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3 No.-
남명학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하여, 우리는 남명학의 대중성과 실천성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측면에서 남명의 합천 유적을 주목한 것이다. 합천지역의 주요 남명 유적은 12개소이다. 삼가면 5개소, 합천읍 2개소, 쌍책면 2개소, 가야·용주·대병면 각 1개소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삼가면은 남명의 탄생지이자 남명이 뇌룡정과 계부당을 지어놓고 강학을 하였던 곳이니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 유적에는 복원된 생가처럼 유적으로 남은 곳도 있고, 이영공유애비처럼 비의 형태로 남아 있는 곳도 있으며, 함벽루처럼 문학경관으로 남아 있는 곳도 있다. 남명 유적은 이처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남명의 합천 유적에는 남명학의 주요 부면들이 잘 드러나 있다. 탄생지에서는 위대한 학자의 등장에 대한 예감, 뇌룡정과 함벽루에서의 부동과 역동이라는 남명 자아의 역설구도, 부모 묘비에서의 과장되지 않는 효심, 황강정과 사미정에서의 진정성 있는 우정, 이영공유애비에 나타나는 관료와 백성의 이상적 관계, 「을묘사직소」에서의 비판적 현실인식 등이 그것이다. 합천지역 남명 유적에 대한 활용 방안으로는 뇌룡정에서의 神性 찾기 프로그램 개발, 합천의 내외적 연계망을 활용한 남명학 문화탐방 노선 개발, 함벽루를 중심으로 한 회통 문화의 재구성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로써 합천 공간을 중심으로 남명학의 핵심은 더욱 부각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t is inevitable to keep the popularity and practicability of Nammyung studies in mind in order to make a new breakthrough in the study of Nammyung studies. In this aspect, this study focused on Nammyung's relics in Hapcheon. There are 12 major relics of Nammyung in the Hapcheon area including five in Samga-myeon, two in Hapcheon-eup, two in Ssangchaek-myeon, and one in Gaya-, Yongju- and Daebyeong-myeon. Of these places, Samga-myeon deserves special attention as the birthplace of Nammyung and the place where he pursued study after building Noiryongjeong and Gyebudang. Some of the relics are in the form of restored house of his birth; others in the form of a monument like Iyeonggongyuaebi; and still others in the form of literary scenery like Hambyeokru. Nammyung's relics exist in very diverse forms. The major aspects of Nammyung studies are well revealed in his relics in Hapcheon. They include a prediction of a great scholar at his birthplace, the paradoxical structure of his ego between Budong and Yeokdong at Noiryongjeong and Hambyeokru, his unexaggerated love for his parents on their tombstones, his sincere friendship at Hwanggangjeong and Samijeong, ideal relations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people in Iyeonggongyuaebi, and his critical perception of the reality in Eulmyosajikso. Based on these,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utilization of his relics in Hapcheon: a program of finding divine nature at Noiryongjeong, a route to explore the culture of Nammyung studies based on Hapcheon's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Hoitong culture around Hambyeokru. These measures will help Nammyung studies based on space secure practicability as well as popularity.
德山洞府의 문화지리적 상상력- 「神明舍圖」와 ‘덕산 문화’의 상관성 -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This study presented an approach to Deoksandongbu in the aspect of cultural geography, being based on a hypothesis that Sinmyeongsado, which Nammyong published in Sancheongjae, was in a certain functional relation with Deoksandongbu. In the structural aspect, Ipdeokmun serves as a gate to a relationship. Open Deoksandongbu can be a state ruled by Taeiljingun. In the ideological aspect, the Confucian ideals of Yosunilwol meet the Taoist ideals of Mureungdowon. It is the same with the space of Deoksan, where there is Ipdeokmun at the boundary point based on Sinmyeongsado. Once passing through the narrow space called Deokcheonbyeori, the visitor is inside in the huge space. A unique culture was created in the structure of Gwang(廣)-Hyeop (狹)-Gwang(廣). In Deoksan, various stories related to Nammyong have been passed down. In those stories, he would enjoy a luxurious life in Deoksan, live with an unmarried woman that became a snake out of her love for him, give his friend a grave and have it returned after his death, or competed against Toigye in a Taoist magic contest. Those stories have been transmitted broadly among the people in Deoksan and formed an oral culture with a different aspect from the correlations between Sinmyeongsado and Deoksandongbu. The people focused on interest in those Nammyong stories. 본고는 德山洞府를 문화지리학적 측면에서 접근한 것인 바, 남명이산천재에 게시했던 「신명사도」와 덕산동부가 일정한 함수관계에 놓인다는 가설에 기반한 것이다. 구조적 측면에서 입덕문은 口關 역할을하며, 확 트인 덕산동부는 태일진군이 다스리는 나라일 수 있다. 사상적측면에서는 堯舜日月의 유가적 이상과 武陵桃源의 도가적 이상이 상호맞물린다. 덕산 공간 역시 「신명사도」에 근거하여 그 경계지점에 입덕문이 놓이고, 덕천벼리라는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 안쪽에는 넓은 공간이 나타난다. 廣-狹-廣의 구조 속에서 독특한 문화가 생성되었던 것이다. 덕산에는 남명 관련 이야기가 언중에 의해 다양하게 전해지고 있다. 남명이 덕산에서 사치를 즐겼다, 자신을 사모하다가 구렁이가 된 처녀와 함께 살았다, 幽宅을 친구에게 주었다가 사후에 돌려받았다, 퇴계와 도술 시합을 벌여 이겼다는 등의 이야기가 대체로 그러한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주로 덕산 일대에 민중 사이에서 광범하게 전해지는 것으로, 「신명사도」와 덕산동부의 상관성과는 또 다른 측면의 구술문화를형성하였다. 민중들은 남명 이야기를 흥미 본위의 대항 담론으로 이끌어 간 것이라 하겠다.
