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權近의 五經 인식 - 經學과 經世論의 연결을 중심으로 -

        姜文植(Kang, Moon-shi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8 泰東古典硏究 Vol.24 No.-

        Kwon Geun(權近) defin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lassics(五經) and the relations of them based on the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體用論). In the Theory of Essence and Function, Function(用) has the practical character because it means the realization of basic principles of human society based on the law of nature. Kwon Geun paid attention to the side of Function(用) in the Five Classics. It means that Kwon Geun regarded the Five Classics as the texts for the theory of governance(經世論). As a result, Kwon Geun s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經學) connected closely with the theory of governance.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天人合一論) was not only the most important theory of Kwon Geun s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 but also the theoretical basis for his theory of governance. The key principle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the embodiment of the human morality coincided with the law of nature had the meaning of the realization of ideal administration and society, so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could be the most positive theory of governance. In the Five Classics Kwon Geun searched for the cases of embodiment of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which could be political models for the future generations. And he carried out research on those cases, established his own theory of governance. The results of his research were the O-Gyeong Cheongyeon-rok(五經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Five Classics). Kwon Geun stated his principles of governance in Juyeok Cheon-gyeonrok(周易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Change), and described the ideal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establishment and practice of Li(禮) in Yaegi Cheon-gyeonrok(禮記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Rites). He also demonstrated the historical validity of his theory of governance in Si Cheon-gyeonrok(詩 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Poetry), Seo Cheon-gyeonrok(書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the Book of Documents) and ChunChu Cheon-gyeonrok(春秋淺見錄/ Brief Annotation on Spring and Autumn Annals) by showing the cases of realizing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beings which were happened in ancient China. 권근(權近)은 체용론(體用論)에 입각하여 오경(五經) 간의 관계및 각 경서의 근본 성격을 규정하였다. 체용론에서 ‘용(用)’은 천리 (天理)에 기초한 인간 사회의 근본 원리·원칙을 현실에 맞게 구현 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경세적·실천적 성격을 갖는다. 권근이 오경의 내용에서 ‘용’의 측면에 주목했다는 것은 그가 오경을 인간 사회의 근본 원리·원칙뿐만 아니라 그것을 현실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경세적·실천적 방법도 포괄하고 있는 경세론(經世論)의 텍스트로 이해했음을 보여준다. 그 결과 권근의 경학(經學)은 경세론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권근의 천인합일론(天人合一論)은 그의 경학 체계를 일관하는 핵심 이론일 뿐만 아니라 경세론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천인합일 론의 기본 원칙인 ‘천도(天道)에 부합하는 인도(人道)의 실천’은 곧‘이상적인 정치·사회의 구현’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따라서 천인 합일론은 가장 적극적인 경세의 이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권근은 경서의 내용 중에서 현실 정치의 귀감으로 삼을 만한 천인합일의 원칙과 사례들을 발견하고, 이를 연구하여 자신의 경세론을 정립하 였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오경천견록(五經淺見錄)》이다. 권근은 <오경체용합일지도(五經體用合一之道)>에서 규정한 오경의 체용 관계에 기초하여 각 《천견록》별로 특징 있게 자신의 경세론을 서술하였다. 《주역천견록(周易淺見錄)》에서는 천인합일론에 기초한 경세의 원리·원칙을 피력하였고, 《예기천견록(禮記淺見 錄)》에서는 천인합일의 원칙이 구현된 이상 사회의 모습을 ‘예(禮) 의 확립과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그리고 《시천견록 (詩淺見錄)》․《서천견록(書淺見錄)》․《춘추천견록(春秋淺見錄)》에 서는 중국 고대 역사에서 나타난 천인합일의 실현 사례들을 보여 줌으로써 자신이 추구한 경세론이 역사적 정당성을 갖는 것임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黙)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琴章泰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泰東古典硏究 Vol.27 No.-

