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동희 새한철학회 2000 哲學論叢 Vol.20 No.-
이 논문은 본 연구팀에 의해 수집 분류된 헤겔의 연구문헌목록(김윤구, 이동희, 헤겔연구문헌목록, 철학논총 17집, 1999)에 기초해서 한국의 헤겔철학수용과 그 연구사를 다루고 있다. 연구 대상의 범위는 『정신현상학』과 『논리학』을 제외한 이제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헤겔연구와 관련한 모든 논문, 즉 『법철학』, 『역사철학』, 『종교철학』, 『미학』, 『자연철학』, 『청년기저작 및 엔치클로패디』, 『기타』 등이다. 이 연구대상의 범위는 공식적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해서 쓰여진 석박사학위논문이며, 다른 하나는 개별적 연구자들에 의해 자유롭게 학술지에 발표된 개별적인 논문, 즉 단논문으로 다시 나누어져 다루어졌다. 연구팀이 이제까지(1998년 9월 15일) 수집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헤겔과 관련한 석박사학위논문은 총 270개로 집계된딘 그리고 단논문은 총 454로 집계된다. 이 논문이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미학, 법철학, 종교철학, 자연철학에 관련한 논문들을 이 중에서 다시 추려보면 석박사학위 논문은 총편수 270중 128편이고, 단논문은 총편수 454 중 212 편이다. 세분하면, 미학은 17편(석박사 12, 단논문 7), 자연철학 10편(석박사2, 단논문 10), 종교철학 40편(석박사19, 단논문 21) 역사철학 64편(석박사24, 단논문40), 범철학 110편(석박사65, 단논문, 45), 청년기저작 21편(석박사6, 단논문15), 기타 78편(단논문 78)이다. 이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시기별 통계방식을 사용했고, 시기별로 헤겔연구사의 경향과 특징들을 적어 놓았다. 예외적으로 헤겔의 법철학과 관련해서 주제별 통계방식도 사용하였다. 헤겔철학의 현실관련성 때문 탓인지, 한국에서 행해진 헤겔철학의 연구경향과 연구주제는 시기별로 시대적 문제의식이 뚜렷하게 드러나지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은 연구물들 이 특정한 몇몇 주제와 텍스트에 주로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다행스러운 일은 시기별로 보면 헤겔철학의 다양한 주제의 연구들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는 점이다.
미래 전승을 위한 아리랑 중등교육 점검 및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이동희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22 동양음악 Vol.51 No.-
Today, Arirang is mainly internalized through classes in the school field, especially to understand the value of Arirang as a cultural mediation that expresses Korean emotions and promote transition to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secondary education is highlighted, and the foundation is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how Arirang is implemented in 14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dentified the actual status of Arirang's field education through a survey, and sought to develop Arirang education contents that can be used in secondary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 First, if we look at the music textbooks in middle school, in addition to the activities in the area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textbook, classes related to daily life such a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related to Arirang, implementation of project classes,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Arirang in the world, and Arirang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t was found that many of these are included and that more expanded forms of learning are included in the activities of the expression area. Based on this, 11 questions were organized and 44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on Arirang's educational status. And about 70% of respondents could not explain Arirang's origin, meaning, and cultural identity, 20.3% said Arirang could not be expressed in singing or instrumental music, and 6.9% did not learn Arirang in clas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reconsideration of Arirang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and made the justification for the production of Arirang education content. Arirang-related contents were already produced and used by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with Arirang songs, and various suggestions were discussed through prior research, but no curriculum-based content was developed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school field. Accordingly, the researcher suggested producing video materials introducing Arirang's origin, meaning, and cultural identity, organizing performance-type contents connecting Arirang in various regions, exploring Arirang-related local attractions and participating in events, and developing video education contents on the theme of Arirang consisting of several lessons. Arirang's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content is also highly related to the five key direction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review and the aspects of the emphasis on subject education. Therefore Arirang-related education to be more effectively implemented in new curriculum- based textbooks to be developed next yea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preceded, which needs to be linked to active project promotion by local governments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오늘날 아리랑은 주로 학교현장에서 수업을 통해 내면화되는데, 특히 한국인의 정서를 발현하는 문화매개로서의 아리랑의 가치를 파악하여 미래로의 전승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중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그 기초는 중학교 과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에 아리랑이 어떤 방식으로 수록되어 있는지를 가늠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아리랑의 현장교육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중등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아리랑 교육콘텐츠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살펴보면, 표현 및 감상 영역 활동 외에도 아리랑과 관련된 역사・문화적 배경, 프로젝트 수업 구현, 지역사회와의 연계, 세계 속의 아리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아리랑 등 생활화와 연관된 수업이 많이 수록되어 있으며, 표현 영역의 활동에서도 보다 확장된 형태의 학습을 수록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11개 문항을 구성하여 449명의 중・고등학생들에게 아리랑의 교육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아리랑의 기원, 의미, 문화정체성을 설명할 수 없는 응답자가 약 70%, 아리랑을 가창이나 기악으로 표현할 수 없다는 응답자가 20.3%, 아리랑을 수업시간에 배워보지 못한 응답자가 6.9%로 집계되었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의 아리랑 교육에 대한 재고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아리랑 교육콘텐츠의 제작에 대한 당위성을 만들어주었다. 아리랑 관련 콘텐츠는 아리랑 노래를 보유한 지자체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이미 제작하여 활용중이었고 선행 연구를 통해서도 여러 제언들이 논의되어 있었지만,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교육과정 기반의 콘텐츠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자는 아리랑의 기원, 의미, 문화정체성 소개 영상자료 제작, 다양한 지역의 아리랑을 연결한 공연형태 콘텐츠 구성, 아리랑 관련 지역 명소탐방 및 행사 참여 영상 구현, 여러 차시로 구성된 아리랑 주제의 영상교육 콘텐츠 개발을 제언하였다. 