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교가능성이 기업 가시성과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최영수,양동훈,조광희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본 연구는 비교가능성의 효익(benefits) 측면에서 비교가능성이 기업 가시성(firm visibility)과 자본비용(cost of capital)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비교가능성이 기업 가시성을 매개변수(mediator variable)로 하여 자본비용에 미치는 간접효과(indirect effect)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2010년과 2012년의 12월 결산 비금융업종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1,341 기업o연도를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회계정보의 비교가능성은 De Franco et al.(2011)의 주식수익률과 순이익의 기대치의 관계에서 도출된 측정치를 사용하였고, 기업 가시성의 대용치는 재무분석가수와 재무분석가의 분석보고서 발간 건수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도출을 위한 연구모형은 OLS 회귀분석 모형, Tobit 회귀분석 모형과 매개효과(mediation effect)를 검토하기 위한 Sobel(1982) 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비교가능성이 클수록 기업 가시성은 높고, 자본비용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교가능성과 기업 가시성은 주식시장 참여자인 투자자와 상장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익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비교가능성과 기업 가시성의 양(+)의 관계를 보여준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비교가능성이 클수록 자본비용이 감소한다는 실증분석 결과는 비교가능성이 클수록 정보비대칭의 감소에 따른 정보위험의 하락으로 인하여 투자자 및 채권자들의 요구수익률의 감소를 초래하여 기업의 자본비용도 하락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한편, 비교가능성의 효익으로서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기업 가시성의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은 확인할 수 없었다. 즉, 비교가능성이 자본비용에 미치는 직접효과(direct effect)는 확인된 반면, 비교가능성이 기업 가시성에 영향을 미치고 기업 가시성이 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indirect effect)는 확인하지 못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회계정보의 중요한 질적 특성 중 하나인 비교가능성이 자본시장의 중요한 경제적 결과물 중 하나인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이 주효(dominant)하여 기업 가시성을 매개변수로 하는 간접효과의 크기는 매우 작거나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공헌점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정보의 비교가능성의 자본시장에서의 효익에 대한 연구로서 선행연구와는 차별적으로 기업 가시성과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비교가능성의 기업 가시성과의 관련성을 검토한 선행연구는 아직 존재하지 않은 바, 비교가능성의 효익에 대하여 기업 가시성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본비용은 자본시장 참여자인 투자자와 채권자의 요구수익률을 모두 반영하고, 기업 입장에서는 크게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으로 구분되는 자본조달수단을 모두 고려하여, 선행연구와 는 차별적으로 가중평균자본비용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비교가능성의 효익에 대한 선행연구는 이자비용과 기업신용등급으로 측정된 타인자본비용에 국한되었지만, 본 연구는 자기자본비용까지 고려한 가중평균자본비용을 사용하여 선행연구와의 차별화를 도모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가능성의 효익을 기업 가시성과 자본비용 측면에서 검토하여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으로서의 비교가능성의 향상 노력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K-IFRS의 의무도입 4년차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회계원칙의 변경에 따른 비교가능성 하락 가능성 논의와 관련하여 투자자, 채권자, 경영자, 재무분석가와 회계감독당국 등에게 회계정보의 비교가능성 향상 노력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 고용가능성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현철,백남식,문관식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2