하강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okseongnu’s pavilion(矗石樓) poetry an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erms of re-recognition of tradition and creative succession, identifying the total amount of poetry is the most critical.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consciousness of various themes reflected pavilion poetry.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 group,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the works ar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irst, there were 710 writers and 1028 works of 884 poem titles in Chokseongnu’s pavilion. This is tentative but it is the country’s largest size as a single pavilion to date. The largest number of the writers, over 49% of the total, were from Gyeongnam Province, and among them, about 87% were from western Gyeongnam Province, including Jinju. The biggest number of the writers were tourists, and many of the works were by officials involved in the governance of the city. Moreover, there were a number of writers with family members or colleagues who were writers. Second, approximately 87% of the total number of works, or about 893 poems, showed the time of creation. The number of works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133, which was a relatively small distribution. Approximately 33% of the works, or 335 poems, were created after 1900, which was the result of mass production of works by writers from Gyeongnam Province who were born after the late 19th century. Third, among Chokseognu poetry,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 number of seven-character poems, which accounted for 93%. Among them,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poems reached about 75%, indicating they were commonly enjoyed by many people. This was derived from the general creative tendency of rhyme-borrowing poems, which utilized the authority from the original works. Jeong Eulbo’s poem in the previous section served as the original work only until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period, 40% of the people borrowed rhymes from Shin Yuhan’s works, which proves it was a big trend. In addition, poetic dictions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sites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have been used customarily, which was clearly a different point from other palace-pavilion poems. Fourth, Chokseongnu poetry's themes could be divided into into four types: praise in the cultural landscape of Jinju, respons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will for national salvation, the memories and internal reflections of patriotic heroes, the real purpose of tourism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a trend of creation with a theme that calls on patriotic heroes to have internal reflections or to promote the spirit of strong loyalty. As a result, many poems highlighting only outstanding scenery have disappeared, and it served as an occasion to achieve the correct consciousness of the times through Chokseongu tourism or writing poems. In this context, anti-national entertain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strongly criticized using poems. I hope that this diachronic and positivistic study on Chokseongu’s pavilion will help not only enshrine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literature but als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world but also constitute various aspects of local literary history and further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본고는 촉석루 제영시의 역사적 전개와 작품의 내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시문의 총량 파악은 무엇보다 절실하며, 제영시에 반영된 다양한 주제 의식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방대한 문헌을 두루 뒤져 촉석루 제영시 전모를 가늠할 수 있었다. 이 집성 자료를 바탕으로 작가층의 성격, 작품의 형식과 내용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촉석루 제영시의 작가는 710명, 작품 수는 884제 1,028수에 달했다. 이는 잠정적이기는 하나 현재까지 전국의 단일 누정으로서는 최다 수준이다. 그리고 작가는 경남 출신이 가장 많아 전체 49%를 넘고, 그중에서도 진주를 비롯해 서부 경남 출신이 약 87%를 차지했다. 또 작가는 유람객이 제일 많고, 고을 통치와 관련된 관리들의 작품도 적지 않았다. 작가들 중에는 스승과 제자, 혈연관계가 있는 문인들이 많은 점도 특징이다. 둘째, 창작 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은 893수로 전체 약 87%에 달했다. 이중 임진왜란 이전의 작품은 133수로 비교적 적은 분포를 보였다. 작품의 약 33%인 335수가 1900년 이후에 창작되었는데, 이는 19세기 후반 이후로 출생한 경남지역 문인들의 작품이 대거 양산된 결과였다. 