        <요약> 김평묵(重菴 金平黙, 1819~1891)은 이항로(華西 李恒老)의 제자로서 19세기 후반 조선왕조 말기의 변혁하는 시대를 살면서 조선시대 주자학의 전통을 수호하였던 보수적 유학자이다. 그는 경학연구에 관심을 집중하였던 것도 아니고, 경세론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던 것도 아니다. 그러나 그의 사상체계는 경전을 떠나서는 심성론과 수양론이나 의리론과 경세론이 성립할 수 없다는 유교의 기본전제 위에 수립된 것이다. 김평묵의 경세론은 《대학》에서 ‘명명덕(明明德)’의 심성론이 ‘신민(新民)’의 경세론으로 확장되는 질서를 전제로 한다. 그러나 그는 유교전통이 붕괴하는 역사적 변동기를 살면서, 불변의 기준으로서 ‘상(常)’에 대비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는 ‘권(權)’을 제시함으로써 급변하는 시대의 대응논리를 찾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평묵은 여전히 중국중심의 ‘중화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의리도 배타적 저항논리에 사로잡혀 사회변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논리를 찾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었던 것이 사실이다. Kim Pyeongmuk, a Lee Hang Ro's disciple, is a conservative Confucianist who observed Zhu Xi`s Thought in Late Chosun dynasty. He didn't focused on classical studies, nor left an academic legacy of governance theory. But his system of thought is based on basic premise : human nature theory, self-cultivation theory, righteousness theory, and governance theory are not comprisable without classics. Governance theory of Kim Pyeongmuk is on the assumption that míngmíngdé明明德's human nature theory is extended to Xīnmín新民's governance theory in the Great Learning. But by showing the quán權 that copes with situations in contrast to 常cháng-constant standard, he was searching for correspondence theory to that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Nevertheless, Kim Pyeongmuk didn't break away from Joongwha Ideology and was captured by the Ideology of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Because of these limits of him, he coundn't find the theory that leading social change.

      • KCI등재

        17세기 사상계의 율곡 경세론 수용과 전개

        이경동 ( Lee Kyung Do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본 논문은 17세기 사상계에서 율곡 경세론이 수용된 양상과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율곡은 당대 경세론을 주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후 정치적 요인에 의해 부정적으로 평가되거나 조정에서 거의 언급되지 못하였다. 율곡의 위상이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인조반정 이후였다. ‘文成’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율곡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기 시작하였다. 율곡의 위상 변화와 함께 경세론도 국정운영 과정에서 다루어 졌다. 율곡학파 계열은 정계에서 주도권을 바탕으로 사회경제정책의 많은 부분에서 율곡의 경세론을 제시하였다. 대동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는 점차 대동법의 취지가 율곡의 공납제 개혁안의 연장선상에 있었다는 논리로 정립되어 갔고, 종모법은 율곡이 제시했다는 점에서 송시열 등에 의해 정책 추진 근거로 제시되었다. 율곡 경세론은 당대 지식인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수용되어 갔다. 이유태의 「기해봉사」나 유계의 「강거문답」은 율곡이 제시했던 경세책의 구조를 모방하여 구현되었다. 이들은 율곡학파 계열임과 동시에 율곡 경세책에 대한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며 경세책의 이론적의 이론적 토대로 율곡의 견해를 채택했다. 유형원은 북인계-남인 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반계수록』을 통해서 율곡 경세론을 적극적으로 인용하였다. 유형원은 군역, 관료제, 과거제, 군현제 등에서 율곡 경세론을 기반으로 자신의 논리를 전개하였다. 공전제를 기초로 한 사회개혁안을 전개하며 노비제 혁파 등 율곡이 구상하지 않았던 분야에까지 이상사회 구현을 위한 견해를 제시하면서 율곡 경세론의 수용과 발전 양상을 보여주었다. 17세기 사상계에서 율곡의 경세론은 율곡학파 뿐만 아니라 비 율곡학파에 이르기까지 점차 외연이 확대되었으며, 사회경제정책과 경세론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purports to analyz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Yulgok's statecraft theory accepted in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Yulgok's status began to be established in 1623. Along with the change in Yulgok's status, the statecraft was actively dealt with throughout society. As the rationale for reform, the figures who belonged to the Yulgok School promoted socio-economic policies and presented Yulgok's theory of statecraft as a theoretical basis. Yulgok's statecraft was presented as the basis for policy promotion in reforming the tax system or the class system. Yulgok's statecraft theory was referenced in the statecraft theories of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 various ways. Those in the Yulgok school, such as Yu Gye and Lee Yootae wrote books about the statecraft theory by imitating the structure of the statecraft theory presented by Yulgok. Despite the fact that Yu Hyeoungwon had no academic succession relationship with Yulgok, Yu Hyeoungwon developed his logic based on Yulgok's statecraft theory in the military, bureaucracy, education, and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n the 17th century ideology, Yulgok's statecraft theory gradually expanded to the Yulgok school and intellectuals who were not related to the Yulgok school.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ocio-economic policy and the statecraft theory argued.