        최근 국가간 경제적 의존성 증가와 급변하는 소비자시장의 다양성으로 인해 기업은 유연하고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업구성원들의 노동삶의 변화도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De Witte, 2005; Goslinga, 2005). 직무와 관련한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및 인구 통계적 발전과 변화는 구성원들의 직무역량 개발에 영향력을 미치며 광범위한 변혁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세계화는 빠른 고객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성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게 되며 IT 기술의 발전은 프로세스의 가속화와 조직구조의 단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구성원들은 지속적 학습뿐만 아니라 자신의 역량개발을 통한 장기적 관점의 고용가능성에 관심을 지니게 되었다. 고용가능성 이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고용유지 능력” 을 의미하며 변화하는 비즈니스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고도로 유연성을 갖춘 노동자를 채용하려는 경향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근로자들도 자신의 고용가능성을 높여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탐구하게 되었다(Van Dam, 2004). 현재, 고용가능성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공급중심의 제도적 접근방식이 주로 이루어 지고 있으며 인적자본 가치를 향상시키고 직무능력 향상을 통해 기업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일부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는 고용가능성 향상이 이직의도와 반조직적 행동(CWB)등과 같은 부정적 영향을 감소 시킬 수 있는 방안도 다루어 져야 한다. 본 연구는 신규 노동시장 진입자와 재취업 근로자 위주의 연구보다는 조직내 다양한 집단 구성원들에 대한 고용가능성 결정요인을 다룸으로써 한 세기 동안 혼재되고 있는 고용가능성 결정요인에 대하여 고용가능성의 제도적, 인본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하였으며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가능성의 개념적 정의를 둘러싼 현재와 이전의 개념을 기술하고 경험적 연구를 통해 조직의 핵심역량 구현에 적합성 가능성과 잠재적 가치를 탐색하여 효과적인 논의를 함으로써 고용가능성을 둘러싼 논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고용가능 성 결정요인을 제시 하였다.

      • KCI우수등재

        오류가능성의 문제에 대한 잘못된 접근

        선우환(Hwan Sunwoo)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7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는 그 두 가지가 어떻게 서로 양립할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이병덕 교수는 이전의 한 논문에서 오류가능성에 대한 나름의 이론을 통해서 그 문제에 접근했다. 이에 대해 필자는 이전 논문에서 그의 오류가능성 이론이 그 자체로 심각한 문제들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오류가능성에 대한 올바른 이론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드러내는 논거들을 제시했고, 또한 그런 이론이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대해 이무런 설명도 제공해 주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결정적 반론들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병덕 교수는 자신의 기본적인 입장을 굽히지 않고 최근의 논문에서 여전히 자신의 이론을 구해내려는 시도들을 한다. 그러나 그의 새로운 시도들 역시 오류가능성의 문제들에 대해 여전히 잘못된 접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대해, 그 둘 간의 진정한 양립가능성을 보여주지 않으면서, 단지 특정 명제에 대해 그것을 우리가 필연적 참이라고 믿는다는 사실과 그 명제의 오류가능성 사이의 양립가능성만으로 충분하다고 이야기하는 접근은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의 핵심을 놓쳐 버린다. 이런 잘못은 오류가능성의 개념이 가진 인식적 가능성으로서의 성격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그 밖의 몇 가지 논리적 오류들에 기인한다. 또한 오류가능성을 개념이 수정될 가능성을 통해서 이해하고자 하는 이론은 그 이론을 자꾸만 어떤 식으로 변형시키든 간에 근본적 딜레마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 이론은 그 자체로도 오류가능성에 대한 근본적으로 잘못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필연성과 오류가능성의 양립가능성 문제에 대해서도 여전히 아무런 설명을 제공해 주지 못한다. The problem of explaining how necessity and fallibility can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is an important philosophical problem. Philosophers attempt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various reflections and explications on the concept of fallibility. In an earlier paper, Byeong-Deok Lee proposed a solution based on his own theory of fallibility. In other papers, I argued that Lee’s theory generates new problems rather than solves the original problem. In a recent paper “Erroneous Belief by Virtue of Erroneous Concept”, Lee presented new attempts to save his approach from my objections. In this paper, I show that his new attempts still fail. Lee replaces the original problem by an easy problem of explaining how our beliefs about necessity can be compatible with fallibility. However, his approach misses the real point of the original problem. Moreover, his wrong approach is due to his misunderstanding of key notions and other logical fallacies. His approach to fallibility is wrong in itself, and it does not help to solve the problem of necessity and fallibility.