셋째, 촉석루 시 중 7언시가 93%로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7언율시가 약 75%에 달해 대표적인 양식으로 향유되었음을 알았다. 이는 원운의 권위를 활용하는 제영시의 일반적 창작 경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선편을 잡은 정을보의 시는 조선전기까지만 원운으로서 기능했다. 조선후기에는 신유한의 시를 차운한 이가 40%일 정도로 거대한 흐름을 이루었다. 또한 임란 사적과 유관한 시어가 관습적으로 활용되었는데, 이는 다른 누정시와 분명히 구별되는 지점이라 하겠다. 넷째, 촉석루 시의 주제는 진주의 문화경관에 대한 상찬, 임진왜란의 대응과 구국 의지, 순국 영웅의 기억과 내면 성찰, 유람의 진정성과 시대의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이후로는 순국 영웅을 호출해 내면을 성찰하거나 강개한 충의 정신을 주제로 내세우는 창작 경향이 지배했다. 이에 따라 빼어난 경관만을 부각하는 시는 자취를 거의 감추었고, 촉석루 유람이나 작시 행위를 올바른 시대의식을 체득하는 계기로 삼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제강점기의 반민족적 유람 풍조를 시를 통해 준열히 비판하기도 했다. 촉석루 제영시를 대상으로 진행한 통시적이고도 실증적인 본 연구가 누정문학의 특성을 구명함은 물론 지역문학사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나아가 한국문학사를 기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김세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2 남명학연구 Vol.74 No.-
거창 강동마을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에 자리한 마을이다. 정온(鄭蘊)의 출생지에 기원한 충신당 동계정온 고택이 전하고 강천재(薑川齋) 등의 문화재가 자리하여 유서 깊은 역사를 자랑한다. 강동마을은 조선시대 답사일번지로 평가되는 원학동(猿鶴洞)에 속하고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된 수승대(搜勝臺) 등이 자리하여 역사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역사문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와 관련한 정보는 제한적인 수준에 머무르는 실정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강동마을의 문화유적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강동마을 문화유적의 시문을 밝혀 역사기록을 정리할 것을 제안한다. 충신당 동계정온 고택 및 강천재 관련 기록을 통해 역사적 가치를 밝히고 그 의의를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원학동 일대 명승과 문화유적을 바탕으로 한 문화관광 자원의 활용이 요구된다. 조선시대 원학동 유람기를 바탕으로 일대 명가에 의해 경영된 주요 명승을 안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승대 명칭과 관련한 논쟁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수송대 명칭에 나름 의의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논쟁을 활용해 대중에게 알리는 계기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Confucian scholars in Hadong (河東)-gun, Gyeongnam (慶南) by century, the 15th century has one, the 16th century has two, the 17th century has 7, the 18th century has two, the 19th century has 16, and the early 20th century has one. The period that indicates the highest rate is the 19th century, and the next is the 17th century. In Gyeongnam area, Nammyeong (南冥) School that transmits Nammyeong Jo Sik’s studies has played the initiative roles. And we can see that Confucian scholars in Hadong area are produced proportionally to Nammyeong School’s rise and decline. About their distribution by area, Okjong-myeon has produced the most Confucian scholars, that is, 21 out of total 29. The next is Bukcheon-myeon as six, and Geumnam-myeon and Yangbo-myeon have produced one each. Among these, Confucian scholars from Angye-ri, Okjong-myeon are 11, so they are more than half of the Confucian scholars from Okjong-myeon. And they take up one third of the entire Confucian scholars from Hadong-gun. Based on the statistic data, we can establish that the center of Hadong Confucianism is Okjong-myeon, and in that area, Angye-ri has formed the core area. According to the aspects of formation of academic lines, Nammyeong School has 11, Hanju (寒洲) Affiliation has four, Nosa (蘆沙) Affiliation has five, Seongho (星湖) Affiliation has three, Wooam (尤庵) Affiliation has one, Hwaseo (華西) Affiliation has one, and the rest are six. Thu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chools in Hadong-gun, Nammyeong School and Namin lines occupy the majority, and the next highest are literary men of Nosa Affiliation. About the transmission of Nammyeong studies in Hadong area, we can come up with the fact that Jinyanghassi Sajikgongpa (晉陽河氏 司直公派) scholars from Angye Village did transmit it by family learning. And we can also point out that scholars like Ha Dal-hong, Jeong Woo-bin, Jo Seong-ga, Choi Sook-min, Gang Byeong-ju, or Jeong Don-gyun did respect and emulate Nammyeong and tried to practice it even though they were from different academic lines or factions. 경남 하동 지역 유학자의 세기별 분포는 15세기 1명, 16세기 2명, 17세기 7명, 18세기 2명, 19세기 16명, 20세기 초 1명이다. 가장 비율이 높은 시기가 19세기이며, 그 다음이 17세기이다. 경남 지역은 南冥 曺植의 학문을 계승한 南冥學派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남명학파의 성쇠에 따라 하동 지역의 유학자도 비례하여 산출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구역별 분포는 총 29명의 유학자 가운데 옥종면이 21명으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북천면이 6명, 금남면과 양보면이 각각 1명이다. 이 가운데 옥종면 안계리 출신의 유학자가 11명으로, 옥종면 유학자의 절반이 넘는 비율을 차지하며, 전체 하동군 유학자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이러한 통계를 근거해 볼 때, 하동 유학의 중심지는 옥종면이며, 그 중에서도 안계리가 핵심 지역이라고 규명해 볼 수 있다. 학맥 형성 양상을 살펴본다면, 남명학파 11명, 寒洲系列 4명, 蘆沙系列 5명, 星湖系列 3명, 尤庵系列 1명, 華西系列 1명, 기타 6명이 된다. 그러므로 하동 지역의 학파별 분포는 남명학파 및 南人 계열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노사계열의 문인이 많은 비중을 가진다. 하동 지역의 남명학 전승과 관련해서는 안계마을 출신의 晉陽河氏 학자들이 家學을 통해 계승한 사실을 거론할 수 있다. 그리고 河達弘, 鄭瑀贇, 趙性家, 崔琡民, 姜柄周, 鄭敦均 등의 학자들이 서로 다른 학맥과 당파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남명을 존숭하고 본받아 실천하려 한 점을 지적할 수 있다.
