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충남지역 활석광상에서 산출되는 금운모의 광물특성 및 기원

        김건영,김수진,고용권,배대석 한국광물학회 2004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17 No.3

        충남지역 활석광상에서 산출되는 금운도의 광물학적 특성 및 활성화 작용과 연관된 금운모의 생성기원을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의 활석광상에서 산출되는 운모류는 녹니석과 더불어 활석광석의 주요 불순광물이다 화학적으로 활석과 공존하는 운모류들은 전형적인 금운모 조성을 보여주고 활석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이 산출되는 운모류들은 흑운모에서부터 금운모 조성까지 광범위한 분포를 보여준다. 금운모는 주로 활석광체의 외곽부의 검은 변질대에 분포하며, 특히 괴상 활석광석에 수반되어 산출된다. 편광현미경이나 후방산란전자상에서는 금운모와 녹니석이 혼정을 이루고 있는 양상을 흔히 관찰할 수 있으며, 드물게 활석과 함께 혼정을 이루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금운모의 투과전자현경관찰결과, 일반적으로 전형전인 10Å의 격자상 내에 14 Å의 녹니석층이 불규칙하게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금운모의 생성과정이 녹니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이러한 금운모의 산출상태와 광물학적 특성 및 금운모생성에 필요한 K의 기원을 고려하였을 때, 연구지역의 금운모는 활석화 작용의 후기단계에서, 포기 성분과는 달리 K을 충분히 함유한 열수용액과 활석 광체와의 반응에 의해서 주고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K은 이러한 K-변질작용이 일어나기 용이한 구조조건을 가진 활석광체와 주변 화강암질 편마암과의 접촉부에서 화강암질 편마암으로부터 유입되었다.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sis of phlogopite in the talc deposits of the chungnam area were studied. Mica is one of the major impurity of talc ores in the study area. Talc-related micas show typical phlogopite composition, whereas talc-unrelated micas show wide compositional variations between biotite and phlogopite. Phlogopite mainly occurs in the black-wall type zone, especially in the nodular talc ores near the outer part of talc ore bodies. Interleaving textures of phlogopite and chlorite are easily observed under the optical microscope and back-scattered electron images. Interleaving textures of phlogopite and talc are observed also. Examination of the phlogopite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veals that 14 Å layers of chlorite are randomly interlayered within the 10 Å layers of phlogopite, which suggests that the genesis of phlogopite is closely related to chlorite. Considering the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phlogopite, and the possible origin of K for the formation of phlogopite, phlogopite of the study area was formed by interaction between talc ore body and hydrothermal solution containing sufficient K at the late stage of talc formation. K might be introduced from the granitic gneiss at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talc ore body and the granitic gneiss under favorable structural condition for the potash metasomatism.

      • KCI등재

        合口呼와 撮口呼 韻母의 分類體系 및 表記方式 改善案 提言

        裵銀漢(Eun-Han Bae) 중국어문논역학회 2016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8