교육콘텐츠를 통한 아리랑의 학습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5가지 중점 방향 및 교과 교육 강조점의 측면과도 연관성이 높다. 따라서 내년부터 개발될 새로운 교육과정 기반 교과서에 아리랑 관련 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콘텐츠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지자체를 비롯한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사업 추진과 연결될 필요가 있다.오늘날 아리랑은 주로 학교현장에서 수업을 통해 내면화되는데, 특히 한국인의 정서를 발현하는 문화매개로서의 아리랑의 가치를 파악하여 미래로의 전승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중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그 기초는 중학교 과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에 아리랑이 어떤 방식으로 수록되어 있는지를 가늠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아리랑의 현장교육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중등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아리랑 교육콘텐츠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살펴보면, 표현 및 감상 영역 활동 외에도 아리랑과 관련된 역사・문화적 배경, 프로젝트 수업 구현, 지역사회와의 연계, 세계 속의 아리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아리랑 등 생활화와 ...
이동희,김문일,양훈영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1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9 No.2
鑄鐵의 固相反應에 의한 組織變化, 特히 鑄鐵內의 黑鉛狀態의 變化를 고찰하였다. 本 基礎硏究에서는 鑄鐵에 Mg을 여러 條件下에서 擴散시킨 結果 鑄鐵組織內의 固相反應에서도 黑鉛이 球狀化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또한 時效에 의해 球狀黑鉛이 成長함을 확인하였다.
이동희,윤천성 대한피부미용학회 2015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13 No.5
The beauty industry in Korea, thanks to the country’s advanced technology as well as the rising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is recognized as a new player in such areas as tourism and exports, and has a huge potential for growth. Nevertheless, while the local skincare industry boasts world-class technology, most of skincare shops in Korea are small in scale in terms of their business and labor management and their rate of returns.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at skincare workers seek an increase in sales by selling more products in the shop in an attempt to boost sales as well as to change the profit structure that rests solely on technology. Since most skincare shops carry professional cosmetics, this study explores whether skincare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erceive sales of professional cosmetics as a source of profit. The results show that, unlike in the past when skincare workers were not active in selling professional cosmetics, they now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selling a wide range of products for the increase in sales and the proportion of sales. This change in the perception clearly indicates that, in order to boost sales in skincare shops, skincare workers are required to establish themselves as skincare experts by obtaining necessary professional skills. This study shows a change in skincare workers’ perception. In other words, skincare workers thinks that they are required to sell professional products so that the skincare industry can grow into a professional from its current low-budget status. Therefore, it is the right time to consider various methods, including professional training for workers, education, etc., in order to promote sales of professional cosmetics.
코폴라를 활용한 이변량 제로팽창 일반화 포아송 회귀모형
이동희,정병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3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types of bivariate zero inflated generalized Poisson regression model based on copula for the bivariate zero inflated count data. This model is more general count data regression model which allows heterogeneous dispersions on two 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wo dependent variables. Using an empirical example of 1997-1998 National Medical Expenditure Survey(NMES) data, we apply the proposed models and existing bivariate zero 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of Wang(2003), and illustrate the results of these models. As a result, our models show th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other model. 본 연구에서는 제로팽창된 이변량 계수형 자료에 대한 두 가지 형태의 이변량 제로팽창 일반화 포아송(BZIGP) 회귀모형을 코폴라를 활용하여 제안하였다. 이 모형은 두 반응변수에 서로 다른 산포모수뿐만 아니라 음의 상관까지 허용하는 좀 더 일반적인 형태의 분석모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BZIGP 모형이 실제 제로팽창된 이변량 계수형 자료에 잘 적합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1997-1998 National Medical Expenditure Survey(NMES)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제사례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은 기존에 존재하는 Wang(2003)이 제안한 제로팽창 음이항 회귀모형에 비하여 우수한 적합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동희 경찰대학교 2007 경찰학연구 Vol.7 No.1
The Korean police are composed of 95 per cent of the federation rank (Inspector and below) and only 5 per cent of middle managing staff and senior officers. The Eiffel Tower-shaped rank-related human resources structure demonstrates that the small number of middle managing staff when compared to other public departments and agencies frustrated rank and file officers for a long period, which highly dissatisfied them as a result. The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which has produced a large proportion of police middle managers every year came to be in the center of the complaint and dissatisfaction of the low rank officers who criticize the young KNPU graduates are blocking their chances of promotion into the managing level. A huge number of auxiliary officers and combat police officers (1 third of the number of regular officers) who render military service in the police organization will no longer work for the police in several coming years. Therefore the Korean police have to recruit a huge number of rook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order to cover the great demands of public order policing, putting down riots and street demonstratio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urrent police recruits and promotion system in Korea with those in Japan so that the researcher suggests some preparations and improvements from the Japanese case in the same Asian region (Far East).