      • KCI등재

        俛宇 郭鍾錫의 經世論에 대한 일고찰- 본성론과 제도론의 관계에 유의하여 -

        윤석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3 남명학연구 Vol.79 No.-

        본고는 제도에 대한 인식이 원시 유학에서부터 하나의 고유한 경세적 논점으로 자리했으며, 성리학 이후로는 이것이 존재론과 본성론에 선택적으로 결속될 수 있음을 전제한다. 그리고 그 사례로서 면우 곽종석을 설정하고, 그의 본성론이 제도론과 접속한 논리적 구조, 나아가 이를 저변으로 하여 제시된 그의 경세론을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두었다. 면우의 본성론은 퇴계로부터 연원하는 이원론적․주리적 사유에 근원하되, 그러한 기조가 가일층한 것이다. 이는 스승인 한주 이진상의 본성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것이기도 한데, 본연지성의 주재성을 강조하는 기조 하에서도, 한편으로 기질지성의 존재를 인정했고 또한 한편으로는 리의 주재성을 실천적 국면으로까지 확장시켰던 것이다. 특히 그는 리의 역할과 의미를 인간 개인에서부터 정치의 차원으로 확장했다. 먼저 통치에 있어 政[=法]이 필수적이며, 법이 덕에 우선하지는 않으나 적어도 양자가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가 이상적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그는 시의에 상응한 제도의 변화를 인정하되, 이때에도 천리로서의 당연을 견지해야 함을 주장했다. 이와 같은 경세론 하에서 현실을 면밀하게 분석 및 비판하고, 시폐를 타개할 방안을 제시했다. 그 주요한 내용과 특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겠는데, 첫째는 경세의 근본으로서의 수기와 교육, 둘째는 균부와 보국, 셋째는 고제에 근거하고 시의를 참작한 제도 개혁안의 설계 방식이다. 이처럼 그는 본질적이면서도 탄력적인 경세론 하에서 고제의 요체와 취지를 견지하되 이를 구현할 시의성 있는 방식을 다수 제시했다. 그리고 그 가운데 수취제도․둔전확대․산업진작을 제외한 대다수는 1904년 연초에 선포된 고종의 조칙에 반영되었다. 면우는 ‘理’의 보편성을 연결고리로 하여 본성론과 경세론을 제도적으로 일관했다는, 또한 현실의 강고한 제약 하에서도 그 제도가 가진 고제적 이치가 드러날 지점과 방식을 구체적으로 고민하고 제안했다는 점에서 분명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그와 본성론을 상당 부분 공유했으되 제도의 개선․개혁보다는 덕성의 회복․함양에 치중한 경세론을 피력했던 사례를 감안할 때, 면우의 이러한 경세론이 특정한 본성론 하에서 자연적․필연적으로 발출하는 것이 아님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본다면 면우의 경세론과 그 방안은 제도에 대한 인식이 유교 경세론의 고유한 논점이라는 것, 그것이 성리학을 경과하며 본성론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때에 양자가 논리적 친연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예증한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 결과는 그간 경세론의 사유 구조를 인간 중심의 철학적 논점과 논리에 배속시켰던 설명에 대한 재점검을 요구하는 의미도 지닌다. 말하자면 인간에 중점이 두어졌던 성리학 연구의 논점을 사회나 국가, 시간과 공간 등의 차원으로 확대해야 할, 그러한 가운데에서 경세학의 고유한 논점을 보다 다채롭게 발견해야 할 필요성을 던져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차후의 과제로 삼겠다. This paper analyzes Myeonwu Gwak Jongseok`s theory of Governance, aiming to reveal the process of his theory of Human Nature selectively connecting with institutional theory and to clarify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his reform plan under such a social philosophical basis. Myeonwu's theory of Human Nature was a further deepening of Toegye’s Theory of Li, and it was also a critical succession of Hanju Lee Jin-sang's theory of Human Nature. In particular, he linked his theory of Human Nature to his theory of institutions. There were two characteristics, one was that the institution did not take precedence over virtue, but at least the two must be closely combined. The other was that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institution was regarded as li granted from heaven[天理], and the institution must be changed to suit reality, but even in such cases, the essence of the system must be maintained. He proposed a number of reform measures based on his theory of Governance. These were methods that could be implemented in reality while maintaining the essence and purpose of the Old Law[古制]. This aspect can be said to be the influence of his essential and resilient economic theory. In addition, King Gojong selected what he thought was urgent or necessary among the systems proposed by Myeonwoo, and encouraged bureaucrats to implement them. In this way, Myeon-wu's theory of Governance was bound to his theory Human Nature in terms of institutional reform, with the universality of Li(理) as a link. And even under the strong constraints of reality, he specifically considered and proposed a way to achieve the original ideology and purpose of the institution. In addition, his case also means that institution has been a unique issue of economic theory since Confucianism, and that it could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stage of Neo-Confucianism.

