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故事成語의 분류체계 연구― 韓⋅中 故事成語를 중심으로

        민관동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8 No.-

        Idiom is a concept classified into an ancient event and general idiom by the existence of ancient event. also a four-character idiom is classified idea according to the number of letters, which all of these could be embrace as Chinese character idiom. As such, every idiom should not be regard as same notion. Idioms were made through various production principles, mainly originated from the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he novel, prose, poetry, and plays were variously originated in literature. Among them, there are many novels that originate idiom, especially from 三國演義San-guo-yan-yi and 世說新語Shi-suo-xin-yu. When it comes to history, the idiom itself have a historical bygones that produced the large number of idiom. Of that, 史記Shi-Ji have many idiom to be called as repository of idiom. In addition, at Taoist ideology 莊子zhuang-zi⋅列子lie-zi⋅韓非子han-fei-zi, and Confucian ideology 論語lun-yu⋅孟子meng-zi have originated many idiom from philosophy and religion scripture. The Chinese idiom was introduced into Korea and accepted, transformed through various methods. Of course, most of them were accepted, used as same Chinese characters and meaning, but there are considerable number of idiom that have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and meaning. Furthermore, there are Korean idiom that even the Chinese do not know. 故事成語는 故事性의 有無에 따라 고사성어와 일반성어로 분류된 개념이고, 또 四字成語는 글자 수에 따라 분류된 개념으로 이 모든 것을 포괄하는 것이 漢字成語이다. 그러기에 모두를 동일한 개념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 다양한 제작원리를 통해서 만들어진 고사성어는 주로 文學⋅史學⋅哲學 위주의 전적들에서 유래되었다. 문학에서는 소설⋅산문⋅시⋅희곡 등 다양하게 유래되었는데 그중 소설이 가장 두드러진다. 특히 백화통속소설 《三國演義》와 문언소설 《世說新語》에서 유래된 것이 많다. 역사에 있어서는 故事成語 自體가 歷史故事性을 가지고 있기에 가장 많은 고사성어를 만들어 냈다. 그중 《史記》는 고사성어의 寶庫라 할 만큼 압도적으로 많다. 또 철학 및 종교의 경전에서는 道家의 《莊子》⋅《列子》⋅《韓非子》와 儒家의 《論語》와 《孟子》 등에서 많은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중국 고사성어는 국내에 유입되어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수용과 변용이 이루어졌다. 물론 동일한 한자와 동일한 의미로 수용되어 사용된 것이 대부분이지만 다소 변형된 한자와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도 상당수 있다. 또 심지어는 중국인조차도 모르는 한국형 고사성어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 KCI등재

