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의성이 높으면 기업가정신도 높은가? : 인지적·비인지적 창의성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김상표,변충규,하환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4 경영컨설팅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기업가정신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개인적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창의성은 ‘ 새롭고 가치 있는 무엇인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으로 보는 인지적 창의성과 ‘개인의 성격적 특성 ’으로 보는 비인지적 창의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을 인지적․비인지적 창의성으 로 나누고, 각각의 창의성이 기업가정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창의성이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인지적 측면의 개인의 성격특성보다는 인지적 측면의 개인의 창의적 역량이 기업가정신에 더 큰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창의적 성격 특성(개방성, 모험심, 자 기확신)이 기업가정신(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에 미치는 영향은 탐구적 몰입→혁신성, 모험심→ 위험감수성, 자기확신→위험감수성 모험심→진취성에서 유의적인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즉 개인의 탐구적 몰입이 높을수록 혁신성이 높고, 모험심과 자기확신이 높을수록 위험에 대한 감수성향이 높아 지며, 모험심이 높을수록 진취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창의적 역량(독창성, 유창성, 융통성)이 기업가정신(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창성→혁신성, 융통성→위험감수성, 유 창성→위험감수성, 독창성→진취성, 융통성→진취성에서 유의적인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즉 유창성 이 높을수록 혁신성이 높고, 융통성과 유창성이 높을수록 위험에 대한 감수성향이 높아지며, 독창성과 융통성이 높을수록 진취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창의적 성격 특성(비인지적 창의성) 모두가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 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탐구적 몰입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혁신적인 성향을 보이며, 모험 심과 자기확신이 강한 사람들이 위험감수성향이 높고, 모험심이 강한 사람일수록 진취적 성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창의적 역량(인지적 창의성)에서는 유창성과 융통성이 강한 사람들일수록 위 험감수성향과 진취적 성향의 기업가정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독창성은 가설과 달리 혁신 성과 위험감수성과 같은 기업가정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를 바 탕으로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시사점,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 청년창업자의 개인 창의성, 감성지능,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의 관계

        이상직(Lee, Sang Jik),박재춘(Park, Jae Choon) 한국부패학회 2015 한국부패학회보 Vol.20 No.4

        본 연구는 예비창업자인 대학생들의 개인 창의성, 기업가정신,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예비창업자의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창업자의 개인 창의성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둘째, 개인 창의성은 또한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기업가 정신은 개인 창의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창업의지에 대한 기업가정신의 효과는 감성지능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보면 첫째, 예비창업자인 대학생들의 개인 창의성과 기업가정신, 개인 창의성과 창업의지의 긍정적인 관계를 실증함으로써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선행요인으로 개인 창의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개인 창의성과 창업의지의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예비창업자인 대학생들의 개인 창의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규명하였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예비창업자의 감정지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예비창업자의 감성지능이 지 니는 효과를 실증하였다. 즉, 예비창업자의 기업가정신이 높아도 대학생의 창업의지는 감성 지능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더욱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창업자들의 창의성과 감성지능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연구의 일반화를 높이고, 창의성의 수준과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으며, 대상에 부합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 횡단적인 연구에 치중하여 명확한 인과관계의 추론에는 한계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emotional intelligenc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individual creativity of the pre entrepreneur have meaningful positive effect (+)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ship. And also entrepreneurship is positively mediating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alize importance of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 creativity have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creativity have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It was also found that entrepreneurships played important roles as partial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intension. And high emotional intelligence group’s entrepreneurship intension is higher than the group that did not. We found in our study that we need to expand the creativity’s level, content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tools for measure.

