 원인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적 배경이 관광자의 쇼핑 경험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에서 제주지역 쇼핑환경 개선을 개선을 위한 비교문화적 관점의 시사점이 기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foreign tourists feel about their shopping experiences and figure out what causes the feelings through the CIT(Critical Incident Technique). Also,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being compared. For the research, the public-open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who already finished their itineraries at the Jeju international airport. The finding of the research is that the two foreign groups show different emotions and recognitions. In the summary,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Jeju shopping environm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영화 시나리오와 영화촬영기법을 이용한 감정 예측 시스템

        김진수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2

        Recently, we are trying to predict the emotion from various information and to convey the emotion information that the supervisor wants to inform the audience. In addition, audiences intend to understand the flow of emotions through various information of non-dialogue parts, such as cinematography, scene background, background sound and so on. In this paper, we propose to extract emotions by mixing not only the context of scripts but also the cinematography information such as color, background sound, composition, arrangement and so on. In other words, we propose an emotional prediction system that learns and distinguishes various emotional expression techniques into dialogue and non-dialogue regions, contributes to the completeness of the movie, and quickly applies them to new changes. The precision of the proposed system is improved by about 5.1% and 0.4%, and the recall is improved by about 4.3% and 1.6%,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modified n-gram and morphological analysis. 최근에 다양한 정보로부터 감정을 예측하여 청중에게 감독이 알리고자 하는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고자 한다. 또한, 청중은 감독의 의도를 대화 내용에 나타나는 대사뿐만 아니라, 영상내의 다양한 정보인 촬영 기법, 장면의 배경, 배경 음악 등을 통해 비대사 구간에서도 감정의 흐름을 이해하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사와 같은 문맥의 상황뿐만 아니라, 촬영 영상에 담아낸 색상, 음향, 구도, 배치 등에 의해 표현된 정보를 혼합하여 감정을 추출하고자 한다. 즉, 다양한 감정 표현 기법을 대사 구간, 비대사 구간으로 나누어 학습하고 판별하여 영상의 완성도에 기여하고 새로운 변화에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감정 예측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감정 예측시스템이 변형된 n-gram 방식과 형태소 분석을 적용한 사례와 비교했을 때, 정확도는 약 5.1%, 0.4% 향상되었고, 재현율은 약 4.3%, 1.6% 향상되었다.

      • KCI등재

        이청준의 「벌레이야기」와 이창동의 <밀양> 비교 고찰

        김은경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9

        In this article, the original novel(Bug Story) and the film(Secret Sunshine) produced by adapting it are compared from an equal point of view. This paper conducted discussions on the spatiality of both works based on the concept of three-dimensional ‘depth’. In other words, the perspective of discussing the spatiality of the two works is placed on the same horizon. The second point, the discussion on the issue of emotion, develops on the basis of this discussion on spatiality. Therefore,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converge to the gen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orks. Chapter 2 reveals the aspect of representation through spatiality, a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Section 2.1. focuses on the abstract spatiality of Bug Story. In order to prove this, the discussion began on the premise that the depth of space can be intuitively captured from the novel. From this point of view, it was revealed that Bug Story minimizes the depth of space like a close-up shot of a movie, and only "characters" are represented in a magnified mirror. Section 2.2. revealed that Secret Sunshine exposes the singularity of reproducing its specific spatiality not only visually but also audibly. First of all, Secret Sunshine specifically reproduces the character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character through the depth of the field, allowing a glimps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of the space occupied by the character and the intensity of the emotion felt by the character. In addition, what this paper paid great attention to is that the specific spatiality of the city called “Milyang” is acoustically reproduced in Secret Sunshine. The first half of Secret Sunshine reproduces the specific world of living with various sounds and embosses the inner feelings of the heroine who exists in it. Chapter 3 discusses that the theme consciousnes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Providence’) is realized differently within the two works through the problem of emotion, which is the essential common feature of the two works. Section 3.1. discussed that the emotion of the main character in Bug Story are ultimately subject-oriented. The wife, the main character, puts the Humans and Providence in an alternative relationship, and eventually chooses to extinguish Human in order not to betray Providence(God). Through this, I read the distance between Humans and Providence. Section 3.2. discussed that the emotion of the heroine is object-oriented in Secret Sunshine. This wa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of Secret Sunshine's filming techniques and ‘mise en scene’, and in the process, it was discussed that the film shows through the image aesthetic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Providence is close and easy to crack.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compared two works of different genres in the equal horizon, an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reveal the uniqueness of each of the two works as a novel and as a movie. 이 글에서는 원작소설(「벌레이야기」)과 이를 각색하여 제작한 영화(<밀양>)를 대등한 관점에서 비교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 작품의 결정적 차이점(공간성) 및 공통점(감정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두 작품의 공간성에 대한 논의를 모두 3차원적 ‘심도’ 개념에 입각하여 진행하였다. 이와 같이 두 작품의 공간성을 논의하는 시각이 동일지평에 놓이기에 그 논의의 결과가 단순한 장르적 차이의 문제로 귀결된다고 보기 어렵다. 감정의 문제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공간성에 대한 논의의 바탕 위에서 전개되므로, 그 결과 또한 장르적 차이로 수렴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2장에서는 두 작품의 두드러진 차이점인 공간성을 통해 재현의 양상을 밝히고 있다. 2.1.절에서는 「벌레이야기」의 공간이 추상적인 점에 주목, 이를 입증하기 위해, 소설에서도 ‘공간의 심도’를 직관적으로 간취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하고 들어간다. 이러한 시각에서, 「벌레이야기」가 영화의 근접촬영처럼 공간의 심도를 최소화한 가운데, ‘인물’만을 확대경적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2.2.절에서는 <밀양>이 그 구체적인 공간성을 시각적으로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 재현하는 특이점을 나타내고 있음을 밝혔다. 우선 시각적으로, <밀양>은 인물과 그 인물이 점유하는 공간을 피사계 심도를 통해 구체적으로 재현하는바 그 피사계 심도 조절을 통해 인물이 점유하는 공간의 부피와 인물이 느끼는 감정의 강도 간 상관관계를 엿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더하여 본고가 크게 주목한 바는 <밀양>에서 ‘밀양’이라는 도시의 구체적 공간성이 청각적으로 재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밀양>의 전반부는 다양한 소리들로써 구체적인 생활세계를 재현하고 그 안에 존재하는 여주인공의 내면(감정)을 양각한다. 3장에서는 두 작품의 본질적 공통점인 감정의 문제를 통해 그 주제의식(인간과 섭리의 관계)이 두 작품 내에서 상이하게 구현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3.1.절에서는 「벌레이야기」의 주요인물이 갖는 감정이 궁극적으로 주체지향적임을 논하였다. 주요인물인 아내는 자아와 신을 양자택일의 관계에 두고, 결국 섭리(신)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 자아(인간)를 소멸시키는 방법을 택하는바, 본고는 이를 통해 인간과 섭리 간 거리를 읽고 있다. 3.2.절에서는 <밀양>에서 인물(이신애)의 감정이 대상지향적임을 논의하였다. 영화의 촬영기법, 미장센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를 밝혔으며, 그 과정에서 <밀양>이 인간과 섭리 간 관계가 긴밀하면서도 균열이 가기 쉬운 것임을 그 영상미학을 통해 보여주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통해, 장르가 다른 두 작품을 대등한 지평에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두 작품이 각기 소설로서 그리고 영화로서 가지고 있는 독자성을 밝혀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