      • KCI등재
      • KCI등재

        持續可能性과 世代間 正義

        全光錫(CHEON Kwang Seok) 한국헌법학회 2011 憲法學硏究 Vol.17 No.2

        지속가능성은 오늘날 인류의 시대적 도전이며 시대정신이다. 지속가능성은 수평적으로는 사회체계, 환경체계, 그리고 경제 및 재정체계를 포괄하는 다차원적 국가의 과제이며, 동시에 수직적으로 세대를 초월하는 국가의 과제이다. 이 논문은 지속가능성을 헌법의 구조 속에 편입하여 논의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 지속가능성을 헌법의 구조에 편입하여 헌법적 논의의 틀을 마련함으로써 헌법의 생명력을 보장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지속가능성의 논의가 기원하는 사실적ㆍ역사적 구조를 정리 하였다. 이는 지속가능성을 헌법이 적극적으로 포섭하여야 할 당위성을 제시하여 줄 수 있다. 다음 지속가능성에서 사회, 환경, 그리고 경제 및 재정체계가 소극적으로는 상호 배척관계에 있어서는 안 된다는 요청, 그리고 적극적으로 세 체계가 균형있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는 요청을 정리하였다. 이 때 2010년 제정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의 이념적 및 법체계적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지속가능성은 아직 헌법 원리로서의 위상을 갖지는 못하지만 국가목표규범으로서의 성격을 보유한다. 나아가서 지속가능성의 수직적 측면은 세대, 그리고 세대 간 정의의 문제로 의제화될 수 있는가, 그리고 이들 문제가 헌법에 구조화될 수 있는가의 문제를 환경권, 평등권, 그리고 혼인과 가족의 보호 등 그밖에 헌법 규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세대 간 정의가 논의되는 대표적인 영역으로 환경권에서 지속 가능성과 세대 간 정의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환경법의 원칙으로서 지속가능성이 환경법의 다른 원칙, 즉 사전배려의 원칙, 오염원인자책임의 원칙, 공동부담의 원칙, 협력의 원칙과의 관계에서 독자성을 갖는가, 또 이들 원칙을 보충ㆍ강화하는 가능성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지속 가능성의 절차적 실현,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위한 새로운 거버넌스의 가능성과 한계를 점검하였다. The Sustainability is today’s challenge as well as Zeitgeist of the human kind. Horizontally the Sustainability is a multi-dimensional task of the state which includes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financial system. Vertically it goes beyond one and present generation. This article aims to put the discussion on the Sustainability into the constitutional context and to analyze its constitutional structure and meaning. It may enhance the vitality of the constitutional law. First of all, the factual and historical background from which the discussion on the sustainability came on the stage is described. It may show the need for sustainability to be incorporated in the constitutional context. The troika of sustainabilty, i.e., the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financial system should not exclude each other. Sustainability rather requires to promote them all in balance. In terms of thes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green growth act of 2010 suffers from the deficits of ideology as well as legal systematic problems. Sustainability should be respected as a state goal. It should be scrutinized whether it may be transformed into an inter-generational justice agenda, and may be structured based upon the environmental right, right of equality, the protection of marriage and family etc. The inter-generational justice has been discussed, inter alia, in the realm of the environmental system. Another substantial question is, whether the sustainability may be titled as an independent principle in the relation with other recognized principles of environmental law. Finally, this article has endeavored to seek for the procedural justice as well as the governance in the realization of sustainability.

      • KCI우수등재

        기업간 비교가능성이 높은 이익이 더 지속적인가?

