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만부의 易統 과 易大象便覽 의 역학적 특징과 문화다원론적 지향

        엄연석 대동철학회 2022 大同哲學 Vol.99 No.-

        This article tri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pretation of the I Ching and its cultural pluralistic implications in Yitong(易統) and Yidaxiang bianlan易大象便覽 among the Yi xue-related writings written by Lee Manbu. For Lee Manbu understood the Book of Changes in the Neo-confucian perspective, he intended to perform moral principle goal of the I-Ching through symbol-numeralogical methodology in view of synthesize of symbol-number and moral principle. Lee Manbu’s Yi tong classified and systematized a system of the I-Ching into Yuanyi(原易), Xiangyi(象易), Huayi(劃易), Yanyi(演 易), Ciyi(辭易), Yongyi(用易) and Yiyi(翼易) according to type with preface. It was intended to encompass the change of various and special phenomena along with the universal principle of the I-Ching. For a symbol of trigram and lines卦爻 is deduced by the Great Ultimate as holistic principles, while the viewpoint of symbol-number Yixue stands out from Yuanyi(原易) to Hua yi(劃易) in the Lee Manbu’s Yi tong, moral principle Yixue be the focus of attention for moral practice and political order are derived from simbol of things and trigram and line卦劃 in the system from Yan yi(演易) to Yi yi(翼易). Concretely Lee Manbu accounted for interrelated stepwise meanings developed through historical process in seven ways. Thes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stage of Yi (易) before line(劃前易) composed of Yuanyi(原易) and Xiangyi(象易). The second is stage of Huayi(劃易), Yanyi(演易) and Ciyi(辭易) advancing from symbol-number Yi of heaven way to moral principle Yi of human duty. The third is stage of Yong yi(用易) deciding incessantly transforming principle through divination to the unique and various phenomena and Yiyi(翼易) explaining change and progress of Yi through several philosophical principle. Lee Manbu’s viewpoint has characteristic tried to understand a generative aspect of the Book of Changes and its structural and semantical system at the same time. Also his theoretical deduction moving from the ultimate One to various and practical application has pluralistic implications. Summing up, while suggested opinion of symbol-number YiXue on the one hand and expressed that of moral principle YiXue on the other hand through explanatory diagrams of Yitong(易統), Lee Manbu displayed cultural pluralistic orientations by presenting the monarch discipline for governance and methodology ruling the world through Yidaxiangbianlan易大象便覽. 이 글은 이만부가 지은 역학 관련 저술 가운데 역통(易統) 과 역대상편람(易大象便覽) 에 나타난 역학(易學)적 특징과 그 문화다원론적 함의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이만부는 성 리학적관점에서 주역 을이해하고있는만큼상수와의리를종합하는시각에서그는의 리역학적 목표를 상수학적 방법을 통하여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만부의 「역통」은 서문과함께 원역(原易), 상역(象易), 획역(劃易), 연역(演易), 사역(辭易, 상하), 익역(翼易)으로 구분하여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체계화하여 역의 보편적 원리와 함께 다양하고 특수한 현상의 변화를 포괄하고자 하였다. 이만부의 역통 은 「원역」부터 「획역」 까지는 일원적 원리[太極]에서 괘효의 상(象)으로 연역되어 나아감으로써 상수역의 관점 이 두드러진다면, 「연역」에서 「익역」까지는 물상과 괘획의 상(象)에서 인사(人事)의 도덕 적 실천과 정치적 질서로 나아감으로써 의리역의 관점이 중심이 된다. 구체적으로 식산은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형성된 역의 상호 연관된 단계적 의미를 일곱 가지로 설명하였다. 이 것들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원역과 상역으로 획전역의 단계가 있 다. 둘째는 획역 연역 사역으로 천도의 상수에서 인도의 의리적 역학으로 나아가는 단계가 있다. 셋째는 용역과 익역으로 특수하고 다양한 현상에 대하여 통변하는 원리를 점서로 결 단하는 용역의 단계와 여러 철학적 원리로 역의 변화를 설명하는 익역의 단계가 있다. 이 러한 식산의 관점은 주역 을 발생론적 측면을 이해하는 것이면서 구조적 의미론적 체계 를 동시에 이해하고자 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일원적 통일적인 일자로부터 다원적인 활 용과 현실적 적용에까지 나아가는 이론적 연역은 다원론적 함의를 갖는다. 결론적으로, 식산은 역통 의 도설을 통하여 상수역학적 견해를 제시하면서도 의리역학적 요소를 함축하 였고, 역대상편람 을 통해서는 군주의 통치를 위한 수양과 경세의 방법론을 제시함으로 써 문화다원론적 지향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주역』 상징체계에 내포된 문화다원론적 함의와 도덕적 표준