      • KCI등재후보

        高峯 奇大升과 栗谷 李珥의 經世論 비교

        李東熙 영남퇴계학연구원 2012 퇴계학논집 Vol.- No.11

        이 논문은 고봉 기대승과 율곡 이이의 경세론을 비교하는 데 있다. 두 사람은 약 10년의 나이 차이이나 같은 시대 조정에서 활약한 사람이고, 철학사상에서는 상호 공감대가 있었던 사람이다. 또 경세론에서도 조선 초기 정암 조광조의 道學的 경세사상을 다함께 지지한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시대인식이나 인물 평가에서는 서로 의견을 달리하였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비교는 의의가 있다. 고봉의 경세론은 조선 초기 도학사상을 계승한 ‘도학적 경세론’의 한 전형이라면, 율곡의 그것은 체계성, 광범위 성, 적극성에 있어서 고봉 보다 진전된 ‘개혁적 경세론’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학가재 이주 철학의 연구

        이유진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9 No.-

        이 논문은 17세기 조선의 선비 이주(1599 선조32~1669 현종10. 字: 愼彦. 號: 學稼齋)의 철학에 관한 연구이다.이주의 수양론은 객관 법칙[理] 보다는 수양 주체[心]의 주체성을 강조한다. 이주는 욕정없는 마음을 가져야 ‘理’를 따를 수 있다고 하였다. 수양 주체로서의 心의 강조는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과 부딪치면서 心에 침잠하는 소극적이며 은둔적인 경향과 표리관계를 이룬다. 이주는 스승이 제사에서 짐승의 내장을 제물로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논한다. 이는 전란의 후유증 속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을 조선 사회를 감안하면서, 선비의 검소한 행례를 주장한 先師의 학설을 정당화한 것으로 보인다.이주의 경세론은 유가 전통의 경세론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주는 농업이 효의 실천과 연관되어야함을 강조한다. 경세론에 있어서 이주는 현명함과 성실함을 강조한다. 이는 마음을 다스리는 것을 강조하는 것과 동일하지 않다. 이주는 인민의 교화를 강조한다. 이 또한 마음을 다스리는 것을 강조하는 것과 동일하지 않다. 이주는 주자학적 지배이념이 점점 더 고착화하는 시기에 살았다. 그러면서도 이단들의 관용구를 자신의 글 속에 자연스럽게 인용하고, 이단에 속한 사람들과 許交할 수 있을 것 같은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Lee Joo(李糸宙)’s Pilosophy. He is a scholar(선비) of the 17th century Chosun dynasty. In his Doctrin of Self Cultivation(修養論), h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ind(心). he don'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inciple(理). he has some flexibility in practice of Li(禮). In the category of his philosophy of politics(經世論), he explains that The objective of agriculture is practice of filial piety(孝). In his philosophy of politics, control of mind(心) don't agree with Doctrin of Self Cultivation(修養論). especially Doctrin of King's Self Cultivation(君主修養論), h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incerity, wisdom and Influence toward people. His tolaration of Heresy(異端寬容) distinguishes with another Confucian scholar(선비) of the 17th century Chosun dynasty.

      • KCI등재

        김종직 경학사상의 성리학적 경향과 경세론

        엄연석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6 泰東古典硏究 Vol.37 No.-

        본 논문에서는 『소학』을 통한 유학의 도덕적 실천적 측면을 강조했던 김종직이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성리학적 측면에서의 경학사상적 근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그의 경학사상에 기초한 경세론이 어떻게 일관성 있게 관철되고 있는가 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 가운데 특히 김종직의 경학사상에 성리학적 요소와 실천 유학적 요소가 어떻게 중첩되어 있는가 하는 점에 유의하고자 하였다. 김종직의 성리학을 중심으로 하는 경학적 태도는 성리학의 중심 개념으로 태극과 리를 강조하거나, 우주론적 변화법칙을 포함하고 있는 『주역』에 주목하거나, 본성과 마음의 수양을 중시하는 부분에서 드러나고 있다. 그는 인심이 유희와 온갖 감각적인 욕망에 이끌리는 것을 경계하면서 공자가 말한 시청언동의 사물(四勿)과 맹자의 마음을 보존함, 방기한 마음을 찾음[求放心]을 수양의 기준으로 강조하면서, 경(敬)과 존양성찰(存養省察)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적 수양을 강조하였다. 