        최승욱 ( Seung Uk Choi ) 한국회계학회 2017 會計學硏究 Vol.42 No.1

        본 연구는 기업간 비교가능성이 높은 이익이 보다 지속적인지를 살펴본다. 즉, 재무제표에 보고된 이익의 기업간 횡단면적 비교가능성과 기업 내에서의 시계열적 이익 지속성간의 관계를 조사한다. 이는 이익의 기업간 비교가능성과 기업내 비교가능성의 관계를 간접적으로 살펴보는 의미가 있다. 비교가능성은 이익의 유용성을 나타내는 재무회계 개념체계상의 보강적 질적 특성의 하나로 회계정보이용자들이 비교가능성이 높은 이익을 보고하는 기업의 회계정책에 대해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익의 속성이다. 선행연구는 이러한 비교가능성 증가가 투자자들의 정보획득비용을 줄이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이익의 비교가능성 증가로 인해 유사한 기업들 간의 정보 비교와 전달이 원활해질 경우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들의 경제적 사건과 회계정책 간의 동질성과 이질성에 대한 파악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교가능성이 높은 이익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명확하게 이익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해당 이익을 보고하는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위를 억제하여 이익의 지속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4,301개 기업-연도를 이용한 분석결과, 높은 비교가능성을 보이는 이익이 대체로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익을 발생액과 현금흐름으로 구분하였을 때, 비교가능성의 증가는 현금흐름보다는 발생액의 지속성을 증분적으로 높임으로써 이익의 지속성 향상을 유도하였다. 발생액을 다시 재량적ㆍ비재량적으로 구분한 경우에는 주로 재량적 발생액에서 결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비교가능성의 증가가 발생액의 지속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강건성을 위해 여러 다른 측정치로 비교가능성을 대용한 경우에서 일관되었다. 비교가능성이 이익의 지속성에 미치는 효과는 대체로 2년 후의 이익까지 이어졌다. 추가적으로, 비교가능성으로 증가한 이익의 지속성은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 정확성의 증가와 감사시간의 감소로 이어졌다. 이는 재무분석가가 비교가능성이 높고 지속적인 이익에 대해 보다 정확한 예측치를 공시한다는 것과, 이러한 이익으로 인해 감사효율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감사인의 투입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발견은 이익의 비교가능성 분야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다양한 후속연구주제를 제시한다. 예를 들어, 재무분석가와 같은 정보이용자들이 이익의 비교가능성과 지속성의 두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지와 둘 중 어느 속성에 더욱 비중을 두고 예측치에 반영하는지 등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지배구조가 재무제표 이익의 두 가지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책입안자들 역시 투자자들의 정보획득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뿐 아니라, 지속적인 이익을 기업들이 보고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보다 비교가능한 이익을 보고하도록 제시할 것을 시사한다. I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comparability and earnings persistence. By using Korean stock market firms from year 2008 to 2012,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comparable earnings are persistent than the others. When earnings are divided into accruals and cash flows, the results are mainly derived by accruals. Furthermore, if accruals are divided into discretionary and non-discretionary accruals, the result are significant mainly in discretionary accruals. Additional tests show that the effect of earnings comparability on persistence reaches toward two-years-ahead earnings and disappears in three-years-ahead earings. Financial analysts disclose relatively accurate earings forecast when firms report comparable and persistent earnings. Besides, auditor hours decrease for firms with comparable and persistent earnings which show that these informative earnings make audit process more efficient.