        바리공주 서사무가에 나타난 한국 목련고사 유전

        노중방(Noh Joong bang)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5 No.-

        이 논문은 한국 목련고사 유전 상황을 밝히기 위해 바리공주 서사무가와 목련고사를 비교 연구하였다. 목련고사란 불교 우란분재와 함께 전승되었던 목련의 지옥구모 고사를 말한다. 이 고사는 인도에서 발원하였고 중국에서 발전하여 한국과 일본에까지 전승되었는데, 유전의 시기가 상당히 오래되었고 불교와 민간에 널리 전래되어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되어왔다. 한국의 목련고사는 주로 『불설대목련경』을 중심으로 불교와 민간에서 유전되었다. 이 판본은 변문과 유사할 뿐만 아니라 대본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판본이어서 그 유전 과정이 상당히 주목되었다. 그런데 무속에서도 바리공주 서사무가가 목련고사를 모방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 무속은 그 유파가 많고 무의례 또한 다양하여 연희창 형식으로 진행되는 굿판은 공연적 성격이 짙다. 서사무가 바리공주가 목련고사의 내용을 모방하여 연희창의 형식으로 공연의 성격을 포함한 제의로써 진행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목련고사와 그 연행이 불교계를 넘어 무속에서도 활발히 전승되었음을 증명해준다. 기실 한국의 무속은 지옥관념이 부족하여 주로 불교에서 습합의 형식으로 빌려와 자신의 모습으로 변용하였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불교 목련고사는 모방대상의 최고 우선순위에 있었던 것이다. 중국의 도교 법사희도 불교 목련고사의 연행을 모방한 사실이 있었다. 중국은 초기 변문을 통해 매년 우란분재 때 사찰에서 목련희 공연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 유행의 정도는 지금과 같지 않아 일 년 중 상당히 중요한 행사로서 성대히 진행되었다. 이러한 불교계의 목련고사 전승이 해마다 큰 호응을 얻으며 전승되자 도교의 법사들이 불교 공연 형식의 법회를 빌려와 자신들에게 맞게 변용하여 공연과 도법활동이 융합된 새로운 형식의 목련희 공연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이 도사 법사희는 공연 속에 제의 의식이 들어가 있는 것이며, 제의 과정에 목련희 공연이 진행되었다. 이 도법 형식의 공연이 끝나면 공연의 주제자는 망자가 지옥에서 벋어났다고 믿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바리공주 서사무가가 불교 목련고사를 모방하였던 사실은 중국의 도교 법사희의 탄생과 상당히 흡사하다. 한국 역시 불교계의 우란분재 때 목련고사 관련 공연이나 법회가 크게 성행하였는데, 이것을 무속에서 모방하여 기존 바리공주의 원형고사에 목련고사의 구성이나 내용까지 포함시켰다. 이러한 바리공주 서사무가는 무속의 씻김굿 속에서 구연되고, 이 공연격의 구송 과정이 끝나면 망자가 천도된 것으로 여겼다. This thesis is analysis of Mokryeon old story transmit the Bari princess comparative studies. The Mokryeon old stories were saved his mother hell, were transmitted when was held in Uranbunjae ceremony This stories were started in ancient China, has been handed down to Korea and Japan. It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in Buddhism and folks. The Korean Mokryeon old stories were transmitted around Bulseoldaemoklearyeankyeong in Buddhism and folks. Bulseoldaemoklearyeankyeong was similar to Byeonmun, and could used with a script. But Korean Mokryeon old stories were imitated in ancient shamanistic Princess Bari celebrations. Korea shamanism is that there are many sects that are free courtesy Gutpan also goes to various type of performances over the concert format. Princess Bari was to emulate the contents of the Korean Mokryeon old stories proceed as proposed, including the nature of performances by concert format. This fact proves that makes the Korean Mokryeon old stories detained beyond the term and its Buddhist traditions active in shamanism. Chess shamanism in Korea is mainly due to lack of Hell notion borrowed in the form of Buddhism in the Buddhist tradition transformation were in the Korean Mokryeon old stories yourself in this situation is that imitation was the highest priority of the target. Taoist of China were also dilute the fact that mimics the arrest of Buddhist Mokryeon old stories. At the time, China has been conducting inspections at the Mokryeon old stories concert when Wooranbunjae annually through Byeonmun.. It was conducted as fairly important event of the year. The Moklearyean old stories of this Buddhist tradition, each year will impart a great response Taoist tradition they made the transformation to lend a Buddhist form of these performances with their performances and projection activity according to a new form of fusion Mokryeon old stories concert. Therefore, the memorial ceremony have entered into the consciousness performances, the performances will be conducted in the Mokryeon old stories concert. After the performances of the Taoism format of the show the host was believed that the dead were escaped in hell. In fact, in the west advantages Korea Princess Bari who imitate the dead is quite similar to the Buddhist Mokryeon old stories birth of a rare Taoism of China. Korea also Wooranbunjae of Buddhism were prevalent when a large magnolia performances and Buddhist-related mortality, which would mimic this in shamanic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r content of Mokryeon old stories of the prototype Princess Bari. Princess Bari This office is standing in the way Ssitgimgut playing in shamanism, the end of the show informal process was considered to be has been nectarines.