靖獻· 哀悼· 自癒의 ‘지리산 인문학’ 試論 - 지리산권 현대 문학을 중심으로
박찬모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3 No.-
Center for Mt. Jiri Region Cultural Studies have conducted a wide range of studies on 'Mt. Jiri region cultural studies'.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the center focused on the 'travel (exploration, journey and tourism)' and investigated the modern representation of Mt. Jiri based on travel literatures during the Japanese annexation period to investigate the implied 'modernity' of 'Mt. Jiri'. They also meticulously studied the historical events and the corresponding literary response with respect to Mt. Jiri with various works in various genre including reportage, fiction, drama and poetry. This paper is an introductory discussion to integrate research performances based on previous discussions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r. Jiri region modern literature. For this,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Mr. Jiri was a shelter for hermits and a hideout for the people during the premodern period and a battlefield of ideology where the North and South confronted each other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divided the key characteristics of various works on Mr. Jiri as ‘consciousness of silent fidelity’(靖獻 意 識), ‘mourning ethics’(哀悼 倫理), ‘selfhealing will’(自癒 意志) and studied them separately. In chapter II, this paper promotes academic, ideological and ethical principles while maintaining an apolitical attitude, and through it, establish the fidelity to secure morality as ‘ consciousness of silent fidelity’ and contemplated the definite expression of such silent fidelity in travel literatures by Taeksul Kim and Eunsang Lee, and 「Mr. Jiri』 by Byeongju Lee. Chapter III examined the start of symbolism and morning for the 'ghosts of Mt. Jiri' based on the analysis of poetries on Mr. Jiri and the forms of general classification of such works in the 80's and 90's into 'rehabilitation of national history' and 'registration of History'. Later, in 2000's, the 'ghosts of Mt. Jiri' remerge where they clearly connote the clear rejection of the 'violence' of symbolism and morning of the past and it was established that they originated from the morning ethics that targets sound memories of the 'ghosts of Mr. Jiri'. In chapter IV, it was discussed that, through sequential analysis of various works on the division of country and aftereffects of war, these works emphasized on mutually voluntary and conscious acts such as self-reflection, confession, repentance, sympathy and respect to life, in other words self-healing will, for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그간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은 ‘지리산권 문화 연구’를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수행해 왔다. 현대문학 분야에서는 ‘지리산’에 함축된 ‘근대성’을 규명하기 위해‘기행(탐험, 여행, 관광 등)’에 초점을 맞춰 일제 강점기의 기행문학 등을 대상으로 지리산의 근대적 표상을 다각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르포‧소설‧희곡‧시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분석하여 지리산에 얽힌 역사적 상흔과 그의 문학적대응 양상을 면밀하게 논구해 왔다. 본고는 기왕의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 성과를 집약하고, 지리산권 현대 문학의특징과 의의를 종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試論的 논의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지리산이 전근대시기에는 둔세자의 피난처이자 민중의 도피처였으며, 근대 이후에는 남과 북이 대립했던 이데올로기 戰場이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리산을 배경으로 창작된 여러 문학 작품에 함축된 주요한 인문학적 사유와 태도 등을靖獻 意識과 哀悼 倫理, 그리고 自癒 意志로 나누어 논구하였다. 정헌 의식이란 현실 정치와 거리를 두는 탈정치적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학문적·사상적 신념을 고양하고, 이를 통해 도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식을 일컫는다. 김택술과 이은상의 기행문학, 그리고 『지리산』의 중심 인물인 박태영에게서 이와 같은 정헌 의식이 나타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근대 이후 지리산에서 죽어간 ‘만혼령’에 대한 문학적 애도 작업은 일찍이 70 년대 지리산 소재 시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만혼령’을 존재론화‧의미론화하는 상징화-애도 작업은 ‘國史로부터의 伸冤’과 ‘대문자 역사로의 기입’이라는 두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이성부와 송수권의 시편에서 ‘지리산 만혼령’이 다시 출현하게 되는데, 그의 ‘비탄’과 ‘피울음’이 ‘만혼령’에 대한 충실한 기억을 목표로 하는 哀悼 倫理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분단과 전쟁은 ‘지리산 만혼령’을 출현시켰을 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자들에게도 깊은 상흔을 남김으로써 그 후과는 또다른 비극의 맹아로서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후과는 우연적으로 혹은 운명적으로 해소되거나 극복될 수 없는 것이다. 여러 작품들이 반목·불신·원한·증오를 넘어 화해와 용서를 향한, 자성·고백·참회·공감·생명 존중이라는 자발적이고 자각적 행위, 즉 自癒 意志를 역설하고 있음을 검토하였다.