        엄연석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6

        This paper intended to illuminate the Implication of cultural pluralism implication and ethical standard contended in the symbol system of the I-Ching which is composed of kuayao of yinyang, external objects, sentence of kuayao and th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it. Also writer is about to explore how ethical standard which encompasses various and special values among several cultures said in cultural pluralism can be established in the symbol system of the I-Ching. The fundamental idea of cultural pluralism is the fact that individual culture has relative properties mutually, cultural value involves a peculiarity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its society. The emblem-numeral I-Xie象數易學 tried to suggest the dynamic changing process of all directions contained in kuayao through several theories such as theory of mutual link互體論, entangling theory錯綜說, the theory of kua changes卦變論. Though these variously changing law has itself not evaluative meaning of good or ill luck, it can be estimated by experiential timeliness and inductive generalization. Whereas the moral principle I-Xie義理易學 interpreted I-Ching from a moral standpoint by deducing moral loyalty from universal sense be involved in a kua.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interpretation of moral principle I-Xie of the I-Ching involves culture pluralistic idea in that it seeks equilibrium and harmony derived from overall public order in conjunction with respect of inherent relative autonomy between social stratums. 본 논문은 음양의 괘효와 물상, 괘효사, 그리고 이에 대한 철학 적 해석으로 이루어진 『주역』의 상징체계가 내포하고 있는 문화다원론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한다. 또한 문화다원론에서 제기하는 문화 사이의 특수하고 다양한 가치를 포괄할 수 있는 도덕적 표준이 『주역』 상징체계 속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 하는 점 또한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화다원론은 각각의 문화는 상대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사회의 환경과 조건에 따라 고유성을 내포하고 있어서, 각기 다른 규범체계를 구성한다는 이론이다. 상수역학은 괘효가 내포하고 있는 모든 방향의 역동적 변화과정을 수많은 이론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호체설, 착종설, 괘변설 등은 가장 중심적인 이론들이다. 이러한 다양한 변화 법칙은 자체로는 길흉의 가치의존적 의미를 가지지 않지만, 경험적 시의성을 통하여 귀납적인 일반화로 가치평가를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상수역학에서의 여러 방법론에 근거한 『주역』 상징체계에 대한 이해는 분명히 문화다원론적 이념과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반면 의리역학에서는 하나의 괘가 내포하고 있는 보편적 의미로부터 도덕적 의리를 도출하여 실천적 지향성을 목표로 삼아 『주역』을 해석하였다. 괘의 보편적 의미로서 괘의(卦義)는 정치사회적 규범 또는 도덕적 실천 원리로서 리(理)를 뜻하고, 행위의 궁극적 표준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리역학의 특징이 있다. 『주역』에 대한 의리역학적 해석은 한편으로 계층 사이의 고유한 상대적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전체적인 조화와 질서, 균형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문화다원론적 이념을 지니면서, 다른 한편 유가적 도덕 이념을 실현하는 도덕적 기준의 제시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유학사상에 근거한 李元翼의 유가적 리더십 재조명 -公道와 私路의 열림과 닫힘의 모순율을 중심으로-