      • KCI등재

        수출중소기업 국제화에 있어 조직의 창의성과 기업가정신의 역할에 관한 실증분석

        윤정현(Junghyun Yoon),이희용(Hee-young Lee)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통상정보연구 Vol.17 No.2

        창의성과 기업가정신을 강조하는 창조경제시대에 살고 있는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이들 요인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특히, 급변하고 불확실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생존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창의성과 기업가정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출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창의성과 기업가 정신, 그리고 이들 변수들이 국제화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그 결과, 창의성의 하위변인 모두가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창의성이 기업가정신의 선행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기업가정신 역시 수출중소기업의 국제화 수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가정신은 창의성(독창성과 유창성)과 국제화 수준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국제화 수준을 결정하는 기업가정신을 고취시키는데 창의성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기업가정신을 통해서 국제화 수준이 향상된다는 점을 시시하고 있다.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emphasizing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the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never ignore them. Especially, firms, that would like to penetrate into international markets and hence survive in them, must have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Nevertheless, little study has been studied the casu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comprehensively. Therefore, based on small and medium-sized exporters, this study would like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reativity, the entrepreneurship, and the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creativity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entrepreneurship. Moreover, entrepreneurship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ship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reativity and the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These results implied that creativity and entrepreneurship can play a pivotal role in improving the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 KCI등재

        기업조직 구성원의 기업가정신과 개인 및 집단 창의성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송찬섭,노연숙,이다정,이선규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 recently,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process of entrepreneurship to improve organizational creativity throu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confirmed its effe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creativity. For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30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manufacturing workers in Gyeongbuk. The results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affects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affects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were examined. These findings can provide guidelines for corporate strategy development direction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본 연구는 최근 조직환경에서 창의성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점에 주목하여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가정신이 조직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실증분석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조직의 기업가정신이 개인·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관계의 매개효과를 파악코져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고, 경북지역의 제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308부의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이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이 개인·집단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은 개인·집단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고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가정신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기업전략수립 방향과 조직차원의 관리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지수 비교

        이신동 ( Shin Dong Lee ),주소영 ( So Young Joo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3

        영재와 일반학생의 사회적ㆍ정서적 특성을 이해하며 학교 및 사회에의 적응을 도와주고 나아가 그들의 정신건강을 도모하는 일은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이 특별히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다. 그 이유는 영재와 일반학생의 사회적ㆍ정서적 특성이 지적 성취와 장차 그들이 잠재력을 실현해야 할 사회에의 적응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수준(고창의성, 보통창의성, 저창의성)에 따른 정신건강 지수를 비교해 봄으로 세 변인 간의 관련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의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중 현재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150명, 영재교육을 받고 있지 않은 학생 150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K-FCTES(초등도형창의성검사)와 AMHI(정신건강검사-초)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성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정신건강 지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학생보다 창의성 수준이 높은 초등영재의 정신건강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성이 정신건강과 관련이 있으며 정신건강은 창의성 수준에 의해 촉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저창의성에 속하는 초등영재 뿐만 아니라 저창의성에 속하는 일반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모색, 개발되어 적용된다면 학생들의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는 방안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rrelation that exists between the two factors by comparing the quotient of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level of creativity for the elementary school gifted and the non-gifted. This researcher could confirm through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at if students had a high level of creativity the quotient of their mental health was high as well.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mental health of the elementary school gifted whose level of creativ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non-gifte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gift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n education and activity relevant to creativity that may promote mental health of the elementary school gifted and the non-gifted are required to be provided and as the level of mental health of the students with low creativity even among the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as well as the non-gifted with low creativity may be low, it is expected that the level of mental health of the students would be also raised if a program that may enhance creativity should be sought for and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mental health of the students.

      • KCI등재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이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민정,권경아,박민서,유홍열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th entrepreneurship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Methodology] For this study, we surveyed 223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a program for the gifted enterpris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entrepreneurship, self-direct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SPSS Macro Proces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creativ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mediator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reativity. [Find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the entrepreneurial gifted students were affected by their entrepreneurship.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revealed to functio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reativity. [Implicat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youth entrepreneurship, self-direct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youth was discussed. [연구목적] 이 연구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이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기업가정신 교육을 받고 있는 중․고등학생 233명이고, 분석 도 구로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청소년들의 기업가정신이 자기주도 학습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업가정신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청소년들의 기업가정신은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주도학습이 기업 가정신과 창의성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기업가정신이 자기주도학습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규명함으로써 청소년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창의적 사고를 발현시키는데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 팀 문제해결을 적용한 대학 수업에서 개인 창의성, 팀 공유정신모형의 팀 창의성 및 팀 효과성과의 관계