      • KCI등재

        영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자동차고사와 속신

        황경숙(Hwang Kyung-Suk)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2 No.-

        자동차와 관련된 고사문화, 속신문화는 근대 이후 새롭게 형성된 산생된 신생민속 중 하나다. 본고에서는 자동차 운송업계 종사자들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되고 있는 자동차고사와 속신문화에 내재해 있는 민간 신앙의 전통과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하였다. 자동차 운송업계에서 행해지고 있는 자동차고사는 두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새로 차를 구입하였을 때 행하는 고사이며, 다른 하나는 운행 중 손님이 격감하거나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행하는 고사이다. 현행되고 있는 두 유형은 모두 재액의 근원이라 관념되는 부정적 귀류와 사기를 위무하거나 주물로 제압하여 물리치고자 하는 주술적 벽사의례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고사에 소용된 주물은 이후 수호부적으로 활용된다. 자동차고사는 전통사회의 액막이고사의 제의방식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 이는 자동차고사가 전통사회에서 형성 전승되어 왔던 액막이고사의 전통 속에서 배태되었음을 말해 준다. 그런데, 대상신에 대한 관념이 약화되고 전통적 제의공간에 대한 인식이 변모되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자동차고사에 나타난 근대적 문화요소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자동차고사와 속신은 개인의 안위를 도모하는 의례를 넘어서 소속된 혈연적, 사회적 집단 간의 친목과 일체감을 도모하는 사회적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속신은 집단적 끼리 문화의 단면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민속문화다. 자동차 운행을 생업으로 하는 운전자들 경우 자가 운전자들과 달리 안전 운행과 관련한 속신들이 팽배해 있다. 현전하는 속신 중 상대적으로 강한 전승력을 지니고 있는 속신은 첫손님으로 하루의 운행 운수를 가름하는 예조와,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일상적 금기, 귀신손님과 헛깨비 차와 헛깨비 보행자에 대한 이방 등이다. Based on the field survey findings among taxi drivers and bus drivers in Busan a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raditional religion and its modem transformational procedures by considering the aspects of sacrificial rites for vehicles and the cultures of divination and taboo related vehicle service. Beyond the limits as the past study placed too much importance on relic culture, the recent study of folk beliefs has focused on establishing a new academic status as the current study which examines all the aspects of traditional culture of modem and present society. However, by putting stress on seeking a theoretical basis, the objective case analysis study in all situations of both modem folk and city folk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cultures of sacrificial rites and folk beliefs related vehicles as a newborn folk have been the noticable situations of city folks since modem times, among the academic world, the substantial research findings, including the sacrificial rites for vehicles and the culture of folk beliefs, are totally lacking. Consequen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objectively seeks to the academic basis of city folk study. The organization system and content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 It deduced the types of performed sacrificial rites for vehicles, and examined the proposal form of sacrificial rites, the symbolic meaning of time and space of proposal, the aspects of fetish and the principle of incantation step by step. Through the contradistinctive examin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sacrificial rites it studied the tradition of sacrificial rites and its modem transformational procedures. 2. It patterned the divination and folk beliefs related vehicle service, such as cases regared as affecting service among daily experienc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first customer and service, the tabooed first customer, and taboo cases that drivers keep for the sake of safe drive, and analyzed the internal meaning. 3. It provided the social and cultural function, meaning of sacrificial rites, and the culture of folk beliefs.

      • KCI등재

        양축고사(梁祝故事)의 변용 양상 연구

        이주노,임지영 한국중국어문학회 2007 中國文學 Vol.50 No.-

        這篇論文通過各種梁祝故事有關的記錄, 要考察梁祝故事的變容. 梁祝故事基本上具有着“祝英臺的男裝求學”--“梁祝的同門修學”--“梁祝愛情的挫折”--“梁山伯的死亡和祝英臺的殉死”的情節, 還有“化蝶”和“還生”的母題添加. “化蝶”的母題隨着故事的空間從“上虞-會稽”轉移到“宜興-蘇州”出現, 而“還生”的母題集中出現在明淸代流行的說唱文學的文本. “化蝶”的母題最近仍是做爲“愛情的完成”被愛用, 而“還生”的母題却在二十世紀的文本里?少利用. 梁祝故事里的故事當初不過是將故事的神異性强調的設置, 可是漸漸發展爲將現實性和娛樂性增强的手段. 故事的人物也當初以梁祝兩個人爲中心, 具有點兒類型化的毛病, 但是隨着情節更複雜而事件更多樣, 人物的性格化也深刻了. 隨着事件的進行和人物性格的變化, 梁祝故事的葛藤結構也變爲社會結構的問題或階級、權力的問題. 有關梁祝故事的文本里面, 以一般大衆爲主要讀者的民間藝人的作品比以有文化的士君子爲讀者對象的正統文人的具有更豊富的內容. 這是因爲通俗的文學類型旣有?多的機會?一般大衆的文學想像力, 又具有合適的形式可能消化這文學想像力.