        엄연석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Sim Eon-gwang (沈彦光, 1487~1540) passed the primary state examination at the age of Twenty one and served the state for thirty years. When he started government service as a provincial governor of Hamgyeong-do, it was a kind of demotion to him. But apart from showing a good example of honesty, he performed his duties well with intelligence and strength conducted a good moral life. In this paper, an effort has been made to study Sim Eon-gwang’s classical scholarship by classifying the relevant aspects in to three categories. Firstly, the spirit of fidelity to his principle was reviewed. Sim Eon-gwang’was appointed as important officer in the Court. Eochon(漁村) was appointed to an important post, but experienced many political adversities. In the process, Eochon followed great loyalty and justification. The paper tries to reveal that the origin integral spirit served as foundation in reaching the ideals of royal politics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the causes of loyalty. Furthermore, it explores the Confucian ideals. The contemporary writings of Eochon is mainly focused on the primitive thoughts of Confucianism. However, it can be discerned that Eochon had comprehensive knowledge of Neo-Confucianism. Observing these facets, it has been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Gobeoulgoron(觚不觚論)’ and explore some aspects of Metaphysical ontology. Through this study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Eochon’s Confucian scholarship can be identified. At last, scrutinizing the ethical views on economy in order, it is intended to study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To acquire an idea of Eochon’s classical scholarship, his court writings submitted to the Kings will be studied and based on these sources it is to endorse that the political ideology asserted by Eochon had elements of Confucian politics. Eochon laid emphasis on the discipline and learning of the highest ruler. The meaning of making an upright heart means detaching the self from prejudice and personal affairs. It articulates about acquiring the objective knowledge and impartial judgement. It further advocates that, “Heart controls the private matters”, declares that the heart determines all the thoughts, actions and decisions. 이 논문은 이원익이 유학사상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나아가 유가 경전의 리더십 덕목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그의 정치 군사적 활동과 유가적 리더십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원익은 公道와 公義를 여는 것과 私徑 및 私路를 닫는 것에 대한 모순율의 적용을 통하여 천하국가를 통일적으로 다스려야 함을 적극적으로 개진하였다. 또한 그는 言路를 개방하고 正路를 세우며, 諫言과 公道가 조정에서 개진됨으로써 조정이 화합하게 되고 이로부터 국가가 융성하고 강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원익에 있어서 마음의 본원을 함양하는 것은 大公을 통하여 공심을 넓힘으로써 국가를 화합하고 통합하는 정치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원익은 무엇보다도 민생의 안정과 애민을 기본 정신으로 하는 민본주의적 사고에 입각하여 정치 군사적 활동을 통한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또한 그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균형과 조화를 강조하는 리더십을 실천하였으며, 군신 상하에 있어서 수직과 수평을 아우르는 통합의 리더십의 전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원익의 리더십은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균형과 조화, 소통과 통합의 리더십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것으로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김시습의 '성즉리'설에 내포된 수양론적 특징

        엄연석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人文論叢 Vol.68 No.-

        This thesis examined Kim Siseup’s philosophy within the category of the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theory of Neo-Confucianism, and tried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hi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mainly in light of the cultivating theory, by regarding the theory of ‘human nature is principle’ as a central proposition. Kim Siseup widely accepted the theory of the Great Ultimate,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and the opinion of cultivation focusing on reverence, deliberation of principle, and sincerity, all of which had been established after the North Song Dynasty. In particular, he actively adopted a theory of ‘human nature is principle’ as a core thesis which not only combines the metaphysics of Neo-Confucianism with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but also exposes the essence of Neo-Confucianism as it is. This essay analysed the meaning of the cultivating theory involved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is principle’ accepted by Kim Siseup through an concrete examination of its contents. Kim Siseup’s opinion regarding the investigation of principle, which serves as its momentum, through the medium of his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Changes in the process of cultivation from reverence to sincerity was considered. According to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ting theory involved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is principle’ to which he refers to embraces the processes of reverence, sincerity and the investigation of principle through the medium of the Book of Changes. In this light, Kim Siseup’s theory of ‘human nature is principle’ can be seen to have mainly embodied, as it is, the fundamental theory of Neo-Confucianism which was built and systematized after the North Song Dynasty. In this point, the writer could evaluate that Kim Siseup considered the core question of the Great Ultimate, the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theory,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and the cultivating theory that had been discussed within Neo-Confucianism by scholars up to Zhu xi, and that it was Kim Siseup that had consistently synthesized and intensified the Neo-Confucianism of the Joseon Dynasty before Toegae and Yulgok.