      • KCI등재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및 초도감사 여부와 감사품질

        박희진,이세철 韓國公認會計士會 2015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7 No.3

        재무보고의 개념체계에 의하면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은 재무정보가 유용하기 위한 질적 특성 가운 데 보강적 질적 특성으로 규정되어 있다. 비교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정보이용자가 기업 간 또는 기 간 별 비교를 통해 재무제표에 함축되어 있는 다양한 재무정보와 이익의 근본적 질적 속성을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사인의 입장에서는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감사위험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감사품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감 사대상회사의 회사와 사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초도감사에서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의 중요성은 더 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논의에서 본 연구는 감사대상회사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높 을수록 감사품질이 향상되는지와 초도감사 여부에 따라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본다. De Franco et al.(2011)의 방법으로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을 측정한다. 분석결과,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높은 기업일수록 감사품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높을수록 오류 및 위법사항을 적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증가할수록 기업내부와 기업외부의 정보이용자 간의 정보비대 칭이 감소하여 경영자에 대한 관리 · 감독기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경영자가 자신의 사적이익을 취 할 목적으로 회계정보를 왜곡하는 행동이 억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초도감사시 재무제표 비교가 능성이 높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감사품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표본을 유 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할 경우, 유가증권시장에서는 통계적 유의도가 일부 감소하면서 변수측정 방법에 따라 민감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코스닥시장에서는 여전 히 강건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대상회사에 대한 축적된 지식이 부족한 초도감 사 상황에서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효과적인 감사에 도움을 준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대적으 로 정보환경이 열악한 코스닥상장 기업일수록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감사인에게 유용한 속성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계속감사인과 비교하여 지식의 전이라는 측면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초도감사인에게 재무제표 비 교가능성이 추가적인 정보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또한 감사대상회사 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상황 하에서 동종산업 내의 기업 간 비교가 용이할수록 감사업무에 대한 효 과성과 효율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규제당국 및 정보이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ceptual Framework issued by the IASB states that comparability is one of qualitative characteristics that enhance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that is relevant faithfully represented. Comparable information in terms of inter-entity and inter-period helps users understand various financial information an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porting entity. Comparability also contributes to the quality of audit by assisting external auditors to identify audit risks with effectiveness and efficiencies. Especially, we expect that the role of comparability is mo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initial audits as auditors do not understand the reporting entity and its industry sufficientl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omparability enhances the quality of initial audit. We measure comparability used in De Franco et al.(2011). We find tha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comparability and audit quality. We find that the higher comparability enhances the quality of initial audit. We then divide the sample into two subgroups based on the listed market. Statistical significance partly decreases in the KOSPI market whereas the result is maintained in the KOSDAQ market. This result suggests that comparability helps effective initial audit where auditors do not have sufficient knowledge of the reporting entity. Further analysis provides evidence that comparability plays more important role in the audit of entities listed in KOSDAQ market which have a weak information environment. We perform empirical tests of the impact of comparability on audit quality while research on comparability is still in its early stage. We hope that this study can be a starting point to examine the role of compar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information users. Our findings als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olicy makers, managements and other information users by showing that comparability is an additional determinant of audit quality.

      • KCI등재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특성

        최승욱,김도형 한국회계정책학회 2016 회계와 정책연구 Vol.21 No.5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dustry characteristics on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While some studies suggest that industry effect exists on financial statement reporting, it is generally ignored or partially controlled by including industry fixed effects on regression models. Thus, our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dustry characteristics (i.e. homogeneity of operating expense or industry competition) on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It is intuitively predictable that firms will produce comparable financial statements in homogeneous industries. Also, we expect positive relation between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and industry competition. It is because managerial motives to consider other firms’ financial information in reporting financial statement are expected to increase in competitive industries. We use proxy for industry homogeneity based on client firms’ operating cost structures following Cairney and Young (2006). Industry competition is measured by Herfindahl index. Finally,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is measured by following De Franco et al.(2011). Using a sample of 5,228 firm-year observations between 2008 and 2013, our results indicate that financial statements between two firms are more comparable when they operate in homogeneous industries or competitive industries. Furthermore, our results are robust to three different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proxies. Lastly, the effects of the magnitude of accruals or the adoption of K-IFRS do not derive our results. 재무정보를 작성하고 보고하는 기업은 타회사의 재무제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모든 기업들이 보고하는 재무제표가 동질적이지는 않을 것이나 동종 업계에 속한 기업들 간에는 유사한 영업활동을 영위함으로써 이를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정도가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유사한 정도는 산업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원가의 식별과 인식과정이 매우 흡사한 업계에 속하거나 혹은 산업 내에서 경쟁관계에 있다면 상호간의 재무제표를 고려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이는 결국 이러한 상황에 있는 두 회사간 재무제표의 유사성이 증가해 비교가능한 재무제표를 보고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산업특성과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구체적인 산업특성으로는 원가구조의 동질성과 경쟁정도를 이용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원가구조가 동질적이거나 경쟁정도가 높은 산업에 속한 기업간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은 그렇지 않은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 비해 높았다. 구체적으로, 산업내 소속 기업들의 영업비용 동질성이 클수록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허핀달 지수를 이용하여 측정한 산업내 경쟁정도가 증가할수록 소속 기업들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역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측정치를 사용한 경우 모두 유지되었다. 추가적으로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발생액의 크기나 국제회계기준 도입 전후 기간별로 표본을 구분한 분석에서도 결과는 전술한 바와 다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공헌점이 있다. 첫째, 선행연구는 암묵적으로 동종 산업간에는 재무제표의 비교가 상대적으로 용이할 것으로 간주한다. 산업의 특성이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이와 같이 동일 산업 내에서의 비교를 통해 측정치를 산출하는 연구들에 타당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구체적인 산업특성들을 통제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둘째, 재무제표 비교가능성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후속연구들에게 비교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이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는 재무제표의 품질과 형태를 조사할 때 산업요인을 간과하고 있었다. 다수의 연구가 산업고정효과를 통해 산업간 이질성을 완화한 것에 반해 본 연구는 재무제표의 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체적인 산업요인을 제시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고객기업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은 감사보수에 반영되는가?