        본 논문은 漢語拼音方案 <韻母表>의 韻母 分類體系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중국어 발음 학습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개선안은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合口呼 韻母와 撮口呼 韻母의 分類體系에 대한 개선안이고, 둘째는 合口呼 韻母와 撮口呼 韻母의 表記方式에 대한 개선안이다. 合口呼 韻母와 撮口呼 韻母의 分類體系에 대한 개선안으로는, 현행 漢語拼音方案 <韻母表>에서 齊齒呼 위치에 배열된 /ionɡ/을 國際音聲記號([yŋ])와 注音符號(ㄩㄥ) 등의 기타 表音方案과 실제 音價에 부합하는 撮口呼로 분류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開口呼 위치의 /onɡ/은 國際音聲記號([uŋ])와 注音符號(ㄨㄥ) 등의 기타 表音方案과 실제 音價에 근거하여 音素 ‘[u]’(ㄨ)를 포함하고 있는 合口呼 韻母로 분류하였다. 한편, 聲母가 부가된 경우의 韻母 /onɡ/은 零聲母 형태의 표기방식인 /uenɡ/과 동일한 韻母의 相補的 關係임을 증명하여, /onɡ/이 合口呼로 분류되어야 하는 이론적 근거를 보완할 수 있었다. 合口呼 韻母와 撮口呼 韻母의 表記方式에 대한 개선안으로는, /onɡ/과 /ionɡ/의 漢語拼音 표기방식을 /unɡ/과 /ünɡ/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개선안에 근거하여 韻母 /onɡ/과 /ionɡ/의 表記方式을 각각 /unɡ/과 /ünɡ/으로 수정하면, /u/⋅/uɑ/⋅/uo/⋅/uɑi/⋅/uei(ui)/⋅/uɑn/⋅/uen(un)/⋅/uɑnɡ/⋅/uenɡ(unɡ)/으로 구성되는 合口呼와 /ü/⋅/üe/⋅/üɑn/⋅/ün/⋅/ünɡ/으로 구성되는 撮口呼 韻母의 分類體系에서 完整性을 제고할 수 있으며, 실제 音價에 근거한 漢語拼音 表記方式의 合理性과 體系性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blems shown in Vowels Categorization of Hanyu-Pinyin-Fangan"s Vowels Table, suggest an improved alternative, and increase the rationality and effectiveness of Chinese pronunciation learning methods. The suggestion provided by this paper largely consists of two main parts. First is an improvement of Categorization of Hekou-Hu and Cuokou-Hu, and second is an improvement of Notation System of Hekou-Hu and Cuokou-Hu. In regard to the suggested improvement of Categorization of Hekou-Hu and Cuokou-Hu, we have concluded that the /ionɡ/ placed in position Qichi-Hu of Hanyu-Pinyin-Fangan"s Vowels Table must be categorized as Cuokou-Hu corresponding with Phonetic value, depending on the notation method of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yŋ]) and Zhuyin-Fuhao(ㄩㄥ). Also, the /onɡ/ in position Kaikou-Hu was categorized as Hekou-Hu including the phoneme ‘[u]’(ㄨ) depending on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uŋ]) and Zhuyin-Fuhao(ㄨㄥ). And the /onɡ/ added with Initials was proved to be in the complementary relations of Vowels which is identical to the /uenɡ/ of form as a Non-Initials, and this supplements the theoretical basis of categorizing it as Hekou-Hu. As for the suggested improvement of Notation System of Hekou-Hu and Cuokou-Hu, we have concluded that the notation method of /onɡ/and /ionɡ/ of Hanyu-Pinyin Nota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to /unɡ/and /ünɡ/. On the basis of this paper’s suggestion the Improvement of the Categorization and Notation System, the rationality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notation method of Hekou-Hu and Cuokou-Hu is considered.

      • KCI등재

        투고논문 : 현대 한,중 한자음 비교 연구 -운모를 중심으로-

        이병찬 ( Byong Chan Lee ) 근역한문학회 200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7 No.-