      • KCI등재

        <주역(周易)> 괘효사에 내포된 원시유학사상의 원형적 요소 -<주례(周禮)>의 제도적·문화적 내용을 참조하여-

        엄연석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7 泰東古典硏究 Vol.39 No.-

        This paper tried to examine how original elements of Ruist thought is implied in the Guayao-ci(卦爻辭) of the Zhouyi. The conceptual elemants composing of several culture institution are numerously involved in the Zhouyi since ancient times and Eun-Zhou periods. These conceptual elemants include special institutional strategy, cultural orientation, or moral meaning. Through the consideration about contents of Guayao-ci and Shang-chuan(象傳) and Dan-chuan(彖傳) as its commentary involving cultural and institutional meaning, this essay concretely intended to reveal that the original elements of Ruist thought is in hiding in any shape. The Zhouyi is basically comprised of the I Ching(易經)and I Chuan(易傳) as its commentary, and the I Ching embraces symbol of Guayao and its sentence, the I Chuan turns on the Ten-Wings(十翼). It is the Dae Shang-chuan within the I Chuan that involves strongly moral order of Confucianism and cultivational meaning requiring human practice. Besides the Dae Shang-chuan, Dan-chuan, Gae sa chuan, Shuo Gua chuan etc. also understand moral virtues of Covfucianism as having connection with way(道) of heaven and earth, and several paragraphs through which constitute natural foundation to confucian moral is suggested repeatedly in them. In other words, the Zhouyi has installed cosmological or metaphysical foundation of confucian moral virtues by regarding Yin-Yang and sturdiness and gentleness of heaven and earth, nature as continuous ones with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The Zhouyi makes the courtesy[禮] as political and institutional system composing basics of Confucianism of standard, and has the original elements of Ruist thought through which had resolved the foundation of life of subjects by invoking public office concept of the Zhou LI(周禮) as bureaucratic system realizing confucian idea in the periods of Zhou Dynasty. In the Guayao-ci(卦爻辭) of the Zhouyi, the concepts such as San Woo(山虞) as administration controling forest, shackles(桎梏) confining criminal, leather belt[鞶帶] bestowed for official service, reflect fundamental elements of Confucianiam, which perform a function in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system of original Confucianism. These concepts show that the Zhouyi have the purpose having tried to realize moral and political ideal of confucian thought by combinating mechanical law of nature with ethical fidelity of personnel affairs. 본 논문은 『주역』 괘효사와 「상전」, 「단전」 등에 어떠한 원시유학사상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는가를 『주례』에 수록된 제도적 문화적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역』에는 상고 시대와 은주(殷周) 시대 이래에 여러 문화 제도를 이루는 개념적 요소들이 많이 내포되어 있다. 이들 개념적 요소들은 특정한 제도적 장치와 문화적 지향, 또는 도덕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주역』은 기본적으로 『역경』과 『역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역경』은 괘효상과 괘효사를 포괄하고, 『역전』은 「십익」을 중심으로 한다. 『역전』 가운데 인간의 실천을 요청하는 유학의 도덕적 질서와 수양론적 의미를 강하게 담고 있는 전(傳)은 「대상전」이다. 「대상전」 이외에 『역전』에서 「단전」, 「계사전」, 「설괘전」 등에도 유학사상의 도덕적 덕목을 천지(天地)의 도(道)와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여 유학적 도덕에 대한 자연적 근거를 세우는 구절들이 반복하여 제시된다. 『주역』 괘효사에는 중도(中道)를 지킴으로써 군무를 잘 수행하는 장수에게 국방을 담당하는 관직의 명령을 내린다든가, 신분을 초월하여 도덕적으로 어진 신하에게 어린 딸을 시집보내는 관례로 도덕성을 우선하는 예법, 천자에게 조공을 바침으로써 신뢰와 유대의식을 지키는 제후의 예 등을 통하여 원시유학의 도덕적 이념을 뜻하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주역』은 주대의 유학이념을 실현시켜주는 관료 체계로서 『주례』의 관직 개념을 원용함으로써, 원시유학 사상의 기반이 되는 정치 제도적 조직으로서 예(禮)를 표준으로 하여 백성들의 삶의 기반을 해결해 주는 유학사상의 원형적 요소를 담고 있다. 『주역』 괘효사에서 주대(周代)에 산림을 관장하는 관리로서 ‘산우(山虞)’라든가, ‘질곡(桎梏)’, ‘반대(鞶帶)’, ‘정정(定鼎)’과 같은 개념은 원시적 유학의 문화적 제도적 조직 체계 속에서 기능하는 유학사상의 기초가 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개념들은 『주역』이 자연의 기계적 법칙과 인사의 도덕적 의리를 결합함으로써 유학사상의 도덕적 정치적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寒岡 鄭逑 『心經發揮』의 경학사상적 특징과 의의