이동희 조선시대사학회 2021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8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s regarding the transfer and the enshrinement and the lookout of the only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of Jeonju surviving the Imjin War, to Mt. Naejang, Jeongeup. The transfer and the enshrinement of the Annals and the portraits of King Taejo to Mt. Naejang were led by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Lee Gwang, Jeolla Provincial governor and Oh Hee-gil, Chambong of Gyeonggijeon, while the actual security and guarding were carried out by private individuals such as Taein’s scholars Anui and Son Hong-rok. In short, the officials and the people united and cooperated to protect the annals. It seemed that the Annals were carried out by loading them on 20 horses. The Annals were initially stored in Yonggul temple and then moved to Eunjeokam temple, then moved to Biraeam temple in July, and stored in Mt. Naejang until they were moved and stored in Jeongeup-hyeon the following year. The Annals were not kept in the way they were grouped together in the archives. Rather, fortresses were built in various places, and the guards were dispersed to keep the Annals. The Annals were kept in Biraeam, and then Anui and Son Hong-rok kept and guarded the Annals in Eunjeokam, and Oh Hee-gil stayed at Yongguam. They set up camp and protected the Annals and portraits of the king. The following year, when Jinju Fortress fell to the Japanese in 1593, the Annals were moved to Jeongeup-hyeon in July of that year, and then moved to Haeju via Asan-hyeon for storage. At the end of 1596, the Annals were moved from Haeju to Ganghwado, and after the Jeongyujaeran in 1597, they were moved to Mt. Myohyang in September of that year, where they were protected until the end of the war. 이 글은 임진왜란 때 유일하게 보존된 전주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의 정읍 내장산 이안과 수호의 실상을 살펴본 것이다. 실록과 태조어진의 내장산 이안은 전라감사 이광, 경기전 참봉 오희길 등 官이 주도하고, 태인의 선비 안의와 손홍록 등 民이 내장산에서 실제 수직을 담당하였다. 관과 민이 협력해 지켜냈지만 관은 전주와 정읍을 오갔고 실제로 내장산에서 1년간 수직한 이들은 민이므로 실록 수호의 실질적인 주역은 민이라고 할 수 있다. 실록 이안 방식은 말에 실어 옮겼으며, 그 분량은 20필의 말에 실을 수 있는 정도였다. 내장산으로 옮길 때 실록과 중요서적, 경기전 제기를 합쳐 분량이 50여 바리였다. 실록은 말에 싣고 경기전 제기 등 가벼운 것은 더러 지게에 지고 옮겼을 것이며, 내장산에서 산정에 오를 때는 사람들이 등에 지고 올랐을 것이다. 실록을 6월에 내장산으로 옮길 때 처음에는 용굴암으로 이안하였다가, 곧바로 은적암으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그다음 달 7월에 실록을 다시 비래암으로 옮겨 이듬해 7월 정읍현으로 이안할 때까지 수호하였다. 어진은 실록과 달리 7월에 내장산 용굴암으로 이안되었다가 9월에 비래암으로 이안되어 보존되었다. 수직의 형태는 수직자들이 모두 실록봉안처 한 곳에 모여 있었던 것이 아니라 요소요소에 진지를 구축하고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었다. 실록과 어진이 비래암에 봉안되었을 때, 안의와 손홍록은 은적암에서 수직하였으며, 참봉 오희길은 용굴암과 내장사에 머물렀다. 봉안처를 중심으로 진영을 갖추고 실록과 어진을 수호하였던 것이다. 이듬해 1593년 진주성이 무너지자 그해 7월에 실록을 정읍현으로 이안하여, 아산현을 거쳐 해주에 봉안하였다. 1596년말쯤 해주에서 강화도로 실록을 이안하였다가 이듬해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그해 9월에 묘향산 보현사로 실록을 이안하여 전란이 끝날 때까지 수호하였다. 태조어진은 내장산을 나와 아산현 객사에 오랫동안 봉안되었으며 1596년말쯤 강화도로 이안되었다가 이듬해 실록과 함께 묘향산 보현사에 이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