        본 연구는 한국 한자음의 운모를 중심으로 현대 중국 한자음의 한어병음 운모와 비교한 것이다. 연구의 효율성과 활용도를 고려하여 상용자 3500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 대상은 한국 한자음에 존재하는 운모 75개와 중국어의 운모 37개이며 한국 한자음을 중심으로 통계를 내어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운모의 경우 중국의 한자음은 종성에 `n` `ng`만 남아있기 때문에 고대 한자음의 고유한 종성을 그대로 많이 유지하고 있는 한국 한자음이 특성상 더 다양한 운모를 가지고 있어 그 편차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한자음 운모 `야`, `염`, `왁`의 경우처럼 완벽히 각각 중국 한자음 운모 `ie(ye)`, `ian`, `uo(wo)` 하나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한국 한자음 `아`, `앙`이 중국 한자음 성모 `a` `ang`으로 표기되는 경우처럼 유사음 표기가 가장 많은 것이 일반적 현상이다. 따라서 표면상으로는 한국 한자음 하나의 운모가 중국 한자음에서는 다양하게 표기되지만 실질적으로 대부분은 유사음이거나 유사음에 가까운 운모이다. 게다가 한국 한자음 운모 `아`는 중국음에서는 권설음과 결합되면 설첨모음인 `i`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특정 성모와 운모의 선호 현상을 고려하면 그 법칙성과 상관성은 더 높아질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한자음이 고대에서 지금까지 상당한 변화를 겪어온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현대 한국과 중국의 한자음을 비교하여 보면 거의 일치하는 성모와 운모도 존재할 정도로 규칙성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이러한 유사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 비교 자료가 제공된다면 한국인의 중국어 학습이나 중국인의 한국어 학습에 상당한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또한 대부분의 중국어 학습자들이 기초적인 한자의 한국 한자음을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본 연구의 이러한 정리는 학습의 혼란을 막고 정확한 학습에도 기여하리라고 본다. 본고는 자료의 방대함으로 인하여 연구의 편의상 먼저 성모와 운모를 분리하여 그 상관성을 정리하였다. 하지만 앞으로 성모와 운모의 선호 현상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고찰과 세밀한 분석을 한다면 한·중 언어의 상관성을 이해하는 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between the vowel of Modern Chinese`s letter`s sound and the vowel of Korean Chinese`s sound. Its object is 3500 letters of Chinese with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and the inflected rate. Comparing objects are vowel 75 letters of Chinese letters in Korean and Vowel 37 letters of Chinese. Also this research has analysed by the statistics of Korean Chinese sound. Following the result, in case of vowels, it maintained the original final sound of ancient Chinese sound`s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sound. And its difference gap is big due to above characteristic. The target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relation of general vowels without coherence of special consonants. The result has come from comparing vowels only. Especially, in above case, its deviation should be big because of remaining final sound `n` and `ng` in Chinese. But the vowel `야`, `염`, `왁` in Koran Chinese sound marked perfectly as `ie(ye)`, `ian`, `uo(wo)` in the vowel of Chinese sound. And marking similar sound such as `아`, `앙` in Korean Chinese letters to `a`, `ang` in Chinese letters is general phenomenon. Therefore, on a diagram, one vowel marks several vowels, but most of vowels are similar sounds or the vowels of close to the similar sound. Moreover, when Korean Chinese sound `아` coherence with retroflex, `아` changed to apical vowel `i`. Considering prior phenomenon of the special consonants and vowels, the principle and the relation are getting higher. It is true that the Chinese letters` sound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changed until now. However, there are various resemblances comparing the Chinese sound between Korean and Chinese. Also, The principle which exist almost same consonant and vowel is maintaining now, thus its study would be helpful to Korean Chinese students and Chinese Korean students in both. In case of vowel, its relation rate is not high by comparing the consonants, but it is difficult to deny its relation rate. Considering most of Korean Chinese students recognize basic Chinese letters`s Korean Chinese letters` sound,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to them to protect the confusion of Chinese sound study and correct study. This paper is summarized the relation by distinguish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at first for convenience of the study due to huge data. But its result would be the good data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if total inspection and specific analysing has done with considering prior phenomenon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At last, this research`s target is to guarantee study data by statistics. Thus it is clarified that marking characteristics of pronunciation both of Korean and Chinese and the gap of practical pronunciation are not considered.

      • KCI등재

        《몽고자운(蒙古字韻)》과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운모체계(韻母體系) 대조 고찰 ― 서성운(舒聲韻)을 중심으로 ―

        홍현지 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語文學誌 Vol.0 No.65

        本文對《蒙古字韻》與《飜譯朴通事》之舒聲韻進行對照分析,從中發掘相互間的韻母系統之變化特點。《蒙古字韻》與《飜譯朴通事》各成書於1308年和1517年,兩書各反映元代和明代官韻之音韻系統。通過對《蒙古字韻》與《飜譯朴通事》之舒聲韻進行對照分析,發現了五種明顯的變化特點,其特點如下: 第一,開口·三等韻的部分正齒音字,其主要元音[i]受聲母的影響變爲舌尖後元音。支韻·[i]韻母的正齒音字在左右音標爲“ᅟ/ᅳᇫ ㆍ”;庚韻·[iŋ]韻母的正齒音字在左右音標爲“ᅟ/ᅳᇰ ᅟ”ᆞᇰ ;侵韻·[im]韻母的正齒音字在左右音標爲“ᅟ/ᅵᆷ ᅟ”ᆞᆷ。 第二,合口呼的脣音字變爲開口呼。支韻·[ui]韻母的脣音字在左右音標 爲“ㅣ/ㅣ”或“ㅢ/ㅢ”;眞韻·[un]韻母的脣音字在左右音標爲“ᅟ/ᅳᆫ ᅟ”ᅳᆫ ;寒韻·[uαn]韻母的脣音字在左右音標爲“ᅟ/ᅥᆫ ᅟ”ᅥᆫ。 第三,歌韻·[ɔ]韻母有不同的韻母變化。舌·齒·半舌音字和零聲母字在左右音標爲“ㅓ/ㅗ”;喉牙音字在左右音標爲“ㅓ/ㅓ”。 第四,[ian]韻母的韻腹[a]受韻頭[i]的[+高位性]和韻尾[n]的[-高位性, -低位性]之影響發生元音高化,而在左右音標爲“ᅟ/ᅧᆫ ᅟ”ᅧᆫ。第五,[-m]韻尾大部變爲[-n]。