      • KCI등재

        한국 근대 고사인물화 병풍의 한 가지 예: 韓維東 筆 《故事人物圖》 병풍

        장준구 미술사연구회 2022 미술사연구 Vol.- No.42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ent, method of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osa Inmuldo folding screen produced by Han Yudong (1913~2002) in 1947. This is a valuable example of the representative style of Gosa Inmulhwa (figure painting of old stories) in the modern era. It demonstrates that the Gosa Inmulhwa approach, which was derived from paintings produced within Shanghai in China, had been popular in Korea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Gosa Inmulhwa depicts historical figures from various periods in China, such as Wang Xizhi and Ni Zan, in fine lines and colors on a long folding screen, from edge to edge. Modern Gosa Inmulhwa inherits the contents and expression method of classical paintings through the works of Jang Seungup, An Choongsik, Cho Seokjin, and Kim Eunho. It also reflects the change of approaches to figure painting over the course of time. The Gosa Inmulhwa, including Han Yudong’s Gosa Inmuldo folding screen, was a very traditional genre in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Korea. Gosa Inmulhwa was rarely exhibited at the Joseon Art Exhibition, which was a prestigious art contest in Korea. At that time, ink-and-wash color paintings tended to emphasize realistic drawings whereas oil paintings were heavily influenced by Modernism. However,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interest in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ed, there was a considerable demand for traditional works, such as the Gosa Inmuldo folding screen. It was continuously used for the purpose of decorating or praying for luck in daily life in Korea. The Gosa Inmuldo folding screen, painted in 1947 shortly after liberation, reflected the expression and character of the Gosa Inmulhwa genr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Gosa Inmulhwa folding screens were typically manufactured in various widths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therefore they were often sold separately and divided into separate secti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fully examine the entire image, as depicted on the original object. In this context, Han’s Gosa Inmuldo folding screen is even more meaningful, because its scenes are fully intact over ten sections. 본 논문은 1947년에 제작된 韓維東(1913~2002)의 《故事人物圖》 병풍의 내용 및 표현방식, 성격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 작품은 근대기 고사인물화의 전형을 온전히 보여주는 귀한 사례로 중국 上海 지역의 회화를 토대로 19세기 말부터 한국에서 유행했던 고사인물화가 20세기 전반까지 이어져 온 모습을 보여준다. 王羲之, 倪瓚 등 중국 각 시대의 저명한 인물들의 고사를 위아래로 긴 화면 속에 세밀한 선과 고운 색으로 그려냈다. 張承業, 安中植, 趙錫晉, 金殷鎬로 이어지는 고사인물화의 내용과 표현방식을 계승하면서도 시대의 흐름에 따른 도상의 변모도 반영하고 있다. 한유동의 《고사인물도》 병풍을 비롯한 고사인물화는 20세기 전반의 상황에서 매우 전통적인 것이었다. 유력한 공모전이었던 조선미술전람회에 고사인물화와 같은 작품은 손에 꼽을 정도만 출품되고 있었음은 이를 잘 보여주는 단면이다. 당시에는 수묵채색화에서조차 데생력이 강조된 사실주의적인 회화가 그려지고 있었음은 물론 유화에서는 모더니즘 계열의 작품도 제작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전통과 근대가 교차하던 20세기 전반의 상황 속에 《고사인물도》 병풍과 같은 전통적인 작품의 수요는 사실 적지 않았다. 일상생활에서 치장 혹은 축수를 위한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던 것이다. 해방 직후인 1947년에 그려진 《고사인물도》 병풍은 바로 그러한 20세기 전반 고사인물화의 표현방식과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근대기 여러 폭으로 제작된 고사인물화 병풍의 경우 분리된 채 한 폭씩 나뉘어 표장되어 별도의 경로로 유전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 전모를 온전히 살펴보기 어려운 편이다. 《고사인물도》 병풍은 10폭이 온전히 전해지고 있는 사례이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

      • KCI등재후보

        고사소리패의 양상과 고사소리

        김현선(Kim Heon-Seon),신소연(Shin So-Yeo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4

