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정당한 교육지원에 필요한 건강 및 안전관리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관리자 인식

        박경옥,신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s about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 educational support. Method: Participations were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ing in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s for their health and safety. Method: Participation was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 of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 for their health and safe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를 주 장애로 하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학생이 요구하는 의료적 지원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고 현재 학교의 지원 실태는 어떠하고, 향후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ㆍ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ㆍ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특수교육 전문가와 부모의 지원요구 고찰

        이설희,최진희,조아라,최재연,박은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pport needs o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for those who are related to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parents and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six experts, thre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ree junior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A total of four main topics including instruction·parenting difficulties, helpful support, support needs, expect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19 sub-topics were deriv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provided to prepar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the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체중복장애학생 관련인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기대하는 지원요구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수도권 지역 내 지체중복장애 자녀를 둔 부모(3명)와 지체중복장애학생 교육경험이 있는 특수교사(2명)를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지체중복장애학생 지도 및 강의 경력이 있는 전문가(6명)와 초등 특수교사(3명), 중등 특수교사(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면담(FGI)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의 결과는 전사 후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도·양육상의 어려움, 도움이 되었던 지원, 지원요구,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센터에 대한 기대를 포함한 총 4개의 대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1) 지체중복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운영 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정책적인 접근의 필요성, 2) 지원 대상의 수, 지원 범위 등을 고려한 센터 및 업무 담당자의 수 조정, 3) 다양한 분야와의 협력 체계 구축의 필요성 및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거점 센터로서의 역할 수행 고려, 4) 최우선 과제로서의 통합교육 지원.

      • KCI등재

        지체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교육 방향성 탐색 기초 연구 - 국제기능·건강·장애분류(ICF-CY)를 중심으로 -

        김주홍,박재국,이미경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3

        As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re getting increased in a special school for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it causes difficulties of using and applying current curricula for them. Therefore the needs of applying ecological education for them are getting increased. Curriculum managemen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developed recently, still it does not address enough curriculum contents for them. It needs to be developed an alternative curriculum and a guide book for them. It is a big issue for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attend various life activities in home and community. The study focused on exploring and developing in many direction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to participate community by applying ICF-CY which was developed by WHO.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in a special school for physically disabled students First the survey consisted of codes which were drawn from mobility, home life,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major life areas, community, social and civil life which were sub parts of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ICF-CY. The survey was distributed special teachers and let them check the frequencie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daily life.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survey and frequency of Participation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sub-part of th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ICF-CY is helpful of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en it is applied to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Second, sub-part of th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ICF-CY could be used as a guideline and provide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th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rd, sub-part of the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ICF-CY is useful to planning IEPs. 최근 지체장애 특수학교 학생들의 중도·중복화로 인해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생태학적 접근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중도·중복화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지침이 추가되었으나 구체적인 교육과정이나 교육활동에 필요한 내용의 제시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중증의 지체장애 학생의 장애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대안적 교육과정 및 지침의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생의 지역사회참여를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발된 국제기능·건강·장애분류(ICF-CY)를 적용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지체장애 10개교 특수교사(N=200)를 대상으로 ICF-CY 항목에서 추출한 문항과 일상생활 참여빈도(FPQ)에 대한 활동과 참여 수준을 분석하고 변인에 따른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 대상 지체장애학생들은 ‘이동’, ‘가정생활’, ‘주요생활’, ‘공동생활·사회생활·시민으로서의 생활’ 기능에서 ‘중등도 곤란’에서 ‘고도 곤란’ 사이의 수준을 보였으며, ‘대인관계’ 기능에서는 ‘경도 곤란’에서 ‘중등도 곤란’ 사이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상생활 참여빈도(FPQ) 수준은 항목별 전체 평균으로 볼 때 ‘한 달에 약 1회 미만’에서 ‘한 달에 약 1회’ 사이의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ICF-CY의 활동과 참여 하위 영역과 FPQ 수준 간의 상관관계는 ICF-CY의 일부 영역에서 강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ICF-CY 하위 영역과 FPQ 수준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ICF-CY는 생태학적 입장에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활동과 참여에 제한이 있고 특히, 교육과정의 적용이 어려운 중증의 지체장애학생들의 교육 활동 영역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ICF-CY의 분류 코드를 사용할 경우, 지체장애학생의 삶과 관련된 다차원적 영역에서 진단적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개개 학생들의 현 상태를 파악하고 교육활동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적용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건강신념이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혁,박수경,이현수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2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health belief of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different from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and thereby how health beief of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affected exercise behavior change in order to provide significant data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health belief necessary to enhance the health of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and predict and identify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79 people participating in sports for the disabled. In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of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by Hye-ja Jeon and Jae-hyun Park(2005) and the health beliefs by Kyung-man Son(2008). MANOVA,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s used by SPSS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lief by sex,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presence of a family sports participants, and sports participants of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Second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ges of exercise behavior by sex,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presence of a family sports participants. Thirdly,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recognized obstacles among a sub-primary factor in health. The tests showed that negative significance influence on exercise behavior changed a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clue of action. The benefits and sensibility that were beneficial were significance effect on the change of the exercise behavior on a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On the other hand, the recognition was acute and was not significance influence on their changes.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과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대한 특성과 지체장애인의 건강신념과 운동행동변화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체장애인 37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손경남(2008)이 사용한 건강신념 설문지와 전혜자, 박재현(2005)의 운동행동단계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일원다변량 분산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성별, 장애등급, 가족 중 생활체육 참여자 유무, 생활체육 참가 유무에 따라 건강신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지체장애인, 장애등급, 가족 중 생활체육 참여자 유무에 따라 운동행동단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건강 신념이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건강신념의 하위요인 중 행동계기, 인지된 이득, 인지된 민감성은 지체장애인의 운동행동변화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장애는 지체장애인의 운동행동변화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된 심각성은 지체장애인 운동행동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시각·지체장애학생의 교육 지원에 대한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이진석,한경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2