        엄연석 영남퇴계학연구원 2013 퇴계학논집 Vol.- No.13

        본 논문은 조선중기 『심경』연구에 있어서 특수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 는 한강 정구의 『심경발휘』가 그의 경학사상 전체 체계에서 어떠한 의미 를 가지고 있는가를 그 구성 형식과 내용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서 밝혀보 고자 하였다. 정구가 『심경발휘』를 편찬할 때는 정민정의 『심경부주』 체 계에 대한 불만과 함께 이를 넘어서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정 구가 유의했던 사항은 다음과 같이 서로 연관되는 몇 가지 주제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심경부주』에서 정민정이 주희의 만년 정론(定論)이라 고 하여 강조한 존덕성 중심의 공부가 마음의 함양에 절대적인 것이 아 니고 도문학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둘 째, 존덕성과 도문학 공부는 유가적 도덕실천과 함양을 위하여 상호간 번갈아 전제가 되어 어느 한쪽도 없애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는 안 되는 필수불가결한 양면 공부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셋째, 태극과 천리를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우주론으로부터 도문학의 근거를 이 끌어내고자 하였다. 반면 정구의 예학은 첫째, 성리학적 형이상학을 받 아들여 ‘예(禮)’의 보편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인사의 도덕적 실천을 위 한 행동규범의 표준과 실천적 지식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도문학의 내용 과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도문학 공부의 내용을 이루면서도 천리 (天理) 뿐만 아니라 성경(誠敬)과 의(義)에 근거를 둠으로써 존덕성의 본 령공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요컨대, 정구의 예학은 도문학과 균 형을 유지하면서 본령공부로서 경을 강조한 『심경발휘』에 근거하여 도문 학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예론을 전개하고 있다. 『심경발휘』는 그의 예학 의 구체성에 의지하여 존덕성과 도문학의 균형을 유지하는 객관적 정당 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정구의 경학 체계에서 『심경발휘』의 심학과 『오 선생예설분류』로 대표되는 예학은 존덕성과 도문학 공부를 통일시키는 두 가지 핵심 이론으로서 불가분의 유기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규 정된다. 결론적으로, 정구의 『심경발휘』는 성리학의 우주론적 도덕형이 상학과 도덕적 행동의 실천적 표준을 구성하는 예학 사이를 연결하는 중 간 매개 역할을 하는 저술로서 경(敬)과 치지(致知)를 중심으로 하는 도 문학과 존덕성을 포괄하여 마음을 함양하는 근거와 절차를 설명하는 이 론적 체계라고 할 수 있

      • 退溪의『中庸』解釋과 그 특징

        엄연석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5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6

