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齊藤明美(사이토아케미)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일본문화연구 Vol.33 No.-
일본에 있어서 1944년 봄에 결성된 「국어학회」가 60해를 맞이한 2004년 1월1일에 「일본어학회」라고 명칭을 바꾸었다. 또 「국어학회」설립 후, 조금 뒤인 1948년 10월에는 「국어학회」의 기관지로 『국어학』이 간행되었고, 이것은 통권 220호 (2005년 1월)부터는 『일본어의 연구』라는 이름으로 간행되고 있다. 학회명을 「국어학회」에서 「일본어학회」로 변경하고, 학회지명을 『국어학』에서 『일본어의 연구』로 변경한 것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그 논의를 통하여 일본에 있어서, 일본어 연구의 실상과 문제점이 밝혀짐과 동시에, 현대 일본에 있어서 「국어학」과 「일본어학」이라는 말이 가지는 의미가 밝혀졌다고 생각된다. 본고는 일본에 있어서 「국어학」과 「일본어학」이라는 말이 가지는 의미와 개념에 대해서, 그리고 국어학회의 결성 및 학회명 변경에 따라 행해진 논의를 중심으로 언급한 것이다.
임우경(Im, WooKyung) 동아시아일본학회 2022 일본문화연구 Vol.- No.81
본 논문은 전후 일본, 한국, 대만에서 잇달아 설립됐던 군 위안소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2차 대전 후 유독 동아시아에서 성매매근절이라는 국제적 흐름을 거스르는 군대 성매매업소가 등장하게 된 역사적 맥락을 분석한다. 기본적으로 동아시아 군 ‘위안소’의 연쇄는 2차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소’ 제도의 부활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일본의 패망 이후에도 철저한 일제 청산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더 중요한 원인은 전후 동아시아 냉전질서 구축과정에서 찾아볼수 있다. 한반도의 분단과 전쟁, 중국의 국공내전과 국민당의 대만 패퇴 등 한반도와 중국 양안의 분단 및 전쟁이야말로 전후 동아시아 군 위안소의 연쇄를 발생시킨 가장 직접적인 배경이었다. 일본군 ‘위안소’는 전후 일본의 미군 특수위안시설협회로, 한국의 한국군특수위안대와 연합군위안소로, 대만의 국군특약다실로, 그리고 아시아 각지의 미군기지촌으로 부활했다. 그렇게 보면 20세기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 편으로 군 위안소 연쇄의 역사였다고 할 만하다. 군 위안소 연쇄의 역사는 동아시아에서 식민주의 및 제국주의 전쟁이 전후로도 이어졌다는 것, 즉 서구에서 ‘긴 평화의 시대’로 일컫는 냉전시대에도 전쟁이 끊이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반증이다. 아직도 오키나와나 한국 등에 남아 있는 기지촌은 그 전쟁이 21세기에 들어선 지금까지도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것이 일본군 ‘위안소’ 문제를 어느 일국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동아시아라는 지역적 차원에서, 그리고 식민주의 문제만이 아니라 냉전의 문제로도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This paper briefly examined the series of contexts in which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center” did not disappear and revived even after the war.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center” was revived as Japan"s US military special comfort facility association after the war, Korea"s Korean military special comfort zone and allied comfort center, Taiwan"s military special contract tea room, and U.S. military base villages in various parts of Asia. In that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he 20th century was, on the one hand, the history of the military comfort center chain. The history of the military comfort center chain is a disproving that the war continued before and after the colonial and imperialist wars in East Asia, that is, even in the Cold War era, referred to as the “era of long peace” in the West. Base villages that still remain in Okinawa and Korea show that the war has not ended until now in the 21st century. This is why the Japanese military"s “comfort center” problem should be viewed as a historical problem at the regional level in East Asia, not at any one-national level.
鄭京?(정경희) 동아시아일본학회 2010 일본문화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일본어학습자의「일본어인생」이라는 라이프히스토리를 통해서 일본어교육에 있어서의 커뮤니케이션교육의 문제점과 과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출발했다. 특히 본 논문은 5명중4명의 인터뷰에서 공통으로 부각된 「선택」에 주목해서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일본어학습자가 이야기하는 「선택」의 실태로부터, 일본어교육에 있어서의,「바른 일본어」관의 문제점이 밝혀졌다.「바른 일본어」관이란,「적절한 일본어」「자연스런 일본어」「일본인다운 일본어」등과같이 당연하다고 인식되어 있는「생각」으로, 그러한 「바른 일본어」관은, 일본사회와 일본어교육에 만연되어 있었다. 무엇보다 「바른 일본어」관의 문제점은 일본어 학습자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특히 「일본인다운 일본어」를 쓰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갖게 해, 그로인해 말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자신이 없어서 말하지 못하고, 고민하고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일본인의 일본어」, 「외국인의 일본어」라고 하는 대립적인 생각을 극복하고, 「자신의 일본어」라고 하는 개념이 필요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정효운(Jung, Hyo O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60
일본인의 종교적 특징의 하나는 인구보다 종교인구가 많다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2014년 일본 문화청 종교법인의 종교 통계조사에서도 종교 신자가 총인구의 1.5배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본인의 이중적 종교관과 사생관에 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역사적 관점에서 일본인의 이중적 종교관의 원인과 기원 문제를 일본 최초의 관찬 사서인 『日本書紀』의 분석을 통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생관을 영혼관과 타계관으로 나누고, 이와 관련된 용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대 일본인의 영혼관에는 영혼을 ‘靈’과 ‘魂’, ‘鬼’와 ‘神’ 등으로 구별하는 사고가 있으며, 타계관에는 ‘黃泉’과 같은 신도적 타계관과 ‘常世’와 같은 도교적 타계관 그리고 ‘淨土’와 같은 불교적 내세관이 상호 공존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런 혼재된 사생관은 민간신앙인 神道의 바탕 위에 유교, 불교, 도교와 같은 외래 종교의 사생관이 영향을 미친 결과이며, 현대 일본인의 중층적 종교관의 기원은 불교 수용기의 정치적 타협의 산물이고, 그 유래는 『일본서기』에서 찾을 수 있었다. I think that it is characteristic of Japanese religion that the number of people adhering to various religions is greater than the population of Japan. It is thought that this is connected with Japanese duality of religious views and view of life and death. In this study, I examine the cause of Japanese duality of religious views and the problem of its origin through analysis of the Nihonshoki, which is the first history book published by the Japanese state,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s a result, I understood that the ideas of Taoism and Buddhism coexisted with Shintoism in the ancient Japanese outlook on death. Such a cause is the result that foreign religion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ad an influence on Shintoism. The origin of modern Japanese double religious view can be seen from Nihonsho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