        To find the educational supporting program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is study was made in researching the educational supporting contents,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the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through interviewing with the members of individual education supporting team to support those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studying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mak up the educational situations for those students’ smooth school life. For this study, the individual interviews were made with five special teachers and two supporting members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mbers of individual education supporting team applied the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common education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students’ performance levels and partially the revised contents of the basic educational curriculum. As the teaching methods, the team applied the strategies of utilizing the media of the sense of touch and hearing sense suitably to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as the difficulties of the members of individual education supporting team, they suggested the poor learning performance due to the lack of the imitation learning and the experience caused by the visual impairment and the restriction of the body movement. Third, the members of individual education supporting team suggested setting up the separate class for the visual impaired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 levelwise curriculum program and that the space for the disposal of the students’ personal needs, the professional personnel to support health management and the situational support were needed.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basic data for effectively educating and supporting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the school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시각·지체장애학생의 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을 대상으로 교육지원내용과 어려움 및 요구 사항들을 개별면담을 통해 알아봄으로써 시각·지체장애학생의 원활한 학교생활을 위한 교육 여건 조성 및 연구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각·지체장애학생 2명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5명과 보조인력 2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들은 주로 공통교육과정을 토대로 학생들의 수행 수준들을 고려하여 적용하였고 일부 기본교육과정의 내용을 수정하여 적용하였으며, 교육방법은 촉각매체, 청각매체를 활용한 전략을 교육과정의 내용에 맞게 적용하였다. 둘째,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들이 겪는 어려움으로 시각장애와 신체이동제한으로 인해 학생들의 모방학습과 경험 부족으로 인한 학습부진 현상을 제시하였고, 체력적인 부담과 신체 상해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셋째,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들은 시각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별도 학급 설치 및 수준별 교과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신변처리를 위한 공간 확보, 건강관리 지원에 대한 전문 인력 및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시각·지체장애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교육 및 지원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체장애 학교의 학교교육계획에 나타난 지체장애 교육 실태

