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0여년 전 한 흉부외과 의사의 강의록

        김원곤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6

        The late Professor Lee CB (1915∼1967) was one of the pioneers in the early stages of thoracic surgery in Korea while he was in charge of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s the first director from 1957 until he died of liver cancer in 1967. He was a graduate from the old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he dedicated himself to the field of lung surgery after he joined the army during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in 1950. Among his many contributions to pulmonary surgery, he performed the first partial lung resection in Korea in 1953. His lecture notes were recently found. These lecture notes for medical students were written by hand in late 1950s. Considering the content and form of the lecture notes, they are thought to have very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The lecture notes were a total of 277 pages on general thoracic surgery and cardiovascular surgery with 75 self-drawn figur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acilit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oracic surgery in Korea, and especially for young thoracic surgeons. These notes may well contribute to the field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Korea. 고 이찬범(李燦范) 교수(1915∼1967)는 국내 흉부외과학의 초기 개척자 중의 한 사람으로 1957년부터 1967년 간암으로 인한 투병 사망 시까지 초대 서울대학병원 흉부외과 과장을 역임하였다. 그는 경성제대 의학부 출신으로 외과의로 활약하다 6.25 동란과 함께 육군 군의관으로 근무하면서 흉부외과 특히 폐외과 분야와 본격적인 인연을 맺게 되었다. 당시 흉부전상 환자에 대하여 흉부파편적출, 만성농흉에 대한 흉막박피술 등을 시행하였고 특히 1953년 8월 13일에는 폐부분절제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도 하였다. 최근 이러한 이찬범 교수의 생전 학생 강의록이 발견되었다. 전량 자필로 기록된 이 강의록은 지금으로부터 50여년 전 그가 서울대병원 흉부외과 과장으로 취임하던 1957년 초부터 1959년 하반기 미국 연수를 떠나기 전까지 거의 2년 반에 걸쳐 만든 것으로, 국내 흉부외과학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강의록은 일반적으로 쉽게 볼 수 있는 파일형 흑색 노트북으로 강의록 본문의 내용은 모두 277페이지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 강의록에는 책의 내용과 함께 동반 그림들을 일일이 직접 옮겨 그린 75편의 그림이 수록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 강의록을 통해 초기 흉부외과 학생교육에 대한 정황의 일부를 살펴봄으로서 과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흉부외과학의 보다 나은 발전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대한민국 흉부외과 의사들의 논문저술경향의 변화

        임청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5

        Background: There haven’t been any papers that have analyzed the recent trends in the changing attitudes and results of Korean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ons who submit scientific papers to the major cardiothoracic journals. Material and Method: I analyzed the original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the major cardiothoracic surgery journals from 1995 to 2008 by Korean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ons. The data was retrieved from the internet websites of Pubmed, three major international SCI (Science Citation Index) journals and the Korean Journal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 then analyzed the data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year, the subjects and the subspecialties. Result: The total number of original articles in the three international journals was 14,629. Among them, the number of articles written by Korean scientists was 157 (1.07%). A sharp increase was identified from 28 articles out of 7,674 articles (0.36%) prior to 2002, to 129 articles out of 6,955 articles (1.83%) after 2003. On the other hand, the annual number of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was markedly decreased from 126.8 articles by 1999 to 80.0 articles after 2000. The annual number of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was also decreased from 58.8% by 1999 to 48.3% after 2000. Conclusion: There was an observed increase in submitting articles to the international SCI journals after 2000 rather than to the Korean journal. The proportion of original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is also decreasing. I think we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배경: 최근 국내외 연구환경의 변화로 논문저술의 양상이 변하고 있으나 한국 흉부외과의사들의 저술활동에 대해서는 분석된 바가 없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8년까지 14년간 대한흉부외과학회 소속 의사들이 국내외 주요 학술잡지에 발표한 원저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SCI (Science Citation Index)급 해외 흉부외과 학술잡지 3개와 대한흉부외과학회지 및 Pubmed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연도별, 분야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해외잡지에 게재된 논문의 총수는 14,629편이었으며 이중 한국흉부외과의사에 의해 작성된 것은 157편으로 1.07%를 차지하였다. 2002년까지 총 7,674편중 28편(0.36%)이었던 것이 2003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총 6,955편중 129편(1.83%)이 게재되었다. 반면 대한흉부외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수는 1999년까지 연평균 126.8편이던 것이 2000년 이후로는 연평균 80.0편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원저의 비율은 1999년까지는 58.8% 이었던 것이 2000년 이후에는 48.3로 감소하였다. 결론: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내잡지보다는 해외잡지에 논문을 투고하는 경향이 증가하였으나 상대적으로 국내잡지의 게재논문 수 및 원저의 비율이 줄어들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 SCOPUSKCI등재