        전명남 ( Myongnam Jun ),이병환 ( Byunghwan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5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Torrance의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FPSP) 팀 문제해결(Team Problem Solving)을 실시하면서 개인 창의성과 팀 공유정신모형과 팀 창의성 및 팀 효과성과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총 300명의 대학생이 수업 중 6주 동안 FPSP 팀 문제해결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 가운데 전체 학생의 개인 창의성과 팀 공유정신모형의 평균점수를 기준으로 ±1 표준편차 이상과 이하에 속하는 대학생 83명을 대상으로, 독립변인을 개인 창의성(저·고)과 팀 공유정신모형의 수준(저·고)으로 하고 종속변인을 팀 창의성과 팀 효과성으로 하여 그 관계를 검증해 보았다. 팀 창의성 점수와 팀 효과성 점수에 대한 독립변인과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ANOVA와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창의성이나 팀 공유정신모형의 수준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개인 창의성과 팀 공유정신모형의 수준은 팀 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p<.05). 이 결과는 팀 창의성의 발휘에 개인 창의성과 팀 공유정신모형의 영향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반면에, 팀 효과성에는 개인의 창의성과 더불어 팀의 과제 수행이나 문제해결에 관련하여 팀 구성원 간의 지식, 능력, 사고를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팀 수준에 형성되는 지식의 표상인 팀 공유정신모형이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creativity, team shared mental model, team creativity and it`s effectiveness based on Torrance`s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FPSP)-team problem solving. A total of 83 students with high and low individual creativity and team shared mental model among 300 college students who engaged at this FPSP were participated. Descriptive statistics, MANOVA, ANOVA and Post-Hoc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individual creativity and team shared mental model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ree sub factor of team creativity using MANOVA. By the way, the individual creativity and team shared mental mode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effectiveness using ANOVA. Also there no interaction effect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team shared mental model.

      • KCI등재

        창의성은 정신병리와 관련이 있는가?

        박숙희(Park, Sook H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1 창의력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 결과들을 고찰함으로써 창의성과 정신병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창의적인 천재들의 정신병리적 현상에 관한 최초의 관심은 기원전 350년에 아테네의 철학자 아리스토델레스가 쓴 「Problemata」 중에서 철학, 정치학 시, 그리고 예술 분야에서 탁월한 사람들은 우울증의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기록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로 화가, 조각가, 건축가, 작가, 음악가, 배우 등의 예술가들은 비예술가들에 비해 충동성, 불안, 정서적 예민성, 적대감, 온정적이지 않음 등의 정서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알콜중독이나 약물남용, 정신분열증, 우울증, 양극성장애 등의 정신병리적 문제와 좀 더 많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창의성과 정신병리는 서로 관련되어있으며, 창의성은 정신병리적 문제를 가진 개인이 적응을 향한 욕구와의 관계에서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로 소수의 예술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psychopath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psychopathology has been debated for literally hundreds of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psychopathology has been a source of speculation for centuries, dating back at least as far as Aristotle who suggested that all of the eminent writers and philosophers of his time suffered from melancholia. Henceforth,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ity, mood disorders, depression, bipolar disorder, suicide, short life-span, and schizophrenia. Creative individuals often are viewed as more eccentric than typical, and many of the common disturbances. And, many famous creators have suffered from mental disorder of various sorts. In conclusion, there is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creativity and psychopathology. In previous studies, however, some groups of artists were included. So there are limits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 KCI등재