        이 논문은 한국의 고사소리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다. 한국 고사소리는 마을의 농악대를 비롯한 특정한 유랑예인집단이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고사소리의 양상이 고사소리패와 일정한 관련을 가지면서 다양하게 발전한 것을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고사소리패의 양상을 정리하면서 이들의 고사소리를 집중적으로 조명한 것이 이 글의 결과로 정리되었다. 고사소리는 서울 지역의 경우에 크게 경토리로 하는 관악산조의 고사소리와 메나리토리로 하는 치악산조의 고사소리를 구분하여 말할 수 있다. 이 소리가 고사소리의 전부를 말하는 것은 아니지만 한양-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고사소리패의 고사소리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고장에서는 전혀 다른 고사소리가 있어서 여기에서 다루는 고사소리의 양상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고사소리는 고려시대부터 흔적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그 구체적인 기원은 조선후기를 중심으로 현재의 고사소리와 비슷해진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으로 조선후기의 고사소리는 오늘날의 고사소리와 근접하고 유랑예인집단의 고사소리와도 중요한 일치점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걸립패의 고사소리가 현재의 고사소리패와 근접한 것임을 분명하게 인지할 수가 있다. This paper contains an inquiry into the sound of Korean Mantic Song(Gosasori). It is supposed to be done by a group of specific entertainers incuding the village band of the villag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spect of the sound of Mantic Song(Gosasori) has variously developed with a certain relation with the sound of Mantic Song(Gosasori) and the group of the sound of Mantic Song(Gosasori). Especially, this paper summarizes the aspect of the sound of the loudspeakers around the Seoul area, and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se intensive lectures. In the case of the Seoul area, Mantic Song(Gosasori) sound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sound of the sound mode of Gwanaksanjo, which is largely a Gyeongtori, and the sound of Chiaksanjo sound mode, which is a Menaritori. This sound mode does not mean the whole of the sound of the Mantic Song(Gosasori),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sound of the mode with the center of Hanyang - Seoul. In other faults, there are totally different sounds, so it is different from the aspect of the sound of Mantic Song(Gosasori). Historically, the sign of Mantic Song(Gosasori) began to appear from the Goryeo period, and its specific origin seems to be similar to that of the present Mantic Song(Gosasori)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Historically, it seems that the latter s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dose to the sound of the old dynasty and the sound of the dynasty of the dynastic group has an important point of coincidence. It can dearly be seen that the sound of the gardens is dose to the sound of the old gardens.

      • KCI등재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고사염불의 양상과 음악사적 의의

        김인숙 한국국악학회 2015 한국음악연구 Vol.58 No.-

        이 글의 목적은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고사 염불 소리’의 명칭과 종류를 파악하여 오늘날 전승되는 음악과 대비하여 보고, 거기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불교가 바탕이 된 축원과 덕담의 성격을 띤 고사 염불 소리는 유성기음반에 50면이 넘게 녹음된 것으로 집계된다. 유성기음반에 녹음된 고사 염불 소리의 명칭과 내용은 분명하게 구별되는 경우도 있고, 같은 음악으로 보이지만 다양한 이름으로 발매된 경우도 나타난다. 고사 염불 소리 가운데 유성기음반의 <고사선염불>과 <오조>는 오늘날과 같이 그 명칭이나 내용이 뚜렷하여 비교적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뒷염불>이라는 곡명은 1건(Okeh1829A)만 발견되는데, <축원>, <덕담> 등의 명칭이 더 많이 쓰였다. 이 <뒷염불>은 짧게 녹음되어 그 음악적 정체성을 알기 어려워 <평염불>이나 <반멕이> 등과 더불어 심화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회심곡>의 명칭이 가장 많이 등장한다. 그러나 오늘날 쓰이는 <평염불>이라는 명칭은 한 건도 찾을 수 없어 당시 <평염불>의 명칭은 널리 쓰이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회심곡>은 부모은중경을 담은 장편의 노래도 취입되었으나 많은 경우 축원, 덕담의 내용으로만 짜여 있어 <평염불>이나 <뒷염불>의 일종이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뒷염불>과 <평염불>, <회심곡>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반멕이>는 하용남이 부른 2건의 자료가 전부이다. <반멕이> 역시 <뒷염불>이나 <회심곡>과 노랫말을 공유하고 있어, 독립된 하나의 곡목인지 혹은 ‘반멕이조'(banmegi style)인지에 대해서는 확인될 필요성이 있다. 유성기음반을 통하여 염불 <회심곡>에서 소릿조의 <회심곡>이 나온 것을 재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소릿조의 <회심곡>이 시간적 흐름에 따라 음반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새롭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결국, 명칭이나 악곡 내용에서 <뒷염불(덕담)>과 <반멕이>, <회심곡> 등의 소리는 사설 내용이나 음악적 성격을 공유하는 부분이 많아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확인하게 된다. 유성기음반에는 본래의 고사 염불을 비교적 온전하게 담은 경우도 있지만 거의가 3~6분의 짧은 분량으로 녹음되어 원형을 추측해야 하는 난점이 있다. 선후창으로 부르는 <뒷염불>, <반멕이>나 합창으로 하는 <오조>를 독창으로 부른 경우도 있어 실제와 일정한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구한말 이래 전승되어온 고사염불의 다양한 소리가 유성기음반에 녹음돼 향후 고사염불에 대한 연구 자료로서 큰 가치를 갖는다는 사실이 새삼 발견된 것은 의미가 크다. This thesis aims to verify titles and types of 'Kosayumbul(Chanting at rituals)', compare them to the other music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and set a new direction in research concerning what has been discovered. Kosayumbul has characteristics of blessings and words of wishing, coming from a background of Buddhism, with more than 50 such recordings in the gramophone records. Titles and contents of Kosayumbul distinguished in some cases, but also it had been released under different names even though those seem to be same music. Among the music of Kosayumbul, <Kosasoenyumbul> and <Ojo> are somewhat easily distinguished because both of them have clear titles and contents like today's music. The title of <Tuityumbul> appeared only once(Okeh1829A), so it is assumed that it was used with other titles, such as <Blessings>, <Words of wishing>. The title <Hoesimgok> appeared most frequently, however the title <Pyongyumbul> which is being used today was not used at all; it is thought that the title of <Pyongyumbul> is not very popular those days. The title <Banmegi> appeared only twice, also it shares lyrics with <Tuityumbul> or <Hoesimgok>, thus it needs to be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song, or to be defined as just 'Banmegi style'.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gramophone records that <Hoesimgok> as a folk song was derived from Yumbul <Hoesimgok>. Also, <Hoesimgok> as a folk song has to be newly reviewed as to how it is embodied in the record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 Concrete study must proceed for music of <Tuityumbul>, <Dokdam>, <Banmegi> and <Hoesimgok>, having some parts which share story contents as well as musical characteristics. In some cases, the original chanting rituals were recorded in their entirity in gramophone recording; however, most of them were recorded for very short period of time like 3-6 minutes, so the original form has to be speculated upon. Usually <Tuityumbul>& <Banmegi> are sung as ‘call and response’, and <Ojo> is sung as unison, though there is some distance from the original in that some of these songs were recorded as solo version. Yet, the significance is to affirm that the music of Kosayumbul is comparatively handed down unimpaired to present since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By having recorded and documented various kinds of Kosayumbul, gramophone recordings are valued highly as research materials on Kosayumbul.