19~20세기 江右文人의 鄭蘊 인식 -某里 漢詩를 중심으로-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2 남명학연구 Vol.74 No.-
This article was written under the ‘Geochang Gangdong Village’ project as a part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holar village in the Gangwoo region promoted by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the Cultural Institute of Gyeongna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angdong Village is the residence of the Chogye Jeong clan, represented by Donggye Jeong On (鄭蘊). Jeong On lived a very chaotic period in the history of Joseon, and his life was also an unusual tough one. His status in history was not light. He was a literary person of Naeam Jeong In-hong (鄭仁弘), the best disciple of Nammyun(南冥) Cho Sik (曺植), and was a representative of the academics of the Gangwoo region after the Injo coup. He was exiled to Jeju for 10 years due to the Injo coup, and he tried to commit suicide at the time of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because he could not bear the humiliation, but was unsuccessful. Thereafter, he retired to the country and lived a secluded life in Mo-ri. After his death, younger scholars in the Gangwoo region revered his integrity spirit and built the Mo-ri hall in the place of his secluded life to represent his will. However, due to the Mushin Rebellion (1728), which was joined by his great-great grandson Jeong Hui-ryang (鄭希亮), both Jeong On and Mo-ri were forgotten from history.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when more than 200 years passed, a large number of intellectuals suddenly came to Mo-ri to adore Jeong-on's fidelity, and leave behind many travelogues and Chinese poem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were alienated from central politics for a long time and existed as intellectuals out of power. In front of them, a period of national turmoil such as the Late Period of Chosun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folded, and they had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nd roles as intellectuals in the midst of chaos. The gap between the ideology of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times gave a sense of helplessness to their use of life and attitudes, and as a result, they could not but express their resentment and anger at the reality that resulted in the national humiliation. At that time, Jeong On, a sage of old in the Gangwoo region, emerged as a symbol to present the way of life to the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and during this time, numerous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could not but visit Mo-ri. It was an unusual cas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suddenly came to produce a lot of work, and surprisingly, the recognition of Jeong On projected in the Chinese poems written in Mo-ri during this period appeared almost consistently. In terms of the form, many of the Chinese poems were recited borrowing the rhythm of Jeong On’s poems written in Mo-ri and in terms of contents, the Chinese poems were expressed as those that recollected the life of Jeong On in his time and furthermore, as those that found the spirit of fidelity necessary in their time from him. This was a phenomenon that appeared commonly not only among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but also among all literary persons regardless of their regionalism and academic genealogy. Through the foregoing, it was possible to find the identity of the place of ‘Mo-ri’ as well as the recognition of Jeong On by the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본고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남명학연구소가 추진하는 강우지역 전통선비마을 연구의 일환으로 ‘거창 강동마을’ 기획에 의해 집필되었다. 강동마을은 桐溪 鄭蘊(1569-1641)으로 대표되는 草溪 鄭氏家의 세거지이다. 