      • KCI등재

        경남 하동군의 하산동층 하부 퇴적층에서 산출된 크롬운모편의 산상과 기원

        백인성,김현주,황진연,박정규,이호일,박맹언 대한지질학회 2020 지질학회지 Vol.56 No.3

        Greenish mica clasts were newly found in the fluvial deposits of the lower part of the Hasandong Formation (the middle part of the Sindong Group) in southwestern area of the Gyeongsang Basin (Hadong, Gyeongsangnam-do) and of the uppermost part of the Nakdong Formation (the lower part of the Sindong Group) in northwestern area of the basin (Waegwan, Gyeongsangbuk-do). Based on the results of XRD and XRF analyses, the greenish micas were identified as a chrome mica (fuchsite). The chrome mica clast-bearing deposits are pebble-bearing coarse-grained sandstone of channel deposits not influenced by hydrothermal alteration or regional metamorphism. The chrome mica clasts are rounded and closely associated with intraformational mudstone chips derived from a floodplain, indicating that they were transported from upstream area by flooding. Chert pebbles are also associated. Considering the kinds of chrome mica-beaing rocks, provenance geology of the Gyeonsang Basin during the Early Cretaceous, previous reports of chrome mica occurrence in South Korea, and very restricted occurrence of the chrome mica clasts in the Sindong Group,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y were derived from hydrothermally altered ultramafic rocks. Since Lim et al. (2019) suggested the existence of ultramfic rocks in the Yeongnam Massif from Late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the detrital occurrence of the chrome micas with chert pebbles in the Sindong Group implies partial existence of accretionary complex in the Yeongnam Massif during the Sindong period. Further advanced study as to the provenance of the Gyeongsang Basin is therefore needed. The occurrence of detrital chrome micas both in the lower part of the Hasandong Formation in southwestern area of the Gyeongsang Basin and in the uppermost part of the Nakdong Formation in northwestern area of the basin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wo deposits can be chronostratigraphically correlated. 경상분지 남서부(경남 하동)의 하산동층(신동층군 중부) 하부 퇴적층과 경상분지 북서부(경북 왜관)의 낙동층(신동층군 하부) 최상부 퇴적층의 하성퇴적층으로부터 녹색을 띠는 운모편의 함유가 새로이 확인되었으며, 엑스선 회절분석과 형광분석을 바탕으로 이 운모는 크롬을 함유한 fuchsite로 감정되었다. 크롬운모편들이 산출하는 퇴적층은 열수변질이나 광역변성작용을 받지 않은 하도기원의 함력조립사암층이다. 크롬운모편들은원마를 받은 상태로 범람원에서 기원한 이암편들과 밀접히 수반되어 산출하며, 처트역들이 함께 나타남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크롬운모편들의 산상은 이 크롬운모편들이 상류지역에서의 범람으로부터 기원하였음을 지시한다. 따라서 크롬운모의 기원암 유형, 백악기초 경상분지 기원지의 지질특성, 크롬운모의 국내 산출 사례 등과하산동층과 낙동층 내 크롬운모편의 매우 제한된 층준에서의 산출 특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때, 신동층군 크롬운모편의 기원암은 발달 규모가 제한적인 초고철질암의 열수변질대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쥐라기말에서-백악기초 사이에 영남육괴에 소규모 고철질암체의 존재가 제시된 것(Lim et al., 2019)과 함께 신동층군 퇴적 당시 영남육괴에 부가복합체의 부분적인 존재 가능성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이에 대한 심화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한편 경상분지 남서부 지역의 하산동층 하부 퇴적층과 경상분지 북서부 지역의 낙동층 최상부 퇴적층에서의 특이성과 희소성이 매우 높은 쇄설 기원의 크롬운모 산출은 경상분지 북부 지역의 낙동층 최상부와 남부지역 하산동층의 최하부가 시층서적으로 대비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국어(中國語) 운모(韻母) /iong/의(義) 음가(音價) 분석(分析) 및 분류(分類) 문제(問題) 고찰