      • KCI등재

        한국 근대 故事·道釋 人物畵 연구

        박나라보라(Park Narabora)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美術史學 Vol.- No.27

        인물화의 한 형식인 故事·道釋 人物畵는 독립된 화목으로서 일제강점기 동양화단에서 전통형식을 기반으로 하여 전 시기에 걸쳐 제작되었다. 근대기 제작된 고사·도석 인물화는 다른 회화장르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전통 양식 기반과 외부로부터 다양한 영향을 받으며 전개되었다. 특히 화풍과 연원에 있어 조선 후반기 화원화풍의 계승과 영향관계가 주목된다. 18세기 檀園 金弘道(1745-1806이후)와 화원들이 형성한 화풍은 19세기에 이르기까지 도화서 출신의 화원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나, 세도정치에 따른 왕실권위의 약화와 秋史 金正喜(1786-1856)와 小癡 許鍊(1808-1893)으로 대표되는 남종문인화가 화단에 강력한 화파로 작용하면서 당시 유행한 남종문인화풍을 절충한 고사·도석 인물화가 제작되었다. 이전의 고사·도석 인물화가 속기 없는 사의적인 화면을 보여주었다면, 19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점차 기교가 세밀해지며 채색을 사용하는 새로운 미감의 고사·도석 인물화가 제작되었고, 이들과 거의 동시기에 활동한 吾園 張承業(1843-1897)에 와서 한층 강화되었다. 장승업은 淸末 上海地域 화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강한 설색과 발묵법을 이용하여 근대 고사·도석 인물화의 전형을 이루고, 心田 安中植(1861-1919)과 小琳 趙錫晉(1853-1920)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형과 양식이 형성되며 근대화단으로 계승된다. 그러나 1894년 갑오개혁으로 인해 도화서가 폐지되면서 서화계는 상업성을 띤 직업화가의 등장과 함께 공중미술로 전환을 맞게 된다. 사적인 영역에서 공적인 영역으로 재편된 미술은 대중매체를 통해 揮毫會와 展覽會가 보도되면서 일반인들에게도 미술문화 활동이 인식되어 전시가 개최되고 후원자가 작품을 사주는 작품매매 관행이 생겨나 새로운 미술시장이 형성되었다. 특히나 고사·도석 인물화는 오랜 세월 전해온 문학, 종교, 일화 등에 폭넓게 인식되어진 내용들이 많기 때문에 현실세계에서 요구되는 부와 명예, 장수의 현세 기복적 그림들로 그려지며 다양한 상징성이 수요층과 부합되었다. 1920년 이후 제작된 고사·도석 인물화는 안중식과 조석진 死後 그들에게 서화를 배운 동양화단의 2세대 화가들에 의해 제작이 되며 다양한 양상과 진전을 이루게 된다. 고사인물화는 다양한 주제들이 그려지며 그 가운데 문인과 관련된 내용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도석인물화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종교적 성격이 감소하고 의미가 확대되면서 현실적이고 세속적인 인간의 재난을 막고 복을 기원하는 등 길상화의 측면이 강조된다. 고사·도석 인물화는 주제와 내용에 따라 도상이 정형화되어 있으나, 1930년 이후 畵譜나 다른 작품을 참고하고 변화를 주어 근대 동양화단의 작가들에 의해 재해석되고 유형화되며,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들어온 일본화풍으로 인해 채색과 색면을 통해 감각적이며 부드러운 화면을 표현한다. 이와 같이 근대 고사·도석 인물화는 일제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수묵채색화의 전통회화를 바탕으로 동양화단의 2세대들에 의해 독자적인 화풍을 형성했으며 서구미술과 일본화가 정착하던 근대 화단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想像的美學 : 新詩呈現的民間故事意象