정온은 조선 역사에서 매우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았고, 그의 생애 또한 평범하지 않은 굴곡진 삶이었다. 역사 속 그의 위상도 가볍지 않았다. 그는 南冥 曺植(1501-1572)의 高弟인 來庵 鄭仁弘(1535-1623)의 문인으로, 인조반정 이후 강우지역의 학술을 대표하던 인물이다. 반정이 있기까지 10년 간 제주에 유배되었고, 병자호란 때는 그 치욕을 감당치 못해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으며, 이후 낙향하여 某里에 은거하였다. 사후 강우지역의 후학들이 정온의 節義를 숭상하여 그곳에 某里齋를 짓고 그 뜻을 표상하였다. 그러나 그의 玄孫인 鄭希亮이 가담한 戊申亂(1728)으로 인해 정온도 모리도 모두 역사에서 잊혔다. 이후 2백여 년도 더 지난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갑자기 수많은 지식인이 모리를 찾아와 정온의 절의를 추숭하고, 또 많은 遊記와 한시를 남겼다. 19-20세기 강우문인들은 오랜 시간 중앙정계에서 소외되어 재야 지식인으로 존재하였다. 그들 앞에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라는 국난기가 전개되었고, 그들은 혼란 속에서도 지식인으로서의 책무와 역할을 해야만 했다. 그동안 고수해온 전통유학의 이념과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의 괴리는 그들의 처세와 태도에 무력감을 안겨 주었고, 그 결과 國恥로 귀결되는 현실에 울분과 분노를 표출할 수밖에 없었다. 그때 강우지역의 선현인 정온은 강우문인에게 삶의 지표를 제시하는 표상이 되었고, 수많은 강우문인이 모리를 찾지 않을 수 없었다. 갑작스레 많은 사람이 찾아와 多作이 산출되는 특이한 경우였고, 의외로 이 시기 모리 한시에 투영된 정온 인식은 거의 일관되게 나타났다. 형식상으로는 정온의 모리 시에 차운하여 읊은 것이 많고, 내용상으로는 정온 당대의 삶을 회고하거나, 자기 시대에 필요한 절의 정신을 그에게서 찾는 것으로 표출되었다. 이를 통해 19-20세기 강우문인이 인식한 정온에 관한 인식뿐만 아니라, ‘모리’가 지닌 장소의 정체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6 No.-
Conducted as part of "Research Project for the Traditional Villages of Classical Scholars in Gyeongnam" planned by the Nammyeonghak Research Institute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Uijang run by the Heo family in Seungsan-ri, Jisu-myeon, Gyeongsangnam Province and the family's donation activities around the Uijang. It is said that Uijang has its origin in the yizhuang of the Fan family led by Fan Zhongyan during the Song Dynasty. It is a system in which a wealthy member of a family sets up a huge fund through his donations to save poor relations and promote harmony in the family. The Heo family of Seungsan-ri set up and ran its Uijang based on the yizhuang of the Fan family, and the main figure was Jisinjeong Heo Jun(1844-1932). Heo Jun was a poor young man but accumulated enormous wealth in middle age. He used his wealth to help his relations and gave generous donations to the neighbors and the state in need at the end of Joseon and during the Japanese rule, living a life of giving, which was based on his spirit of thrift and saving to put emphasis on Jiji(知止) and Sindok(愼獨). The present significance of the Uijang of the Heo family in Seungsan-ri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isinjeong's giving activities was not temporary. Not only did he donate to the war fund for the country in 1894, but he also supported the neighbors in need consistently for years as they suffered famine or could not afford to pay their taxes. He showed ongoing interest in the cultivation and education of talents earlier on and mad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foundation of Ilsinhakdang during the Japanese rule. His activities continued through the Uijang of the Heo family. Secondly, his life and the Uijang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Heo family in Seungsan-ri represented the cultural superiority of Gyeongsangnam Province with Jinju at the center. Starting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he intellectuals of the region played a pivotal role in various activities to strengthen their families. Most of the activities were "building a clan village, establishing a family Seowon and Sawoo, worshiping ancient sages, and publishing genealogy and anthology." They represented the activities to maintain and reinforce the base of a family in the country community and were part of universal actions among Confucian intellectuals. Heo Jun's donation activities were intellectual activities of high order different from these activities and exhibited the superiority of the culture of classical scholars in the Jinju area. Finally, the Heo family still continues its Uijang activities. There were many figures or families that ran Uijang during Joseon, but most of them deviated from their original nature, being abolished during the time or after a couple of generations or incorporated into other items of property. In contrast, the Heo family of Seungsan-ri still continues its intellectual activities around Uijang including the active outside activities such as the family scholarship. This i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Uijang activities of the Heo family in Seungsan-ri. 