        배은한 한국중문학회 2013 中國文學硏究 Vol.0 No.50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phonetic value and categorization of a Yunmu(韻母) which is written in /iong/ under the Hanyu-Pinyin(漢語□音) notation system.Because /iong/ is located in the Qichi-Hu(齊齒呼) section of the Yunmu-Table(<漢語□音方案.韻母表>), it is recognized as the combination of phonemes /i/./o/./ng/.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Hanyu-Pinyin(漢語□音) notation system and the placement of the phoneme under the Jieyin(介音) /i/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analyzing /iong/ as the Qichi-Hu(齊齒呼). However, this article illustrated that /i/ and /o/ do not accurately represent the phonemes for their real phonetic values. For example, /io/ replaces /u/ because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the Hanyu-Pinyin(漢語□音) notation system.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 this study modified /ong/ into the Hekou-Hu(合口呼) which was categorized as the Kaikou-Hu(開口呼) in the Yunmu-Table(<漢語□音方案ㆍ韻母表>), and modified /iong/ into the Cuokou-Hu(撮口呼) which was categorized as the Qichi-Hu(齊齒呼), and this study has enhanced the systemicity of the Yunmu(韻母) arrangement in the Revised Yunmu-Table(改訂 韻母表).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Yunmu(韻母) categorization, the Hanyu-Pinyin(漢語□音) notation system which is noted as /ong/ and /iong/ is also changed into /ung/ and /ung/, so the reflection of real phonetic value, the systemicity of notation and consistency could be improved.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modification of the Hanyu-Pinyin(漢語□音) notation for /iong/ into the form /ung/, as well as the IPA notation can be specified as [yŋ]. From the conclusion, one might find it difficult to recognize /iong/ as the Qichi-Hu(齊齒呼) because of the Hanyu-Pinyin(漢語□音) notation system`s limitations. However, it does help to eliminate the confusion regarding the phonetic values of [yŋ], often referenced as [iuŋ].[yaŋ].[yuŋ] in other theses.

      • KCI등재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내화성능 연구

        박지연(Ji-Yeon Park),김소이(So-I Kim),김성하(Seong-Ha Kim),이재용(Jae-Yong Lee),정철우(Chul-Woo Chung)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21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9 No.1

        분말형 견운모는 폐기물 재활용 차원에서 화학, 광물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비교적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재료이며, 일반 운모와 마찬가지로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말형 견운모를 활용하여 모르타르의 열전도율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시멘트 복합체용 내화재료로서와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한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작하고, 이의 열전도율 및 고온 노출 전후의 압축강도를 비교 평가하여 내화성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하는 경우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입량 증가에 따른 압축강도의 감소는 미미하였다. 분말형 견운모를 혼입하면, 열전도율이 감소하며, 600°C, 900°C, 1,200°C에 소성된 모르타르 시험체의 잔존강도가 플레인 모르타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볼 때, 분말형 견운모는 시멘트 복합체용 내화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존재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Powder type sericite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in the area of chemistry and mineralogy in terms of waste recycling. It is a material that can be obtained relatively inexpensively with a low thermal conductivity like general mica, so in order to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ortar, powder type sericite was used in this work. Compressive strengths of mortar before and after high temperature exposure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o determine the fire resistance of mortar with powder type sericit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when powder type sericite was replaced with cement, but the de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powder type sericite was insignificant. When powder type sericite was incorporated, the thermal conductivity decreased, and the residual strengths of the mortar specimens which were heat treated at 600°C, 900°C, and 1,200°C were higher than that of plain mortar. From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owder type sericite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refractory material for cement composites.