        흉부외상 환자에 대한 전산화 단층촬영의 효용성

        노환규,최호,김영진,김정태,소동문,류한영,이철주,Roh, Hwan-Kyu,Choi, Ho,Kim, Young-Jin,Kim, Jung-Tae,Soh, Dong-Moon,Ryu, Han-Young,Lee, Cheol-Jo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3

        초기에 외상성 뇌병변의 진단에 국한되었던 단층 촬영은 전산화 단층 촬영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흉부, 복부 및 척추, 그리고 안면부나 골반부의 외상에 의한 병변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1년간 응급실에 내원한 흉부외상 환자 중 흉부의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134명의 환자를 대 瓚막\ulcorner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의 결과와 단층 촬영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 외상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는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34명의 환자 중 45명은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 소견이 정상인데 단층 촬영을 시행받은 환자였고, 이중 24명은 단층 촬영 결과 역시 정상 소견을 보였다. 단층 촬영의 기흉과, 혈흉을 포함한 늑막삼출에 대한 진단률을 100%라고 가정할 때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의 기흉과 늑막 삼출의 진단률은 각각 46.2%, 62.9%로 낮은 진단율을 보였다. 전체 환자 중 흉관 삽관을 받은 환자는 63명이었는데 이중 45명(71.4%)이 단순 흉부 엑스선 촬영만으로 흉관 삽관을 결정한 환자여서 치료 방침의 결정에는 단순 촬영의 효용성이 다소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흉부 외상에 대한 전산화 단층 촬영이 다소 남용되고 있음이 확인이 되었으나 단층 촬영은 소량의 기흉이나 종격동의 병변등, 임상적으로 중요하면서도 단순 촬영이 제공할 수 없는 병변의 진단에 결정적으로 유용하며 그 효용성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다. Computerized tomography(CT) is an effective technique in the initial evaluation of the abdomen and head following blunt trauma.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T of the thorax, a retrospective study comparing early thoracic CT scanning with initial chest roentgenogram (CXR) was carried out on 134 patients with blunt trauma on the chest. Among 134 patients, 45 patients had normal initial chest roentgenogram and 24 patients showed normal CT findings. Sensitivities of diagnosing pneumothorax and pleural effusion by CXR were low (46.2 and 62.9% respectively), whereas 71.4%(45/63) of patients had thoracostomy only by CXR. Although sometimes abused, CT of the thorax is effective in the initial diagnosis.

