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침전지내장형 상분리 산화구공정에 의한 하수 고도처리특성 평가

        홍기호,장덕,한상배 한국물환경학회 2004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0 No.6

        Phased isolation intrachannel clarifier ditch process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nhanced biological nutrient removal process employing two ditches with intrachannel clarifiers. Bench-scale phased isolation ditch process was used to evaluate the system performance on municipal wastewater and detailed assessment of internal behavior in a ditch and each reactions. When the system was operated at the HRTs of 6∼12hours, SRTs of 9∼31 days, and cycle times of 4hours, the system showed removals of BOD, TN, and TP as high as 88∼97%, 73∼78%, and 65∼90%, respectively. The internal behavior were well matched on each reactions such as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and phosphorus release and uptake. As the SRT became longer, TN removal increased gradually, whereas TP removal decreased contrarily. However, the system was capable of producing an effluent TP concentration 1㎎/L or less even at longer SRTs except the case of solids discharge by malfunction of intra-clarifier occurred by its geometrical limit. The system performance slightly decreased by hydraulic shock loading(increasing of influent flowrate and decreasing of system HRT). However, the higher system performance could be achieved again after four cycles. Thus, the system reliability could be successfully achieved short-term hydraulic shock loading that occurred in medium- and small-size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uffering fluctuation of influent quality and flowrate during wet season.

      • KCI등재

        유포변경 간헐폭기식 침전지내장형 산화구시스템에 의한 하수의 탈질,탈인

        장덕,홍기호,허준무,한상배 대한상하수도학회 2003 상하수도학회지 Vol.17 No.1

        Phased isolation intrachannel clarifier ditch system devised in this study is an innovative biological nutrient removal system employing two ditches with intrachannel clarifiers and eliminating external per-anaerobic reactors and recycle of sludge and treated effluent. The performances of the system were evaluated through a long term pilot-scale experiments. The system operated at hydraulic retention times of 10-21hours and solids retention times of 16-36days showed removals of biochemical oxygen demand,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in the range of 90-99%, 64-93%, and 63-98%, respectively, at the mixed liquor temperature above 10℃. The solids retention time played a relatively important role among the operational parameters of the system. As the solids retention time became longer, the effluent total nitrogen decreased dramatically, whereas the effluent total phosphorus increased. Optimal system operating strategies maximizing phosphorus release and its uptake as well a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satisfying both the best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s included hydraulic retention times ranged 10-14hours and solids retention times ranged 20-25days. The phase separation in a cycle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completely accomplished by scheduling of alternating flow and intermittent aeration in a simplified process scheme. Especially, temporal phase separation for phosphorus release without additional anaerobic reactor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during anaerobic period without any nitrate interference and carbon-limiting. The phased isolation ditch system with intrachannel clarifier developed in this study was, therefore, believed to be a simplified and improved option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biological nutrient removal technologies.

      • KCI등재

        정신분열증 환자의 언어성 기억과제수행

        전덕인,정기립,김찬형,이홍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목 적 :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기억장애가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으나 반복에 의한 언어성 기억수행의 변화에 대해서는 아직도 알려진 바가 적다.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전산화된 기억과제를 이용하여 반복시행에 따른 언어성 기억수행과 기억전략의 변화 및 학습과 망각의 양상을 정보처리적 관점에서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항정신병약물을 7일 이상 복용하지 않은 정신분열증 환자 26명과 나이, 성, 교육정도를 맞춘 정상대조군 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전산화 기억과제 중 우선 언어성 즉각 상기과제에서는 60개의 한글단어 모음에서 30개 단어가 선택되어 차례로 3초 동안 모니터에 제시된 다음, 피험자는 제시순서에 상관없이 기억나는 단어를 대답하였다. 이후 동일한 과제를 2회 반복하여 총 3회 수행하였다. 그리고 간섭과제로서 시각성 인식과제를 수행한 다음, 상기 과제를 구성하는 60개 단어모음을 하나씩 무작위로 노출시켜 앞서 보았던 단어인지 판단하는 언어성 인식과제를 수행하였다. 마지막 과제는 30분 지연 상기과제로서 언어성 즉각 상기과제에서 보았던 30개 단어를 다시 기억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항정신병약물을 7일 이상 복용하지 않은 정신분열증 환자 26명과 나이, 성, 교육정도를 맞춘 정상대조군 2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전산화 기억과제는 3회의 즉각 상기과제, 간섭과제, 인식과제, 그리고 30분 지연 상기과제의 순서로 시행되었다. 결 과 : 총 3회 반복된 즉각 상기과제에서 정신분열증 환자의 수행은 정상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떨어졌고 (df=1, F=12.4, p=0.001), 과제가 반복되면서 두 군 모두에서 유의한 수행증가가 나타났으나(df=2, F=148.0 p=0.0001) 증가되는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교호작용, df=2, F=11.4 . p=0.0001). 3차 상기수행과 30분 지연 상기수행의 차이(망각정도)는 정신분열증이 정상대조군보다 컸으나 유의하진 않았다. (df=33.9, t=-1.8, p=0.08), 3회의 상기수행에서는 전혀 기억하지 못했으나 지연상기에서는 기억한 단어, 즉 늦은 상기의 양은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유의하게 적었다(df=46, t=3.0, p=0.005), 전체적으로 군집화 정도와 즉각상기 수행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환자군의 군집화는 상기과제에서 전체적으로 정상대조군보다 감소되어 있었다(df=1, F=6.53, p=0.01), 비록 과제가 반복되면서 정상대조군과 환자군 모두 군집화가 증가되었으나(df=2, F=36.7, p=0.0001) 두 군 사이의 군집화 차이는 점점 커졌다(교호작용, df=2, F=3.72, p=0.03). 결 론 : 상기 결과에 의하면 정신분열증 환자에서는 반복에 의해 새로 학습할 수 있는 언어성 기억기능은 저하 되어 있으나 일단 학습된 기억은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며, 이러한 학습저하에는 기억전략의 비효율성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사료된다. 정보처리적 관점에서 정신분열증의 정교한 부호화 과정의 결함을 지지하는 소견이다. Objectives : Memory deficit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ave been well established, but it is still unclear how memory performance changes during verbal learning task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attern of verbal learning and memory performance to test the inefficiency of encoding processes in learning of schizophrenia. Method : Subjects consisted of 26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o were unmedicated for at least seven days and 22 normal controls who were matched for age, sex, and education. Verbal memory and learning were evaluated with computerized tasks composed of three consecutive immediate recall trials, a yes/no recognition test, and a delayed recall trial of a word list. Results :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ed significant learning deficits characterized by impaired immediate recall performance and poor learning of a word list. However, both verbal recognition performance and forgetting were comparable in both groups. Word clustering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recall performance. Clustering of patients decreased significantly over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tasks and showed poor increase during consecutive recall tasks. Conclusion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verbal learning and mnemonic strategy are impaired but learned information appears to be preserve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a learning deficit is closely related with impaired encoding processes in schizophrenia.