      • KCI등재

        新羅古墳出土雲母의 性格

        김은경 한국고고학회 2010 한국고고학보 Vol.77 No.-

        This study considered the mica having been regarded as a sort of a panacea and tried to review its significance in ancient tombs in the three period kingdoms when being buried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This study focused on Silla ancient tombs excavated articles in a wide variety. The mica excavated at Silla ancient tombs is mostly processed goods ‘produced in a fixed form with a fixed purpose’. Generally mica in Yuyeop ( ) type and Malgak inverted triangle (抹角逆三角) type is transforming into Simyeop (心 ) type mica. The fact that there is not so much difference of processing technique according to each form seems to originate from the role of mica as an accessory in the same manufacturing environment. Though excavated at the same ancient tombs, mica is classified into various groups by size and the association phenomenon is identified among mica with almost same form and size. Usually 2~5 pieces forms a set. The mica excavated at ancient tombs is a ritual accessory added with Taoism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ompany relics and is buried in the form of ‘mica accessory’or ‘mica ornament’. The mica ornament kind shows the social status of the buried according to the pattern and is buried in ancient tombs even with relatively low rank. It is a mounted prestige goods as being buried in place of golden and silver prestige goods, but it is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prestige goods possessed relatively widely. The mica excavated at Silla ancient tombs shows the most abundant cas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earliest case is excavated goods at Hwango-ri No. 14, 1st and 2nd coffin. It suggests that in Gyeongju region, mica burial equipped with somehow system was carried out in early 5th century and as time passed by, burial expanded from large-size red-wooden coffin ancient tombs to mid- and small-size ancient tombs. The excavated mica suggests that mica accessories and ornaments were used for golden and silver accessories or attached to accessories. The period of 6th century and the case of mica burial is gradually reduced. In Gyeongju region, the aspect of burial similar to stage early 5th century is continued and even buried in part in stone ancient tombs. However Houchong (壺 塚) was the end and no more mica was buried in Gyeongju region at around middle of 6th century. Therefore the appearance of mica excavat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can be traced to the period from before and after the Christian era to middle and end of 6th century. It is judged that the reason mica burial is reduced is originated from the change of tomb system to horizon entrance style stone-chamber (橫口)style and horizontal-digging stone-chamber tomb (橫穴) style and the change of concept on burial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t is estimated, however, through the flower pattern mica ornament excavated in Wangheungsaji (王興寺址) in Buyeo that even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mica ornament was used continuously. It is, however, very likely to be used as a mere ornament as the meaning changes from relics related with the existing Taoist hermit thought.

      • KCI등재

        《합병자학집운(合倂字學集韻)》과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운모체계(韻母體系) 대조 고찰

        홍현지 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語文學誌 Vol.0 No.59

        本文對《合倂字學集韻》與《飜譯朴通事》之韻母系統進行對照分析,從中發掘相互間的韻母系統之變化特點。《飜譯朴通事》與《合倂字學集韻》各成書於1517年和1606年。《飜譯朴通事》的左音反映15世紀的官話,而右音反映16世紀通行於北京一帶的官話。隨着永樂北遷大量南京官民移入北京,官話也隨之移植到北京,與北京原居民的土話相交融,16世紀已成北京話的一部分。《合倂字學集韻》反映17世紀的北京話。 通過對《飜譯朴通事》與《合倂字學集韻》之韻母系統進行對照分析,發現三種明顯的變化特點,其特點如下: 第一,喉塞韻尾失落而變爲開韻尾。中古入聲字在《飜譯朴通事》的左音都帶有韻尾“ㆆ”或“ㅸ”,而右音沒有韻尾。但?幷不一定意味着喉塞韻尾的脫落,因爲右音以國俗撰字之法注音,朝鮮文里基本不使用“ㆆ”, “ㅸ”韻尾。但?又不一定意味着右音所描寫的音仍有喉塞韻尾,因爲有的入聲字失落了喉塞韻尾,元音也變了。如,“宅”之左音爲“□”,右音爲“재”;“則”之左音爲“□”,右音爲“저”。以後入聲字在《合倂字學集韻》都歸爲陰聲韻里,?意味着中古入聲字完全變爲開韻尾。 第二,中古開口細音的知照系字變爲洪音。開口細音的知照系字,由於其元音推移到和聲母相同的發音部位上來,從細音轉變爲洪音。如,“少”在左右音標爲“□/ㅤ?”,而《合倂字學集韻》歸爲開口二等; “車”在左右音標爲“ㅕ”,而《合倂字學集韻》歸爲開口二等。 第三,中古開口的微母字變爲合口字。微母喪失其輔音性質而變爲元音[u],《飜譯朴通事》的右音中已有此變化,《合倂字學集韻》中被置於合口一等之下。如,“襪”左音爲“□”而右音爲“와”,“網望”左音爲“□” 而右音爲“왕” , 《合倂字學集韻》中?們都歸爲合口一等。