        ESG기업가정신교육과 참여적 학습 방식이 ‘창의적 문제해결’ 및 ‘사회적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선영,김승철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2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is becoming the core of the interest of today's entrepreneurs concerning about the earth crisis. Numerous studies are going on these days about the importance of ESG, but most of them seem confined to the introductory level. This study concentrates on "ESG education" that will teach the learners how to put various ESG ideas into practice, knowing that the earth crisis would not be overcome without actual practice of those ideas. First, elementary and junior · senior high school, professors in university and educational consultants in the field designed educational programs and related content materials under "ESG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tegrated with ESG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have been implemented previously.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s are converged with the program. The researcher analyzed the learning effects in depth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s in the education field. Thu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effects of key variables of ESG educational program i.e., ESG entrepreneurship education, student participatory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on creative problem-solving and social value recognition with an essential variant of ESG educational programs and identified the relations to creative problem-solving and social value recognition. Besid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gulation effects of school atmosphere, and teachers' enthusiasm, regarding trait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ocial value recognition. Findings indicate that sub variants of the traits of educational programs i.e., ESG entrepreneurship education, student participatory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significantly affect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social value recognition and that creative problem-solving impacts social value recognition. In addition, teachers' enthusiasm has regulation effects between trait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ocial value recognition. This study provides content-program learning method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education, emphasizing practice in ESG in elementary and junior · senior high school education. Implications suggest that ES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active participatory learning affect social value recognition and that teachers' enthusiasm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ducation. ESG는 지구 위기에 있어 우리가 우선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핵심 사안이다. 최근 ESG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초기 수준에서 ESG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주제로 편중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구의 위기 극복에 있어서 ESG의 실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실천을 위한 ‘ESG 교육’에 주목하여 다양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교육을 통해 실천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우선, 현직에 있는 초·중·고 교사, 대학 교수, 교육 컨설턴트 등이 함께 참여하여 이전부터 초·중·고에서 실시되고 있었던 「기업가정신교육」을 ESG와 접목하여 ‘ESG기업가정신교육’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을 토대로 참여형 학습 기법을 접목하여 이를 현장에서 실행하고 학습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SG 교육프로그램의 핵심 특성 변수로 「ESG기업가정신교육」, 「학생 참여형 수업」, 「팀 기반 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과 「사회적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우선적으로 규명하고, 「창의적 문제해결」이 「사회적 가치 인식」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교육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적 가치 인식」 사이에서 「학교 분위기」, 「교수자의 열정」이 조절효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결과, 교육프로그램 특성의 하위 변수인 ESG기업가정신교육, 학생 참여형 수업, 팀 기반 학습은 창의적 문제해결과 사회적 가치 인식에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고, 창의적 문제해결은 사회적 가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의 열정이 교육프로그램 특성과 사회적 가치 인식 사이에서 조절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중·고로 이어지는 ESG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교육 현장에서 바로 접목할 수 있는 콘텐츠·프로그램 학습 방식을 제시하였고 ESG기업가정신교육과 적극적 참여 학습을 접목한 교육이 사회적 가치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교수자의 열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기업가정신의 사회적 학습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윤민,이건창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5

        Recently, global economic recess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omoting launch of start-ups around the world. As is often the case, powerful and bright entrepreneurship is required so that the start-ups may be successful in their target markets. Despite the fact that numerous studies about impact of the entrepreneurship on start-ups exist in literature, there is no study attempting to recognize importance of social learning about entrepreneurship on individual creativity of those who have intentions to become entrepreneurs of start-ups. In this sense, this study proposes a new research model in which social learning about entrepreneurship is assumed to have an influence on individual creativity of start-ups candidates. For the sake of proving the proposed research model more rigorously, we include those constructs such as para-social interaction, imitation of role model, and internal motivation. We garnered 89 valid questionnaires from college students who were invited to the experiments designed for this study. Results proved that para-social interaction and imitation of role model affect internal motivation significantly, which in turn affects individual creativity positively. These results also provide theoretical directions revealing the embedding process of entrepreneurial capital among society. 저성장 시대로 접어든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신규 사업 기회를 포착해 혁신 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방식과 행동 양식인 기업가정신은, 경제 조직을 넘어 사회 전반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역량 자본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으로써 기업가정신이 사회 전반적으로 어떻게 학습되고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학습이론을 바탕으로 기업가로부터 파생되는 기업가정신이 사회구성원들에게 어떻게 학습되고, 개인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8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가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모방성이 기업가정신 학습을 통한 내재적 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는 결과적으로 개인의 창의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연구에 있어 거시적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으로써 기업가정신 학습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기업가정신의 창의성 영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 또한 정책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기업가정신 교육과 창의성 향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