      • KCI등재

        디지털 포렌식의 기술 동향과 전망

        전상덕,홍동숙,한기준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6 정보화정책 Vol.13 No.4

        디지털 포렌식(Digital Forensics)은 법정 제출용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기술을 말하며 인권을 강조하는 요즘 IT 관련 기관과 기업을 중심으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디지털 증거 수집 및 분석 과정은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난해하여 분석가의 전문성에 의해 증거의 무결성과 신뢰성이 결정된다. 디지털 증거 수집 및 분석 과정의 수준향상을 위해 IT 분야에서 많은 전문가의 참여와 디지털 포렌식의 고급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포렌식의 개요, 디지털 포렌식 도구의 소개, 디지털 포렌식 절차를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디지털 포렌식 산업 육성 방안, 디지털 포렌식 전문 인력 양성 방안, 디지털 포렌식의 전망에 대하여 제시한다.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디지털 포렌식 기술은 향후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지향하는 IT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포렌식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더욱 체계적이고 활발히 수행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도 창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첨단 과학기술을 이용하는 디지털 포렌식은 사법기관의 인권 보호와 사법 정의 구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관상동맥 시술 도중 발생한 좌주간부 관상동맥 박리에 대한 스텐트 삽입 치료의 단장기 임상 결과 : acute and long-term results

        이세환,이승환,홍명기,김영학,이철환,한기훈,송종민,강덕현,송재관,김재중,박성욱,박승정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6

        목적 : 심도자 사용 시술과 관련된 좌주간부 관상동맥박리에 대한 적절한 치료는 아직 확실히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좌주간부 관상동맥 박리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의 단장기 임상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 좌주간부 관상동맥 박리에 대한 치료로 즉각적인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가설하였고, 이러한 즉각적인 스텐트 삽입을 시행한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단장기적 임상경과를 의무기록 고찰과 전화 면담을 통해서 평가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 모두 처음부터 좌주간부 관상동맥에 유의한 협착을 가진 환자는 없었으며, 8명의 환자는 심도자의 조작으로 인한 박리가 발생한 경우였고(진단적 혈관 조영술 중에 3명, 유도 도자 조작 중에 5명), 나머지 2명은 다른 병변에 스텐트 삽입시술을 하는 중에 박리가 발생하였다. 이 10명의 환자에서 모두 즉각적인 스텐트 삽입술이 시행되었고, 4명의 환자에서 시술 도중 혈압 저하로 Intra-aortic Ballon Pump (IABP)를 장착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스텐트가 삽입되었고, 병원내 사망은 1명도 없었다. 6개월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은 8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혈관 조영상의 재협착(직경 협착 50% 이상)은 8명 모두에게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퇴원 후 평균 31±25개월의 추적관찰 결과 주요 심장사건은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비록 대상 환자가 적은 연구였지만 좌주간부 관상동맥 박리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은 기술적으로 안전하고 빠르게 시행 할 수 있으며, 훌륭한 단장기적인 치료 효과를 보여준다. Background : The optim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left main coronary artery (LMCA) dissection during catheter-based procedure remains uncertain.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acute and long-term results of bail-out stenting for LMCA dissection. Methods : In cases with significant LMCA dissection occurring during catheter-based procedure, prompt stent implantation may be safe and associated with favorable clinical outcome. We evaluated the acute and long-term results of bail-out stenting for LMCA dissection occurring during catheter-bases procedure in 1- patients. Results : Initially, there was significant stenosis of LMCA segment in these patients. Catheter-induced dissection occurred in 8 patients (during diagnostic angiography in 3 patients and guiding catheter manipulation in 5 patients). Two patients suffered dissection in the setting of stent deployment in other vessels. Therefore, bail-out stenting LMCA dissection was performed in a total of 10 patients. In 4 patients, hypotension developed and intra-aortic balloon pump was placed during procedure. Stents were successfully deployed in all patients. There was no in-hospital mortality. Six-month angiographic follow-up was performed in 8 patients. Angiographic restenosis(diameter stenosis 50%) was not observed in all patients at follow-up study. During a mean follow-up of 31±25 months after hospital discharge, there was no major adverse cardiac event (death, myocardial infarction, and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Conclusion : Bail-out LMCA stenting is technically feasible, and showed good acute and long-term results in a small series of patients.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