김종직에 있어서 『소학』은 성리학에서 중시하는 마음의 본원을 함양하는 기본서로서의 의미가 강조되면서도, 실천을 위한 규범적 표준 제시와 함께 오륜의 국가 사회적 실현을 목표로 하는 저술이라는 의미가 있다. 그의 경학적 인식에는 마음의 함양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의 수양론적 색채가 짙게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김종직의 학문은 유가 경전과 성리학적 경학에 근거를 두고 있으면서도, 이를 『소학』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적 실천과 정치적 교화를 목표로 하는 경세론을 일관된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essay tries to examine how Kim, Jongjik[金宗直] who emphasized moral practice of Confucianism through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concretely suggested the basis of Neo-Confucianism for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for the purpose of practice of it. Further aim of this essay is to propose how administration theory based on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s composed with consistency. Among these critical minds especially writer gives attention to the fact how Neo-Confucian factor and practical Confucian element are duplicated in Kim, Jongjik's thought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On the Kim, Jongjik's attitude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oriented Neo-Confucianism, emphasis of the Great Ultimate[太極] as the core concept of Neo-Confucianism,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and valuation of the cultivation of human nature and mind is contained. While alerting that one is tempted to sensuous desire, he emphasized Neo-Confucian cultivation focused reverence and self-cultivation and reflective consciousness[存養省察] underlining Confucius' four prohibition of seeing, hearing, speaking, and behavior, mind conservation[存心] and seeking for the lost mind of Mencius as standard of self-discipline. In case of Kim, Jongjik, the Elementary Learning has the meaning as the basis book through which one cultivates the origin of mind. And it is the work which aims at national social realization of Five Relationships[五倫] in Confucianism alongside suggestion of normative standard for practice. In brief, Kim, Jongjik's thought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be richly tinged with the self-cultivational color of Neo-Confucianism oriented cultivation of mind. Whereas in the administration theory he suggested appointment of wise and competent people, acquisition and edification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ogether with loyalty and sincerity, communication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through remonstrance, and strict monitoring of local political affairs etc. as Confucian standard for ideal governance. Look at it this way, on the one hand Kim, Jongjik's study is founded on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Neo-Confucian study of Chinese classics, on the other his learning is that moral practice centered the Elementary Learning and administration theory for political enlightenment constitute the consistent system.