        이우재(Woo Jae Lee),최승욱(Seung Uk Choi) 한국경영학회 2019 經營學硏究 Vol.48 No.4

        본 연구는 고객기업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감사계약 체결 시 감사보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다. 감사인은 감사계약을 수임할 때 명백한 회계기준 위반이나 감사범위의 제한 등과 같이 감사의견에 변형을 가져오는 위험이 아닐지라도 고객기업의 재무적 취약성, 파산가능성, 경영진과의 마찰이나 외부투자자의 재무제표 의존도 등에 따라 부담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감사수임위험(Engagement risk)은 직접적으로 재무제표 감사 실패와 연결되지는 않더라도, 향후 감사인이 잠재적 소송 등에 노출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고객기업에 대해 가지는 위험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이 이러한 감사수임위험과 결부되어 감사보수에 체계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다. 우선, 재무제표의 높은 비교가능성은 투자자의 회계정보 획득비용을 줄이므로 비교가능성이 충분히 확보되는 기업이라면 투자자가 감사인의 의견에만 의존할 가능성이 현저히 낮을 것이다. 또한 타 기업과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높은 기업은 주가가 일시에 폭락하는 경향이 사전에 예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만약 감사인이 이러한 기업을 감사한다면 피소가능성, 감사실패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감사위험 수준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바꿔 말하면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낮은 기업에 대해서는 감사인이 평가하는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며, 이는 감사보수 결정에 반영될 것이다. 이러한 예측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하여 발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낮을수록 해당기업의 감사보수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경제적 효과 측면에서 비교가능성이 1표준편차 감소할 때 감사보수는 5.8~6.7% 증가하였다. 이는 감사보수 결정과정에서 고객기업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고객기업의 규모, 복잡성, 손실여부 등 여러 고유 특성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은 감사보수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감사보수를 감사시간과 시간당보수로 구분하여 각각 비교가능성과 조사한 결과, 낮은 비교가능성은 감사시간과 시간당보수를 모두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대적으로 긴 계속감사기간과 Big 4 감사인과의 계약 여부는 낮은 재무제표 비교가능성과 감사보수 간 양의 관계를 증분적으로 완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고객기업에 대한 핵심 감사정보가 상대적으로 적은 감사인들은 낮은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을 감사위험으로 인지하여 높은 감사보수를 수임하는 반면, 오랜 감사기간 동안 고객기업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거나 인적 · 물적 자원을 충분히 확보 가능한 고품질 감사인은 낮은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으로 인한 감사위험을 흡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결과는 이들 감사인이 상대적으로 비교가능성이 높은 재무제표가 보고되도록 유도하는 결과일 가능성도 있다. 추가분석으로, 내생성 완화를 위해 성향점수로 매칭된 표본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가능성의 다른 대용치를 이용한 결과 등에서도 모두 질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