      • SCOPUSKCI등재

        식도암 수술후 문합부 합병증에 관한 연구 - 경부문합과 흉부문합 간의 비교-

        이형렬,김진희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9

        배경: 식도 및 분문부암에서 식도절제를 시행한 후 문합부에 생길 수 있는 중대한 합병증으로는 문합부 누출, 양성 협착, 그리고 종양재발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술후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그 문합의 위치가 경부 또는 흉부 어디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문합의 위치에 따른 합병증을 서로 비교할 필요가 있다. 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1998년까지 식도암 근치술을 시행 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절개에 의한 식도절제 후 그 문합 위치에 따라 경부 문합군(NA군, 20명) 및 흉부 문합군(C군, 16명)으로 각각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식도암환자의 병기는 2A기 13명, 2B기 7명, 3기 16명으로 술후 각각 판정되었고, 종양의 위치별로는 중흉부에 22명, 하흉부 및 분문부에 14명이 각각 위치하였다. 결과: 전체 수술사망률은 8.3%(경부 문합군 5%, 흉부 문합군 12.5%)였다. 문합부 누출율은 경부 문합군 15.0%, 흉부 문합군 12.5%으로 문합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문합 방법상 수봉합(27.3%)과 staple봉합(8.0%)에 따른 차이는 있었다(p<0.05). 종양으로부터 근위부 절제연은 평균 9.6 cm(경부문합군) 및 5.8 cm(흉부문합군)였고, 문합부 종양 재발율은 5.3%(경부문합군) 및 28.6%(흉부문합군) (p<0.05)였다. 양성 협착률-중등도 이상의 연하장해로 정의함-은 흉부문합군(21.4%)에 비해 경부문합군 (36.8%)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고, 특히 staple봉합법에 의한 문합시에는 staple의 크기가 작을수록 협착의 빈도는 높았다(25-mm staple에서 41.7%, 28-mm에서 9.1%) (p<0.05). 결론: 근위부 절제연을 크게 할수록 문합부의 종양 재발율을 줄일 수 있었고 staple봉합의 도입후 문합부 누출율은 크게 감소하였다. 양성 협착률은 경부 문합후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작은(25-mm) sstaple이 사용과 술후 문합부 누출의 합병이 중등도 이상의 협착의 더욱 큰 위험 요소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Leakage, stricture formation, and tumor recurrence at the anastomotic site are serious problems after esophagectomy for cancer of the esophagus or cardia. The prevalence of thes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ay be affected by whether an anastomosis is made in the neck or in the chest, therefore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anastomoses made at these two sites. Material and Method: Between 1987 and 1998, 36 patients with cancer of the esophagus underwent transthoracic esophagectomy with cervical(NA, n=20) or thoracic anastomosis(CA, n=16). The tumors were staged postoperatively(stage IIA, n=13; s tage IIB, n=7; stage III, n=16) and were located in the middle thoracic(n=22) or lower thoracic esophagus and cardia(n=14). Result: The overall operative mortality was 8.3%(5% for NA group, 12.5% for CA group). The anastomotic leak rate for the NA group was 15.0% and 12.5% for the CA group. The anastomotic leak rate differed according to the manual(27.3%) or stapled(8.0%) techniques(p < 0.05). The median proximal resection margins in the NA and CA groups were 9.6 cm and 5.8 cm, and the corresponding rates of anastomotic tumor recurrence were 5.3% and 28.6%(p < 0.05). The prevalence of benign stricture formation (defined as moderate/severe dysphagia) was higher in the NA group(36.8%) than in the CA group(21.4%). When an anastomosis was made by the stapled technique, smaller size of the staple increased the prevalence of stricture formation - 41.7% with 25-mm staple and 9.1% with 28-mm staple(p < 0.05). Conclusion: Wider resection margin could decrease the anastomotic tumor recurrence, and the stapled technique could decrease the anastomotic leak. The prevalence of benign stricture was higher in the cervical anastomosis but the anastomotic leak and smaller size(25-mm) of the staple should be considered as risk factors.

      • KCI등재

        한국사 최초의 흉부외과 관련 의학기록

        김원곤 대한흉부외과학회 200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2 No.6

        On Dec 22, 1909, a young patriot called Lee Jae-Myung (1986∼1910) attempted to assassinate Lee Wan-Yong, the prime minister of the last Yi Choseon cabinet and he later signed the annexation treaty with imperial Japan. Despite that Lee Jae-Myung failed in this assassination attempt, his heroic deed motivated national pride thereafter. After this attempted assassination, a medical record was prepared about stab wound that was inflicted upon Lee Wan-Yong during the trial of Lee Jae-Myung, and this record included many significant specific descriptions that were concerned with thoracic surgery. They included an intercostal stab wound and intercostal arterial hemorrhage, lung injury, chest contusion, traumatic pleuritis and supposedly pneumo-and hemothorax. Thoracentesis for drainage of the serosanguinous pleural effusion was also mentioned. This medical record is judged to be the first written medical record on thoracic surgery in Korean histo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record as it is related with a well known episode in modern Korean history. 1909년 12월 22일 당시 23세의 애국청년 이재명에 의해 이루어진 이완용 암살 기도 사건은 비록 그 결과는 실패로 끝났지만 지금까지도 민족정기를 크게 고취시켰던 사건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런데 이 사건에 연관되어 이재명의 재판을 위해 당시 작성된 이완용의 상해감정서에는 여러 부분에서 의미있는 흉부외과적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즉 늑골하연 자상, 늑간동맥 출혈, 폐손상, 좌흉부타박상, 외상성 늑막염 등의 전문적인 흉부외과 병명이 언급되고 있으며 그리고 기흉과 혈흉을 의미하는 기술(폐를 손상하여 창공으로부터 출혈 및 호흡에 수반된 공기 출입이 있었다)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흉부천자술에 의한 혈성 삼출액 배출이라는 외과적 시술에 관해서도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여러 정황 분석 상 한국사 최초의 흉부외과 관련 의학기록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논문은 우리나라 근대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한 사건을 통하여 한국사 최초의 흉부외과 관련 기록을 발굴,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에 기반한 심장판막 치환수술 환자의 레지스트리 확립 및 위험인자 분석