      • KCI등재

        王夫之 四書學의 특징과 淸代 實學으로의 전환

        진성수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90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Wang Fuzhi(王夫之)’s Sishuxue(四書學) was created and has transitioned to Shixue(實學) in the Qing Dynasty. With this goal in mind, the study examines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Wang Fuzhi's Shixue and Bentilun(本體論) and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Jingshilun(經世論) and self-discipline.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Wang Fuzhi, a scholar who succeeds from the Ming Dynasty, has a clear purpose. Therefore, his Jingshilun(經世論) is rooted in strong ethnic awareness and has a yearning for building a new nation through studies that has practical contribution to the society (經世致用). Wang Fuzhi felt strong need for a new worldview and completed Qi-monism(氣一元論) by succeeding Zhang Zai’s Qi philosophy(氣哲學). Based on Qi-monism, Wang Fuzhi criticized theories of Song Ming Lixue(宋明理學), Taoism, and Buddhism and attempted to unify ‘Moral(道德) and Jingshi(經世),’ which was age-old unresolved issue of Confucianism. In this process, Wang Fuzhi criticized "existent but immovable universe," the main theory of the Cheng Zhu Lixue(程朱學) and presented a new world view that believes in the "moving universe body". Based on this, Wang Fuzhi completed the new methodology of classical learning(經學) and self-discipline that emphasized actual practice rather than knowledge. The critical mind of Wang Fuzhi, which started from with an aim to reform the reality, eventually developed into Jingshilun(經世論) and self-discipline that emphasized people’s active practice after going through series of criticism of Song-Ming Lixue(宋明理學). From this point of view, Wang Fuzhi's Sishuxue can be argued to be a turning point in the transition to the Shixue of the Qing Dynasty which has heavy emphasis on practicality. 본 연구에서는 왕부지 四書學의 형성과정과 淸代 實學으로의 전환과정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왕부지 經學과 本體論의 내재적 연관성을 살펴보고, 經世論 및 修養論의 성격을 검토하였다. 明朝의 遺臣이었던 왕부지의 철학사상은 大義名分的 성격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그의 경세론은 강한 민족의식에 기초하고 있으며, 經世致用을 통해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겠다는 염원이 담겨있다. 이에 왕부지는 새로운 세계관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張載의 氣哲學을 계승하여 氣一元論을 완성했다. 기일원론을 토대로 왕부지는 宋明理學과 老佛을 비판하고, 儒學의 오래된 과제였던 ‘道德과 經世’의 合一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왕부지는 ‘존재하지만 움직이지 않는 우주’라는 程朱學의 본체론을 비판하고, ‘움직이는 우주 본체’라는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왕부지는 지식보다 실천을 강조한 새로운 경학방법론과 수양론을 완성하였다. 현실개혁에서 출발한 왕부지의 비판의식은 결국 宋明理學에 대한 비판을 거쳐 인간의 능동적 실천을 강조하는 경세론과 수양론으로 발전하였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왕부지의 四書學은 실용성을 강조한 청대 실학으로의 전환기 사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霞谷 鄭齊斗의 경세론