        조홍중,방그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1 No.3

        「School education plan」becomes the standard for daily educational activity or the specific basis to perform educational activity and has the functions to propose, structure, and assess the direction of education activity.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education of physical disabilities revealed in the「school education plan」of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The analysis subjects of this study were「school education plan」of 10 physical disabilities schools meeting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requirements of subject school were 1)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defined as physical disabilities, 2) to teach children with brain lesion, 3) to be selected equally all over the country not to incline toward a specific region, and 4) to accede to a request of「school education plan」. The results of actual state of education of physical disabilities revealed in the「school education plan」of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school education goals, ① the position of school education goals was established in the form of specific goal in the subarea of education goals. ② School education goals were mainly expressed as a one-line simple sentence, whereas specific goals was done as a clause-type simple sentence. ③ The contents of school education goals such as health, rehabilitation, and independence were reflected in「education goals」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school of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④ Instructions were established in association with basic goals rather than specific ones. The structure and form of school education goals varied with school. Second, regarding the system of school education plan, ① four schools used the name of 「school education plan of this school」. ② The system of school education plan consisted of min. 7 areas to max. 10 areas. ③ The nature of school catalog was the reduction or appendix of school education plan. Third, regarding the actual state of students' disabilities, ① the number of students to a teacher was 3.64: there was mean 155 students and mean 43 teachers in one physical disabilities school. ② For the number of students by disability, the highest percentage was found in brain lesion disability(82.9%). Finally, regarding the assesment of school administration, ① 9 of a total of 10 physical disability schools suggested the area of school administration assessment, while one school had no such area in「school education plan」or school catalog. ② Assessment items ranged from min. 37 to max. 142. 「학교교육계획」은 각 교사가 일상적인 교육활동을 하는 기준이 되거나 교육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구체적인 근거가 되며 교육활동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구조화하며, 평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 학교의 「학교교육계획」에 나타난 지체장애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전국 지체장애 학교 중 다음 조건을 충족한 대상학교의「학교교육계획」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학교의 충족조건은 첫째, 지체장애 교육기관으로 명기된 지체장애 학교일 것, 둘째, 뇌병변 아동이 주 대상일 것, 셋째, 특정 지역에 치우치지 않도록 전국적으로 균등하게 선정할 것, 넷째,「학교교육계획」의 혜증(惠贈)을 수락한 학교로 총 10개 학교가 선정되었다. 지체장애 학교의 「학교교육계획」에 나타난 지체장애 교육의 실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의 목표는 ① 학교교육목표의 위치설정은 교육목표에 대한 하위영역으로 구체목표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② 학교교육목표의 표현형식은 교육목표의 진술의 경우, 1행의 단문형 문장 형식을 주로 취하고 있는 반면, 구체목표의 진술의 경우는 주로 조목형의 단문 형식을 취하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③ 학교교육목표의 내용은 지체장애 학교라는 특수학교의 특성을 반영하여 건강이나 재활, 자립에 관한 내용이 교육목표에 반영되고 있었다. ④ 교훈의 설정은 구체목적 보다는 기본목적과 관련되어 있었다. 둘째, 「학교교육계획」의 체제는 ①「학교교육계획」의 명칭 4개 학교에서「본교 교육계획」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었다. ②「학교교육계획」의 체제는 최소 7개영역에서 최고 10개영역으로 구성되었다. ③ 학교요람의 성격은 학교교육 계획의 축소판이나「학교교육계획」의 부록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의 장애 실태는 ①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3.64대 1명으로 지체장애 학교에는 평균 155명이 학생 재학하고 있으며, 교사 수는 평균 43명이 재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장애별 학생수는 뇌병변장애가 82.9% 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경영 평가는 ① 총10개 지체장애 학교 중 9개 학교에 학교경영 평가 영역이 제시되어 있으나 1개 지체장애 학교에는 「학교교육계획」이나 학교요람에 평가영역이 제시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평가항목은 최소 37항목에서 최대 142항목까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관련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및 시사점 탐색

        나인정,권혁상,김민정,남광현,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3

        Purpose: This study looked into Korean journal articles, regarding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n terms of general trends and topics. Method: A total of 37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5-2018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general trend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related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were conducted in special education, and were published mostly between 2013-2015. Survey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ologies. Resul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opics showed four principal categories of selected research, such as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hospital schools, online education, returning to schools and plans for educational support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need to improve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Second, systematic approach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hospital schools need to be constructed. Thir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onlin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is needed. Lastly, more efforts is needed to promote health-impaired students returning to school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게재 논문의 개괄적 특징과 주제별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05-2018년에 게재된 건강장애학생 교육관련 주제의 학술지 게재 논문 37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괄적 특징에 대한 연구 결과, 건강장애학생 교육관련 연구는 주로 특수교육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었고, 게재 연도는 2013-2015년이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와 질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주제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건강장애학생의 병원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 온라인 교육, 학교 복귀,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방안 등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은 양적 및 질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병원학교의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인 병원학교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의 질적 제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건강장애학생의 학교복귀를 위한 노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실태 및 학부모의 인식