        김경환,이재익,임청,안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5 No.3

        =Establishment of Valve Replacement Registry and Risk Factor Analysis Based on Database Application Program 배경: 심장 판막증은 국내에서 아직까지 가장 많은 유병률을 보이는 중요 심장질환이다. 1958년 이후 1999년까지 한국에서는 총 94,586례의 개심술이 시행되었으며 그중 36,247례가 성인심장질환이었고 그중 20,704례는 판막질환이었다. 그러나 제대로 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많은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어 저자들은 판막레지스트리를 확립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마이크로소프트 악세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관계형 구조를 갖는 비교적 작고 간결한 프로그램으로 그 사용자환경이 쉽고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질의와 보고서 기능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쉽고 빠르게 추출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68년부터 1999년까지 약 3000여명의 환자에 대하여 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으며 여기에 사용된 총 판막의 수는 약 3700 개였다. 삽입된 판막을 부위별로 살펴보면 승모판막 1600명, 대동맥 판막 584명, 삼첨판막 76명 등이었으며, 700여명에서 2개이상의 판막을 치환하였다. 전체 판막환자의 약 46%인 1280여명이 조직판막을 치환 받았으며, 54%인 약 1500여명이 금속판막을 치환 받았다. 약 16%인 460여명이 판막재치환술을 시행받았으며 해마다 약 40여명 전후에서 시행되고 있다. 결론: 저자들은 판막레지스트리를 확립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는 향후 연구활동과 보건의료분야의 발전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9.Clark RE. The Society of Thoracic Surgeons National Database status report. Ann Thorac Surg 1994;57:20-6.10.Mavroudis C, Jacobs JP. Introduction: the International Congenital Heart Surgery Nomenclature and Database Project. Ann Thorac Surg 2000;69:S1.11.김응중, 이정렬, 나명훈. 대한흉부외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의 분석 고찰: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논문자료의 저장과 조회의 실례. 대흉외지 1990;23:423-9.12. 박영환, 성숙환 등. 흉부외과 수술통계. 대한흉부외과학회 홈페이지(http://www.ktcs.or.kr). 2001

      • KCI등재

        흉부외과 의사에 의해 시행된 복부 대동맥류의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 -3예 보고-

        정의석,임청,성용원,최진호,박계현,정우영 대한흉부외과학회 200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1 No.3

        Abdominal aortic aneurysm has traditionally been treated by open repair. Aortic endovascular stent grafting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as a new modality. We report here on three cases of endovascular stent grafting that were performed by cardiovascular surgeons for the treatment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in the high risk patients with multiple comorbidities such as old age, hypertension, renal failure, cerebrovascular accident and immobility.