        본 논문은 주희의 『中庸章句』의 관점을 계승한 퇴계의 『中庸』 해석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하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퇴계의 『중용』 해석의 내용과 특징은 『中庸釋疑』를 통하여 그리고 문인들과 문답한 내용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퇴계는 대체로 주희의 『중용장구』의 성리학적 해석 관점을 계승하면서도, 자신의 理氣心性論의 시각을 관철하는 입장에서 『중용』을 해석하고 있다. 퇴계는 박세당이나 이익이 道를 구체적 현실에서의 주체적 실천이나 오륜을 실천하는 덕목으로 보는 것과 달리, 性·道·敎가 형이상학적 실체 또는 규범, 그리고 이들 도리를 닦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그는 『중용』에서의 費隱 개념을 형이상의 원리의 세계의 중층적 구조와 실재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 한편으로 퇴계에서 存養 省察, 戒懼, 謹獨 등을 일관하는 개념으로서 敬은 마음의 본체로서 性과 작용으로서 情을 전제하고 본성으로부터 나오는 감정을 다스림으로써 理를 마음에 확립하고자 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퇴계의 수양론적 관점은 誠과 愼獨을 상제에 대한 종교적 경외심과 복종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정약용의 시각과 크게 대조되는 것이다. 나아가 퇴계는 中和와 中庸을 안과 밖으로 구분하여, 중화가 性情에 유래하여 안으로, 중용은 덕행에서 유래하여 밖이 된다고 보았다. 퇴계가 중화와 중용을 내외로 구분하는 것은 이 두 가지를 형이상과 형이하로 구별하고자 한 것으로, 그의 理氣論 철학과 일관된다. 이렇게 볼 때, 퇴계의 『중용』 해석에는 무엇보다도 일상적 현실에서의 실천성 보다도 形而上과 形而下, 마음의 未發과 已發, 性과 情, 動과 靜, 善과 惡을 구별하는 二元論的 관점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퇴계의 사변적 형이상학적 관점은 실천을 중시하는 박세당, 이익, 정약용 등과 같은 후대의 학자들에 의하여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물질적 욕구와 도덕원칙의 혼돈에 따른 현대적 위기를 해결하고자 할 때, 理를 도덕적 실체로 마음에 확립하고자 한 퇴계의 철학적 입장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is essay intends to illuminate what characteristic of Toegye's interpretation of Chung-yung中庸 succeeded to Chu-hsi's view of Chung-yung Chang-chu 中庸章句.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s of Toegye's commentary of Chung-yung can look through the Chung yung seok yi中庸釋疑 and the question and answer between he and his students. Mostly Toegye not only accepted the neo-confucian viewpoint which Chu hsi朱熹 offered in the Chung yung chang chu¨中庸章句, but also interpreted Chung yung according to his own standpoint of Li chi hsin cheng lun理氣心性論. Toegye understood the nature性·the ways道·the instruction敎 to mean the metaphysical or moral substance, norm, and principle of teaching respectively. However, Park se-dang朴世堂 and Lee ik李翼 regarded the path as a method of man's moral practice or practical virtues of five moral items.五倫. Moreover, Toegye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expansive and secret 費隱 to express the duplicative structure and reality of the metaphysical principle. On the other hand, in Toegye the reverence敬 is a method of culture which is penetrated into the preservation and cultivation存養, reflection省察, caution and apprehension戒懼, and watchfullness over himself謹獨 etc. And it is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by which man tries to establish the principle in the mind by governing the feelings which arise from the nature on the basis of the nature as the substance of mind and the feelings as the operation of it. And then while in Toegye's theory of cultivation the reverence means to govern the mind and feelings and cultivate the nature as the principle being immanent in human mind, Cheng yak-yong丁若鏞 interpreted sincerity誠 and watchfulness over the alone愼獨 in connection with the religious reverence or awfulness and obedience of the Lord-on-High. Further in response to the Yulgok's question to suspect that equilibrium and harmony中和 and the mean中庸 can not be divided into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Toegye viewed equilibrium and harmony as the internal by being derived from nature and feelings, the mean as the external by being originated from virtuous conduct. That is to say, Toegye divided equilibrium and harmony and the mean respectively into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This means that he tried to distinguish these two into that which belongs to the realm 'above shapes'形而上 and which belongs to the realm 'within shapes'形而下. And Toegye's view as this is consistent with his theory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s理氣論. Viewed as this, the dualistic sight in which one discriminates that which belongs to the realm 'above shapes'形而上, from that which belongs to the realm 'within shapes '形而下, mi-fa未發 of the mind from yi-fa己發 of it, nature from feeling, movement from calmness, good from evil in preference to practice in ordinary life is reflected in Toegye's commentary of Chung-yung as such. The criticism against Toegye's view by such scholars as Park se-dang, Lee ik, and Cheng yak-gong, who made the moral practice or virtuous conduct be important, mostly arises from Toegye's contemplative and metaphysical point of view. However in respect that we try to resolve the contemporary crisis being caused by the confusion between material desires and the moral principle, Toegye's philosophy which tried to stand the principle as the moral substance firm in the mind has a very important significance.