        정태섭 한국중앙사학회 2008 중앙사론 Vol.28 No.-

        This dissertation is concentrated on one of the primary characteristics of Jingshilun(經世論) of ChungJeDoo(鄭齊斗). The Jingshilun(經世論) of ChungJeDoo(鄭齊斗)is very radical and unique idea. This research has confirmed that its radicality and uniqueness are similar to The School of YANLIXUEPAI(顔李學派)of China. The text of CHAROK(「箚錄」) which carries Jingshilun(經世論) of ChungJeDoo(鄭齊斗)is incomplete as a historical material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and evaluate it as well. However, all reference to evaluation of YANLIXUEPAI(顔李學派) will contribute to solve difficulty of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about the text of CHAROK.

      • KCI등재

        東岡 金宇顒의 현실인식과 經世論

        이경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9 嶺南學 Vol.0 No.70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statecraft ideas of Kim Woo-ong, who was a representative scholar-official in the 16th century, so as to assess its historical meaning. Kim Woo-ong suggested the implementation of a timely reform to king Seon-jo, referring certain terms as ‘Reformation(更張/更新)’. However, Kim Woo-ong’s statecraft ideas emphasized King to self-cultivate his own virtue, as to edify and benefit the bureaucrats and the people. To reform the government system, Kim Woo-ong introduced certain ideas, such as recommendations of officials and reform of the local systems, in an attempt to induce a minister-led government system. For the people’s welfare, Kim Woo-ong tried to reform the draft system. He suggested to replace the excessive military service personnels by hiring substitutes. Kim Woo-ong emphasized the reform of public schools, such as Sungkyunkwan and Hyanggyo, seeking to arrange an appropriate training system of officials. In relation to Hyang-yak, Kim Woo-ong emphasized more on the attitude and self cultivation than on the system reform. Kim Woo-ong’s statecraft ideas can be compared to those of Yi Yi. While there are certain similarities between 2, over reform plans of draft system, education and Hyangyak, there is also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m. While Yi Yi weighed more on institutional reform, Kim Woo-ong emphasized more on self culti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ssess Kim Woo-ong as a reformist who suggested a thorough social reform, based on close observation and awareness of social status then. 이 연구는 16세기 영남지역의 대표적인 학자-관료였던 동강 김우옹의 경세론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시대적 의미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김우옹은 ‘更張’․‘更新’이라는 용어를 통해 선조에게 時宜에 입각한 변통론을 제시했다. 김우옹의 경세론은 ‘先修己-後治人’을 바탕으로 군주의 修身에 입각하여 관료와 백성에게까지 파급되는 구조를 띠었다. 정치체제로는 대신이 주도하는 국정운영을 지향하면서 천거제, 지방제도 개편안 등을 제시하였다. 안민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는 軍政과 관련하여 실액에 부합한 군액 자원의 확보와 대립가포를 통한 선상제 운영을 통해 당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교민론과 관련하여 김우옹은 특히 관학 교육에 집중하여 성균관과 향교의 교관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료예비군을 양성하고자 했다. 향약에 있어서는 ‘先修己-後治人’의 입장에 따라 제도보다는 군주의 마음가짐을 강조하였다. 김우옹의 경세론은 선조초 관료로 활동했던 이이의 경세론과 비교할 수 있는데, 군정개혁안이나 선상제, 교육, 향약 등에서의 유사성이 나타나며 공안개정을 중심으로 제도적 방법에 중심을 두었던 이이와 달리 수기를 중시한 김우옹 경세론의 학문적 특성을 볼 수 있다. 김우옹을 단순히 경연관이나 성리학자로만 규정할 것이 아니라 16세기 후반에 관료로 활동하면서 시대현실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구상한 경세론을 제출한 인물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