      • KCI등재

        中古 漢語의 音韻(2)

        平山久雄,이준환 구결학회 2013 구결연구 Vol.31 No.-

        이 글은 中古 漢語의 음가 추정 방법, 실례, 한계를 중심으로 中古 漢語의 音價가 어떻게 재구될 수 있는지를 보이고, 이렇게 재구된 中古 漢語가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었는지를 다룬 것으로 「中古 漢語의 音韻(1)」에 이어 平山久雄의 「中古漢語の音韻」의 후반부를, 원저자의 요청을 반영하여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된 내용을 담아 번역한 것이다. 음가 추정에 관해서 말하자면, 聲母의 음가는 36字母를 『廣韻』의 反切에 맞도록 약간 수정을 한 후에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全淸의 聲母는 無聲無氣音으로, 次淸의 聲母는 無聲有氣音으로, 全濁의 聲母는 有聲音으로 음가를 추정하였다. 牙音의 聲母를 가지고 예를 들자면, 見母 k-, 溪母 kʰ-, 群母 g-로 추정하였는데, 다른 聲母의 음가 추정에도 이와 같은 방법을 마찬가지로 사용한다. 韻母의 음가는 『韻鏡』의 韻圖에 배당된 위치에 따라 제시하고 있는데, 칼그렌에서는齊․先․蕭․靑․添韻을 拗音으로 추정한 것과는 달리, 1․2등에 배치된 韻母와 동일하게 直音의 反切上字를 취하는 것이 원칙임을 중시하여 直音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重紐에 따른 韻母의 대립이 支․脂․祭․眞․仙․宵․侵․鹽韻의 脣․牙喉音 聲母의 아래에서 있음을 인정하고, 韻圖의 4등에 배열된 韻母 또는 小韻을 <A류>(또는 <甲類>), 韻圖의 3등에 배열된 韻母 또는 小韻을 <B 류>(또는 <乙類>)라고 하였다. 重紐를 인정하는 데에는 越南漢字音의 脣音 聲母의 양상, 日本 萬葉假名에서의 イ列 甲類와 乙類에서의 A류와 B류의 구별,福州 방언, 廣州 방언 등의 현대 중국 방언 등의 양상을 근거로 들고 있다. 聲調의 調値에 관해서는 현대 여러 방언을 참고하여 서로 가까운 방언의 調値를 비교하여 그들의 <小祖語>의 調値를 추정하고, 그들 <小祖語> 調値의 비교로부터다시금 <祖語>의 調値를 추정하는 방법을 쓸 수 있음과, 외국 借音 자료 등을이용한 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렇게 재구된 中古音의 음운 체계는 唐代에 변화를 하기 시작하여 唐代 중기에는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韻母의 변화로는 東1․冬韻, 咍․灰․泰韻,覃․談韻 등의 1등 重韻의 합류, 止攝 支․脂․之 3韻의 합류 등이 있으며, 聲母의 변화로는 脣輕音의 독립 등이 있음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音價의 변화로는 全濁音의 無聲化와 이로 인한 無氣音化와 有氣音化가 있고, 鼻音 聲母의非鼻音化가 있음을 들고 있는데, 음성 변화의 양상에 주목하면서 음운 변화를다루고 있다. 聲調의 변화로는 陰陽調의 분열이 있었음을 서술하고 있다. 이와같은 음운 체계의 변화의 원인으로는, 변화 사이의 상호관련성, 기층 언어의 침투 등을 들고 있다. 이 중 변화 사이의 상호관련성에 대해서는 輕脣音의 독립이韻母의 C류>B류의 변화에 수반하며, 輕脣音이 독립할 수 있는 조건 아래에서 C 류>B류의 韻母 변화가 脣音의 경우에만 쉽게 일어난다든지, 陰陽調의 발달은全濁音 聲母의 無聲音化의 경향에 수반하는 것이며, 반대로 이에 따라 無聲音化가 촉진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