이 글은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가 기획한 ‘경남지역 전통선비마을 연구’의 하나로, 경상남도 지수면 勝山里 許氏家에 소재하는 義莊과 이를 중심으로 행해진 기부 활동 등을 살펴보았다. 의장은 중국 宋나라 때 范仲淹의 范氏義莊에서 연유하였다. 대체로 문중 내 부귀한 인물이 많은 기금을 출연하여 가난한 친족을 구제하고 문중 간 화합을 추구한 제도이다. 승산리 허씨가에서도 범씨의장에 근거를 둔 허씨의장을 설립하여 운영하였으니, 그가 바로 止愼亭 許駿(1844-1932)이다. 허준은 젊어 가난하였으나 중년 이후 막대한 富를 소유하게 되었고, 가족과 문중뿐만 아니라 한말-일제시기 어려운 이웃과 국가를 위해 아낌없이 베푸는 삶을 실천하였다. 이러한 베풂의 삶은 知止와 愼獨을 중시하는 지신정의 근검절약 정신에 기반한 것이었다. 승산리 허씨의장의 의의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지신정의 베푸는 활동은 일시적이지 않았다. 그는 1894년 국가를 위해 군자금을 출연한 것뿐만 아니라 기근이나 세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곤궁한 이웃을 위해 수년 간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일찍부터 인재양성 교육에 끊임없는 관심을 보이다가 일제시기에 이르러 一新學堂 설립에 크게 기여하였다. 둘째, 허준의 삶과 승산리 허씨가의 의장 활동은 晉州를 중심으로 하는 경상남도 지역의 문화적 우월성이라 평가할 수 있다. 조선후기부터 이 지역의 지식인을 중심으로 문중강화 활동이 다양하게 행해졌는데, 대개 ‘동족마을의 형성, 문중 서원 및 祠宇 건립, 先賢의 追崇, 族譜와 文集 刊行’ 등이었다. 이는 향촌사회에서 문중의 기반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대표적 활동이었고, 유가지식인의 보편적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허준의 이러한 기부 활동은 이와는 다른 고차원적인 지적 활동이었으며, 진주지역 선비문화의 우월성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조선시대에 의장을 둔 인물이나 문중은 적지 않았다. 그러나 대개 그 당대나 두어 세대를 지나면서 없어지거나, 다른 재산과 통합되는 등 본래의 목적이 변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반면 승산리 허씨가의 지적 활동은 지금도 의장을 중심으로 한 문중 내 장학금 지원 등의 대외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것이야 말로 승산리 허씨가의 의장 활동이 지닌 가치와 의의라 할 수 있다.
장현광의 태극설과 경위설의 문화다원론적 재조명 - 『여헌선생성리설』의 이론적 해명을 중심으로-
엄연석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0 No.-
This essay aims to reexamine the cultural pluralism implied in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經緯說) as a fundamental theory that constitutes Jang Hyeon-kwang's Science of Changes, with the goal of transition from conflict to fusion. Jang, Hyeonkwang imparted meaning as an origin to cause immeasurable changes in concrete reality rather than one invariable universal principle in the concept of the Endlessness(無極) and the Great Ultimate(太極). His consideration of Li as Tao composing mysterious operation has a philosophical meaning encompassing various values of reality. Jang Hyeon-kwang thought that Gyeong and Wi have invariable universality and standard timeliness in changing circumstances by interpreting Li-Chi as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He mentioned that following Gyeong and Wi of Li-Chi as it was the enterprise of saint with the standard Wi. According to him, because good and evil, order and confusion of human world all depend on a correct establishment of longitude and latitude or not, monarchal governing principle rides on an excellent governance of longitude and latitude. Jang Hyeon-kwang's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經緯說) could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accommodates realistic and empirical pluralism in that latitude as standard to which handles changing circumstances in accordance encompasses specificity and diversity with invariable longitude. He understood inner correlative relation among six lines of a hexagrm as what has continuit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in the framwork of ontology and cosmogony of the Great Ultimate, Yin and Yang, the Four Symbols, the Eight Trigrams. And this view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Jang Hyeon-kwang recognized discernment of good and evil, judgment of right and wrong as Gyeong of common morality of engagement of talent and policy draft in view of engagement of talen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in view of Wi of coping with change that his view of engagement of talent satisfies diversity and multiplicity of government position. In the last analysis, this view point means that administration theory that surrounded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has characteristic accepting political and cultural pluralism.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당면 문제에 대한 이론적 추구로서 衝突로부터 融和로의 전환이라는 목표하에 장현광 역학(易學)을 구성하는 핵심 이론으로서 經緯說에 내포되어 있는 문화다원론적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장현광의 태극설과 경위설이 함축하고 있는 문화다원론적 함의를 해명한다는 것은 태극 개념과 경위 개념을 구성하는 理와 氣를 수직적 가치의 차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이고 상보적인 의존성을 가지고 조화를 이루는 측면을 지니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장현광은 무극과 태극 개념 속에 하나의 불변하는 보편적 원리보다도 구체적 현실에서 헤아릴 수 없는 변화를 낳는 근원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가 리를 도의 신묘한 작용을 이루는 것으로 본 것은 현실의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는 철학적 의미를 갖는다. 