        김진주,박재국,구신실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2

        본 연구는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건강장애학생 교육의 시대적 현실을 반영하여 건강장애학생의 교육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여, 건강장애학생 교육이 그들이 가진 다양한 교육적 요구와 치료 상황에 따른 환경적 요구를 반영해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전국 교육청 소속 16개 병원학교와 1개의 화상강의 운영 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건강장애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녀의 교육 실태 및 건강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조사하고,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건강장애학생은 치료 상황에 따라 한 개 이상의 기관으로부터 교육을 받고 있어 각 교육기관 간 연계를 통해 학생들에게 일관성 있는 교육을 제공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소속 학교에 부분 혹은 전부 참여하는 학생들을 위한 학교생활 지원이 필요한데 특히 특정교과에서 배제되는 일이 없도록 대체 학습을 제공할 것과 진급 시 친구관계를 고려한 반 편성 및 평가와 관련된 부분에서의 배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학부모의 교육적 요구 반영 및 학부모 상담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할 것이며 건강장애학생의 학교복귀를 위해 소속 학교의 교사의 인식 개선 및 학급 친구들의 건강장애 이해교육을 통한 학생들 간의 교류 활성화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강장애학생 교육 시 치료 상황에 따른 병원, 가정, 학교로의 공간적 전환에 대한 독특한 교육적 요구를 반영하여 이에 맞는 교육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Special Educations Promotions Act Amenements of 2005 has included health impairments as a independent special education category. Since than, specialized support was offered to students with chronic illnesses, who had experienced history of grade retention, academic achievement delays, and difficult peer relations due to long-term absenteeism.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system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he educational system includes curriculum,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pports, and connection system of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rvey was performed to 121 parents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The responds from parents shows the necessity of supports in students life when the students returning to the original school. Especially,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class arrangement with considering the classmate relationships when advancing to higher grades. This study also shows that parents wish to provide returning students with alternative classes for preventing them from exclusion of specific curriculum. And parents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have more concerns on the needs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especially in the part of advance, promotion, and evaluation.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should reflect specific educational demands for the spatial switch from hospital, house to school or other ways according to treatment conditions and establish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s system with concerning the spatial transfer.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구성주의적 접근과 대안적 패러다임의 모색 - 초등 특수학급 수업을 중심으로 -

        이경아,이숙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al educational application of epistemology of constructivism with reconsideration about special class situ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suggested alternative paradigm for severe disabilities students' instruction-learning. The constructive epistemology in class situ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rinciple were as follows: the teacher with a constructive epistemology knows that the world is constructed differently by learners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s of experiences in the world, and helps the learners with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orld. A teacher with a constructive epistemology considers texts as instruments for realizing educational intrinsic value and tries to relates learners with helper and colleague of learning. In the episode related with learning of a learner with severe disabilities, teacher made one participate in the class for a moment. But teacher with constructive epistemology can grasp a conversation and the cognitive response of learners, so he/she cannot give a meaning to educational con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and extend learning of learners with severe disabilities , it is required that the concept of communications can extend to unverbal communication with recognizing possibilities of learners with severe disabilities' learning. Masschelein's communicational inter-subjectivity introduced as alternative paradigm will be a base which can secure the learner's autonomy and seize the phenomena of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being-together-ness" by scrutiniz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in the field amidst. 이 연구는 초등 특수학급 수업 현상에 대한 해석을 통해 구성주의 인식 기반에 편향된 교육행위를 반성하고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수-학습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을 모색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습과 관련된 한 범례에서 구성주의 인식에 편향한 교사의 교육활동은 중도중복장애 학생과의 수업에서 대화와 인지적 방식의 반응만을 포착하고자 했으며, 그로 인해 중도‧중복장애 학생과의 교육 현상에 주관적 전반성적 의미를 부여하기 어려웠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습에 대한 인식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학습 가능성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과 함께 의사소통의 개념을 비언어적 의사소통까지 확장하는 일이 요구된다.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소개한 마스켈라인의 의사소통적 상호주관성은 ‘사이’의 공간에서 교사-학습자간의 의사소통에 천착함으로써“함께 있음”의 개념을 통하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습자 주체성을 담보하고 교육현상을 포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박재국,김진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4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review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that e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27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tructing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in 9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the following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ption of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level of importance was recognized high, but level of implementation was found normal, and through analysis of Borich requirement item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plan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by each stage were extracted. Second, i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y teacher factors for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perceptions differed significantly statistically depending on acquired qualification, the experience of instructing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to instruct, and the ratio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such study results, the application measure of IEP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학교 교사의 인식을 검토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효율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9개 특수학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지도하는 특수교사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실행․평가에 대한 인식에서 중요도는 높게 인식하는 반면 수행도는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해 각 단계별로 효율적인 개별화교육계획 운영을 위해 요구되는 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교사변인별 인식차이에서는 소지자격,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 경력, 지도하는 총 학생 수 및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