      • SCOPUSKCI등재

        종격동 종양의 전산화 단층촬영(CT)소견, 수술소견 및 병리조직학적 침윤도 사이의 상관성 분석

        김용희,이현우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8

        Mediastinal tumor had been fascinated by its location on heart, great vessels, esophagus, and nervous tissue, its convenience of surgical treatment and superiority of its operative result. Between January 1989 and June 1995, eighty-seven patients with mediastinal tumor which were treated surgically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san Medical Center, School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To provide the appropriate surgical management of mediastinal tumor, the demographic data, diagnostic evaluation, clinical presentation, location, size, operative finding and histopathologic distribution were reviewed and we analyzed relativity between invasiveness in chest computed tomographic finding or invasiveness on operative finding and histopathologic invasiveness. The anterosuperior mediastinum was the most commonly involved site of a mediastinal tumor(57%), followed by the posterior mediastinum(35%) and middle mediastinum(8%).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tumors were thymic neoplasia(31%), followed by primary cyst(22%), neurogenic tumor(22%) and teratoma(10%) in decreasing order of frequency. Histopathologically invasive tumors were present in 17 patients(20%) and its site included anterosuperior mediastinum(16%) and posterior mediastinum(4%). All patients in this study underwent chest CT. In chest CT's finding, 15 patients(17%) showed invasiveness. A total excision of the tumor was performed 80 patients(92%), subtotal excision 6 patients(7%) and biopsy only 1 patient(2%). In operative finding, 14 patients(16%) were suspected invasiveness. The mean size of the tumor was 6.0$\pm$ 3.2cm. In anterosuperior mediastinum, the mean size was 6.2$\pm$3.1cm, in middle mediastinum, it was 3.9$\pm$1.1cm, in posterior mediastinum, it was 5.8$\pm$2.6cm. In malignant tumors, the mean size was 7.3$\pm$4.6cm, in benign tumor, it was 5.5$\pm$2.6cm(P<0.05). Relativity between histopathological invasiveness(17 patients) and invasiveness in chest CT's finding(15 patients) included sensitivity 35%, specificity 87% and predictability 35%, relativity between histopathological invasiveness(17 patients) and invasiveness on operative finding included sensitivity 52%, specificity 93% and predictability 64%. In conclusion, since it was proved that the compatibility of preoperative chest CT findings or operative findings and histopathological invasiveness is quite low, it is considered that wide excision of the mediastinal tumor except cystic lesion including adjacent tissues would yield better postoperative results. 종격동 종양은 그 발생 위치가 심장과 대혈관, 식도, 그리고 신경조직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조직과 인접해 있는 점과 수술적 치료가 비교적 용이하고 그 결과 또한 우수하여 흉부외과 영역에서 매우 흥미있는 질환으로 관심을 끌어 왔다. 저자는 울산의대 서울중앙병원 흉부외과에서 1990년 1월부터 1995년 6월까지 5년 6개월간 수술적 치료를 받은 원발성 종격동 종양 87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성별, 진단방법, 임상적 징후 및 증상, 크기, 해부학적 위 치, 수술소견, 병리조직학적 진단에 대하여 관찰하고 전산화 단층촬영(U)소견과 병리조직학적으로 침윤성 을 보였던 종격동 종양에서의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여 종격동 종양에 대한 적절한 외과적 치료지침을 얻고자 하였다. 종양의 발생 부위는 전상부 종격동이 50명(57%)으로 가장 많았으며 후부 종격동 30명(35%), 중부 종격동 7 명(8%)순이었다. 병리조직학적 분류로 보면 흉부종 27명(31%), 원발성 낭종 19명(22%), 신경성 종양 19명 (22%), 기형종 10명(10%)순이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침윤성을 보인 경우는 17명(20%)이었으며 전상부 종격 동에 14명(16%), 후부 종격동에 3명(4%)이었다. 종격동 종양 \ulcorner대한 전산화 단층촬영은 87명 모두 시행하였으며, 주위 조직에 침윤성을 보인 경우는 15명(17%)이었다. 종양의 외과적 치료로 완전 절제 80명(92%), 부분 절제 6명(7%), 개흉후 조직검사 1명(2%)을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상 14명(16%)에서 주위 조직의 침윤이 의심 되었다. 종양의 크기는 전체 평균 6.0$\pm$3.2 cm 전상부 종격동 종양 6.2$\pm$3.1 cm 중부 종격동 종양 3.9$\pm$ 1.1 cm 후부 종격동 종양 5.8그2.6 cm등이었다. 양성 종양의 크기는 평균 5.5$\pm$2.6 cm 악성종양의 크기는 7.3$\pm$ 4.6 cm이었다. 수술소견상 침윤이 의심된 경우들의 평균 크기는 7.2$\pm$3.8 cm이었고, 소견상 침윤이 의심 된 경우들의 평균 크기는 8.0$\pm$3.8 cm이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침윤성을 보였덜 17명과 CT소견상 침윤성을 보였던 15명과의 상관성은 민감도 (sensitivity) 35%, 특이도(specificity) 87%, 예측도(predictability) 35%이며, 수술소견상 침윤성을 보였던 14명과 의 상관성은 민감도 53%,특이도 93%, 예측도 64%이었다. 또한 종양의 크기와 악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크기가 클수록 악성일 가능성이 증가하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격동 종양에 대한 수 珦\ulcorner진단으로 또는 수술시 예측할 수 있는 침윤성은 낭성 종양을 제외 한 경우 병리조직학적 진단과의 일치성이 낮아 종격동 종양의 수술적 치료는 종양을 포함하여 가능한 범위까지 광범위하게 절제하는 것이 수술 결과를 좋게 하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 SCOPUSKCI등재