      • KCI등재

        황윤석(黃胤錫)의 『이수신편』(理藪新編)에 나타난 이수역학의 문화다원론적 독해

        엄연석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論叢 Vol.80 No.3

        본 논문은 조선후기 서양 자연과학을 적극 수용하면서도 전통 성리학의 세계관을 유지했던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의 『이수신편』(理藪新編)에 반영된 이수역학의특징을 문화다원론적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서양 자연과학과 천문역법을받아들이면서도 성리학적 세계관을 함께 유지했던 그가 전통 유학의 도덕적 실천론과서양과학의 자연학과 실용학을 융합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자연학과 도덕학을 담고 있는 『성리대전』을 수정 재편집한 황윤석의 『이수신편』은 서양 자연과학을 조선에 수용한 시대적 요청의 결과였고, 그의 학문적 방향을 결정지은 저술이었다. 그는 형이상의 본체와 형이하의 작용을 하나의 전체로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이것은 보편적 원리를 특수한 현상세계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찾고자 하는 것으로 현상 세계의 다원적 양상을 포용하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그는 오행과 팔괘를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는데, 이것은 자연의 생성변화를 매개로 오행(五行)과 팔괘(八卦) 로부터 이루어지는 이수(理數)의 다양한 의미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황윤석은 세계여러 지역의 지리적 특성이 지니는 상대적 다양성을 강조함으로써 문화다원론적 지향을보여 주었다. 그의 이수역학은 기본적으로 전통 유학과 성리학의 도덕적 목표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자연학적 기초로서 자연세계에 대한 경험 과학적 법칙에 대한 인식을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이수역학은 도덕적 정치적 이상사회를 이루기 위하여경험적이고 실용적인 수단을 탐구하는 의미를 가진다. 요컨대, 『이수신편』의 편찬을 통한 황윤석의 학문적 지향은 전통 유학 및 성리학의 도덕적 세계관과 근대의 실용학과 자연학을 병행 또는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일관된 체계를 구성하고자 한 점에 특징을 지닌다. 『이수신편』의 체계는 전통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자연학과 도덕학, 『주역』의 이수역학에 기초하여 서양과학과 문물, 동아시아의 문화 등 특수하고 다양한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진다는 점에서 문화다원론적 함의를 지닌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mechanics reflected in Yisusinpyeon by Hwang Yun-seok, Leejae, who actively accepted Western natural scienc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maintained the worldview of traditional Neo-Confucianism, through cultural pluralism. This point of view is highlighted in the paper. Furthermore, while accepting Western natural science and the astronomical calendar, he maintained the NeoConfucian worldview together, and examined the aspect of integrating the moral practice theory of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the natural sciences and practical studies of Western world. Hwang Yun-seok’s Yisusinpyeon revised and reedited Seongnidaejeon, which contained the metaphysical physics and morality of Neo-Confucianism, was the result of the demand of the times following the acceptance of Western natural sciences in Joseon. Hwang Yun-seok understood the body of the metamorphic and the action of the sub-metamorphic as a whole with continuity and an organic connection. This is meant to embrace the plural aspects of the phenomenal world by seeking universal principles in the diverse changes of the particular phenomenal world. He regards the Five Elements and the Eight Trigrams as having continuity, which he tried to explai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number of degrees formed from the Five Elements and the Eight Trigrams through the medium of the change in nature. Hwang Yun-seok embraced cultural diversity by emphasizing understanding of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regions of the world. The description of thes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has implications for cultural pluralism. His Yisuyeokhak is basically oriented toward the moral goal of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He valued the recognition of the empirical scientific laws of the natural world as a natural basis for his moral goals. Therefore, his mathematics has the meaning of exploring empirical and practical means to achieve a moral and political ideal society. In short, the significance of Hwang Yun-seok’s academic orientation through the compilation of Yisusinpyeon can be found in that he tried to construct a consistent system by having the moral worldview of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modern practicality and natural science in parallel or continuity. The system of Yisusinpyeon has the purpose of actively accepting special and diverse cultures such as Western science, cultural relics, and East Asian culture based on the metaphysical natural sciences and morals of traditional Neo-Confucianism and the Yisuyeokhak of the Book of Changes, which has cultural pluralistic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