장현광은 리기를 經緯說로 해석하여 경과 위가 불변의 보편성과 함께 변화하는 상황에서 표준적 시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리기의 경위를 그대로 따라 행하는 것을 표준적인 緯를 갖춘 성현의 일이라고 언급하였다. 그에 따르면, 인간 세상의 선악과 치란은 모두 경위가 올바르게 세워졌느냐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제왕의 통치 원리는 經緯를 잘 다스리는 데 달려 있다고 보았다. 장현광의 경위설은 불변하는 경과 함께 변화하는 상황을 시의성에 맞게 처리하는 것으로서 ‘緯’가 특수성과 다양성을 포괄할 수 있는 의미를 가진다는 점에서 현실적 경험상의 다원성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는 한 괘 여섯 효의 내적 상관관계를 태극, 양의, 사상, 팔괘의 존재론적 관점과 생성론적 관점에서 縱橫으로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보고 있는데, 이러한시각은 경위설과 긴밀한 연결성을 갖는다. 장현광은 인재등용론에서 선악을 분별하고 시비를 밝히는 것을 인재등용과 정책입안의 상도로서 經으로 보았다. 반면에 그의 인재 등용관이 직책의 다양성과 다원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은 應變의 緯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요컨대, 이러한 관점은 그의 經緯說을 중심으로 한 경세론이 정치문화적 다원성을 수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1 No.-
Raising a question about why Deoksangugok was not set in Deoksandongcheon below the Cheonwang Peak of Mt. Jiri, which was Nammyeong Jo Shik(1501-1572)'s shelter in his later years,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ng why Deoksangugok should be set, what grounds should be met to set Deoksangugok, what kind of place Deoksangugok was, what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it had, and what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s its setting had. Those discussions would not be enough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Deoksangugok setting, which was why the study provided a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tradition of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from Confucius and Mencius to Zhu Xi in East Asia and also the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among the classical scholars of Joseon. The study then looked into the efforts made by the scholars of Gyeongsangwudo to inherit Nammyeong studi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when the scholarship of the region was in serious depression, including the efforts to worship Nammyeong along with Hoijae and Toigye by establishing the status of Samsan Seowon and promote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by writing and sending out Samsangugok poems in order to figure out what to do today to preserve and inherit the heritage of Nammyeong studies. Inheriting the spirit of old sages in the region, the significant figures today should make it a top priority to set and manage Deoksangugok and turn Deoksan into a sacred place of moral philosophy true to its name. It will be critical to secure the field and content to inherit and experience Nammyeong studies. If a new academic tradition is created of worshipping the three sages of Yeongnam sought after by Ahn Deok-mun and Ha Beom-woon based on them, Yeongnam will be reborn as the home of Confucius and Mencius. When the day comes, Yeongnam will attract global attention as the cradle of Confucianism comparable to Qufu and Mt. Mui of China. 이 글은 南冥 曺植(1501-1572)의 만년 은거지인 지리산 천왕봉 아래 德山洞天에 德山九曲이 설정되지 못한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덕산구곡의 설정이 왜 필요한지,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근거는 무엇이어야 하는지, 덕산구곡의 실체는 구체적으로 어떤 장소이며 그 역사적·문화적 사실은 무엇인지, 덕산구곡 설정의 의의와 기대효과는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것만을 논의하면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앞에 孔孟과 朱子로 이어진 동아시아 山水認識의 傳統과 九曲文化,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인식과 구곡문화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慶尙右道 지역의 학술이 극도로 침체된 조선후기 이 지역의 학자들이 南冥學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한 것 중에 三山書院의 位相을 鼎立하여 晦齋·退溪와 함께 南冥을 추숭하고자 한 노력, 三山九曲詩를 지어 보내 陶山九曲·玉山九曲과 함께 德山九曲을 드러내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오늘날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남명학을 보전하고 계승하는 길인지를 찾아보려 하였다. 이러한 이 지역 선현들의 정신을 계승하여 오늘날 뜻 있는 인사들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 德山九曲을 設定하고 경영하여 德山을 명실상부한 道學의 聖地로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는 남명학을 계승하고 체험할 수 있는 현장과 콘텐츠를 확보하는 중요한 일이다. 이를 통해 安德文과 河範運이 추구한 영남의 세 先賢을 함께 존모하는 새로운 학풍을 만들어나간다면 嶺南을 鄒魯之鄕으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영남이 중국의 曲阜나 武夷山 못지않은 儒學의 産室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