        2 mm 흉강내시경을 이용한 흉부교감신경 절제술

        이두연,윤용한,홍윤주,문동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6

        다한증이란 체온조절에 필요이상의 땀이 어느 특정 부위에서 과도하게 나는 비정상적인 상태이며 손바닥, 발바닥, 머리, 얼굴과 겨드랑이등에 흔하다. 다한증은 젊은 나이에 0.6%에서 1%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치료에는 내과적 도포와 이온 영동법에 의한 치료가 있으나 효과가 뚜렷하지 않는 경우에는 흉부교감신경절의 절제가 크게 도움이 된다고 본다. 최근 흉강내시경 기구의 발전으로 2 mm 내시경에 의한 다한증 치료가 가능하게 되어 수술후 통증이나 상처에 대한 걱정없이 수술을 시행할수 있게되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훙부외과에서는 1997년 6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117례의 다한증 환자에서 2 mm 흉강경을 이용한 117례의 흉부교감신경절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추적가능하였던 94례의 환자에 대한 평균수술시간은 47.50분이었으며 평균입원기간은 1일이었다. 2 mm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교감신경절 절제술은 매우 간편하고 상처나 통증에 대한 두려움없이 치료받을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되어진다.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흉관을 발관하면서 발생한 기흉이 5례있었으며 약간의 호너증후군이 1례 있었다. 수술후 보상성 다한증은 67례(71.2%)에서 나타났으며 생활에 불편한 정도의 보상성 다한증은 30례(31.9%) 였다. 수술의 만족도는 95.8%에서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4.2%에서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4.2%의 환자에서 수술은 성공적이나 수술후 합병증에 대한 불편함 때문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 수술전 환자의 선택에 있어서 보상성 다한증에 대한 설명이 꼭 필요할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 병원에서는 1997년 6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2 mm흉강경을 이용한 다한증치료를 하였기에 임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xcessive sweating of the palms, axillae, and face has a strong nega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for many people. The existing non-operative therapeutic options seldom give sufficient relief and have a transient effect. But a definitive cure can be obtained by upper thoracic sympathectomy. From June 1997 to October 1997, 117 cases of the needle (2 mm) thoracoscopic thoracic sympathectomies were performed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in the Respiratory Center Yong-dong Severance Hospital in Seoul, Korea. We have followed up on 94 cases which include palmar hyperhidrosis (n=85), facial hyperhidrosis(n=5) and axillary hyperhidrosis(n=4). There were 42 males and 52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4 to 63 years(median:23 years). The T2 ganglia and T3-4 ganglia were excised by electrocuting with a hook and endoscissors and were removed for histologic examination. There have been no mortalities or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The surgical results were classified as excellent(much improvement,very dry) in 93.6%, good(some improvement, minimally wet) in 2.1%, and fair(slight improvement, still wet) in 4.2%. Five patients(5.3%) required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because of pneumothorax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day. Horner's syndrome occurred in one case. The compensatory sweating occurred in 67 cases(71.2%) and was embarrassing in 21 cases(22.3%) and disabling in 9 cases(9.6%) of these cases. Primary failure occurred in one case. The patient with primary failure underwent successful operation. Fifty-one patients had concomitant hyperhidrosis. Our experiences indicate needle thoracoscopic sympathectomy is a very effective, safe, and time- saving procedure for essential hyperhidrosis.

      • SCOPUSKCI등재

        늑막유착을 동반한 질환에서의 비디오 흉부수술

        성숙환,김현조,이창하,김주현,Seong, Suk-Hwan,Kim, Hyeon-Jo,Lee, Chang-Ha,Kim, Ju-Hye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8