        金尙浩(Kim Sang-Ho) 동아인문학회 2009 동아인문학 Vol.16 No.-

        소위 말하는 민간(民間)고사는 일정한 지역 내에서 확산되어 민중에게 전파되는 구두(口頭)적인 활동이며, 그것은 구두표현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표현 과정이다. 언어는 창작문학의 기본조건으로 완벽한 언어 계통을 갖추고 있는 어떠한 민족도 상상을 운용할 수 있으며 언어기록과 전달의 기능을 빌려 그 감정과 사상을 표현한다. 민간은 두 가지를 포함하는데 그 하나는 사회공간에서 생활하는 모든 민중, 둘째는 민중의 생활 영역과 정신세계이다. 민간은 영원히 존재하는 사회적 실체의 하나로 민간고사와 전설, 신화는 일반고사와는 다르다. 그것은 하나의 민족이 오랫동안 반영해온 풍속과 사상을 반영하고 있으며 하나의 문화 속에서 가장 통속적이며 가장 정교한 부분이기도 하다. 중국 최초의 시가총집 《시경》 중에 대화체는 민간가요에서 유래한 것이며, 훗날 시가 출현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에 반해 현대시인의 작품은 문화의 시각에서 느끼고 바라보며, 체험하는 생명의 세계로 그들만의 독특하고 심미적인 정취가 형성되어 있다. 시적 이미지의 구조상 시인이 선택한 것은 대부분이 자신에게 익숙한 민간고사이고, 또 언어의 운용상에 있어서는 시인이 자주 사용하는 살아있는 민간특색 언어로 서정을 묘사하고 있다. 그들은 人口에 膾炙되는 민간고사로서 형상을 비유해 자기만의 독특한 비유예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누구도 부인할 수는 없는 것은 口頭性 자체야 말로 민간문학에서 가장 잘 들어난 특징이라 하겠다. 다시 말해 민간문학은 소리로 전달되어 온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논문에서도 예를 들고 있지만 특기할만한 사항은 다민족으로 구성된 대만은 특수적인 역사요소로 인해 민간고사에 있어 특이할만한 보물섬이 되었다. 대만의 민간고사는 다민족이라는 民俗文化의 틀 속에서 자생되거나 빠르게 사라지기도 하여 갈수록 주목을 받고 있다. 사실 대만 민간고사의 수집과 발견 및 그 의의는 고사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다. 고사에서 출발하여 민속과 민심을 거치는 과정에서 대만 당대의 생활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민중의 심리와 소원도 동시에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고사일 뿐만 아니라 문화인 동시에 사회현실의 반영이 아닐까? 본고는 현대시에 나타난 민간고사를 주요대상으로 삼아 “단순식 이미지”와 “복합식 이미지” 두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