        늑막유착이 있는 경우에서의 비디오흉부수술은 금기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늑막유착이 비디오흉 부수술 도중 발견되는 경우에는 출혈 및 폐실질 손상의 가능성 등으로 인하여 개흉술로 전환하여 수술 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본 병원에서는 늑막유착이 있는 경우에서의 비디오 흉부수술의 가능성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2년 7월 7일부터 1995년 9월 4일까지 비디오 흉부수술을 연속적으로 226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고, 이중 50명(22.1%)에서 수술 중 늑막유착이 발견되었다. 기흉 환자 16명, 늑막 질환 환자 15명, 양성 폐결절 7명, 종격동 종양 5명, 다한증 환자 2명, 미만성 폐실질 질환의 폐생검 2명, 원발성 폐암에 대한 폐엽절제술 1명, 기관지 확장증으로 폐엽절제술을 시행 받은 2명의 환자에서 늑막유착이 있었다. 늑막유착은 포함된 범위와 유착의 정도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포함된 범위 에 따라서 I도, II도, III도로 나누었고, 유착의 정도에 따라 경도, 중등도, 심한 정도, 매우 심한 정도로 분류하였다. 수술 전 늑막의 비후가 발견되어 늑막 박피술이 필요한 정도의 늑막유착은 매우 심한 정도\ulcorner 분류하여 비디오 흉부수술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이번 연구 대상에서는 제외시켰다. 50명의 환자 중에서 유착의 정도는 경도가 15명(30.0%), 중등도가 29명(58.0%)이었으며, 심한 정도의 늑막유착도 6명(12.0%)에서 있었으며, 유착의 범위는 대부분(32명, 64.0%)이 II도에 속하였으며, I도와 III도가 각각 8명(16.0%), 10명(20.0%)이 었다. 늑막유착이 있는 환자에서 수술 시간, 흉관거치기간, 재원 일수등이 늑막유착이 발견되지 않았던 환자에 비하여 증가되어 있었다. 수술후 합병증으로 지속적 공기 유출 또는 흉관 배액이 늑막유착이 있는 환자에서 각각 18.0%와 6.0%로 늑막유착이 발견되지 않았던 환자에서의 5.1%와 1.7%에 비하여 많은 분포를 보였다. 기관지 확장증 2명(4.0%)에서 늑막유착 박 리 도중 발생한 출혈로 인하여, 개흉술로 전환하였다. 늑막유착이 있는 환자에서의 비디오 흉부수술은 수술 시간, 흉관거치기간, 재원일수등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며,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으나, 비디오 흉부수술의 기타 장점을 고려하여 볼 때 문제점은 되지 않을 것으로 사려된다. 또한 수술 중 발견되는 예상치 못한 늑막유착 환자에서도 비디오 흉부수술의 시\ulcorner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In patients with pleural adhesion,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has been regarded as a contra- indication. When such adhesions were found during a thoracoscopic trial, the thoracotomy proceeded with for fear of parenchymal Injury and bleeding. We had a question whether or not thoracoscopic surgery should be done in such pleural adhesions. Of the 226 consecutive thoracoscopic surgeries from Jul. 1992 through Sep. 1995, pleural adhesions were detected intraoperatively in 50 cases (22.1%): a detailed breakdown is as follows: pneumothorax (16 cases), pleural disease (15), benign pulmonary nodule(7), mediastinal mass(5), hyperhidrosis (2), diffuse parenchymal or interstitial lung disease (2), bronchiectasis(2), and primary lung cancer(1). We classified pleural adhesions according to their extent and severity. Extent is categorized as the involved area of the lung: degree 1, II, or III; severity is given one of four grades: mild, moderate, severe, or ve y severe. In cases of very severe severity requiring decortication, the possibility of VATS was excluded. Of the 50 cases, mild adhesions were detected in 15 cases(30.0%), moderate in 29 (58.0%), and severe in 6 (12.0%). As for the extent of the adhesions, 8 cases (16.0%) were categorized as degree 1, 32 cases (64. 0%) as degree II, and 10 cases (20.0%) as degree III. For patients with pleural adhesions, the operation time, the chest tube indwelling time, and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ere all longer than for patients in the non-adhesion group. Postoperative complications, namely prolonged air-leakage and pleural drain- age, were more common (18.0% and 6.0%, respectively) than in the non-adhesion group (5.1% and 1.7%, respectively). Only two bronchiectatic patients (4%) were converted to an open thoracotomy because of in- ability to control bleeding. Although complications were encountered more frequently in the group with adhesions, patients were still able to enjoy the benefi s of thoracoscopic surgery. It is advisable to proceed with thoracoscopic surgery even in cases of unpredicted pleural adhe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